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084Y1 - 조미료 용기 - Google Patents

조미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084Y1
KR0132084Y1 KR2019950001991U KR19950001991U KR0132084Y1 KR 0132084 Y1 KR0132084 Y1 KR 0132084Y1 KR 2019950001991 U KR2019950001991 U KR 2019950001991U KR 19950001991 U KR19950001991 U KR 19950001991U KR 0132084 Y1 KR0132084 Y1 KR 0132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soning
container body
tube
inner bott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19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218U (ko
Inventor
남종현
Original Assignee
남종현
류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종현, 류광영 filed Critical 남종현
Priority to KR20199500019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084Y1/ko
Publication of KR9600282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2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0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4Shakers for salt, pepper, sugar,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미료 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사용시 용기에 내장된 조미료를 큰힘을 들이지 않고도 신속 원활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 주기 위해, 용기체(10)의 주입구(11)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체(20) 상면의 인출공(21)들중 어느 하나에 튜브(40)의 상단을 결착하고, 이 튜브의 하단은 용기체(10)의 내저면에 근접하게 설치하여 이 용기체를 꺼꾸로 하면 튜브(40)에 의해 용기체(10)의 내저면 공간과 이 용기체의 외부가 연결되어 외부공기가 공간측으로 공급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미료 용기
제1도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동 조립 단면도.
제3도는 동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주입구
20 : 뚜껑체 21 : 인출공
22 : 개폐판 40 : 튜브
본 고안은 조미료 용기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말로된 조미료가 원활히 인출될 수 있도록 한 조미료 용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조미료 용기는 내장된 분말 조미료를 인출하기 위해 용기를 꺼꾸로 하게 되면 조미료가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어 있는 뚜껑의 각 인출공들을 일시에 막아주게 되므로 외부공기가 용기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용기를 흔들어 주는 힘에 의해서만 조미료가 인출되었기 때문에 원활히 인출되지 못하게 되었다.
따라서, 조미료를 인출할 때마다 용기를 꺼꾸로 들고 힘을 들여 상하로 흔들어 주어야 되었기 때문에 조미료를 인출하는데 많은 힘이 들게 되었음은 물론 여러번 흔들어 주어야 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조미료 용기의 이러한 점들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미료를 적은 힘을 들여 보다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조미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목적은, 조미료가 신속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게 하여 주는 조미료 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용기는 조미료의 인출을 위해 용기를 거꾸로 하였을 때 외부공기가 내장된 조미료를 거치지 않고 용기의 내저면측으로 공급되게 하여 주는 공기 공급수단을 갖추고 있다.
이 공급수단은, 상단부가 용기의 주입구에 결합되는 뚜껑에 뚫어 설치된 수개의 인출공들중 하나에 결착되며 하단은 용기내의 바닥면에 근접하게 설치되는 튜브로 된다.
따라서, 용기를 꺼꾸로 하게 되면 내장된 조미료가 일시에 인출공들을 막아주게 되어도 외부공기가 튜브를 통해 용기의 내저면측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공급되는 공기 압력의 작용에 의해 조미료가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조미료 용기는 조미료(A)를 수용하게 되는 용기체(10)와, 이 용기체의 주입구(11) 상단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수개의 인출공(21)들이 설치되고 상부에는 개폐판(22)이 축착 설치된 뚜껑체(20)와, 개폐판(22)을 강제로 닫아주게 되는 닫음 수단과, 뚜껑체(20)에 부설되어 용기체(10) 내부로 외부공기가 공급되게 하여 주는 공기 공급수단들로 구성된다.
닫음수단은 인장스프링(30)으로 되며, 그 일단은 개폐판(22)의 축수편(221) 사이를 가로지르게 설치된 걸이핀(222)에, 타단은 뚜껑체(20)의 외주면 하단측에 설치된 걸이편(23)에 걸어준다.
따라서, 개폐판(22)은 인장스프링(30)의 수축력 작용범위 내에서는 강제로 닫혀지게 되고, 또 완전히 열어주면 임의로 닫히지 않게 되며, 닫히게 되면 개폐판(22)의 저면에 돌출원 돌기(223)들은 각 인출공(21)들에 끼워지게 되므로 이들 인출공이 조미료(A)에 의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
공기 공급수단은 튜브(40)로 되며, 그 상단은 뚜껑체(20) 상면에 뚫어 설치된 수개의 인출공(21)들중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중심에 설치된 인출공에 끼워 결착하고, 하단은 용기체(10)내의 내저면에 근접되게 한다.
또한, 튜브(40)의 하단(41)은 용기체(10)의 내저면과 평행하게 절단 형성하여도 되지만 공기가 보다 원활히 공급되게 하여 주기 위해서는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절단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조미료 용기는,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폐판(22)으로 뚜껑체(20)의 상면을 덮어 인출공(21)들을 닫아 주면 되는데, 이렇게 되면 개폐판(22)은 인장스프링(30)의 수축력 작용에 의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닫혀져 있게 된다.
한편, 사용시에는 개폐판(22)을 완전히 열어준 다음 용기체(10)를 잡고 꺼꾸로 하게 되면,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장된 조미료(A)가 주입구(11) 측으로 몰리게 되므로 용기체(10)의 내저면측에는 공간(B)이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인출공(21)들은 조미료(A)에 의해 일시 막힘현상이 발생되지만 용기체(10) 내의 공간(B)과 외부 사이는 중심의 인출공에 상단이 결착되어 있는 튜브(40)에 의해 서로 통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공기가 튜브(40)를 통해 공간(B)측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용기체(10)를 꺼꾸로한 상태에서 상하로 흔들어 주면 조미료(A)가 인출되는 량에 비례하여 외부공기가 공간(B)으로 신속히 공급되며, 또 이 공간에 층만 되는 공기는 용기체(10)를 흔들어 줄때 내부에서 유동되는 조미료(A)에 의해 압축되어 공기 압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 압력과 유동되는 조미료의 진동력이 서로 합쳐져 상승 작용을 하게 되므로 조미료는 보다 원활하게 인출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과정에서 일부의 조미료(A)가 하단(41)을 통해 튜브(40) 내로 유입될 수도 있지만 이들은 즉시 인출되기 때문에 이 튜브를 통한 공기의 공급작용에는 아무런 장애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용기체(10)를 큰힘을 들이지 않고 흔들어 주어도 조미료(A)가 신속 원활히 인출되기 때문에, 사용시 힘이 적게 들어 매우 편리하며, 또 여러번 흔들어 주지 않아도 됨에 따라 불필요한 시간의 낭비도 줄일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용기체(10)와 이 용기체의 주입구(11) 상단에 결합되며 상면에는 수개의 인출공(21)들이 설치된 뚜껑체(20)와, 이 뚜껑체의 상면을 개폐하게 축착되는 개폐판(22)들로 구성되는 조미료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10)에는 외부 공기가 이 용기체의 내저면측으로 공급되게 하여 주는 튜브(40)가 상단은 상기 뚜껑체(20)에 설치된 인출공(21)들중 어느 하나에 결착되고, 하단은 용기체(10)의 내저면에 근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용기.
KR2019950001991U 1995-02-09 1995-02-09 조미료 용기 KR01320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991U KR0132084Y1 (ko) 1995-02-09 1995-02-09 조미료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991U KR0132084Y1 (ko) 1995-02-09 1995-02-09 조미료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218U KR960028218U (ko) 1996-09-17
KR0132084Y1 true KR0132084Y1 (ko) 1999-01-15

Family

ID=19407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1991U KR0132084Y1 (ko) 1995-02-09 1995-02-09 조미료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0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218U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4659A1 (en) Freely openable container
KR0132084Y1 (ko) 조미료 용기
USD465282S1 (en) Container
JPH02111646U (ko)
JPH02135479U (ko)
KR940003320Y1 (ko) 고형분용기를 교체 사용케한 콤팩트 케이스
JPH0471653U (ko)
JPH0448179U (ko)
JP2540476Y2 (ja) キャップ付きのチューブ容器
JPH055966Y2 (ko)
JP2711981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342246B2 (ja) パウダー収納室付き容器
JPH0319868U (ko)
KR970003538Y1 (ko) 에어매트용 공기 주입, 배출구
JPS5841198Y2 (ja) 粉粒体コンテナ−
JPH0511194Y2 (ko)
KR200394934Y1 (ko) 개량형 샴프용기
KR950000627Y1 (ko) 액체수납용기
KR800000921Y1 (ko) 조미료 병마개
JPH0451181Y2 (ko)
JPS6026755Y2 (ja) エア−ポツト
JPH02121110U (ko)
KR940008689Y1 (ko) 생수통
JPS5916308Y2 (ja) 顆粒状洗剤の収容器
JPH0644835Y2 (ja) 口径可変のノズル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