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761B1 - 소방호스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소방호스 세정장치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0761B1 KR0130761B1 KR1019890017938A KR890017938A KR0130761B1 KR 0130761 B1 KR0130761 B1 KR 0130761B1 KR 1019890017938 A KR1019890017938 A KR 1019890017938A KR 890017938 A KR890017938 A KR 890017938A KR 0130761 B1 KR0130761 B1 KR 01307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hose
- hose
- fire
- cleaning
- mouth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2—Apparatus for cleaning or drying h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소방호스 세정장치의 정면도.
제2도는 그 좌측면도.
제3도는 그 앞면패널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IV선에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그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그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에 있어서의 지지아암의 구동기구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7도는 제 6도의 지지아암의 핀치롤러 지지기구를 나타낸 요부측면도.
제8도 내지 제13도는 각각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설명도.
제14도는 제2실시예로서 지지아암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제15도는 제3실시예로서 지지아암 구동수단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정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있어서의 지지아암의 회전축 둘레를 나타낸 측면도.
제17도는 제4실시예에 관한 소방호스 반송부의 정면도.
제18도는 그 우측면도.
제19도 내지 제23도는 이 제4실시예의 소방호스의 반송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
제24도는 제5실시예에 관한 소방호스 반송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25도는 그 우측면도.
제26도는 제6실시예에 관한 소방호스 반송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27도는 그 우측면도.
제28도는 제7실시예에 관한 소방호스 반송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29도는 그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소방호스 세정부 19 : 소방호스 반송부
36 :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 37 : 제2소방호스반송수단
42 : 캡스턴 44, 55, 122 : 핀치롤러
45, 50, 53, 126 : 회동축 51, 121 : 캡스턴
66, 100 : 리미트 스위치 67 : 지지부재
82 : 소방호스 125 : 호스 사이끼움 반송기구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소방용 호스와 같은 긴 호스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호스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세하게 말하면 일련의 연속된 호스세정에 있어서 각 호스를 접속하는 접속금속구 등의 부분을 피하면서 세정부로부터 연속적으로 호스를 끌어내도록 한 호스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긴 호스, 예를 들면 소방용 호스는 소정의 길이의 호스를 그들 양단에 부착된 접속금속구에 별개의 호스의 금속구를 접속하여 소정의 길이로 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사용후의 호스는 반드시 세정하여 건조시키고 감아서 보관하거나 부채주름모양(fan fold)으로 접어서 보관하여 다음번 사용할 때에 지장없이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둘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호스의 세정을 기계적으로 행하려면 세정수가 공급되는 회전브러시롤을 적어도 한 쌍 준비하고 그 사이에 호스를 통과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으나, 호스를 회전브러시롤 사이로부터 연속적으로 끌어낸 필요가 있다. 호스를 끌어내려는 데는 한 쌍의 압착롤러를 설치하고, 이들을 회전시키면서 이 사이로 호스를 통과시키도록 하면 된다. 그러나 세정작업의 효율을 고려하면 호스는 하나의 긴 상태가 바람직하나 호스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각 호스의 접속 금속구끼리를 접속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접속부는 호스의 두께 칫수에 비해 두꺼운 두께 칫수가 되어 있어 호스를 끌어내도록 압축롤러 사이의 간극을 설정하면 접속금속구부가 압착롤러 사이를 통과할 수가 없고 접속금속구의 두께를 고려하여 압착롤러의 간극을 설정하면 호스를 끌어낼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호스의 세정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1977년 3월 18일에 공고된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공보 제52-1238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호스 세정장치는 기기프레임에 부착된 호스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롤과 아래쪽 브러시롤과 일단을 피벗한 회동프레임에 아래쪽 브러시롤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상방 브러시롤과, 기기 프레임의 일측에 축 회동 자유롭게 설치한 레버에 설치되고 레버의 축 회동으로 이송롤러에 가압하여 접하도록 설치된 압착롤러를 가지고 있다. 이 호스 세정장치는 방수노즐이나 접속금속구의 통과시에는 레버의 수동조작으로 푸시롤러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회동프레임을 상방으로 이동시켜 양 브러시롤 사이의 간격을 넓히도록 하여 방수노즐이나 접속금속구를 무리없이 이송시키고, 2개의 롤 간격을 좁힘으로써 호스를 강제적으로 이송하여 연속적으로 호스의 표면을 세정하도록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대향하는 이송롤 및 브러시롤 을 수동으로 개방하면 마우스 피스(口金)를 깨끗하게 세정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고속으로 세정하는 경우 수동조작이 충분하지 않아 조작상 위험하기도 하고 또 너무 빨리 열려버리면 마우스 피스 가까이의 호스의 세정이 불량해지는 경우도 있다. 또, 1976년 10월 15일에 공고된 일본국 특허 공고 공보 제51-37462호에 개시된 소방용 호스 자동세정기에 의하면 한 쌍의 평행한 콘베어 사이에 소방용호스 금속구를 반송하는 걸림금속구를 구비한 하나 내지 수개의 슬랫(slat)을 배치하고 또 이 슬랫통로의 상하에 각 한 쌍의 회전브러시 및 이송롤을 상하 요동 자유롭게 설치하고 각 회전브러시 상방에 세제 및 물의 살포장치를 설치하고 또 구동축에 클러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자동세정기에서는 마우스 피스도 세정할 수 있도록 걸림금속구를 구비한 수개의 스트라트(strut)를 콘베어 사이에 설치하고 있으나, 마우스 피스를 걸어서 반송할 때 이외에는 불필요하고 그만큼 세정작업에 직접 관계가 없는 부분에 비용이 들게 된다. 또 반송경로의 외측에 슬랫이 돌출한 콘베어가 노출되기 때문에 조작시의 안전성이 안전하다고는 말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우스 피스가 부착된 긴 소방호스를 고속으로 세정할 수 있는 소방호스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마우스 피스도 호스도 동시에 반송하여 세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특히 마우스 피스만을 반송하기 위한 부품이 불필요한 소방호스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조작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소방호스의 세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방호스의 반송경로에 따라 설치된 소방호스 세정수단 및 이 세정수단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수단과, 소방호스의 반송경로의 세정수단 설치개소로부터 반송방향 하류측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과, 소방호스 반송경로가 다른 위치에 있어서 소방호스의 마우스 피스를 검출하는 복수의 마우스 피스 검출수단과 이 마우스 피스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을 교대로 작동시키는 반송제어수단을 구비한 소방호스의 세정장치가 제공된다. 세정해야 할 소방호스의 일단이 마우스 피스에 예를 들면 리이드호스의 일단의 마우스 피스를 연결하고 리이드호스의 타단의 마우스 피스를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 사이에 세트하여 리이드호스의 호스부분을 세정수단에 가까운 쪽의 소방호스 반송수단과 세정수단 사이에 위치시키고 스타트 버튼(start button)을 누른다. 이에 의하여 먼저 마우스 피스 검출수단이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의 사이에 상기 마우스 피스가 위치하고 있음을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에 의하여 반송제어수단이 작동하여 세정수단으로부터 떨어진 측에 있는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이 중지상태로 세트된다. 한편 세정수단에 가까운 쪽의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은 작동상태가 되어 리이드 호스를 반송하고 마우스 피스를 지장없이 통과시킨다. 그리고 세정수단을 통과하는 사이에 세정이 행해진다. 이 세정하는 사이에 리이드 호스의 후단측의 마우스 피스와 연결된 소방호스의 전단측의 마우스 피스가 마우스 피스 검출수단에 의하여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의 반송방향 상류측에서 검출되면 반송제어수단이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을 멈춤상태로 하는 한편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을 작동상태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에 의하여 소방호스가 반송된다. 그리고 양 소방호스반송수단의 사이에 마우스 피스가 위치하면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이 작동상태, 이 대신에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이 멈춤상태가 되어 마우스 피스가 상기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을 통과한다. 이것을 교대로 반복하여 접속된 긴 소방호스가 연속적으로 세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우스 피스를 피하면서 소방호스를 반송할 수 있기 때문에 마우스 피스가 부착된 긴 소방용 호스를 마우스 피스부분도 포함하여 고속으로 세정할 수 있다. 또 소방호스를 반송롤러에 사이끼움하여 반송하기 때문에 특별히 마우스 피스만을 반송하기 위한 부품이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는 이하의 적합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 또는 대략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참조번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제1도 내지 제13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소방호스 세정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에 이동용 차륜(11)을 가지는 대차(坮車)(12)를 구비하고, 이 대차(12)상에 하우징(13)이 올려 놓여져 있다. 하우징(13)은 장치의 앞쪽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진 앞면패널(14)과 대략 수직인 뒷면 패널(15)과 양측부에 위치하는 측면패널(16), 그리고 상면 패널(17)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앞면패널(14)에는 소방호스 세정부(18)와, 소방호스 반송부(19)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패널(17)상에는 제어부인 제어박스(21)가 설치되어 있다. 소방호스 세정부(18)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에 쌍을 이루도록 배치된 4쌍의 세정브러시(22)를 가지고 있고 상부에 위치하는 세정브러시(22)는 상부 브러시커버(23)로, 그리고 하부에 위치하는 세정브러시(22)는 하부 브러시커버(24)로 커버되어 있다. 상부 브러시커버(23)의 하단과 하부 브러시커버(24)의 상단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을 가지고 있다. 각 세정브러시(22)는 앞면패널(14)에 회전가능하게 세워져 설치된 회전축(25)의 외측 돌출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회전축(25)은 하우징(13)내에 돌출하고 있고 그 각 돌출단부에는 스프로킷(26)이 설치되어 있다. 각 스프로킷(26)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줄의 엔드레스 체인(27)이 걸쳐져 있다. 이 엔드레스 체인(27)은 하우징 (13)내에 설치된 브러시 구동모터(28)의 스프로킷(29)에도 걸쳐지고 이 브러시 구동모터(28)에 의하여 소정방향으로 송출된다. 상부 브로시커버(23)와 하부브러시커버(24)의 이면에는 대향하는 세정 브러시(22)의 바람직하기는 그 접촉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용의 파이프(31)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또 하부 브러시커버(24)의 하부에는 세정수받이(3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세정브러시(22)는 그 서로 대향하는 브러시 선단이 각각 접촉하는 길이의 털을 가지며, 그 접촉부가 소방호스의 반송경로(33)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엔드레스 체인(27)은 상방에 위치하는 4개의 세정브러시(22)를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화살표 A방향)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4개의 세정브러시(22)를 반시계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프로킷(26) 및 구동모터(28)의 스프로킷(29)에 매달려지고 또 스프로킷(34)에 매달려져 엔드레스체인(27)의 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세정브러시(22)의 접촉부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파이프(31)는 제3도의 VI-VI선 단면도인 제4도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앞면패널(14)의 배후로부터 앞면으로 뻗어나오고 파이프(31)의 세정브러시(22)에 대향하는 위치에 천설된 노즐(35)로부터 세정브러시(22)의 접촉부, 즉 소방호스의 반송경로(33)를 향하여 세정수의 분사가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소방호스 반송부(19)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방호스 세정부(18)의 출구측에 설치된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6, 37)과 입구측에 설치된 가이드롤러(38)를 구비하고 있다.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36)은 제5도에도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앞면패널(14)의 배면측에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등으로 지지된 캡스턴 구동모터(39)와, 앞면패널(14)의 앞면측에 있어서 이 모터(39)의 구동축(41)에 피벗된 캡스턴(42)과, 지지아암(43)의 일단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핀치롤러(44)를 가지고 있다. 이 지지아암(43)은 동 지지아암(43)을 피벗하는 회동축(45)을 거쳐 앞면패널(14)의 배면측에서 베어링(46)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동축(45)에는 스프로킷(4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캡스턴 구동모터(37)의 구동축(41)에도 베어링(48)을 거쳐 스프로킷(49)이 피벗되어 있다.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은 앞면패널(14)의 배면측의 베어링(도시생략)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회동축(50)에 앞면패널(14)의 앞면측에서 피벗된 캡스턴(51)과,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면패널(14)의 배면측에서 베어링(52)에 의하여 회동자유롭게 지지된 회동축(53)과, 앞면패널(14)의 앞면측에 있어서 회동축(53)에 피벗된 지지아암(54)과, 이 지지아암(54)의 일단에 회동자유롭게 지지된 핀치롤러(55)를 구비하고 있다. 캡스턴(51)의 회동축(50)에는 앞면패널(14)의 배면측에 있어서 스프로킷(도시생략)이 피벗되고, 이 스프로킷과 스프로킷(49)과의 사이에 캡스턴 구동용의 엔드레스체인(56)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2개의 캡스턴이 동기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 회전방향은 소방호스의 반송방향, 즉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방향(화살표 C방향)이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아암(54)을 가지는 회동축(53)에는 종동측의 치차(57)가 피벗되고 이 치차(57)가 맞물리는 구동측의 치차(58)가 지지아암(54)의 구동용 모터(59)의 구동축(61)에 피벗되어 있다. 구동용 모터(59)는 정지하였을 때 그 구동축(61)이 정지위치를 유지하도록 브레이크 부착의 모터로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등으로 앞면패널(14)의 배면측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61)은 앞면패널(14)의 배면측에서 베어링(62)에 의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61)에는 치차(58)외에 스프로킷(63)이 피벗되어 있다. 이 스프로킷(63)에는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36)의 회동축(45)에 피벗된 스프로킷(47)과의 사이에서 지지아암(43)의 구동용 엔드레스 체인(64)이 팽팽하게 설치된다. 회동축(53)에는 이 축의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도그(dog)(65)가 부착되어 있다. 이 도그(65)는 회동축(53)이 120도 회전한 것을 검지하기 위한 것이고, 시동위치로부터 120도 회전하였을 때 그 선단이 리미트 스위치(66)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리미트 스위치(66)는 앞면패널(14)에 일단이 부착된 지지부재(67)의 타단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아암(54)의 핀치롤러(55)의 지지구조는 제7도의 요부측면도에도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핀치롤러(55)를 피벗하는 지지축(68)을 코일스프링(69)을 거쳐 회동축(53)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고 적어도 지지축(68)의 이동 스트로크는 소방호스의 두께분 만큼 확보되어 있다. 또 지지아암(43)의 핀치롤로(44)의 지지구조도 핀치롤러(55)의 지지구조와 마찬가지로 그 지지축(71)을 코일스프링(72)을 거쳐 회동축(45)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고 지지축(71)의 이동 스트로크도 소방호스의 두께만큼 확보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 좌측에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롤러(38)와, 상부 브러시커버(23)의 사이에는 제1센서(7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부 브러시커버(23)와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 사이에는 제2센서(74)가 설치되어 있고 또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6, 37)사이에는 제3센서(7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36)의 호스반송방향 하류측에도 제4센서(76)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제1센서(73)는 소방호스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고, 이것에는 예를 들면 광센서나 이미지센서 등이 사용된다. 또 제2 및 제3센서(74, 75)는 소방호스와 그 접속용 마우스 피스의 구별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이미지센서가 사용된다. 또 제4센서(76)는 소방호스의 마우스 피스의 통과만 검출하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리미트스위치등으로 구성된다. 이 리미트스위치는 지지점(77)에 의하여 요동자유롭게 피벗되고 항상 도시된 시계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진 검출판(78)의 반시계방향의 요동동작에 의하여 작동된다. 또한 검출판(78)은 스톱퍼(79)에 의하여 그 반시계방향의 요동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각센서는 상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외에 예를 들면 자기센서나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스위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들 센서(73, 74, 75, 76)의 검출출력은 제어박스(21)에 입력되고 지지아암 구동모터(59)의 회전제어나 캡스턴 구동모터(39)의 회전제어가 행해지고 또 브러시 구동모터(28)의 회전제어도 이 제어박스(21)를 통하여 행해진다. 또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브서시(22)의 호스반송방향 하류측과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과의 사이 및 제1 및 제2양 소방호스 반송수단(36, 37)사이의 반송경로에는 소방호스의 마우스 피스 받침판(81)이 배설되고 마우스 피스의 중량에 의하여 그 마우스 피스 및 소방호스가 밑으로 늘어지는 일이 없도록 기도되고 있다. 제1도에 나타낸 제어박스(21)에는 전원의 온.오프를 조작하는 메인스위치(88)와 소방호스의 세정, 세정의 중지, 소방호스의 클램프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스위치(89)와, 세정의 개시를 지시하는 스타트 버튼(91)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8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소방호스 세정장치의 세정동작에 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방호스(82)를 세정할 때에 이 실시예에서는 전체길이 1.5m정도의 길이의 리이드호스(83)라 칭하는 것을 사용한다. 즉, 이제부터 세정해야 할 소방호스(82)의 전단의 마우스 피스(84)가 수타입(雄型)일 때는 라이드호스(83)의 암타입(雌型)의 마우스 피스(85)을 그곳에 나사 결합시켜 리이드호스(83)와 소방호스(82)를 연결한다. 또한 소방호스(82)의 일단의 마우스 피스가 암타입의 마우스 피스(86)(제12도 참조)일 때에는 리이드호스(83)의 수타입의 마우스 피스(87)를 나사결합시켜 양자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리이드호스(83)를 연결한 후, 예를 들면 세정해야할 소방호스(82)를 차례차례연결하여 세정해야 할 소방호스(82)가 일련이 되도록 한다. 더욱이 이 호스연결작업은 세정작업과 평행하게 행해도 좋다. 이와같이 연결된 소방호스(82)는 리이드호스(83)의 비연결측의 마우스 피스인 마우스 피스(87)를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6, 37)의 사이에 위치되고 리이드호스(83)를 세정브러시(22)의 사이에 삽입하여 연결측의 마우스 피스(84)가 세정브러시(22)의 호스반송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 때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의 지지아암(54)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점쇄선으로 나타낸 작동위치(반송위치)로부터 120도 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실선의 중지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36)의 핀치롤러(44)는 작동상태 즉 캡스턴(42)에 당접하고 있다. 또 제어박스(21)의 메인스위치(88)는 온, 선택스위치(89)는 [세정]의 위치로 절환되어 있다. 이 상태일 때 제1센서(73)는 온(호스검지), 제2센서(74)는 오프(마우스 피스검지 없음), 제3센서(75)는 온(마우스 피스검지), 제4센서(76)는 오프(마우스 피스검지 없음)이다. 이 제8도에 나타낸 [준비]상태로부터 스타트보턴(91)을 온으로 하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지지아암 구동모터(59)가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의 지지아암(54)을 치차(58)를 거쳐 제8도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동시에 스프로킷(63)을 거쳐 지지아암구동용 체인(64)을 구동하여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36)의 지지아암(43)을 제8도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회동은 도그(65)를 리미트스위치(66)에 의하여 검출함으로써 핀치롤러(55)가 캡스턴(51)에 대향할 때까지 행해지고 리이드호스(83)를 충분히 사이끼움한다. 이어서 캡스턴 구동모터(39)와 브러시 구동모터(28)가 회전을 개시하고 또 세정수가 파이프(31)의 노즐(35)로부터 분출한다. 이와같이 하여 세정작업이 개시된 세정브러시(22)의 사이에 마우스 피스(84)가 들어옴과 동시에 리이드호스(83)의 비연결측의 마우스 피스(87)가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36)을 통과하여 검출판(78)상으로 오른다. 이에 의하여 검출판(78)이 아래쪽으로 회동되고 그 결과, 제4센서(76)가 기계적으로 온이 되나 제어박스(21)의 제어회로에서는 제1센서(73)가 온 상태일 때에는 제4센서(76)는 전기 신호적으로는 오프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9도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36)은 개방된 중지상태이고,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에 의하여 리이드호스(83)의 반송이 행해지고 세정브러시(22)에 의하여 마우스 피스(84) 및 그것에 연결되는 소방호스(82)의 세정이 행해진다. 이 세정은 상기와 같이 소방호스(82)의 반송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으로 세정브러시(22)를 회전시켜 행하기 때문에 극히 세정력이 강하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세정브러시(22)는 털이 긴 것을 사용하고 이에 의하여 마우스 피스(84)의 통과시에 세정브러시(22)를 후퇴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리이드호스(83)를 반송하고 후 속의 마우스 피스(84)가 제10도에 나타낸 세정브러스(22)와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의 사이에 오면, 제2센서(74)가 이것을 검지하고 제어박스(21)측에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박스(21)로부터는 이 검출신호의 입력에 따라 브러시 구동모터(28), 캡스턴 구동모터(39)가 각각 정지됨과 동시에 세정수의 공급도 정지시킨다. 이어서 지지아암 구동모터(59)를 상기세정 개시상태와는 역방향, 즉 제10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화살표 E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제1소방호스 반송수단(36)의 지지아암(54)이 반시계방향으로,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이 지지아암(54)이 제9도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도그(83)가 120도 회전한 위치에서 리미트 스위치(66)에 당접하고 지지아암 구동모터(59)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 동작에 의하여 핀치롤러(55)가 반송경로로부터 후퇴하고 이 대신에 핀치롤러(44)가 리이드호스(83)를 사이에 끼우고 캡스턴(42)과 대접(對接)한다. 이 지지아암(43, 54)의 이동이 종료하면 브러시구동모터(28), 캡스턴 구동모터(39)가 회전을 개시하고 세정수의 공급도 개시된다. 상기와 같이 세정을 행하여 마우스 피스(84)가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6, 37)의 사이에 위치하면, 제3센서(75)가 이것을 검출하고 브러시 구동모터(28) 및 캡스턴 구동모터(39)의 회전을 정지하고 동시에 세정수의 공급도 저장한다. 이어서 지지아암 구동모터(59)를 제11도에 있어서 시계방향(화살표 F방향)으로 회동시켜 지지아암(54)을 제10도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또 지지아암(43)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핀치롤러(55)를 소방호스(82)를 거쳐 캡스턴(51)에 대접시키고 핀치롤러(44)를 반송경로로부터 후퇴시킨다. 이 지지아암(43, 54)의 이동이 종료하면 브러시구동모터(28), 캡스턴구동모터(39)의 구동을 재개하고 세정수를 공급하여 세정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하여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에 의하여 소방호스(82)를 다음의 마우스 피스(84)가 제2센서(74)의 검출위치에 올 때까지 반송하여 세정을 행한다. 그리고 다음의 마우스 피스(84)가 제2센서(74)의 검출위치에 왔을 때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치롤러(55)를 후퇴시키고 핀치롤러(44)와 캡스턴(42)으로 소방호스(82)를 사이끼움하여 세정하면서 반송한다. 이 제10도 및 제11에 나타낸 동작을 제12도에 나타낸 최후의 마우스 피스(86)가 제2센서(74)의 검출위치에 올때까지 교대로 반복한다. 이 위치에 최후의 마우스 피스(86)가 오면 제1센서(73)는 오프가 되고 세정브러시(22)의 반송방향 상류측에는 소방호스(82)가 없음이 검지된다. 따라서 제2센서(74)의 검출위치에 최후의 마우스 피스(86)가 오면 브러시 구동모터(28) 및 캡스턴 구동모터(39)를 정지시키고 세정수의 공급도 정지시킨다. 이어서 지지아암 구동용모터(59)를 제12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화살표 G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지지아암(54)을 제11도에 나타낸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핀치롤러(55)를 후퇴시킴과 동시에 지지아암(4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핀치롤러(44)를 소방호스 (82)를 거쳐 캡스턴(42)에 대접시킨다. 이와 같이 핀치롤러(44)가 캡스턴(42)과의 사이에서 소방호스(82)를 사이끼움하면 캡스턴 구동모터(39)만이 회전한다. 그리고 제1소방 호스수단(36)과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의 사이에 마우스 피스(86)가 오면 제3센서(75)가 이것을 검출하고 이 검출에 따라 캡스턴 모터(39)가 정지함과 동시에 지지아암 구동모터(59)가 제13도에 있어서 시계방향(화살표 H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하여 제12도의 위치로부터 지지아암(4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지지아암(54)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회동에 의하여, 제1소방호스수단(36)의 핀치롤러(44)가 반송경로로부터 후퇴함과 동시에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의 핀치롤러(55)가 캡스턴(51)에 당접한다. 이 상태가 되면 이미 캡스턴 구동모터(39)도 회전하지 않고 그대로 최후의 소방호스(82)를 받침판(81)에 따라 수동으로 끌어낸다. 이와 같이 하여 최후의 소방호스(82)를 끌어내면 최후의 소방호스(82)의 마우스 피스(86)가 검출판(97)을 아래쪽으로 회동시켜 제4센서(76)의 온동작은 제어회로에서 유효하게 되어 지지아암 구동모터(59)가 제13도의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지지아암(54)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또 지지아암(43)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제8도에 나타낸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마우스 피스(84, 86)를 지지아암(43, 54)이 교대로 피하면서 소방호스(82)를 반송한다. 이 사이, 마우스 피스(84)가 2개의 소방호스 반송수단(39, 37)을 통과할 때 이외는 세정브러시(22)의 회전이 정지하는 일 없이, 고속으로 소방호스(82)를 이송하면서 연속적으로 세정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세정작업에 있어서는 미리 소방호스(82)를 릴에 감아두고 세정후 다시 감아둘 수도 있으며 세정후 그대로 펴서 건조시키는 것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리이드호스(83)의 일단에는 암타입의 마우스 피스(85)가 그리고 타단에는 수타입의 마우스 피스(87)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해야 할 소방호스(82)의 선단의 마우스 피스(84, 86)가 수타입인 경우는 리이드호스(83)의 암타입의 마우스 피스(85)를 접속하고 암타입인 경우는 리이드호스의 수타입의 마우스 피스(87)를 접속하듯이 소방호스(82의 앞단의 마우스 피스의 타입에 의하여 접속할 수 없다고 하는 일 없이 지장없이 소방호스(82)의 로딩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마우스 피스의 후퇴기구를 핀치롤러(44, 55)를 지지하는 지지아암(43, 54)을 지지아암 구동모터(59)를 거쳐 요동시키는 구조로 하고 있으나, 구동수단으로서는 이외에 전동실린더, 오일, 공압실린더, 또는 캠수단 등의 공지의 구동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핀치롤러(44, 55)뿐만 아니라 캡스턴(42, 51)을 후퇴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제 1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아암(54)의 회동축(53)은 모터(59)의 구동축(61)에 동축상으로 설치된 치차(58)와 맞물리는 치차(57)를 설치함으로써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제14도에 나타낸 제2실시예와 같이 모터의 회전을 체인 등의 구동전달부재를 거쳐 각 지지아암(43, 54)의 회동축(34, 53)으로부터 떨어진 위치, 바람직하기는 회동축(45, 53)을 연결하는 가상선을 밑변으로 하는 2등변 삼각형의 정점위치에 배치하고, 모터(59A)의 구동축(61A)의 스프로킷(63A)과 회동축(45)의 스프로킷(47) 및 회동축(53)에 설치한 스프로킷(95)과의 사이에 엔드레스체인(64A)를 건다. 그리고 모터(59A)를 정역회전시킴에 의해서도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각 핀치롤러(44, 55)를 교대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각 지지아암(43, 54)을 각각의 구동축(45, 53)을 기준으로 하여 소방호스(82)의 반송방향 상류측에서 회동시키고 있으나 제15도에 나타낸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지지아암(43A, 54A)을 소방호스의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연장시키고 있다. 즉 지지아암(43A)을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지 위치로부터 예를 들면 약 30°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핀치롤러(42)에 당접하도록 배치한다. 지지아암(43A)의 회동축(45A)은 모터(59)에 의하여 다시 10°정도 회전되도록 해둔다. 회동축(45A)에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일단이 회동축(45A)에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아암(43A)에 고정된 코일스프링(96)이 끼워넣어져 있다. 이 코일스프링(96)은 지지아암(43A)에 시계방향의 회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코일스프링(96)의 외주는 캡(97)으로 덮여 있고 캡(97)은 나사(98)에 의하여 회동축(45A)에 고정되어 있다. 지지아암(54A)도 제15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중지위치로부터 예를 들면 약 30°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핀치롤러(51)에 당접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회동축(45A)과 마찬가지로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력이 부여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지지아암(43A)은 모터(59)에 의하여 그 중지 위치로부터 약 30°시계방향으로 회전하였을 때 핀치롤러(51)에 당접하고 그 사이에서 소방호스(82)를 사이끼움하도록 하여 송출할 수가 있고 다시 회동축(45A)이 10°회전하면 코일스프링(96)에 의하여 지지아암(43A)에는 탄성푸시력이 발생하여 소방호스(82)의 사이끼움을 한 층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세정기 본체로부터 배출되는 소방호스(82)를 부채주름모양으로 정돈할 경우에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제1소방호스수단(36)의 캡스턴(42)이 앞면패널(14)의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부채주름모양으로 할 수 있는 단수가 한정되어 버리게 된다. 그러므로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7도 및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스턴(42B, 51B)에 아이들러(101)를 덧붙여 소방호스 반송부(19)를 세정브러시 열로부터의 배출방향에 대하여 직선상으로 수평으로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소방호스 반송부(19)는 상하에 배치된 세정브러시(22)의 털의 접촉부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위치에 캡스턴(51B)과 핀치롤러(55)의 닙(nip) 및 캡스턴(42B)과 핀치롤러(44)의 닙이 각각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또 그 수평방향의 연장선상에 아이들러(101)가 배치되어 있다. 캡스턴(42B, 51B) 및 아이들러(101)는 풀리형상을 하고 있고, 이들의 캡스턴(51B) 및 아이들러(101)사이에는 그 위에 소방호스(82)를 얹어놓는 반송벨트(102)가 팽팽하게 걸쳐지고 캡스턴(51B) 및 아이들러(101)사이에 캡스턴(42B)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핀치롤러(44)는 제18도에 나타낸 요부 단면도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대략 횡U자상을 한 지지아암(10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지지아암(103)은 회동축(45B)을 그 직경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관통하는 2개의 지지축(104)에 의하여 회동축(45B)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아암(103)과 회동축(45B)사이의 지지축(104)에는 코일스프링(105)이 각각 개재되어 있고 이들 코일스프링(105)에 의하여 지지아암(103)은 항상 회동축(45B)과 상반되는 방향에 탄성적으로 푸시되어 있다.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핀치롤러(55)도 핀치롤러(44)와 마찬가지로 하여 지지아암(106)에 지지되어 있다. 핀치롤러(44, 55)는 앞면패널(14)의 이면측에 있어서 지지아암(103, 106)의 회동축(45B, 53B)의 단부에 설치된 스프로킷(57, 107)과, 지지아암 구동모터(59B)의 회동축에 설치된 스프로킷(61B)과의 사이에 팽팽하게 걸린 체인(64B)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의 경우 지지아암 구동모터(59B)는 스프로킷(57, 107)에 대하여 대략 2등변 삼각형이 되도록 앞면패널(14)의 이면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핀치롤러(57, 107)는 상호의 이송이 120도 어긋나게 요동하도록 미리 스프로킷(47, 57)과 체인(64B)과의 맞물림 위치가 고려되어 있다. 핀치롤러(44, 55)의 회동각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핀치롤러(44)의 회동축(45B)에는 120도 회전위치를 검지하기 위한 도그(65)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아암 구동모터(59B)가 제17도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여 정지하도록 제18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그(65)와 걸어맞추는 리미트스위치(10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캡스턴(42B, 51B)의 회동축(41, 50)에도 앞면패널(14)의 이면측에서 각각 스프로킷(108, 109)이 피벗되어 있다. 또 앞면패널(14)의 이면측에는 캡스턴 구동모터(39B)가 설치되어 있고 그 회동축에 피벗된 스프로킷(49B)과 스프로킷(108, 109)과의 사이에 체인(56B)이 팽팽하게 걸리고 이에 의하여 캡스턴(42B, 51B), 반송벨트(102) 및 아이들러(101)를 제17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소방호스 배출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양 캡스턴(42B, 51B)의 사이 및 캡스턴(42B)보다도 반송방향 하류측에는 소방호스(82)나 리이드호스(83)의 마우스 피스(84, ..., 87)와의 접촉에 의하여 작동하는 리미트스위치나 근접스위치 등의 스위치수단으로 구성된 제3센서(75B) 및 제4센서(76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3 및 제4센서(75B, 76B)는 각각에 회동자유롭게 설치된 검출아아암(111, 112)이 마우스 피스(84, ..., 87)에 접촉하여 회전하는 것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아이들러(101)의 하류측에는 소방호스를 세정기 본체로부터 외부로 인도하는 가이드(13)가 설치되어 있다. 기타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각부는 상기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4실시예의 소방호스 세정장치의 세정동작을 제19도 내지 제23도의 동작 설명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9도는 리이드호스(83)를 세트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이 리이드호스(83)를 세트할 때에는 제어박스(21)(제1도 참조)의 메인스위치(88)를 온, 선택스위치(89)를 [클램프]의 위치로하면 지지아암 구동모터(59B)는 제17도의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하고, 도그(65)가 리미트스위치(100)와 걸어맞춤으로써 정지한다. 이에 의하여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치롤러(44, 55)의 모두가 캡스턴(42B, 51B) 및 반송벨트(102)로부터 떨어진다. 그러므로 리이드호스(83)를 상하의 세정브러시(22)사이를 통과시켜 캡스턴(51B)과 핀치롤러(55)와의 사이 및 캡스턴(42B)과 핀치롤러(44)와의 사이의 반송벨트(102)상에 위치시키고, 마우스 피스(103)를 가이드(113)로부터 앞면패널(14)밖으로 이끌어 낸다. 이 위치로부터 선택스위치(89)를 [세정]의 위치로 하면 지지아암 구동모터(59B)가 제17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체인(64B)을 동 방향으로 구동하고,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방향 하류측의 핀치롤러(44)가 캡스턴(42B)을 가압 접촉하여 반송밸트(102)와 핀치롤러(44)사이에 리이드호스(83)를 사이끼움함과 동시에, 핀치롤러(55)를 최대한 캡스턴(51B)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유지한다. 이와 같이 리이드호스(83)가 사이끼움되면 도그(65)에 의하여 회전각이 검출되고, 그 검출에 따라 지지아암 구동모터(59B)가 정지되고 계속하여 캡스턴 구동모터(39B)가 제17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개시한다. 이에 의하여 리이드호스(83)가 제20도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이드호스(83)의 말단, 즉 소방호스(82)의 선단측의 마우스 피스(84)가 제3센서(75B)의 검출아암(112)을 회동시키면 이 회동을 제3센서(75B)인 리미트스위치가 검출하여 제어박스(21)내의 제어회로에 마우스 피스(84)가 제3센서(75B)의 검출위치에 왔다는 것을 알린다. 이 상태가 되면 제어박스(21)의 제어회로에서는 캡스턴 구동모터(39B)를 정지시키고 지지아암 구동모터(59B)를 이번에는 반시계방향으로 도그(65)에 의하여 120도 회전한 것이 검출될 때까지 회동시켜 정지시킨다. 이에 의하여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치롤러(44)가 캡스턴(42B)으로부터 이격되어 소방호스(82)의 반송로로부터 후퇴함과 동시에 이번에는 핀치롤러(55)가 캡스턴(51B)에 당접하고 핀치롤러(55)와 캡스턴(51B)과의 사이에서 반송벨트(102)와 함께 소방호스(82)를 사이끼움한다. 그러면 제어박스(21)의 제어회로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캡스턴 구동모터(39B)가 마찬가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소방호스(82)를 반송한다. 그리고, 제2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마우스 피스(84)가 제4센서(76B)의 검출아암(111)에 당접하여 이 센서(76B)를 온으로 하면 마우스 피스(84)가 2개의 핀치롤러(44, 55)를 통과한 것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마우스 피스(84)가 2개의 핀치롤러(44, 55)를 통과하여 제4센서(76B)위치에 오면 캡스턴 구동모터(39B)가 정지함과 동시에 지지아암 구동모터(59B)가 도그(65)에 의하여 120도 회전한 것이 검출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핀치롤러(44)가 캡스턴(42B)에 당접하여 캡스턴(42B)과 핀치롤러(44)와의 사이에서 소방호스(82)와 반송벨트(102)를 사이끼움한다. 그러면 캡스턴 구동모터(39B)가 마찬가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다음의 마우스 피스, 즉 소방호스(82)의 말단측의 마우스 피스(86)가 제3센서(75B)를 온으로 할 때까지 계속적으로 소방호스(82)를 상기의 세정부(18)에서 세정하면서 반송한다. 따라서 제4실시예에 의하면 캡스턴 구동모터(39B)의 구동방향을 마우스 피스(84, ..., 87)의 검출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바꿈으로써 능률좋게 소방호스(82)의 세정이 행해지고 또 세정후의 부채주름모양도 장치로부터의 배제에 이어서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제4실시예에 의하면 상기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센서(74)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의 각 실시예에서는 캡스턴을 2개 사용하고 각각의 캡스턴에 대하여 소방호스(82)를 사이끼움하기 위하여 핀치롤러를 준비하고 양자의 사이끼움동작을 교대로 마우스 피스(84, ..., 87)를 통과시키도록 하고 있으나 캡스턴 및 핀치롤러를 1조 사용하여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실시예를 제24도 및 제25도에 나타낸 제5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24도는 1개의 캡스턴(121)과, 이 캡스턴(121)에 대향하는 위치에 상하로 스윙(swing) 자유롭게 설치된 핀치롤러(122)와, 제1 및 제2에어실린더(123, 124)에 의하여 작동되는 호스 사이끼움 반송기구(125)로 구성된 소방호스 반송부의 요부 구조도이다. 또한 이 제5실시예 및 이하에 설명하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캡스턴 (121)과 핀치롤러(122)가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7)에 상당하고 호스 사이끼움 반송기구(125)가 제1소방호스수단(36)에 대응하게 된다. 제5실시예의 경우 캡스턴(121)은 도시하지 않은 캡스턴 구동모터에 의하여 제24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 구동되고 핀치롤러(122)는 도시하지 않은 지지아암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동축(126)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항상 코일스프링(127)에 의하여 회동축(126)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진다. 회동축(126)은 제24도에 있어서 2점쇄선으로 표시된 대기위치와 실선으로 표시된 사이끼움 위치와의 사이, 즉 약 90도의 범위에 걸쳐서 지지아암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요동 자유롭게 되어 있다. 호스 사이끼움 반송기구(125)는 제1에어실린더(123) 및 제2에어실린더(124)의 2개의 실린더와 제1에어실린더(123)의 작동에 따라 소방호스(82)의 반송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앞면패널(14)에 연장설치된 레일(128)에 따라 이 호스 사이끼움 반송기구(125) 전체를 평행이동시키는 레일받침(129)을 가지고 있다. 호스 사이끼움 반송기구(125)는 또 제2에어실린더(124)에 의하여 소방호스(82)를 사이끼움하는 사이끼움부(131a, 131b)를 가지는 1쌍의 링크 플레이트(132a, 132b) 및 이들 링크플레이트와 함께 레이지텅스(lazy tongs)를 구성하는 링크멤버(132c, 132d)와, 이 링크멤버(132c, 132d)의 지지축(133)을 직선으로 안내하는 단면이 대략 C자상의 가이드레일(134)과, 링크플레이트(132a, 132b)를 요동 자유롭게 피벗함과 동시에 레일받침(129)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링크플레이트 유지판(135)과, 링크플레이트(132a, 132b)를 항상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인장코일 스프링(136)을 구비하고 있다. 레일받침(129)은 제1에어실린더(123)에 의하여 진출·후퇴 동작하는 피스톤로드(137)의 선단에 연결되어 있고,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레일(128)에 따라 슬라이딩 자유롭게 되어 있고 링크플레이트(132a, 132b)를 피벗축(138)을 거쳐 피벗하고 있다. 링크플레이트(132a, 132b)의 피벗부분으로 부터 사이끼움부(131a, 131b)측에는 제2에어실린더(124)의 피스톤로드(139)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141, 142)가 설치되고, 이들 각 걸어맞춤부(141, 142)는 피스톤로드(139)의 제24도에 있어서 하단에 설치된 스톱퍼(143, 144)에 각각 아래측 및 위측으로부터 걸어맞추고 있다. 또한, 제2에어실린더(124) 자체는 피스톤로드(139)를 거쳐 링크플레이트(132a, 132b)와 연결되고 도면에 있어서 상하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 사이끼움부(131a, 131b)는 링크플레이트(132a, 132b)에 회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 외에 특별히 설명하지 않은 각부는 상기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제24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소방호스(82)를 캡스턴(121)과 핀치롤러(122)에 의하여 사이끼움하여 반송하는 과정에 있어서 소방호스(82)의 마우스 피스(84, 86)를 예를 들면 제2센서(74)(제1도참조)가 검출한 시점에서 도시하지 않은 지지아암 구동모터가 회동하여 핀치롤러(122)를 회동축(126)을 중심으로 하여 제24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2점쇄선으로 나타낸 대기위치로 후퇴시킨다. 이와 동시에 캡스턴 구동모터도 정지되어 소방호스(82)의 반송을 일시 정지시킨다. 그후, 제2에어실린더(124)를 구동하여 피스톤로드(139)를 후퇴시킨다. 그러면 제24도로부터 알 수 있듯이 링크플레이트(132a)는 스톱퍼(143)의 작용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한편 대향하는 링크플레이트(132b)는 스톱퍼(144)의 작용에 의하여 상방의 위치가 규제된다. 그러나 피스톤로드(139)가 후퇴함에 따라서 제2에어실린더(124)는 상대적으로 강하하여 링크플레이트(132b)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그리고 제2에어실린더(124)가 최대 스트로크 가까이 피스톤로드(139)를 후퇴시키면 양 사이끼움부(131a, 131b)가 소방호스(82)를 사이끼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이끼움부(131a, 131b)에서 소방호스(82)가 확실하게 사이끼움되면 제1에어실린더(123)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137)를 진출시키고 레일받침(129)을 레일(128)에 따라 소방호스(82)의 반송방향으로 평행 이동시킨다. 이 이동이 피스톤로드(137)의 풀 스트로크 가까이 행해지면 피스톤 검지센서(145)가 피스톤로드(137)의 후단을 검지하고 제1에어실린더(123)의 구동이 정지한다. 이 시점에서 마우스 피스(84, 86)는 캡스턴(121)을 지나치고 있기 때문에 피스톤 검지센서의 온동작에 따라 지지아암 구동모터가 역방향으로 회동하여 핀치롤러(122)가 캡스턴(121)과의 사이에서 소방호스(82)를 사이끼움한다. 한편, 제2에어실린더(124)는 그 피스톤로드(139)를 전진시켜 사이끼움부(131a, 131b)에 의한 소방호스(82)의 사이끼움을 개방하고, 제1에어실린더(123)를 역방향으로 작동시켜 레일받침(129)을 초기위치로 되돌리고 다음의 동작에 대비한다. 소방호스(82)는 캡스턴 구동모터의 회동에 의하여 계속 반송되어 세정을 행한다. 제26도는 에어실린더를 사용한 제6실시예이고, 호스 사이끼움 반송기구(125)가 1개의 에어실린더와 1쌍의 링크 플레이트와, 레일받침으로 이루어진다. 그외의 각부는 상기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다른 구성 및 그 동작만 설명한다. 이 제6실시예에 있어서, 에어실린더는 제1에어실린더(123)와 동일하다. 이 제1에어실린더(12)의 피스톤로드(137)에는 레일받침(129)의 하단에서 회동자유롭게 피벗된 링크플레이트 구동판(151)이 가이드홈(152)에 따라 이동 자유롭게 접합되어 있다. 제26도에 있어서, 링크플레이트 구동판(151)의 하단에는 캠홈(153, 154)이 파져 있다. 그들 캠홈(153, 154)에는 레일받침(129)의 같은 하부에 피벗축(138)을 거쳐 회동 자유롭게 축받이된 링크플레이트(155a, 155b)의 일단이 걸어맞추어져 캠홈(153, 154)에 따른 동작을 규정하고 있다. 또 링크플레이트(155a, 155b)의 타단에는 사이끼움부(131a, 131b)가 마찬가지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레일받침(129)에는 사이끼움부(131a, 131b)가 서로 떨어지도록 항상 탄성력을 가하는 인장스프링(156)이 링크플레이드(155b)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레일받침(129)을 항상 소방호스 반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57)도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핀치롤러(122)가 마우스 피스(84, 86)의 검출에 따라 상방으로 후퇴한 후 제1에어실린더(123)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137)를 진출시킨다. 이에 의하여 링크플레이트 구동판(151)이 제26도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희동한다. 이 회동에 따라 링크플레이트(155a, 155b)의 일단이 캠홈(153, 154)에 따라 이동하고 사이끼움부(131a, 131b)가 인장스프링(156)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근접하여 소방호스(82)를 사이끼움한다. 이 사이끼움 완료위치가 제26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이다. 그리고 이 위치로부터 더욱 피스톤로드(137)가 진출하여 소방호스(82)를 캡스턴(121)을 초과하는 위치까지 반송한다. 이 사이 레일받침(129)은 스프링(157)에 의하여 반송방향과 반대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져 있고 필요 이상으로 레일받침(129)이 소방호스(82)의 반송방향으로 진행하여 링크플레이트 구동판(151)의 회동이 저해되어 링크플레이드(155a, 155b)의 사이끼움력이 작아지지 않도록 기도된다. 이와 같이하여 소방호스(82)의 마우스 피스(84, 86)가 캡스턴(121)을 초과하는 위치까지의 반송이 완료되면 제1에어실린더(123)가 역방향으로 작동하여 피스톤로드(137)를 후퇴시키나, 이 때 스프링(157)의 탄성력에 의하여 레일받침(129)이 피스톤로드(137)의 후퇴에 추종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에 의하여 링크플레이트(155a, 155b)의 소방호스(33)의 사이끼움 해방동작이 원활하고 확실하게 행해진다. 이와같이 하여 실린더(135)의 피스톤로드(137)의 후퇴동작이 완료되면 도시하지 않은 지지아암 구동모터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핀치롤러(122)를 소방호스(82)의 사이끼움위치까지 누르고 소방호스(82)를 캡스턴(121)과의 사이에서 사이끼움하여 연속되는 캡스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소방호스(82)의 반송을 행하고 그 반송에 따라 세정부(18)에서 세정작업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이 제6실시예에 의하면 1개의 제1에어실린더(123)와, 링크플레이트 구동판(151)과, 링크플레이트(155a, 155b)를 조합하고 캠홈(153, 154)을 이용하여 간단한 기구로 확실하게 마우스 피스(84, 86)의 후퇴작업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제28도 및 제29도는 호스 사이끼움 반송기구를 1개의 에어실린더와, 레일받침과, 기어를 이용한 1쌍의 링크플레이트로 구성한 제7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7실시예에서는 1쌍의 링크플레이트(161a, 161b)의 기부 단부에 그 기부 단부의 일부를 회전중심으로 하는 평치차(162a, 162b)의 단면이 일체로 고정설치되고 레일받침(129)에 양 치차(162a, 162b)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 링크플레이트 구동판(151)의 기부 단부에도 평치차(163)가 일체적으로 고정 설치되고 이 평치차(163)는 한쪽의 평치차(162b)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레일받침(129)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28도는 제26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낸 통상의 소방호스(82)의 반송시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이 실린더(123)가 피스톤로드(137)를 후퇴시키고 있는 위치일 때 링크플레이트(161a, 161b)는 해방상태로 되어 있고, 소방호스(82)의 사이끼움은 행해지고 있지 않다. 이 상태로부터 제1에어실린더(123)가 작동하여 피스톤로드(137)를 진출시키면 링크플레이트 구동판(151)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에 의하여 평치차(163)에 맞물리는 평치차(162b)가 회동하고 이 평치차(162b)의 회동에 따라 링크플레이트(161b)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동시에 평치차(162b)에 맞물리는 평치차(162a)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평치차(162a)의 회동에 따라서 링크플레이트(161a)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양 링크플레이트(162a, 162b)의 선단의 사이끼움부(131a, 131b)가 소방호스(82)를 사이에 끼고 당접하면 링크플레이트(162a, 162b)의 회동이 정지되고 링크플레이트 구동판(151)의 회동도 저지된다. 이에 의하여 소방호스(82)의 클램프동작이 완료되고, 다시 제1에어실린더(123)가 피스톤로드(137)를 진출시키면 소방호스(82)를 사이끼움한 상태에서 레일받침(129)이 레일(128)에 따라 도시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소방호스(82)를 반송시킨다. 이 경우도 마우스 피스(84, ..., 87)가 캡스턴(121)(제26도 참조)을 통과하면 제1에어실린더(123)가 역방향으로 작동하고 소방호스(82)에 대한 링크플레이트(161a, 161b)의 사이끼움을 해제하고 다시 레일받침(129)을 초기위치로 되돌리고 다음동작에 대비한다. 이와 같이 제7실시예에 의하면 1개의 제1에어실린더(123)와, 링크플레이트 구동판(151)과, 링크플레이트(161a, 161b)를 조합하고 평지차(162a, 162b) 및 평치차(163)를 이용하여 간단한 기구로 확실하게 마우스 피스(84, ..., 87)의 후퇴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적합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들의 기재는 이해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은 이하의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이탈하지 않는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3)
- 케이싱(13)과, 이 케이싱(13)에 형성된 소방호스의 반송경로에 따라 설치된 소방호스 세정수단(18)과, 이 세정수단(18)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수단(31)과, 상기 소방호스 반송경로의 상기 세정수단 설치개소 보다 반송방향 하류측에 있으며,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제1 및 제2소방호스반송수단(36, 37)과, 상기 소방호스 반송경로의 다른 위치에 있으며, 소방호스의 마우스 피스를 검출하는 복수의 마우스 피스 검출수단(74, 75)과, 이 마우스 피스 검출수단(74, 75)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6, 37)을 교대적으로 작동시키는 반송제어수단(21)을 구비하고 있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호스 세정수단(18)은 복수의 회전브러시(22)로 구성되고, 이들 회전브러시(22)는 상하방향에 배치된 2개의 상기 회전브러시(22)로 쌍을 이루고, 또 상기 소방호스의 반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쌍이 배치되어 있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6, 37)은 각각 캡스턴(42, 51)과 이 캡스턴(42, 51)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 가능한 핀치롤러(44, 55)로 구성되어 있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중, 상기 반송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는 한 쪽의 상기 소방호스 반송수단은 캡스턴(121)과 이 캡스턴(121)에 대하여 접촉 및 분리가능한 핀치롤러(122)로 구성되고, 그 하류측에 배치되는 다른 쪽의 상기 소방호스 반송수단은 구동원(123, 124)에 의하여 상기 소방호스를 사이끼움하여 반송하는 한 쌍의 링크레버(132a, 132b)를 구비한 호스 사이끼움 수단(12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피스 검출수단(74, 75)은 상기 소방호스 세정수단(18)의 상기 반송방향의 상류측에서 이 소방호스 세정수단(18)과 이것에 가까운 측의 상기 소방호스 반송수단(37)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검출수단(74)과, 상기 제1 및 제2소방호스 반송수단(36, 37)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검출수단(75)으로 구성되어 있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브러시(22)는 상기 하방에 위치하는 상기 회전브러시(22)에 대하여 상반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28)에 의하여 회전되고 있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3항에 있어서, 2개의 상기 캡스턴(42, 51)은 1개의 모터(39)로 회전 구동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핀치롤러(44, 55)는 각각 회동축(45, 53)에 고정된 지지부재(43, 5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한 쪽의 상기 핀차롤러(44, 55)가 상기 캡스턴(42, 51)에 당접하고 있을 때에는 다른 쪽의 상기 핀치롤러(44, 55)가 상기 캡스턴(42, 51)에 당접하지 않도록 각각 상기 회동축(45, 53)에 상기 지지부재(43, 54)가 설치되고 상기 2개의 회동축(45, 53)은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59)에 의하여 구동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3, 54)는 상기 캡스턴(42, 51)과 당접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핀치롤러(44, 55)를 상기 소방호스의 반송방향의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3, 54)는 상기 캡스턴(42, 51)과 당접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핀치롤러(44, 55)를 상기 소방호스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위치하도록 지지하고 있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 사이끼움 수단(125)은 이 링크레버수단(132a, 132b)을 상기 반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부재(128)와, 이 가이드부재(128)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부재(129)를 가지며, 상기 링크레버는 이 슬라이드 부재(129)에 설치되어 있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검출수단(74, 75)은 상기 소방호스의 마우스 피스를 영상으로 포착하는 이미지센서로 구성되어 있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검출수단은 각각 상기 소방호스의 마우스 피스에 당접하여 회전하는 검출부재(112)와, 이 검출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동작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호스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9-77027 | 1989-03-29 | ||
JP1077027A JPH0829307B2 (ja) | 1988-09-22 | 1989-03-29 | 消防ホース洗浄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4009A KR900014009A (ko) | 1990-10-22 |
KR0130761B1 true KR0130761B1 (ko) | 1998-04-17 |
Family
ID=1362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7938A KR0130761B1 (ko) | 1989-03-29 | 1989-12-05 | 소방호스 세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0761B1 (ko) |
-
1989
- 1989-12-05 KR KR1019890017938A patent/KR013076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4009A (ko) | 1990-10-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40259A (en) | Fire hose washing apparatus | |
CN112121482B (zh) | 一种悬梁式压滤机 | |
EP0068672B1 (en) | Spreader feeder apparatus | |
JP2017000317A (ja) | タイルカーペット洗浄装置 | |
CN110316534B (zh) | 手推线衣架自动脱落装置 | |
KR0130761B1 (ko) | 소방호스 세정장치 | |
CN110700749B (zh) | 一种电动窗帘装置及其操作方法 | |
CN209227270U (zh) | 一种热切刀上下运动的切布机 | |
CN217971318U (zh) | 输送机构和传动带张紧装置 | |
CN111217199A (zh) | 一种卷筒旋转对水带进行快速收卷及清洗的绕卷机 | |
CN215275526U (zh) | 具有水带收理功能的设备 | |
GB2138044A (en) | Stocking turning device | |
CN112354113B (zh) | 一种消防应急救援用水带铺设、回收机器人及使用方法 | |
KR101189201B1 (ko) | 원단검사용 이음장치 | |
CN208544905U (zh) | 一种led灯带分条设备 | |
CN210504421U (zh) | 手推线衣架自动脱落装置 | |
CN114516463A (zh) | 一种纵向叠衣装置 | |
US2570030A (en) | Endless chain conveyer | |
JPH0613853U (ja) | 消防ホース洗浄装置 | |
KR20110126368A (ko) | 세차기용 브러시 왕복이동장치 | |
CN112090627A (zh) | 一种纳米光催化剂人造板处理设备 | |
JP2755932B2 (ja) | フィルタプレス | |
CN114834847B (zh) | 一种带式输送机的输送带监测装置 | |
CN1150112A (zh) | 带子折叠和收纳装置 | |
JPH02257967A (ja) | ホース洗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