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033Y1 -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033Y1
KR0132033Y1 KR2019950054941U KR19950054941U KR0132033Y1 KR 0132033 Y1 KR0132033 Y1 KR 0132033Y1 KR 2019950054941 U KR2019950054941 U KR 2019950054941U KR 19950054941 U KR19950054941 U KR 19950054941U KR 0132033 Y1 KR0132033 Y1 KR 0132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line
boom cylinder
valve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49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9414U (ko
Inventor
박혁찬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20199500549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033Y1/ko
Publication of KR970039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9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telescopic dipper-arm or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단붐을 갖춘 중장비에서 붐을 신축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다단붐신축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1 단붐실린더(3)에 압유를 공급하는 1단라인(5)에 첵크(12)를 갖춘 상시 개방형솔레노이드밸브(13)가 첵크밸브(7)와 직렬설치되고, 2단붐실린더(11)에 압유를 공급하는 2단라인(6)에 첵크(14)를 갖춘 상시 폐쇄형 솔레노이드밸브(15)가 첵크밸브(9)과 병렬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15)를 작동시킴에 따라 2단분실린더(11)가 1단붐 실린더(3)보다 먼저 작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를 나타낸 유압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를 사용하여 2단붐만을 먼저 신장시킨 상태의 유압회로도.
제3도는 종래의 중장비에서 사용되던 다단붐 신축작동유압회로도.
제4도는 종래의 붐신축제어장치를 사용하여 1단붐을 신장시킨 상태의 유압회로도.
제5도는 종래의 붐신축제어장치를 사용하여 1단붐과 2단붐을 신장시킨 상태의 유압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밸브 2 : 산장유압밸브
3 : 1단붐실린더 4 : 공통라인
5 : 1단라인 6 : 2단라인
7 : 첵크밸브 8 : 홀딩밸브
9 : 첵크밸브 10 : 홀딩밸브
11 : 2단붐실린더 12 : 첵크
13 : 솔레노이드밸브 14 : 첵크
15 : 솔레노이드밸브
본 고안은 다단 신축붐을 갖춘 중장비의 붐신축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단 붐을 단수의 순서에 상관없이 신축붐의 단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한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과 같이 붐이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이 다단붐을 신축시킬 수 있게 한 다단붐을 갖춘 중장비에서는, 상기 다단붐이 반드시 순차적으로 신축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1단붐을 작동시키지 않고서는 2단이상의 붐을 작동시킬 수가 없어 작업 조건과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즉,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는, 펌프에서 토출된 압유가 붐신축제어밸브(101)에 의해 그 공급방향이 절환되어져서, 신장유압라인(102)을 통해 1단붐 실린더(103)로 유압되고, 이 1단붐 실린더(103)를 거쳐나온 압유가 공통라인(104)에서 1단라인(105)과 2단라인(106)으로 나누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1단라인(105)에 설치된 첵크밸브(107)는 개방되어 있는데 반하여, 상기 2단라인(106)은 첵크밸브(108)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통라인(104)의 압유가 1단라인(105)과, 홀딩밸브(109)를 거쳐서 1단붐실린더(103)로 유입되어 이 1단붐실린더(103)를 신장시키게 된다.
상기 1단붐 실린더(103)가 완전히 신장하게 되면, 1단붐이 상기 첵그밸브(108)를 절환시켜 개방작동시키게 되어 공통라인(104)의 압유가 2단라인(106)과 첵크밸브(108)를 통해서 2단붐실린더(110)로 유입되어져 이 2단붐실린더(110)를 신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1단 라인(105)에 설치된 체크밸브(107)는 2단붐실린더(110)가 작동함과 동시에 절환되어 1단라인(105)를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붐을 수축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신축제어밸브(101)를 작동시켜서 수축유압라인(111)으로 압유를 공급시키면 붐이 수축하게 되는데, 이때 1단 및 2단붐의 작동순서는 신장할 때의 순서에 역순이 된다.
즉, 제2단붐실린더(110)가 먼저 수축하고 그 수축이 완전히 이루어져 상기 첵크밸브(107,108)가 절환되어지면 1단붐실린더(103)가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다단붐실린더 제어장치는, 붐신장순서가 1단붐 실린더(103)가 완전히 신장되고 나면 그에 이어 2단붐실린더(110)가 작동되고, 이와 같이 2단붐실린더(110)가 신장되어야 다음의 3단및 4단붐이 신장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붐실린더의 작동순서는 고정된 것으로서, 어러한 순서를 지키지 않으면 붐을 신장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붐의 무게 중심을 보다 뒤로 하기 위해 2단보다 3단 또는 4단붐을 먼저 신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을 수 있는 바, 이러한 경우에는 3단 또는 4단붐을 1단붐 보다 먼저 신장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소시켜, 다단붐에서 붐의 단수에 상관없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붐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 단계의 붐실린더로 압유를 분배공급하는 공통라인에서부터 1단붐실린더와 연결된 1단라인에 2단 붐실린더에 의해 개폐되는 첵크밸브와 함께 별도의 첵크를 갖춘 솔레노이드밸브를 직렬설치하고, 상기 공통라인에서부터 2단붐 실린더로 연결된 2단라인에 상기 1단붐에 의해 작동하는 첵크밸브와 함께 별도의 첵크를 갖춘 솔레노이드밸브가 병렬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1단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키거나, 2단라인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킴에 따라 1단붐실린더 또는 2단붐실린더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자가 필요한 경우에는 1단붐은 신장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2단붐을 신장작동시킬 수가 있게 되어 작업의 편리함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단붐실린더 신축제어장치를 2단붐에 적용시킨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서, 펌프에서 공급된 압유가 붐신축제어밸브(1)에 의해 그 공급방향이 절환되어 신장유압라인(2)을 통해 1단붐 실린더(3)로 유입되고, 이 1단붐 실린더(3)를 작동시키지 않고 단순히 거쳐 나온 압유가 공통라인(4)에서 1단라인(5)과 2단라인(6)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1단라인(5)은 상기 개방형 첵크밸브(7)와 홀딩밸브(8)를 통해 1단붐 실린더(3)와 연결되는 한편, 상기 2단라인(6)은 상시 폐쇄형 첵크밸브(9)와 홀딩밸브(10)를 통해 2단붐 실린더(11)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단라인(5)에 첵크(12)를 갖춘 상시 개방형솔레노이드밸브(13)가 상기 첵크밸브(7)와 직렬설치되고, 상기 2단라인(6)에 첵크(14)를 상시 폐쇄형 솔레노이드밸브(15)가 상기 첵크밸브(9)와 병렬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붐실린더를 수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밸브(1)를 수축유압라인(16)쪽으로 절환시키면, 압유가 이 수축유압라인(16)과 2단 수축라인(17)를 통해 먼저 2단붐실린더(11)로 공급되어져 이 2단붐실린더(11)를 수축시킨 다음, 1단붐 실린더(3)로 차례대로 공급되어져 이 1단붐실린더(3)를 수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는, 정상적으로 작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1단라인(5)과 2단라인(6)에 설치된 각 솔레노이드밸브(13,15)를 작동시키지 않고 평상시 그대로 작동시키면, 상기의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통라인(4)에 공급된 압유가 상기 개방형으로 되어 있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와 첵크밸브(7)를 통해서 1단붐실린더(3)로 먼저 유입되게 되고, 이 1단붐실린더(3)가 완전히 신장되고 나면 상기 첵크밸브(4)가 1단붐실린더(3)에 기계적으로 접촉하여 개방작동되어지게 되므로, 2단붐실린더(11)에 압유가 공급되어져 신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순차적인 작동과정 보다 2단붐실린더(11)를 먼저 신장시켜야 하는 경우에는, 2단라인(6)에 설치된 상시 폐쇄형 솔레노이드밸브(15)를 개방작동시키고, 1단라인(5)에 설치된 상시 개방형 솔레노이드밸브(13)를 폐쇄작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업밸브(1)를 사용해 신장유압라인(2)으로 압유를 공급하면, 1단라인(5)이 솔레노이드밸브(13)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압유가 공급되지 않게 되고, 그 대신 2단라인(6)이 솔레노이드밸브(15)를 통해 개방되어 있으므로, 공통라인(4)에 공급되어 있던 압유가 2단붐 실린더(11)로 유입되어져 이 2단붐 실린더(11)를 신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으로 1단붐실린더(3)보다도 2단붐실린더(11)를 먼저 작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작업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15)에 연결된 스위치를 간단하게 운전자가 조작하므로써 조절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2단붐실린더(11)르 수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간단히 제어밸브(1)를 사용하여 압유의 공급방향을 절환시켜 주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치는, 1단붐실린더(3)에 압유를 공급하는 1단라인(5)에 첵크(12)를 갖춘 당시 개방형솔레노이드밸브(13)가 첵크밸브(7)와 직렬설치되고, 2단붐실린더(11)에 압유를 공급하는 2단라인(6)에 첵크(14)를 갖춘 상시 폐쇄형 솔레노이드밸브(15)가 첵크밸브(9)와 병렬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3,15)를 작동시킴에 따라 2단붐을 1단붐보다 먼저 작동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작업조건에 따라 붐의 무게중심을 보다 뒤쪽으로 이동시킬 수가 있어 작업의 편리함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펌프에서 공급된 압유가 붐신축제어밸브(1)에 의해 그 공급방향이 절환되어 신장유압라인(2)을 통해 1단붐 실린더(3)로 유입되고, 이 1단붐 실린더(3)를 작동시키지 않고 단순히 거쳐 나온 압유가 공통라인(4)에서 1단라인(5)과 2단라인(6)으로 나누어지며, 상기 1단라인(5)은 상기 개방형 첵크밸브(7)와 홀딩밸브(8)를 통해 1단붐 실린더(3)와 연결되는 한편, 상기 2단라인(6)은 상시 폐쇄형 첵크밸브(9)와 홀딩밸브(10)를 통해 2단붐 실린더(11)와 연결된 중장비의 다단붐작동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1단라인(5)에 첵크(12)를 갖춘 상시 개방형솔레노이드밸브(13)가 상기 첵크밸브(7)와 직렬설치되고, 상기 2단라인(6)에 첵크(14)를 상시 폐쇄형 솔레노이드밸브(15)가 상기 첵크밸브(9)와 병렬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의 다단붐신축제어장치
KR2019950054941U 1995-12-30 1995-12-30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 KR0132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941U KR0132033Y1 (ko) 1995-12-30 1995-12-30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4941U KR0132033Y1 (ko) 1995-12-30 1995-12-30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414U KR970039414U (ko) 1997-07-29
KR0132033Y1 true KR0132033Y1 (ko) 1998-12-15

Family

ID=1944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4941U KR0132033Y1 (ko) 1995-12-30 1995-12-30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0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9414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74352B2 (en) Universal control scheme for mobile hydraulic equipment and method for achieving the same
JP2006300280A (ja) 油圧シリンダ回路
CN111959025A (zh) 一种冲压拉伸全自动生产装置及其控制方法
KR0132033Y1 (ko) 중장비의 다단붐 신축제어장치
US3809248A (en) Boom extension means
US4745844A (en) Control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valve units for a plurality of hydraulic drives, in particular fork lift trucks
WO2002023049A1 (fr) Circuit de commande de sequence
JP3803186B2 (ja) 複数アクチュエータの油圧回路構成及びこの油圧回路を備えた掘削アタッチメント
JP4122903B2 (ja) クレーン
KR100198158B1 (ko) 중장비의 액튜에이터 작동유압시스템
SU1789787A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привод автомобильного подъемника
US7117670B2 (en) Control device
KR100505351B1 (ko) 중장비용 유압 제어 밸브 장치
JPH0780618A (ja) シリンダ作動用油圧回路
KR920702744A (ko) 유압굴삭기의 주행 및 작업기의 조작장치
JPH048903A (ja) 多機能弁
KR200143023Y1 (ko) 듀얼 척킹 유압회로
JP3689554B2 (ja) 油圧制御回路
KR970007038Y1 (ko) 다(多)작동기를 갖춘 중장비의 오동작 방지제어장치
JP2003287002A (ja) 作業用機械における油圧回路
KR100244100B1 (ko) 중장비의 우선장치
RU2240919C1 (ru) Гидропривод пресса с двуруким управлением
US2393918A (en) Hydraulic operating and control mechanism
KR200166282Y1 (ko) 중장비용 유압 회로
CN110939615A (zh) 液压系统及消防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