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403Y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403Y1
KR0131403Y1 KR2019960031215U KR19960031215U KR0131403Y1 KR 0131403 Y1 KR0131403 Y1 KR 0131403Y1 KR 2019960031215 U KR2019960031215 U KR 2019960031215U KR 19960031215 U KR19960031215 U KR 19960031215U KR 0131403 Y1 KR0131403 Y1 KR 0131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h
washing
dishwasher
cooling water
coo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12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825U (ko
Inventor
김신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12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403Y1/ko
Publication of KR19980017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4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6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rigidly-mounted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식기세척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식기세척실내에 설치되는 식기바스켓과, 상기 식기바스켓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펌프와, 식기건조용 히터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한 가열시 발생한 스팀의 응축을 위한 냉각수를 상기 세척실의 적어도 일측벽을 따라 하향유동시키는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 냉각수를 급송하는 냉각수펌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식기세척실내에 생성된 스팀을 응축하여 제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본 고안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세척실에 생성된 스팀을 응축하여 제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110)내에 설치된 식기세척실(111)의 상부 및 하부에는 식기를 수용하는 상부식기바스켓(112) 및 하부식기바스켓(113)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식기바스켓(112) 및 하부식기바스켓(113)의 하부에는 해당 식기바스켓(112,113)을 향하여 세척수를 상향 분사하는 상부분사노즐(116) 및 하부분사노즐(117)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분사노즐(116,117)은 세척기의 하부에 설치된 세척수펌프(121)에 의해 공급된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각 식기바스켓(112,113) 내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한다. 이때 상부분사노즐(116)은, 식기세척실(111)의 하부로부터 식기세척실(111)의 측벽을 따라 상향 연장된 다음 절곡되어 있는 세척수공급관(114)의 자유단부에 연결관(118)으로 연결되어 세척수펌프(121)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식기세척기에서, 세척과정이 끝나게 되면 수회의 헹굼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마지막 헹굼과정은 고온의 세척수를 사용하여 살균과 세척을 겸하게 되며, 이 과정후에는 식기세척실(111)내부에 설치된 식기건조용 히터를 사용하여 식기를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고온의 세척수와 식기건조용 히터의 가열에 의하여 식기세척실(111) 내부에서는 수분이 증발하여 스팀(steam)으로 변하게 된다. 종래의 식기세척기에서는 이러한 스팀을 제거하기 위해 강제순환팬을 사용하여 식기세척실(111)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공기를 식기세척실내로 흡입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고온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게 되고, 외부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부에 먼지가 축적됨에 따라 세척이 끝난 식기에 여과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외부공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위생상 좋지 않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기세척실에서 생성된 스팀을 식기세척기 내외의 공기 순환에 의한 열교환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도 1의 I-I' 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스팀이 응축되는 상황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케이싱 11: 식기세척실
12 : 상부식기바스켓 13 : 하부식기바스켓
15,16,17 : 분사노즐 20 : 집수구
21 : 세척수펌프 22 : 흡입관
23 : 급수관 24 : 배수펌프
31 : 냉각수펌프 32 : 급수밸브
35 : 식기건조용 히터 40 : 냉각수 그루브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식기세척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식기세척실내에 설치되는 식기바스켓과, 상기 식기바스켓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펌프와, 식기건조용 히터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한 가열시 발생한 스팀의 응축을 위한 냉각수를 상기 세척실의 적어도 일측벽을 따라 하향유동시키는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 냉각수를 급송하는 냉각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냉각수펌프는 세척수펌프를 이용하여 간단히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수가 유동하는 세척실측벽은 상하방향을 따라 내벽면으로부터 함몰된 다수의 냉각수 그루브를 가지며, 냉각수는 냉각수 그루브를 따라 하향유동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식기세척기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싱(10)내에는 식기세척실(11)이 있고, 식기세척실(11)내에는 식기를 수용하는 상부식기바스켓(12) 및 하부식기바스켓(1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식기바스켓(12) 및 하부식기바스켓(13)의 상하부에는 해당 식기바스켓(12,13)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천정분사노즐(15), 중간분사노즐(16) 및 하부분사노즐(17)이 각각 설치되고, 각 분사노즐(15,16,17)은 식기세척실(11)의 하부에 설치된 세척수펌프(21)에 의해 급송된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바스켓(12,13)내에 수용된 식기에 부착된 음식찌꺼기를 제거한다. 그리고 식기세척실(11)의 하부에는 세척을 마친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구(20)와, 집수구(20)에 모인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펌프(24)와 배수로(25)가 있고, 식기세척실(11)의 바닥면 부근에는 식기바스켓(12,13)내에 수용된 식기의 건조를 위하여 식기건조용 히터(heater)(35)가 설치되어 있다.
식기세척실(11)의 내측벽면에는 다수의 냉각수 그루브(groove)(40)가 형성되어 있다. 냉각수 그루브(40)는, 도 2에 단면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의 외벽(44)으로 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내벽면(41)이 상하방향을 따라 함몰하여 형성되며, 단면은 요철(凹凸)형상의 구조이다. 이러한 냉각수 그루브(40)의 상부에는 노즐관(45)이 지나가고, 노즐관(45)에는 노즐공(43)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공(43)은 냉각수 그루브(40)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수펌프(31)로부터 냉각수공급관(37)을 통해 공급된 냉각수를 하향유동시키며, 냉각수 펌프(31)는 급수밸브(32)를 통하여 냉각수를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냉각수 그루브(40)에 접촉하는 식기바스켓(12,13)의 테두리면에 형성된 돌출돌기(42)는 식기바스켓(12,13)과 냉각수 그루브(40)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냉각수 그루브(40)에서 응축된 물방울이 식기바스켓(12,13)내에 수용된 식기에 묻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식기세척기가 동작을 시작하면, 먼저 급수를 통해 집수구(20)로 세척수가 유입되고, 이 세척수는 세척수펌프(21)에 의해 흡입관(22)으로 흡입되어 급수관(23)을 통해 각 분사노즐(15,16,17)로 급송된다. 각 분사노즐(15,16,17)은 급송된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세척수를 상향 또는 하향 분사하여 각 식기바스켓(12,13) 내에 수용된 식기를 세척한다. 세척을 마친 세척수는 식기세척실(11) 하부에 설치된 집수구(20)에 모이고, 이 세척수는 세척수펌프(21)에 의해 흡입관(22)으로 흡입되어 급수관(23)을 통해 각 분사노즐(15,16,17)로 재급송되어 세척수의 순환이 이루어 진다. 세척수의 순환에 의해 일정시간후 세척행정이 종료하게 되면, 집수구(20)에 모인 세척수는 배수펌프(24)에 의해 배수로(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이 완료되면 새로운 세척수가 집수구(20)에 유입되어 수회의 헹굼과정이 진행된다.
통상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는, 헹굼과정의 마지막 단계에는 온도가 높은 세척수(60~70℃정도)가 사용되어 헹굼과 살균을 겸하게 되는 열탕헹굼과정이 진행되고, 이 과정후에는 식기건조용 히터(35)가 동작되어 식기바스켓(12,13)내에 수용된 식기를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행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열탕헹굼과 건조행정의 과정을 거치면서 식기세척실(11)내부와 각 식기바스켓(12,13)내에 수용된 식기의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식기세척실(11)에서는 수분이 증발하여 스팀으로 변하게 된다. 이 스팀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수가 하향유동하는 냉각수 그루브(40)에 접촉하게 되고, 냉각수 그루브(40)와의 온도차에 의해 스팀은 응축되어 물방울로 변하게 된다. 응축된 물방울은 중력에 의해 식기세척실(11) 하부로 떨어져서 집수구(20)에 모이고, 이에 의해 식기세척실(11) 내부의 스팀은 제거된다. 집수구(20)에 모인 응축수는 배수로(2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혹은 다음번 식기세척기 가동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도 있다.
냉각수 그루브(40)는 식기세척실(11)의 일측벽에 형성되지만, 응축효율을 높이기 위해 식기세척실(11)의 양측내벽면이나 전체 내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냉각수 그루브(40)에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펌프(31)는 별도의 급수펌프를 이용하는 대신 기존의 세척수펌프(21)를 사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식기세척실에서 생성된 스팀을 응축을 사용하여 자체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가 제공된다.

Claims (3)

  1. 식기세척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식기세척실내에 설치되는 식기바스켓과, 상기 식기바스켓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분사노즐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펌프와, 식기건조용 히터를 갖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한 가열시 발생한 스팀의 응축을 위한 냉각수를 상기 식기세척실의 적어도 일측벽을 따라 하향유동시키는 냉각수 공급부와,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 냉각수를 급송하는 냉각수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펌프는 상기 세척수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가 유동하는 상기 세척실측벽은 상하방향을 따라 내벽면으로부터 함몰된 다수의 냉각수 그루브를 가지며, 상기 냉각수는 상기 냉각수 그루브를 따라 하향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2019960031215U 1996-09-24 1996-09-24 식기세척기 KR0131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215U KR0131403Y1 (ko) 1996-09-24 1996-09-24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1215U KR0131403Y1 (ko) 1996-09-24 1996-09-24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825U KR19980017825U (ko) 1998-07-06
KR0131403Y1 true KR0131403Y1 (ko) 1999-10-01

Family

ID=1946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1215U KR0131403Y1 (ko) 1996-09-24 1996-09-2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4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825U (ko)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157B2 (en) Condensing apparatus of dish washer
KR20090022896A (ko) 식기세척기
CN107149452B (zh) 具有烘干系统的洗碗机
KR20100113730A (ko) 식기세척기
US20080072935A1 (en) Dishwasher
KR101238136B1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EP1656877A2 (en) Dishwasher
WO2006080706A1 (en) Condensing apparatus of dish washer
KR100399328B1 (ko)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장치
EP3524127B1 (en) Dishwasher
KR20100020788A (ko) 식기 세척기
KR102511843B1 (ko) 식기세척기
KR101238083B1 (ko) 식기 세척기
KR0131403Y1 (ko) 식기세척기
KR102527575B1 (ko) 식기세척기
KR100488022B1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건조 장치
KR100488025B1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건조 장치
KR101214705B1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의 응축 어셈블리
KR20080083393A (ko) 식기 세척기
KR20070105058A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KR0171497B1 (ko) 식기세척기의 건조방법
KR200397407Y1 (ko) 식기 세척기의 덕트 구조
KR101054193B1 (ko) 식기 세척기의 에어 덕트 구조
KR101204568B1 (ko) 식기 세척기
KR20070007547A (ko) 식기 세척기의 응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