KR0132838B1 -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838B1
KR0132838B1 KR1019940009086A KR19940009086A KR0132838B1 KR 0132838 B1 KR0132838 B1 KR 0132838B1 KR 1019940009086 A KR1019940009086 A KR 1019940009086A KR 19940009086 A KR19940009086 A KR 19940009086A KR 0132838 B1 KR0132838 B1 KR 0132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agnetic recording
signal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9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139A (ko
Inventor
최영교
박봉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09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838B1/ko
Priority to JP7012074A priority patent/JPH07264452A/ja
Priority to GB9810615A priority patent/GB2322996B/en
Priority to GB9501055A priority patent/GB2286312B/en
Priority to GB9810610A priority patent/GB2322755B/en
Priority to US08/383,483 priority patent/US6519416B1/en
Publication of KR95003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139A/ko
Priority to US08/569,541 priority patent/US56045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8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Abstract

비디오 테이프에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는 카메라부가 일체로 형성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가 개시된다. 카메라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으로써, 회의, 상담 및 가족 행사시 촬영시의 거부감 및 긴장감을 없애고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촬영할 수 있다. 착탈 장치가 개시되는 바, 카메라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내부에 장착시켜 사용할 수도 있고, 분리하여 임의의 장소에 고정시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간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각도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도시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개략적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도시된 카메라부의 상세한 블록도.
제4도는 분리형 카메라 개략적 블록도.
제5도는 제1도에 도시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일반적인 작동을 도시한 흐름도.
제6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제7도는 제8도에 도시한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9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착탈장치가 구비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이용되는 분리형 카메라의 개략적 사시도.
제11도는 제9도에 도시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카메라 착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12a, b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본체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와 카메라가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13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카메라가 삼각대에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분해 사시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한 무선 카메라 장치의 블록도.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한 무선 카메라를 구동하는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
제16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피사체 촬영장치의 개략적 블록도.
제17a, b도는 제16도에 도시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피사체 위치별 코드입력에 따른 회전각을 나타내는 도면.
제18도는 제16도에 도시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피사체 쵤영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19도는 이 발명의 또 다시 다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체 감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0도는 제19도에 도시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체 감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1도는 제19도에 도시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체 감지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22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음원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음원 감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0, 200 :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
3, 230, 330 : 카메라 32, 101 : 렌즈
30, 710, 711, 712, 713 : 마이크로폰
110 : 렌즈 덮개 128 : 워엄휘일
142 : 구동모터 400 : 삼각대
620 : 동체 감지센서 701 : 음원 감지센서
이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와 자기기록 재생장치가 일체로 결합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비디오 카메라를 내장시킴으로써 촬영한다는 기분을 주지 않고 자연스런 분위기 속에서 녹화를 할 수 있도록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와 같은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이미 오래 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현재에 이르러서는 각 가정에 거의 보급되어 현대인들에게 있어서는 하나의 생활필수품처럼 느껴질 정도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현재 가정용으로 보급되어 있는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대부분 VHS(Video Home System)방식을 채용한 1/2인치 테이프 카세트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는 가정에서 거실과 같은 곳에서 거치하여 텔레비젼 방송 등을 녹화하여 필요시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이르러서는 전술한 테이프 카세트 레코더를 응용한 휴대용 캠코더가 개발되고 있는 바, 이 캠코더 역시 1/2인치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8mm 테이프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캠코더는 촬영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피사체를 보면서 이를 촬영하고, 이렇게 촬영된 피사체는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든지 이를 재생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캠코더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할 경우 촬영자 자신은 촬영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촬영되고 있는 사람은 캠코더를 이용하여 촬영자가 촬영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식하여 부자유스러운 장면이 연출될 수 있거나 거부감을 받을 수가 있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회의와 같은 것을 기록 녹화하고자 할 경우, 고가의 캠코더를 삼각대 위에 장착시켜 놓아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회사에서 회의를 진행하는 경우, 카메라는 발언자를 향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카메라를 조작하는 전담자가 일일이 발언자를 촬영하거나, 아니면 다수 개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상이 편집실에서 편집되어 현재 발언자의 화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였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에는 일일이 발언자를 추적하여 촬영함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고, 후자의 경우에는 설치경비가 상당히 부담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캠코더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로 촬영한다는 느낌을 주지 않으면서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어 줄 수 있으며, 회의, 각종 상담 및 가족행사 등을 용이하게 기록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 덮개를 기기와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카메라의 사용시에는 렌즈 덮개를 자동적으로 열어 주고, 비사용시에는 렌즈 덮개를 자동적으로 닫혀 주어 렌즈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를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토록 하며, 피사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착탈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만을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리모콘으로 원격조정하거나 음원에 따른 방향으로 카메라가 자동 회전되어 피사체를 정확히 촬영할 수 있도록 한 무선 카메라 구동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일체형으로 장착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미리 설정된 코드값을 입력시켜 입력된 코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피사체 촬영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 공간내에 동체 존재시 이를 감지하여 동체를 녹화하기 위한 동체 감지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음원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판단하여 음원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가 구성됨으로서 촬영할 음원의 위치를 센싱하여 센싱된 위치로 카메라를 이동시킨 후 음원을 촬영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음원감지 촬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위치 코드에 대응하는 회전각을 설정 저장하는 코드별 위치 설정모드와 위치 코드입력에 따라 카메라를 회전하는 구동모드를 수행하는 위치 프로그램 기능이 내장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피사체 촬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 공간내에 동체 존재시 이를 감지하여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동체를 특정시간 동안 녹화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체 감지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 장치의 특징은, 비디오 테이프에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비디오 세트 레코더부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는 카메라부가 일체로 형성된 점이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부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부에 착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카메라부에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어진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여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부로 송신하기 위한 변조기 및 안테나와 마이크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다른 특징은,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에 설치되며, 렌즈의 투시가 가능한 정도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고정판, 이 고정판의 관통구멍 둘레에 위치되며, 내접기어가 형성된 링형의 워엄휘일, 고정판에 각각 회동가능토록 설치되며 한쪽면 가장자리에 워엄휘일의 내접기어와 이맞물림되는 기어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분할편으로 된 렌즈 덮개 및 고정판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워엄휘일과 이 맞물림되는 워엄을 구비하며 카메라의 사용 및 비사용시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로 된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점에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일측에 카메라 결합홈을 구비하여, 결합홈에 안내장공이 형성된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와, 소정의 탄력을 가지며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 내부에 설치되며 자유단에 카메라 결합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로커,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카메라 결합홈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면에 로커의 걸림돌기가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걸림홈이 형성된 카메라, 로커의 내측면과 미끄럼 접촉되도록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의 안내장공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바이어스되며 카메라의 걸림홈으로부터 로커의 걸림돌기를 이탈시키는 슬라이드 노브로 된 카메라 착탈장치를 더 포함하는 점에 있다.
이러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의 카메라 결합홈 바닥에 설치되어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로부터 카메라를 분리할 때 카메라를 카메라 결합홈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시키는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다른 특징은, 원격으로 조정가능한 별도의 무선카메라를 소정의 높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삼각대 본체와, 삼각대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음원을 감지하여 삼각대 위에 설치된 무선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음원감지수단, 리모콘으로부터의 카이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무선 카메라를 수지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는 카메라 회전신호 수신수단, 카메라 회전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음원감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카메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컴퓨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무선 카메라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탈트 회전수단, 무선 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위블 회전수단으로 된 무선 카메라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점에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화상신호를 기록·재생하는 기록 재생부와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여 위치별로 코드가 설정된 피사체를 촬영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특정 피사체의 위치 및 피사체 위치 대응 회전각을 코드화하여 입력하는 입력수단, 입력수단의 특정 피사체 위치 및 피사체 위치 대응 회전각에 해당하는 테이타를 자장 및 출력하는 저장수단,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코드화된 신호를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1모드와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코드화된 특정 피사체 위치에 해당하는 저장수단으로부터 위치 대응 회전각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독출하여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모드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된 피사체 촬영장치를 구비한 점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특징은, 화상신호를 기록·재생·촬영하는 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촬영방법에 있어서, 특정 피사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 코드와 이 위치 코드에 대응하는 카메라의 회전각을 입력 후 저장하는 피사체 위치 설정단계, 위치 코드입력에 따라 저장된 위치 코드에 대응하는 카메라 회전각을 독출한 후 독출된 회전각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된 점에 있다.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소정 구역내에 동체를 감지하는 동체 감지수단, 이 동체 감지수단에 의한 동체감지에 따라 기록·재생·촬영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마이크로 컴퓨터의 촬영동작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동체를 촬영하는 촬영수단,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록동작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동체를 자기기록하는 기록수단 및 마이크로 킴퓨터의 재생동작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미리 기록된 메세지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재생수단으로 된 동체 감지장치를 구비한 점에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 동체 감지수단은, 소정 구역의 동체를 감지한 후 저장된 화상과 촬영되는 화상을 비교하여 동체를 감지하는 화상 판별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동체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기일 수도 있다.
또한, 동체 감지수단은, 동체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변화를 감지하는 대기변화 감지센서이거나, 대기 입력변화 감지센서, 또는 대기 유동변화 감지센서가 바람직하다.
한편,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체 감지방법은 동체를 감지하여 동체 감지 시간 동안 촬영·기록하는 감시모드과정과 동체를 감지하여 동체감지에 따라 미리 저장된 메세지를 출력하는 메세지 출력과정으로 구성되어 피사체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특징은 소정 음원의 음성출력을 감지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음원 센싱수단, 이 음원 센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음원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수단, 이 위치 판단수단에서 판단된 위치로 촬영방향에 따른 카메라의 이동방향을 계산한 후 카메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음원 감지장치를 구비한 점에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 음원 센싱수단은, 단일 장소에 하나의 방향 지향성 센서로 구성되어 다방향으로 입력되는 음의 세기를 비교판단하여 음원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원 센싱수단은, 다수 개의 마이크에 일체형으로 별도 장치되어 마이크 출력을 센싱함에 따른 음원 센싱신호를 출력하거나, 음원에 부착되어 음원으로부터 음 발생시 이때 발생되는 음의 진동을 센싱함에 따른 음원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위치 판단수단은, 음원 위치 센싱신호가 입력되어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와, 이 위치 판단부에서 판단된 위치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회전 각도를 계산하여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1)의 프론트 패널에는 통상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서와 같이 테이프 카세트(도시하지 않았음)를 삽일할 수 있는 도어(2)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어(2)에 삽입되는 테이프 카세트 1/2인치 VHS카세트일 수도 있고, 8mm 카세트일 수도 있다.
프론트 패널의 우측부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3)가 장착되어 있는 바, 이 카메라(3)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1)내에 고정되어 있으나, 별도의 카메라가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본체(1)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있어서 카메라는 원격 방식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에는 이 발명의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키이 및 램프 등이 설치되어 있다. 예컨대, 전원버튼(4A), 정지/꺼냄버튼(4B), 제트시청(4C), 표시창(4D), 녹화잠금(4E), 해제버튼(4F), TV/ VIDEO 절환버튼(4H), 채널선택버튼(4I), 일시정지램프(4J), 재생램프(4K) 및 콘트라스트, 브라이트 등을 조절하는 다수의 버튼이 설치된 조정부(4L)가 구비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카메라(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의 또는 상담시나 가정에서 탁자 위에 거치해 놓은 상태에서 자연스러운 분위기 속에서 피사체를 촬영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캠코더가 없더라도 카메라만을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부착시킴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내부 블록도인 바, 안테나(10)를 통해 입력된 방송신호(이후 설명한 분리형 카메라로부터의 카메라 신호 포함)는 방송신호 수신부(11)에 인가된다. 이 방송신호 수신부(11)는 입력된 신호를 튜닝하여 복조부(12)에 인가토록 구성된다.
복조부(12)는 방송신호 수신부(11)에서 튜닝된 신호를 비디오 신호와 음성신호로 복조한 뒤 입력신호 선택부(13)의 단자(X1)에 제공한다. 입력신호 선택부(13)는 외부신호 입력부(14)(이것은 통상적으로 비디오, 오디오잭을 포함한다)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단자(X2)를 통해 받고, 카메라(3)로부터의 신호를 처리하는 카메라부(15)의 신호를 단자(X3)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신호 선택부(13)는 마이크로 컴퓨터(16)로부터의 제어신호(A,B)의 상태에 따라 입력단자(X1-X3)에 인가되는 신호들을 선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입력신호 선택부(13)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마이크로 컴퓨터(16)에 의해 선택할 수 있는 2개의 멀티플렉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록, 제2도에는 도면 및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1개의 멀티플렉서만이 도시되었으나, 이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렇게 입력신호 선택부(13)에서 선택된 신호는 자동 이득조정용 증폭기(17)에 입력되고, 그의 입력신호 레벨은 자동 이득조정용 증폭기(17)에 의해 일정한 신호레벨로 유지되어 비디오 신호 처리부(18)에 인가된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18)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부(19)에 제공하여 기록헤드(20)로 하여금 비디오 테이프(도시하지 않았음)에 기록토록 하거나, 재생부(21)를 통해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된 내용을 재생헤드(22)로 재생하여 텔레비젼 모니터로 볼 수 있는 신호로 만들어 주게 된다.
비디오 신호 처리부(18)에서 처리된 신호는 비디오 신호 증폭부(23)에 인가되어 텔레비젼 또는 모니터로 재생할 수 있도록 유지된 뒤, RF 컴버터(24)를 경유하여 텔레비젼에서 수신가능한 텔레비젼 신호로 변환되는 바, 이를 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발명은 3가지 입력(경우에 따라서는 그 이상의 입력)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통상의 방송신호(또는 방송주파수로 변조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는 방송신호 수신부(11)에서 특정의 주파수 신호로 튜닝되어 복조부(12)를 통해 복조된 뒤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로서 멀피플렉서(12)의 입력단자(X1)로 입력된다.
한편, 외부신호 입력부(14)로는 통상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일반적으로 A/V기기로부터 직접 연결되거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만들어내는 특수한 장치로부터 입력된다. 그리고, 비디오 카메라부(15)에서는 렌즈를 통해 전기신호로 바뀌어진 영상정보와 콘덴서 마이크로폰(30)(제1도 참조)을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멀티플렉서(13)에 인가하게 된다.
이때 멀티플렉서(13)는 마이크로 컴퓨터(16)의 제어신호(A,B)에 따라 하기의 표1에서와 같이 입력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의 표 1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제어신호가 AB=LL일 경우, 멀티플렉서(13)는 방송신호를 선택하게 되고, AB=LH일 경우에는 외부 입력신호가 선택되며, AB=HL일 경우에는 카메라신호가 선택될 수 있다.
제3도에는 제2도에 도시한 카메라부(15)의 상세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콘덴서 마이크로폰(30)에 의한 음성신호는 마이크로증폭기(31)에 의해 증폭되어 오디오 신호로서 출력된다. 그리고, 카메라 렌즈(32)를 통과한 피사체에 대한 신호는 찰상소자(33)에 의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된 뒤 자동 이득조절기(34)에 제공된다. 자동 이득조절기(34)는 통상의 화이트 발란스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여 적정한 레벨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비디오 신호 처리부(35)에 제공함으로써, 그로부터 비이도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부에는 전원공급장치(36)가 내장되어 있는 바, 이 전원공급장치(36)는 다수의 전압을 발생시킬 수가 있도록 되어 있고,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부가 분리형일 경우를 대비하여 밧데리(37)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밧데리(37)를 언제든지 충전할 수 있는 밧데리 충전부(38)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밧데리(37)로부터의 전원과 통상의 전원입력을 절환할 수 있는 전원 절환부(39)가 장착되어 있다.
제4도는 카메라(3)에 변조기(40)가 내장된 원격 카메라의 개략적 구성도인 바, 이 카메라에는 송신용 안테나(41)가 부착되어 있다. 이 카메라는 제1도에 도시된 카메라(3)와는 별도로 임의의 장소에 부착되어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로 송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카메라를 제1도에서와 같이 일체식으로 내장할 수도 있고, 제4도에서와 같은 별도의 카메라를 임의의 장소에 설치함으로써, 제1도의 일체형 카메라와 제4도의 분리형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신호를 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거나 TV로서 모니터링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다. 만약에 분리형 카메라를 여러 개 설치할 경우에는 감시용 카메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제5도는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흐름도인 바, 사용자가 입력버튼을 누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6)는 현재 선택된 입력이 어떤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S1). 현재 선택된 입력이 텔레비젼 모드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6)는 프로그램을 스텝(S2)에서 스텝(S3)으로 진행시켜 방송신호 수신부(11)에 전원을 인가시킨다.
방송신호 수신부 또는 튜너부(11)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방송신호가 입력되는 것이 확인되면, 프로그램은 스텝(S4)에서 스텝(S5)으로 진행되는데, 이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6)는 제어신호(A,B)를 AB=LL로 발생시켜 멀티플렉서(13)로 하여금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수신토록 한다.
그러나, 방송신호가 계속적으로 입력되지 않을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6)는 방송신호 수신부(11)의 전원을 오프상태가 되도록 프로그램을 스텝(S4)에서 스텝(S6)으로 진행시킴으로써, 제2도에 도시된 장치는 외부입력에 대한 대기모드상태로 돌입하게 된다(S7).
한편, 스텝(S2)에서 판별한 결과 TV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프로그램은 스텝(S8)으로 진행되는데, 이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6)는 외부 신호모드가 선택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외부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프로그램은 스텝(S8)에서 스텝(S9)으로 진행되고, 외부 신호의 입력이 있을 경우 마이크로 컴푸터(16)는 제어신호를 AB=LH로 하여 멀티플렉서(13)로 하여금 외부 신호를 선택하도록 한다(S10). 그러나, 외부 신호의 입력이 없을 경우에는 외부 신호에 대한 대기모드상태로 돌입하게 된다(S11).
한편, 외부 신호모드가 아닌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었을 경우 프로그램은 스텝(S12)에서 스텝(S13)으로 진행되는데, 이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16)는 카메라부에 전원을 인가시켜 이를 인에이블시키고, 제어신호를 AB=HL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3)에 제공하게 된다(S14). 따라서, 카메라부(15)는 기본모드로 설정될 수가 있다(S15). 여기에서 기본모드란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내장된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모드를 의미한다.
만약에 카메라가 분리되었을 경우 프로그램은 스텝(S16)에서 스텝(S17)으로 진행되고, 카메라가 분리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스텝(S16)에서 스텝(S18)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드시에는 제1도에 도시된 내장형 카메라 또는 제3도에 도시된 분리형 카메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외부 물체를 기록할 수가 있게 된다.
제5도에 있어서, 외부 입력에 대한 대기모드시에는 마이크로 컴퓨터(16)가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의하면, 통상의 비디오 카메라(또는 캠코더) 사용시 촬영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만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감시용이나 도어폰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렌즈가 밖으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렌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없음은 물론, 접촉에 의한 렌즈의 손상 또는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는 바, 이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수단을 강구하였다.
제6도에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제6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1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러나,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카메라 렌즈(101)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100)내에 고정된 타입으로 구성된다.
제7도 및 제8도에는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110)의 분해사시도 및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 발명에 따른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에 있어서 렌즈(101)는 카메라(102) 본체에 정착됨과 동시에 관통구멍(121)을 통해 고정판(120)에 설치된다.
관통구멍(121) 둘레에는 다수의 끼움구멍(124)의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판(120)의 각 끼움구멍(124) 둘레에는 내접기어(126)가 형성된 링형의 워엄휘일(128)의 다른 쪽에는 렌즈(101)를 보호하는 덮개(110)가 위치된다.
덮개(110)는 적어도 24개 이상의 분할편(13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각 분할편(132)은 한쪽에 고정판(120)의 각 끼움구멍(124)과 대향되는 관통구멍(134)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134)을 포함하는 한쪽면 가장자리에는 워엄휘일(128)의 내접기어(126)와 이맞물림되는 기어(136)가 돌출 형성된다,
덮개(110)의 각 분할편(132)은 그 관통구멍(134)을 통해 고정판(120)에 끼워지는 다수의 고정핀(138)에 의해 고정판(120)에 대하여 회종 자재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덮개(110)의 분할편(132)은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태극무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판(120)의 한쪽에는 회전축에 워엄휘일(128)과 이맞물림되는 워엄(140)을 가지고, 카메라의 사용시 전원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정·역구동되는 구동모터(142)가 설치되는데, 이는 대략 C-자형의 고정밴드(144)와 나사(146)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의 사용시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142)가 정회전되어 그 회전축이 워엄(140)이 회전되고, 이 워엄(140)과 이맞물림된 워엄휘일(128)이 정회전된다.
이에 따라, 워엄휘일(128)의 내접기어(126)와 이맞물림된 기어(136)가 형성된 각 분할편(132)이 각 고정핀(138)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덮개(110)가 열리게 된다. 이렇게 덮개(110)가 완전히 열리게 되면 도시하지 않은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제2도에 도시된 마이크로 컴퓨터(16)에 제공하고,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16)는 이를 감지하여 모터(142)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카메라의 사용기간동안에는 덮개(110)가 계속적으로 열려 있게 된다.
한편,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마이크로 컴퓨터(16)가 구동모터(142)를 역회전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구동모터에 제공한다. 그러면, 구동모터(142)가 역회전되며, 이의 회전축에 형성된 워엄(140)과 이맞물림된 워엄휘일(128)이 역회전된다.
따라서, 워엄휘일(128)의 내접기어(126)와 이맞물림된 기어(136)에 의해 각 분할편(132)이 고정핀(168)을 중심으로 역방향 회동되어 덮개(110)가 닫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렌즈 덮개 자동 개폐장치는 렌즈 덮개가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카메라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써 카메라의 사용시에만 전원의 온상태에 따라 덮개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고 카메라의 비사용시에는 덮개가 자동으로 닫히게 되므로 렌즈에 이물질이 묻지 않을 뿐만 아니라, 렌즈를 외부로부터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9도에는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착탈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개략적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제9도에 있어서, 제1도 및 제6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9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의 측면 패널내부에는 제11도 및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카메라 착탈장치가 장착된다.
제10도는 이 발명에 따른 분리형 카메라(230)의 개략적 사시도인 바, 이에 대해서는 제11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착탈장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 내측에 카메라 결합홈(202)이 형성되고, 이 카메라 결합홈(202)의 일내측면에는 끼움구멍(20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결합홈(202)의 안측에는 가이드 돌기(202A)가 형성되어 있다.
끼움구멍(203) 가까이의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에는 소정길이를 갖는 안내장공(204)이 형성되고,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의 내부에는 소정의 탄력을 가지며 자유단에 끼움구멍(203)을 통하여 카메라 결합홈(20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207)를 가지는 대략 ㄷ-자형의 로커(206)가 고정설치된다. 여기에서 로커(206)는 합성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의 카메라 결합홈(202)에는 분리형 카메라(230)가 분리결합가능하게 되는데, 일측면에는 끼움구멍(203)과 대향되는 즉, 로커(206)의 걸림돌기(207)가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걸림홈(212)이 형성되어 있다.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의 안내장공(204)에는 로커(206)의 걸림돌기(207)를 카메라(230)의 걸림홈(212)으로부터 이탈시키는 슬라이드 노브(208)가 로커(206)의 내측면과 미끄럼 접촉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의 내부 일측에는 스프링 걸림돌기(205)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205)와 슬라이드 노브(208) 사이에는 슬라이드 노브(208)을 탄성 바이어스시키는 탄성수단인 코일 스프링(209)이 설치된다.
또한, 카메라 걸림홈(202)의 일측 끝단부에는 카메라(230)의 플러그(232)와 접속되는 콘넥터(236)가 설치된다. 그리고, 카메라 결합홈(202)의 일측 끝단부에는 카메라(230)에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카메라(230)를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돌출시키는 탄성수단인 판스프링(213)이 설치되고, 이 판스프링(213)에는 상기 플러그(232)가 통과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214)이 형성된다. 한편, 카메라(23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돌기(202A)와 미끄럼 마찰되는 가이드홈(230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착탈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메라(230)를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에 결합할 경우에는 제12도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230)의 플러그(232) 부분이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의 내측을 향하도록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의 카메라 결합홈(202)에 삽입하면, 카메라(230)의 일측하단이 로커(206)가 탄성 변형되어 걸림돌기(207)가 카메라(230)에 접한 채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카메라(230)의 하단은 판스프링(213)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카메라(230)를 완전히 삽입하면, 판 스프링(213)은 압축되어 탄성변형되고, 로커(206)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되어 그 걸림돌기(207)가 카메라(230)의 걸림홈(212)에 끼워짐으로써 카메라(230)가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카메라(230)는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게 된다.
한편, 카메라(230)를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로부터 분리할 경우는 제12도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의 안내장공(204)에 설치된 슬라이드 노브(208)를 이동시키면 이와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로커(206)가 탄성변형되어 그 걸림돌기(207)가 카메라(230)의 걸림홈(212)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동시에 판스프링(213)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되며, 이 판스프링(213)의 복원력에 의해 카메라(230)가 카메라 결합홈(202)의 좌측방향으로 소정길이만큼 돌출된다.
이때, 슬라이드 노브(208)는 코일 스프링(209)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되고, 로커(206)는 그 걸림돌기(207)가 카메라(230)의 측면에 접한 채로 탄성변형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어서, 카메라(230)를 카메라 결합홈(20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면, 로커(206)는 자체 탄성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착탈장치에 의하면, 카메라를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에 대하여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피사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제13도는 이 발명에 따른 무선 카메라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인 바, 무선 카메라(330)에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3도에서와 같은 각종 회로들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무선 카메라(330)에는 촬영된 영상신호를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200)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331)가 장착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카메라(330)는 삼각대(400) 위에 장착되는 바, 이 삼각대(400)에는 3개의 지지다리(401,402,403)가 구성되어 있고, 이 지지다리(401,402,403)는 축(404)에서 회전되어 절첩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삼각대(400)에는 음원을 감지할 수 있는 음원 감지기(405)와 조정부(406)가 부착된 본체(410)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410)에는 도시하지 않은 리모콘으로부터의 키이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반투명 수신부(411)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410) 위에는 무선 카메라(33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대(412)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무선 카메라(330)는 장착대(412) 위에 고정되어 본체(410)의 회전과 함게 회전될 수가 있다.
이 본체(410)의 조정부(406)에는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버튼(406A), 작동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버튼(406B), 회전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각도설정버튼(406C) 및 회전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회전속도버튼(406D)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조정부(406)에 설치된 버튼들을 조작함으로써 삼각대 본체(410)는 리모콘으로부터의 원격조정에 의해 회전되거나 음원감지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비록, 제13도에는 카메라(330)가 상, 하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한 구조가 없으나, 이는 이 발명의 설명 및 도식상태를 간단화하기 위한 것일 뿐, 이로서 이 발명을 제한하고자 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이용되는 삼각대 본체(410)는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Tilt)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정부(406)에는 전원버튼(406A)의 작동시 이를 표시하는 램프(406E)가 장착되어 있다.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삼각대 본체(410) 내부에 있는 회로 구성도인 바, 수광부(411)는 리모콘으로부터의 키이신호를 수신하여 마이크로 컴퓨터(430)에 제공하고, 또한, 음원감지부(405)는 피사체로부터 발생된 음원을 감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430)에 제공하게 된다.
마이크로 컴퓨터(430)는 수광부(411)에서 부터의 리모콘 키이신호 또는 음원 감지부(405)로부터의 음원신호를 입력하여 삼각대 본체(410)를 리모콘 모드 또는 음원감지모드로 작동시킬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즉, 리모콘 모드시에는 삼각대 본체(410)를 사용자가 키이신호를 누를 때마다 상, 하, 좌, 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음원감지모드시에는 삼각대를 좌, 우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리모콘 모드시, 마이크로 컴퓨터(430)는 제1드라이브 회로부(440) 및 제2드라이브 회로부(450)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틸트(Tilt) 모터(442)와 스위블(Swivel) 모터(452)가 작동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틸트모터(442)는 카메라(330)를 상, 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이고, 스위블 모터(452)는 카메라를 좌, 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이다. 따라서, 리모콘 모드시 틸트모터(442)와 스위블 모터(452)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음원감지모드시에는 스위블 모터(452)만이 구동되어 카메라(330)는 좌, 우 회전을 하게 된다.
제15도는 이 발명에 따른 무선 카메라의 작동을 나타낸 흐름도인 바, 전원이 인가되었을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430)는 현재의 모드가 리모콘 모드인지 음원모드인지를 판별하게 된다. 음원모드일 경우에, 마이크로 컴퓨터(430)는 음원감지부(405)로부터의 음원신호를 감지하여 스위블 모터(452)를 작동시키도록 프로그램을 스텝(S21)에서 스텝(S22)으로 진행시킨다. 이 경우, 제15도의 흐름도에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음원 감지부(405)로부터의 음원이 발생되는 곳으로 카메라를 신속히 이동시키도록 스위블 모터(452)를 제어토록 하는 바, 음원이 발생되는 곳으로 무선 카메라의 렌즈(32)가 위치되었을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430)는 스위블 모터(452)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위블 모터(452)의 동작상태에 따라 카메라가 음원이 발생되는 곳으로 정확히 위치됨으로써 피사체를 정확하게 촬영할 수가 있다.
한편, 음원감지모드가 아닌 리모콘 모드로 동작될 경우, 즉, 사용자가 삼각대 본체(410)의 조정부(406)에 있는 버튼(406B)을 리모콘 위치로 설정했을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430)는 프로그램을 스텝(S23)에서 스텝(S24)으로 진행시킨다.
이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430)는 리모콘으로부터의 키이신호가 입력되는가를 판단하게 되는데, 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틸트모터 제어신호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430)는 제1드라이브 회로부(440)를 구동시킨다(S25). 이 경우, 제1드라이브 회로부(440)는 틸트모터(442)를 구동하게 된다(S26).
한편, 입력되는 신호가 틸트모터 제어신호가 아닌 스위블 모터 제어신호일 경우, 마이크로 컴퓨터(430)는 프로그램을 스텝(S24)에서 스텝(S27)으로 진행시키게 되는데, 이 때에는 제2드라이브 회로부(450)가 구동되고, 그에 따라 스위블 모터(452)가 구동됨으로서 카메라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S28).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무선 카메라 구동장치에 의하면, 자기기록 재생장치로부터 카메라를 분리하여 삼각대 본체 위에 장착시키고, 이 삼각대 본체를 리모콘 또는 음원감지에 의해 구동시킴으로써 원하는 피사체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이 발명은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비디오 카메라를 내장시켜서 마이크로 컴퓨터에 촬영할 피사체의 위치를 프로그램하여 피사체 위치에 따라 할당된 코드입력에 의해 카메라를 촬영할 피사체 위치로 자동으로 회전토록 할 수 있는 바, 제16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6도에 있어서, 제2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 발명에 필수적인 사항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우선, 제16도에는 피사체의 위치에 따른 코드를 입력하는 코드신호 입력부(500)가 위치코드 수신부(501)에 연결되어 있고, 이때 위치코드 수신부(501)에 입력되는 코드에 해당하는 심호가 마이크로 컴퓨터(502)로 입력된다. 이때 코드신호는 특정 피사체 즉,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미리 설정된 신호이다. 그리고 이 코드에 대응되는 카메라(15) 회전각을 저장 및 출력하는 메모리(503)가 마이크로 컴퓨터(502)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위치코드 수신부(501)로부터 입력되는 위치코드에 대응하는 회전각에 대한 데이타를 메모리(503)로부터 독출하고, 그 독출된 값에 따라 구동 제어신호가 카메라 구동부(504)로 입력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카메라(15)는 카메라 구동부(504)의 출력신호에 따라 구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동작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미리 메모리(503)에 촬영할 피사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코드와 이 코드에 대응하는 회전각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대하여 제1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7도의 (a)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장착된 카메라가 상하좌우 회전 가능한 경우일 때 특정 위치별로 임의의 코드 A,B,C,D를 부여하고, 이 위치에 따른 코드키가 코드신호 입력부(500)에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코드에 따른 이진수 코드가 각각 코드별로 정해져서 위치코드 수신부(501)로부터 마이크로 컴퓨터(502)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각 특정 위치별로 설정된 좌우 회전각 및 상하 회전각을 메모리(503)로부터 독출하여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카메라 구동부(504)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17도의 (b)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장착된 카메라가 단지 좌우의 회전만 가능한 경우 카메라의 좌우 회전각을 설정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즉, 제17도 (a)와 (b)에서 A의 좌우 회전각의 일점쇄선을 기준으로 하여 a1이다. 그리고 D의 좌우 회전각은 일정쇄선을 기준으로 하여 d1이다. 그리고 제17도 (a)의 카메라 회전각 상하값 즉, a2-d2는 카메라가 상하이동 가능한 경우 설정가능한 상하 회전각을 예시한 것이다.
즉, 이와 같이 제17도의 (a)와 같은 코드값을 사용자가 메모리(503)에 미리 저장한 후,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사용하여 제17도의 (b)와 같은 시스템에서 단순히 제16도의 위치 코드 입력부(500)의 도시되지 않은 키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의 촬영이 가능하다.
제17도의 (b)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코드 입력부(500)의 도시되지 않은 소정 키중 임의의 B란 키를 누르면, 이에 해당하는 신호가 위치 코드 수신부(501)에 수신되어 2진수 코드값으로서 (01)2가 마이크로 컴퓨터(502)에 입력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01)2에 해당하는 회전각을 독출한다. 이때 회전각은 제17도 (b)의 일점쇄선 기준 b1이므로, 이 회전각에 해당하는 구동 제어신호를 카메라 구동부(504)로 출력하고, 이에 따라 카메라(15)가 사용자가 원하는 촬영방향으로 회전하여 촬영한다.
이러한 구성의 동작을 제18도의 수행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동작선택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단계(S31)에서 현재의 모드가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 폐회로 텔레비젼, 일명 감시용 텔레비젼이라 함) 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현재의 모드가 CCTV 모드이면, 카메라 초기 구동상태가 설정된 후(S32), 위치 프로그램 기능 수행인가를 단계(S33)에서 판단한다. 이때의 동작 판단은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하여 키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를 판단함으로서 수행된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위치 프로그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가 입력되면, 사용자의 도시되지 않은 키 입력수단 조작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피사체 위치별로 코드를 부여하여 회전각을 설정할 것인가, 즉 코드별로 위치를 설정할 것인가를 단계(S34)에서 판단한다.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입력되는 키에 따라 단계(S34)에서 코드별 위치를 설정하지 않음으로 판단하면 단계(S35)에서 코드신호 입력부(500)로부터 입력되는 키신호를 스캐닝한다. 이때 키신호란 특정 피사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A,B,C,D가 될 수 있다.
단계(S35)에서 키신호가 입력되면, 이 키신호에 따른 이진 코드가 마이크로 컴퓨터(502)로 입력되어,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입력된 이진코드인 위치코드에 대응하는 메모리(503)에 저장된 회전각을 단계(S36)에서 독출하고, 이 독출된 회전각에 따른 제어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502)로부터 카메라 구동부(504)로 출력된다(S37).
즉, 입력된 위치 코드가 C이면, 독출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 코드에 대항하는 회전각(좌우의 경우만 생각함)은 c이다. 따라서 단계(S37)에서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제17도 (b)의 일점쇄선을 기준으로 c1 방향으로 카메라(15)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입력된 위치 코드에 따른 카메라 회전 제어신호 출력을 완료한 후 다른 피사체 촬영을 위한 위치 코드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S38). 이에 따라 다른 위치 코드입력이 있으면 프로그램은 단계(S38)에서 단계(S36)로 진행된다.
이때 다른 위치 코드가 A로 입력된다면 단계(S36)에서 위치코드 A에 해당하는 회전각 a1를 독출해 내고, 독출된 회전각에 현재의 회전각을 감산한다. 즉 a1+c1 회전각만큼 카메라를 회전하도록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단계(S38)에서 다른 위치 코드입력이 없으면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단계(S39)를 수행하여 동작 끝인가를 확인 한다. 동작 끝이 아니면 단계(S38)가 재수행되고, 동작 끝이면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단계(S31) 수행시 CCTV 모드가 아니라 판단되면 단계(S40)에서 해당모드를 수행하고, 단계(S33) 수행시 위치 프로그램 기능이 아니면 단계(S41)를 수행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단계(S34)에서 코드별 위치를 설정함으로 판단되면 단계(S42)와 단계(S43)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키입력을 스캐닝한다. 이에 따라 입력되는 위치 코드 및 위치코드 대응 회전각이 마이크로 컴퓨터(502)로 입력된다.
즉, 사용자는 위치에 따라 임의로 설정한 코드를 입력한다. 즉, 제17도 (a)의 A,B,C,D와 같은 임의의 코드값이 단계(S42)에서 입력되는 위치 코드이다. 또한, 카메라 회전각 즉,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원하는 방향이 단계(S43)에서 입력된다. 여기에서 회전각은 제17도 (a)의 a1,b1,c1,d1과 같은 값이다.
이와 같이 입력되는 위치 코드 및 위치코드 대응 회전각은 마이크로 컴퓨터(502)의 단계(42)와 단계(S43) 수행에 따라 순차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 컴퓨터(502)의 임시 데이타 저장장소(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버퍼를 지칭함)에 저장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단계(S44)에서 사용자의 조작키를 확인하여 도시되지 않은 임시 데이타 저장장소에 저장된 위치 코드 및 위치코드 대응 회전각 메모리(503)에 저장하는 단계(S45)를 수행하거나 단계(S42)로 복귀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502)는 추가 입력되는 키를 확인하여 단계(S46)에서 위치코드 및 회전각의 추가 설정여부를 판단한 후 추가 설정이면 다시 단계(S42)부터 단계(S46)를 순차적으로 재수행하고, 추가설정이 없으면 단계(S33)를 재수행한다.
이에 따라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사용시 사용자는 미리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위치를 설정하고, 사용중 미리 설정된 위치에 따른 키를 조작함으로서 손쉽게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이용한 피사체 촬영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촬영방향을 미리 코드화하여 설정한 후 코드시노 입력에 따라 간편하게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변경시킴에 따라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편리함을 제공하고, 도 설치비용이 현격히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9도는 이 발명에 따른 동체 감지기능을 갖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예컨대, 집주인이 부재중인 상태에서 움직이는 물체가 있는 경우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동작시켜 움직이는 물체를 녹화하거나 메모리된 내용을 재생하도록 한 것이다.
제19도에 있어서, 제2도 및 제16도와 동일 부품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제19도는 동체감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카메라(15)로부터 입력되는 환상을 미리 저장된 화상과 비교하는 화상 판별기(600)를 포함한다. 이 화상 판별기(600)는 판별된 결과에 따라서 자기기록 또는 자기재생 동작수행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화상 판별기(600)는 카메라(15)로부터의 화상신호 입력을 마이크로 컴퓨터(610)의 제어신호(C1)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601)와, 선택되어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샘플링하는 샘플링부(602)와, 샘플링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603)와,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604)와, A/D 변환기(603)의 출력화상과 메모리(604)의 출력화상을 비교하여 그 차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605)와, 비교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606)와, 기준전압 레벨과 저역통과필터(606)의 신호를 비교하여 마이크로 컴퓨터(610)로 출력하는 비교기(60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화상 판별기(600)의 비교기(607)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61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모드에 따라 기록부(611) 또는 재생부(6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C2),(C3)를 출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9도는 비교 기준화상을 미리 메모리(604)에 저장시킨 후, 미리 메모리(604)에 저장된 화상과 카메라(1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을 비교한 결과에 따라 기록부(611)와 헤드(20)를 통하여 입력화상이 자기기록되거나, 미리 자기기록된 화상을 포함하는 메세지를 헤드(22)와 재생부(612)를 통하여 재생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610)에 설정 가능한 감시모드와 메세지 출력모드로 구분하여 동작을 설명한다. 감시모드란 동체를 감지하여 감지된 동체를 촬영하는 것이고, 메세지 모드란 동체를 감지하여 미리 저장된 화상을 포함한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이다.
먼저 감시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비교 기준화상을 저장해야 한다.
즉, 카메라(1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이 마이크로 컴퓨터(610)의 제어신호(C1)에 의하여 스위치(601)를 통하여 샘플링부(602)로 입력된다. 샘플링부(602)는 입력되는 화상을 샘플링한다. 샘플링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화상의 비교시 전체화상 데이타를 비교할 필요없이 비교에 필요한 최소한의 화상 데이타를 샘플링하여 이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메모리의 용량을 줄이고자 함에 있다.
샘플링된 화상은 A/D 변환기(603)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 후 메모리(604)에 저장된다. 이때 마이크로 컴퓨터(610)로부터 리드 제어신호가 출력되어 메모리(604)의 데이타 리드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비교 기준화상의 저장후에 감시모드를 수행시키면, 마이크로 컴퓨터(610)는 제어신호 'AB'를 'HL'로 출력하여 멀티플렉서(13)에서 카메라(15)의 신호가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카메라 신호가 스위치(601)로 거쳐 샘플링부(602)로 입력되도록 한다.
샘플링부(602)는 입력되는 화상을 샘플링하여 출력하고, A/D 변환기(603)는 샘플링되어 출력되는 화상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여 비교기(605)로 입력한다. 한편 마이크로 컴퓨터(610)는 메모리(604)에 미리 샘플림되어 저장된 화상을 비교기로 출력하도록 라이트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비교기(605)는 A/D 변환기(603)의 출력화상과 메모리(604)의 출력화상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가 저역통과필터(606)에서 필터링된 후 비교기(607)에서 미리 설정된 기준전압(Vref)과 비교되어 그 결과가 마이크로 컴퓨터(610)로 입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610)는 비교기(607)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신호(C2)를 출력하여 기록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 메모리(604)에 저장된 화상과 카메라(15)를 통하여 입력된 화상에 차이가 있으면 기록동작을 수행하고, 차이가 없으면 게속 입력화상을 저장된 화상과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소정 공간내에 동체가 존재하는 경우,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이를 인식하여 동체를 촬영하여, 감시모드를 수행한다.
그리고, 메세지 출력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출력 메세지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메세지 출력모드란 동체를 감지하여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아내가 급한 용무로 남편의 퇴근시간 이전에 외출을 하는 경우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메세지를 저장하여, 남편이 퇴근하여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동체로 감지되면,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저장된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동체를 감지하여 메세지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워선 동체 감지후 출력하고자 하는 메세지가 저장되어야 한다. 즉 사용자는 카메라(15)를 동작시켜 원하는 메세지를 촬영하고, 이 촬영된 메세지가 자동이득 제어부C(17)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18) 및 기록부(611)를 거쳐 자기테이프에 기록된다.
그런 후 사용자에 의하여 마이크로 컴퓨터(610)가 메세지 출력모드로 설명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는 감시모드에서와 동일하게 동체를 감지한다. 동체가 감지되면 마이크로 컴퓨터(610)는 제어신호(C3)를 출력하여 재생부(612)를 동작시켜서 미리 자기기록된 메세지를 재생하고, 이 재생된 메세지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18)와 비디오 신호 증폭부(23)를 거쳐 도시되지 않은 수상관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미리 저장된 메세지가 출력되어, 동체로 감지된 사람이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20도는 동체감지를 위한 수단으로서 동체 감지센서(620)를 구성한 것이다. 이때 동체 감지 센서로서 사용가능한 것의 예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또는 대기압 또는 대기의 흐름을 감지하는 대기센서 등이 있다.
동체 감지센서가 구성된 경우에도 제19도에서 설명된 두 모드 즉, 감시모드 및 메세지 출력모드의 동작은 동일하다. 단지 동체를 감지하는 것만 차이가 있다. 즉, 제19도에서는 카메라(15)로 입력되는 화상을 판별하여 동체를 감지하였으나, 제20도에서는 별도의 동체 감지센서를 구성한 것이다. 마이크로 컴퓨터(610)는 사용자의 모드 조작에 따라 동체 감지센서(620)를 동작시킨 후 동체 감지센서(6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판별하여 설정된 모드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감시모드인 경우 동체 감지센서(620)로부터 동체 감지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610)로 입력되면 카메라(15)와 기록부(611)가 동체를 촬영하고 자기기록하고, 메세지 출력모드인 경우 동체 감지센서(620)로부터 동체 감지신호가 마이크로 컴퓨터(610)로 입력되면 재생부(612)가 미리 저장된 메세지를 비디오 신호 처리부(18) 및 비디오 신호 증폭부(23)를 거쳐 도시되지 않은 수상관에 디스플레이한다.
제21도는 제19도 및 제20도의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체 감지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를 크게 3개의 과정으로 대별하면, 동체 감지후 카메라 구동에 따른 동체 촬영과정과 메세지 저장과정과 동체 감지후 저장된 메세지 출력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계(S51)에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신호를 기록하는 모드(일명 폐회로 텔레비젼 모드; 이하, CCTV 모드라 함)이면 단계(S52)를 수행하고, 단계(S52)에서 선택된 기능이 단계(S53)에서 감시기능이라 판단되면 동체 감지후 카메라 구동에 따른 동체 촬영과정이 수행된다. 단계(S53)에서 감시기능이 아니라 판단되고 단계(S54)에서 메세지 출력기능이 아니라 판단되면 메세지 저장과정이 수행되고, 단계(S54)에서 메세지 출력기능이라 판단되면 동체 감지후 저장된 메세지 출력과정이 수행된다.
단계(S53)에서 감시기능이라 판단되면, 단계(S61)에서 감시상태가 설정된다. 감시상태란 제19도 및 제20도의 동체감지수단으로서 화상판별기(600) 및 동체 감지센서(62)를 동작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단계(S62) 수행후 단계(S63)에서 동체의 유투 판단에 따라 별도의 동작이 수행된다. 즉, 동체가 있음으로 판단되면 단계(S64)에서 카메라(15)를 구동하고 멀티플렉서(13)의 출력신호가 카메라(15)에서 촬영된 신호가 되도록 제어신호 'AB'를 'HL'로 출력함과 동시에 기록동작을 시작한 후 동체가 없을 때 까지 단계(S64)가 단계(S65)를 반복수행한다.
단계(S63)과 단계(S65)에서 동체가 없다고 판단되면 감시기능을 게속 수행할 것인지 판단하여 감시기능이 계속 수행되면 단계(S62)로 복귀하고, 사용자의 인터럽트 또는 미리 프로그래밍될 수 있는 감시기능 예약시간을 초과한 경우 감시기능을 중지한다.
그리고, 단계(S54)에서 메세지 출력기능이 아니면 카메라 및 기록부를 구동하는 단계(S67)가 수행된 후, 메세지를 저장하는 단계(S68)와 메세지 저장 끝인가를 확인하는 단계(S69)가 반복수행되면서 메세지를 저장한다. 메세지 저장은 제19도 및 제20도에서 설명된 바와 동일하다.
그리고 단계(S54)에서 메세지 출력기능이면 단계(S55)에서 동체를 감지하여, 감지되는 동체가 있으면 단계(S57)에서 재생부가 구동되어 메세지가 출력된다. 단계(S56)와 단계(S57)를 수행한 후 메세지 출력기능을 계속 수행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메세지 출력기능을 계속 수행하면 단계(S55)로 복귀하고, 메세지 출력기능을 계속 수행하지 않는다면 단계(S59)를 수행하여 다른 기능 선택 확인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단계(S66) 및 단계(S69) 수행후에도 다른 기능 선택 확인을 한다. 즉, 단계(S59)를 수행하여 다른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단계(S52)로 복귀하고 다른 기능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동작을 종료한다.
따라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를 이용한 동체 감지장치는 동체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가 메세지 모드이면 메세지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가 감시모드이면 동체를 촬영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체 감지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사용자 부재시에 소정 공간내의 동체를 감지하여 이 동체를 녹화해 놓음으로써 도난방지를 할 수 있고, 또 미리 메세지를 저장해 놓고 동체 감지시 메세지를 출력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제22도 및 제23도는 이 발명에 따른 음원감지 촬영기능을 갖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실시예들로서, 제13도 내지 제15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기능을 한다. 그리고, 제22도에 있어서, 제2도, 제16도, 제19도 및 제20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 부품을 표시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는 비디오 카메라가 내장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음원 감지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음원방향으로 카메라를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제2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원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701)와 센서신호를 수신하는 센서신호수신부(702)와 수신된 센서신호로 음원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 판단부(703)와 판단된 위치로의 카메라 회전각도를 계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704)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센서(701)는 단일 장소에 배치되고 방향 지향성을 가짐으로서, 다방향에서 입력되는 음원의 음세기를 비교 판단하여 음원방향에 대한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센서(701)의 센싱신호가 센서신호 수신부(702)를 통하여 위치 판단부(703)로 입력된다. 이때 위치 판단부(703)는 센서(701)의 센싱신호로서 음원의 위치를 판단하고, 이 판단된 결과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마이크로 컴퓨터(704)로 입력한다. 이에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704)는 카메라(15)가 회전할 각도를 계산한 후 카메라 구동부(705)를 제어하는 카메라(15)를 회전시킨다.
제23도는 다수 개의 마이크에 일체형으로 별도 장치되어 마이크 출력을 센싱함에 따른 상기 음원 센싱신호를 출력하도록 센서가 구성된 것으로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음원 센싱신호(S1),(S2),(S3),(S4)는 각각 위치 인식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즉, 각 마이크(710),(711),(712),(713)에 장치된 센서(710S),(711S), (712S),(713S)로부터 음원 센싱신호(S1),(S2),(S3),(S4)가 출력되어 센서신호 수신부(702)를 통하여 위치 판단부(703)로 입력된다. 이때 위치 판단부(703)는 입력된 신호로서 마이크 방향의 음원 위치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마이크의 위치와 음원의 위치가 거의 동일하므로, 마이크의 위치를 판단함에 따라서 음원의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위치 판단부(703)로부터 입력되는 음원의 방향에 대한 데이타는 마이크로 컴퓨터(704)로 입력되고, 마이크로 컴퓨터(704)는 입력된 음원방향에 대한 데이타로서 카메라(69)의 회전각을 계산한 후 그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카메라 구동부(705)로 출력하여 카메라(15)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음원감지 촬영장치에 의하면, 음원의 위치를 자동으로 인식·판단하여 카메라를 음원방향으로 자동회전시켜 촬영함으로써 회의시 음원의 촬영이 간편해지고, 또 설치비용이 현격히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의하면, 통상의 비디오 카메라(또는 캠코더) 사용시 촬영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자연스러운 분위기가 연출될 수 있으며, 또한 카메라만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감시용이나 도어폰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메라를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토록 하며, 피사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미리 설정된 코드값을 입력시켜 입력된 코드값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고, 소정공간내에 동체 존재시 이를 감지하여 동체를 자동으로 녹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9)

  1. 비디오 테이프에 텔레비젼 방송신호를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며, 피사체의 촬영시 오디오 신호를 녹음하기 위한 마이크가 장착된 자기기록재생부,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은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여, 상기 자기기록 재생부로 송신하기 위한 안테나와 보조마이크가 내장되며, 상기 자기기록 재생부에 결합 또는 분리가 가능하며, 상기 자기기록 재생부에서 분리시 원격 제어방식으로 제어되는 카메라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본체에 설치되며, 렌즈의 투시가 가능한 정도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관통구멍 둘레에 위치되며, 내접기어가 형성된 링형의 워엄휘일, 상기 고정판에 각각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한쪽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워엄휘일의 내접기어와 맞물림되는 기어를 각각 구비한 다수의 분할핀으로 된 렌즈덮개 및 상기 고정판에 설치되며 회전축에 상기 워엄휘일과 맞물림되는 워엄을 구비하여 카메라의 사용 및 비사용시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로 된 렌즈덮개 자동개폐장치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 재생장치 본체의 일측에 상기 카메라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형성된 안내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갖는 로커가 형성되며, 상기 로커의 걸림돌기가 탄력적으로 끼워지도록 걸림홈이 형성되며, 상기 카메라의 걸림홈으로부터 상기 걸림돌기를 이탈시키는 슬라이드노브가 형성된 카메라 착탈장치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카메라 결합홈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기기록 재생장치로부터 카메라부를 분리할 때 카메라를 카메라 결합홈으로부터 소정거리 돌출시키는 판스프링을 구비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원격으로 조정가능한 별도의 무선 카메라를 소정의 높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삼각대 본체, 상기 삼각대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어 음원을 감지하여 상기 삼각대 위에 설치된 무선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음원감지수단, 리모콘으로부터의 키이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카메라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신호를 수신하는 카메라 회전신호 수신수단, 상기 카메라 회전신호 수신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음원 감지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무선 카메라를 수직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틸트회전수단, 무선 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스위블 회전수단으로 된 무선 카메라 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6. 화상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기록재생부와 특정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하여 위치별로 코드가 설정된 피사체를 촬영가능한 카메라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 피사체의 위치 및 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회전각을 코드화하여 입력하는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의 특정 피사체의 위치 및 피사체의 위치에 대응하는 회전각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저장 및 출력하는 저장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코드화된 신호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1모드와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코드화된 특정 피사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회전각 데이터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모드를 수행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된 피사체 촬영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7. 화상신호를 기록, 재생, 촬영하는 카메라형 비디오 촬영방법에 있어서, 특정 피사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 코드와 상기 위치 코드에 대응하는 카메라의 회전각을 입력한 후, 저장하는 피사체 위치 설정단계, 상기 위치코드입력에 따라 상기 설정단계에서 저장된 상기 위치 코드에 대응하는 카메라의 회전각을 독출한 후 독출된 회전각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로 구성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8. 화상을 기록, 재생, 촬영 가능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소정 구역내에 동체를 감지하는 동체 감지수단, 상기 동체 감지수단에 의한 동체감지에 따라 상기 기록, 재생, 촬영 동작제어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촬영동작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동체를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기록동작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동체를 자기기록하는 기록수단 및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의 재생동작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미리 기록된 메세지를 재생하여 출력하는 재생수단으로 구성된 동체 감지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감지수단은, 소정 구역의 동체를 감지한 후, 상기 저장된 화상과 촬영되는 화상을 비교하여 동체를 감지하는 화상판별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감지수단은 동체로부터 발산되는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감지수단은 동체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대기변화를 감지하는 대기변화 감지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대기의 압력변화에 따라 대기변화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유동적인 대기변화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14. 화상을 기록, 재생, 촬영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체 감지방법에 있어서, 동체를 감지하여 상기 동체 감지 시간 동안 촬영 기록하는 감시모드과정, 상기 동체를 감지하여 동체감지에 따라 미리 저장된 메세지를 출력하는 메세지 출력과정으로 구성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15. 화상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기록 재생부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소정 음원의 음성 출력을 감지하여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음원 센싱수단, 상기 음원 센싱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음원의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수단, 상기 위치판단수단에서 판단된 위치로 촬영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이동방향을 계산한 후, 상기 카메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된 음원 감지장치를 구비한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센싱수단은 단일장소에 하나의 방향지향성 센서로 구성되어 다방향으로 입력되는 음의 세기를 비교판단하여 상기 음원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센싱수단은 다수 개의 마이크에 일체형으로 별도 장치되어 마이크 출력을 센싱함에 따른 상기 음원 센싱수단을 출력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센싱수단은 음원에 부착되어 음원으로부터 음 발생시 이때 발생되는 음의 진동을 센싱함에 따른 상기 음원 센싱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단수단은 상기 음원 위치센싱신호가 입력되어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와, 상기 위치판단부에서 판단된 위치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회전각도를 계산하여 이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는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
KR1019940009086A 1994-02-03 1994-04-28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0132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086A KR0132838B1 (ko) 1994-04-28 1994-04-28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방법 및 그 장치
JP7012074A JPH07264452A (ja) 1994-02-03 1995-01-27 カメラ一体型の磁気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GB9810615A GB2322996B (en) 1994-02-03 1995-02-02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a detachable wireless camera
GB9501055A GB2286312B (en) 1994-02-03 1995-02-02 An automatic lens-cover opening/closing device for use in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GB9810610A GB2322755B (en) 1994-02-03 1995-02-02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amera
US08/383,483 US6519416B1 (en) 1994-02-03 1995-02-02 Magnet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video camera, suited for photorecording without attending camera operator
US08/569,541 US5604551A (en) 1994-02-03 1995-12-08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video camera, suited for photorecording without attending camera op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9086A KR0132838B1 (ko) 1994-04-28 1994-04-28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139A KR950030139A (ko) 1995-11-24
KR0132838B1 true KR0132838B1 (ko) 1998-04-18

Family

ID=19381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9086A KR0132838B1 (ko) 1994-02-03 1994-04-28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8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826B1 (ko) * 2008-09-03 2010-08-09 (주) 아이티서포트 영상녹화처리장치 및 영상녹화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826B1 (ko) * 2008-09-03 2010-08-09 (주) 아이티서포트 영상녹화처리장치 및 영상녹화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139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64452A (ja) カメラ一体型の磁気記録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067116A (en) Digital camera
US5146353A (en) Still video camera with a playback function and sound recording feature
GB2286283A (en) A recording apparatus for use in a video door phone or telephone
US5486852A (en) Camera-integrated video recorder system having mountable and demountable remote-control unit
US5016112A (en) Combined video recorder and camera with superimposition of video and data
JPH098414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システム
KR20040032724A (ko) 디지털 스틸 카메라 일체형 디지털 캠코더
KR0132838B1 (ko)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방법 및 그 장치
JPH0584105B2 (ko)
KR0144966B1 (ko) 카메라 일체형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동체 감지방법 및 그 장치
JP3400084B2 (ja) ビデオカメラ一体型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KR970004770Y1 (ko) 렌즈 덮개 자동개폐장치
KR970006868B1 (ko) 카메라 착탈장치
US5063458A (en) Electronic still camera with standby switches operable to enable the camera for recording an image upon actuation of a recording switch
GB2322996A (en) A wireless, remotely drivable camera for use with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2000069407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KR0146137B1 (ko) 캠코더 거치대 및 이에 대응되는 캠코더
JP4564865B2 (ja) 撮影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516143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3912915B2 (ja) ビデオカメラ
JP2003189163A (ja) 撮像装置
KR100294251B1 (ko) 자동감지및기록식디지탈감시장치
JPH0523020Y2 (ko)
KR100573695B1 (ko) 영상 촬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