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603B1 -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 - Google Patents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603B1
KR0130603B1 KR1019940024027A KR19940024027A KR0130603B1 KR 0130603 B1 KR0130603 B1 KR 0130603B1 KR 1019940024027 A KR1019940024027 A KR 1019940024027A KR 19940024027 A KR19940024027 A KR 19940024027A KR 0130603 B1 KR0130603 B1 KR 013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lass
waste
weight
sidewalk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003A (ko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최철성
진성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성, 진성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철성
Priority to KR1019940024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603B1/ko
Publication of KR960011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높은 투수성과 내동해성, 그리고 경량성을 가지되, 생산단가가 저렴하며 작업환경이 양호한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보도블럭은 입경 10mm 이내인 SiO2함유 연소재 응고물 60-90중량%, 폐유리 5-20중량%, 물유리 5-20중량%로 구성되며 1,100-1,200℃의 온도에서 소성된 기층부와, 입경 3mm 이내인 도석 또는 점토 재질과 폐유리 또는 물유리로 구성되는 표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위의 기층부와 표층부를 순차적으로 금형에 넣고 1,100-1,200℃의 온도에서 소성시켜 기층부를 구성하는 입자를 부분용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
본 발명은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라이 애쉬 등과 길이 SiO2를 함유한 고온 연소재 및 폐유리 등을 주원료로 한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도블럭은 일반 벽돌과 같이 물을 통과시키지 아니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여기에 투수성을 부여한 기술로는 한국 특허공고 제91-193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다공질 도자기 재료를 주원료로한 투수성 벽돌이 있다.
이 기술은 도자기 재료의 각 입자를 프릿 등의 유리질 재료 혹은 석회, 산화아연, 탄산바륨, 장석 등의 용융제로 전체면을 피복하여 각 입자끼리를 결합시킨 기층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비중이 높아 운반 및 시공이 불편하고, 표면층의 주원료인 도자기 재료와 기층의 주원료인 기와등의 파쇄물이 구하기 어렵다는 점과, 비교적 제조원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본 발명자에 의하여 발명된 한국 특허출원 제94-11451호가 있다.
이 기술은 플라이 애쉬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성형시킨 성형물을 약 800℃ 정도의 온도로 소성시켜 응고시킨 응고물을 기층부의 입자로 사용하고, 바인더로 폐유리를 사용하여 약 1,160℃의 온도로 2차 소성시켜 보도블록을 제조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플라이 애쉬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고, 얻어진 제품이 높은 투수성과 내동해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경량성도 함께 가지게 되므로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부원료로 사용되는 수산화나트륨의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므로 생산단가가 상승하게되고, 또한 강알칼리인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작업환경이 열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투수성과 내동해성, 그리고 경량성을 가지되, 생산단가가 저렴하며 작업환경이 양호한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플라이 애쉬 등 SiO2함유 고온 연소재를 주원료로 사용하되, 바인더로 물유리 및 폐유리를 사용하게 되면 작업환경이 양호하고 제조원가가 저렴한 내동해성, 경량성, 투수성 보도블럭이 얻어짐을 밝혀 내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보도블럭은 입경 10mm 이내인 연소재 응고물 60-90중량%, 폐유리 5-20중량%, 물유리 5-20중량%로 구성된 기층부와, 입경 3mm 이내인 도석 또는 점토 재질과 적절한 안료 및 물유리로 구성되는 표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발명의 제조방법은 이들을 순서대로 금형에 넣고 프레스한 후 1,100-1,200℃의 온도에서 소성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층부의 주원료인 연소재는 플라이애쉬, 소각잔재 등으로서, 플라이 애쉬(Fly Ash)는 석탄이 연소된 후에 발생되는 폐기물이며, 소각잔재는 제지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슬러지를 소각후 잔류하는 폐기물로서 통상 미세한 상태이므로 이를 매립 처리할 경우 매립된 땅의 지반이 약화되고 또한 매립된 연소재가 지반의 압력으로 밀려나와 분진이 발생되어 장기간에 걸쳐 토지가 황폐화되므로 이의 재활용은 세계적인 관심사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연소재 60-90중량%, 폐유리 10-40중량%로 혼합후 압출성형한 것을 1,100-1,200℃의 온도로 소성하여 응고시킨 것을 기층부의 주원료로 사용한다.
기층부 입자의 직경은 10mm 이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mm정도가 적합하므로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응고물을 파쇄한 다음 적절한 크기의 것을 선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생산성을 고려한다면 지름 3-5mm 내외인 선상의 압출물을 절단하여 구상의 입자로 만든 후 소성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유리는 TV브라운관용 유리 제조업체에서 발생되는 연마세척수를 폐수처리한 오니(슬러니)를 건조시켜 직경 1mm 이하로 분쇄시킨 것이다. 이러한 무기성 폐수처리오니 또한 현재로는 재활용되지 아니하고 전량 폐기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폐기할 경우에도 또한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기층부는 위와 같은 연소재의 응고물과 폐유리 및 물유리로서 구성된다. 연소재 응고물, 폐유리와 물유리의 적절한 사용비율은 무게비로 60-90 : 5-20 : 5-20이며 이들은 혼합하여 프레스 형성한다.
본 발명의 표층부의 원료는 도석 또는 점토의 분쇄물에 원하는 색상의 무기안료와 소량의 물을 가하여 최대직경이 3mm이내인 구상의 입자로 성형하여 1,100-1,200℃에서 소성한 것이다.
밝은 색상의 발현을 위해서는 점토에 철분이 함유되지 아니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위의 색상입자에 물유리와 전분 또는 밀가루를 70-90 : 5-20 : 5-10 비율로 혼합하여 프레스 성형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기층부와 표층부를 약 5 : 1의 비율로 순차적으로 금형에 넣고 프레스 성형기로 압축성형함으로써 표층부와 기층부로 이루어진 성형체가 얻어진다.
이렇게 얻어진 성형체를 건조시킨 다음 소성로에서 1,100-1,200℃의 온도로 약 3시간 동안 소성시키게 되면 폐유리 및 물유리가 일부 용융하며 기층부의 연소재 응고물 입자를 강하게 결합시키며 또한 표층부와 기층부를 결합시키게 된다. 또한 폐유리 및 물유리의 부분용융 및 재결정에 의하여 결합된 입자들 사이에는 연속적인 공극이 형성됨으로써 성형체는 높은 투수성을 가지게 된다.
적절한 표층부의 두께는 5-10mm 이고, 기층부의 두께는 50-55mm 이다.
상기 기층부에는 폐적벽돌 분쇄물을 연소재의 사용량 보다 적은 범위내서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플라이 애쉬 1600g과 폐유리 400g을 혼합한 혼합물에 물 500cc를 넣고 혼련후 진공압출하여 지름 15mm, 길이 30mm 크기의 성형품을 만들고 1,170℃에서 소성한 것을 분쇄하여 0.5-3mm 내외의 파쇄물을 만들었다.
위 파쇄물중 1500g을 취하여 폐유리 150g과 물유리 150g을 혼합후 교반 숙성하여 기충부의 원료로 준비하였다.
한편 30메쉬 이하의 도석분 97g과 점토 97g에 무기안료 6g을 혼합한 것에 물 50cc를 넣고 혼련후 진공압출하여 지름 15mm, 길이 30mm 크기의 성형품을 만들고 1,170℃에서 소성한 것을 분쇄, 0.5-2mm 내외의 파쇄물을 만들었다. 위 파쇄물 중 150g을 취하여 물유리 15g과 전분 10g을 혼합후 교반 숙성하여 표층부 원료로 준비하였다.
위의 기층부 원료를 먼저 블럭 형태의 금형에 넣은 후 그 위에 표층부 원료를 넣고 프레스로 가압하여 압축성형한 것을 70℃에서 24시간 건조시킨다음 소성로에 투입하여 1,160℃의 온도로 2시간 동안 소성하여 200mm×100mm×60mm의 투수성 보도블럭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지공장에서 발생되는 폐슬러지가 소각로에서 연소된 후 잔류하는 재(연소재) 1600g과 폐유리 400g을 혼합후 조립기(造粒機: 입자 만드는 기계)에 투입하고 회전시키며 물 1,300cc와 2% C.M.C수용액 70cc를 첨가하여 지름 1-4mm의 구형체를 만들고 1,170℃에서 소성하였다. 위 과립 중 1,500g을 취하여 폐유리 150g과 물유리 150g을 혼합후 교반 숙성하여 기층부의 원료로 준비하였 다.
한편 30메쉬 이하의 도석분 97g과 점토 97g에 무기안료 6g을 혼합후 조립기에 투입하고 회전시키며 물 30cc를 첨가하여 지름 1-3mm의 구형체를 만들고 1,170℃에서 소성하였다. 위 과립 중 150g을 취하여 물유리 15g과 전분 10g을 혼합후 교반 숙성하여 표층부의 원료로 준비하였다.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의 연소재 1600g과 폐유리 400g에 물 100cc를 가한 후 100mm×100mm×10mm 크기의 금형에 나누어 넣고 가압하여 압축성형한 것을 소성로에 투입하여 1,170℃에서 소성하였다.
위 소성물을 분쇄, 0.5-3mm의 파쇄물로 만든 후 1,500g을 취하여 폐유리 150g과 물유리 150g을 혼합하여 교반 숙성, 기층부의 원료로 준비하였다.
한편 30메쉬 이하의 도석분 97g, 점토 97g, 무기안료 6g과 물 10cc를 가한후 위의 금형에 넣고 압축성형한 것을 1,170℃에서 소성한 다음 0.5-2mm의 파쇄물로 만든후 150g을 취하여 물유리 150g과 전분 10g을 혼합후 교반숙성하여 표층부의 원료로 준비하였다.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투입되는 플라이 애쉬 대신 제지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슬러지 연소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투입되는 연소재 대신 플라이 애쉬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기층부 원료에 플라이 애쉬등 파쇄물 1,000g과 폐적벽돌 입자 800g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기층부를 폐도자기 분쇄입자로 대체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행하되, 소성온도를 1,050℃로 변경시켰다.
이상의 실시예에 의하여 얻어진 보도블럭의 물성 평가 비교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25℃의 물속에 10시간 담근 후에 즉시 -10℃의 항온조에 넣고 10시간 방치한 다음 꺼내어 25℃의 물로 30분간 녹이는 것을 1싸이클로 하여 500회 이상 견디는 것은 양호, 400-499회 정도로 견디는 것은 보통, 그 이하는 불량으로 판정함.

Claims (3)

  1. 입경 10mm 이내인 SiO2함유 연소재 응고물 60-90중량%, 폐유리 5-20중량%, 물유리 5-20중량%로 구성되며 1,100-1,200℃의 온도에서 소성된 기층부와, 입경 3mm 이내인 도석 또는 점토 재질과 폐유리 또는 물유리로 구성되는 표층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
  2. 제1항 기재의 기층부와 표층부를 순차적으로 금형에 넣고 1,100-1,200℃의 온도에서 소성시켜 기층부를 구성하는 입자를 부분용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SiO2함유 연소물이 플라이 애쉬 또는 제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슬러지의 소각 폐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의 제조방법.
KR1019940024027A 1994-09-23 1994-09-23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 KR013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027A KR0130603B1 (ko) 1994-09-23 1994-09-23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4027A KR0130603B1 (ko) 1994-09-23 1994-09-23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003A KR960011003A (ko) 1996-04-20
KR0130603B1 true KR0130603B1 (ko) 1998-04-10

Family

ID=1939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4027A KR0130603B1 (ko) 1994-09-23 1994-09-23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6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8817A3 (ko) * 2010-03-05 2012-01-05 주식회사 지메텍 세라믹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다공성 세라믹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96398B1 (ko) * 2012-11-16 2013-08-14 (주)삼현 보수성 보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수성 보도블록
KR101296399B1 (ko) * 2012-11-16 2013-08-14 (주)삼현 투수성 보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수성 보도블록
KR101336173B1 (ko) * 2013-07-02 2013-12-03 (주)선일로에스 투수 친환경 특수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4346B1 (ko) 2023-05-04 2024-03-0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친환경 투수성 보도블럭을 구비한 배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4089C1 (de) * 1999-05-26 2001-01-25 Bayer Ag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 verarbeitbaren Polyurethanen mit verbessertem Erweichungsverhalten
KR100432775B1 (ko) * 2001-08-04 2004-05-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저온소성 성형벽돌 제품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8817A3 (ko) * 2010-03-05 2012-01-05 주식회사 지메텍 세라믹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다공성 세라믹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US8846557B2 (en) 2010-03-05 2014-09-30 GMatex Co., Ltd. Ceramic composition, porous ceramic heat insulating material using sa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296398B1 (ko) * 2012-11-16 2013-08-14 (주)삼현 보수성 보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보수성 보도블록
KR101296399B1 (ko) * 2012-11-16 2013-08-14 (주)삼현 투수성 보도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투수성 보도블록
KR101336173B1 (ko) * 2013-07-02 2013-12-03 (주)선일로에스 투수 친환경 특수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44346B1 (ko) 2023-05-04 2024-03-0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친환경 투수성 보도블럭을 구비한 배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003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41380B (zh) 一种粉煤灰包覆污泥陶粒及其制备方法
JP2005511459A (ja) ガラス繊維廃棄物から製品を製造する方法
KR0130603B1 (ko)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
CN101353248A (zh) 利用建筑卫生陶瓷冷加工废渣生产多孔砖的方法
KR20030070204A (ko) 폐기물을 이용한 인공 경량 골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09154405A2 (ko) 비소성 황토벽돌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황토벽돌
KR101653285B1 (ko) 연탄재와 커피슬러지를 주재로 한 경량 내화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5913A (ko) 석분오니를 함유하는 내장용 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72111A (ko) 경량 골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420246B1 (ko) 흡음 및 차음 모듈용 경량 다공성 골재 및 그 제조방법
JP4129695B2 (ja) 多孔質吸水性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KR100237349B1 (ko) 폐기물을 이용한 투수성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JPH0264077A (ja) 下水処理汚泥等産業廃棄物より軽量骨材等セラミック成型品の製造
KR101339911B1 (ko) 정수슬러지를 주원료로 한 내오염성 점토벽돌의 제조방법
JP2628024B2 (ja) 軽量透水性歩道ブロック
KR100392933B1 (ko) 경량 골재용 조성물
KR0131052B1 (ko) 경량, 투수성 보도블럭 및 제조방법
KR100241564B1 (ko) 소각회 및/또는 슬러지를 이용한 인공골재의 제조방법
JP2603599B2 (ja) 人工軽量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23799A (ko) 폐주물사를 이용한 건축자재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건축자재의 제조방법
KR100978095B1 (ko) 다색도자 벽돌 및 그 제조방법
JPH1036152A (ja) 人工骨材とその製造方法
KR20030011757A (ko) 경량 골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829313B2 (ja) 都市ごみ焼却灰を利用した窯業原料の製造方法及び焼成品の製造方法
KR102207401B1 (ko) 분말 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용 블럭 및 패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