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548B1 - Non-vocat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voltage stabilizing electrode - Google Patents

Non-vocat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voltage stabilizing electrod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548B1
KR0130548B1 KR1019900008664A KR900008664A KR0130548B1 KR 0130548 B1 KR0130548 B1 KR 0130548B1 KR 1019900008664 A KR1019900008664 A KR 1019900008664A KR 900008664 A KR900008664 A KR 900008664A KR 0130548 B1 KR0130548 B1 KR 0130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ubstrate
nonvolatile semi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10001986A (en
Inventor
료조 나카야마
리이치로 시로타
야스오 이토
료우헤이 기리사와
히데코 오오다이라
마사키 모모도미
요시히사 이와타
도모하루 다나카
세이이지 아리토미
데츠오 앤도
후지오 마스오카
Original Assignee
아오이 죠이치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오이 죠이치,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아오이 죠이치
Publication of KR91000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9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5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6/00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 G11C16/02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 G11C16/04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 G11C16/0483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ies electrically programmable using variable threshold transistors, e.g. FAMOS comprising cells having several storage transistors connected in seri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9/00Erasable-and-programmable ROM [EPROM]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10B41/00 - H10B63/00, e.g. ultraviolet erasable-and-programmable ROM [UVEPRO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Read Only Memory (AREA)
  • Non-Volatile Memo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전위고정용 전극을 구비한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with Potential Locking Electrode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NAND형 EEPROM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main parts of a NAND type EEPR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에 따른 EEPROM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EPROM along line II-II of FIG.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따른 EEPROM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EPROM along line III-III of FIG.

제4도는 제1도의 Ⅳ-Ⅳ선에 따른 EEPROM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EPROM along line IV-IV of FIG.

제5도는 제1도의 Ⅴ-Ⅴ선에 따른 EEPROM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EPROM along the line VV of FIG.

제6도는 제1도의 Ⅵ-Ⅵ선에 따른 EEPROM의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of the EEPROM along the VI-VI line of FIG.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EEPROM의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EPR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제7도의 도시된 EEPROM의 다른 단면도.8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illustrated EEPROM of FIG.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EPROM의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PR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EEPROM 12 : 반도체기판(실리콘기판)10: EEPROM 12: Semiconductor Substrate (Silicon Substrate)

14,14i : NAND셀 유니트 16 : 도전층(비트선)14, 14i: NAND cell unit 16: conductive layer (bit line)

18 : 부유게이트층 20 : 제어게이트층(워드선)18: floating gate layer 20: control gate layer (word line)

30 : 소자분리용 절연층 32 : 소자분리층(채널스토퍼층)30: isolation layer for device isolation 32: isolation layer (channel stopper layer)

34 : 제1게이트절연층 36 : 절연층(CVD절연층)34: first gate insulating layer 36: insulating layer (CVD insulating layer)

39 : 제2게이트절연층39: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40, 44 : 제1다결정실리콘층(부유게이트층)40, 44: first polysilicon layer (floating gate layer)

42, 46 : 제2다결정실리콘층(제어게이트층)42, 46: second polysilicon layer (control gate layer)

64 : 접촉구멍 70 : 도전층(접촉층)64 contact hole 70 conductive layer (contact layer)

72 : 도전층 74 : 접촉구멍72 conductive layer 74 contact hole

76 : p+형 확산층 78 : p형 분리층76: p + type diffusion layer 78: p type separation layer

90 : n형 실리콘기판 92 : p형 반도체층(웰영역).90: n-type silicon substrate 92: p-type semiconductor layer (well region).

[산업상의 이용분야][Industrial use]

본 발명은 반도체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그램이 가능하고 전기적으로 소거가 가능한 NAND형 메모리셀 유니트를 구비한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NAND type memory cell unit that is programmable and electrically erasable.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Traditional Technology and Problems]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에 대해 고성능과 고신뢰성에 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고집적화된 반도체 메모리셀이 필요불가결한 것으로 되고 있다. 즉, 데이터 저장능력이 증강된 고체상태 메모리가 강력하게 요구되고 있는 바, 이러한 고체상태 메모리는 현존하는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용의 외부 데이터저장장치(예컨대, 마그네틱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유니트나 고정형 디스크 유니트 등)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이다.As the demand for high performance and high reliability for digital computer systems increases, highly integrated semiconductor memory cells are becoming indispensable. In other words, there is a strong demand for solid-state memory with enhanced data storage capability. Such solid-state memory can be used to provide an external data storage device (for example, a magnetic floppy disk drive unit or a fixed disk unit) for an existing digital computer system. It can be replaced.

현재 구입할 수 있는 EEPROM(Electr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은 마그네틱 데이터 저장장치보다 신뢰성이 높고 데이터 프로그래밍속도가 빠르다는 등의 기술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EEPROM의 총 메모리용량은 아직 마그네틱 데이터저장장치를 대체할 수 있을 만큼 크지 않다. 즉, 종래의 EEPROM에 있어서는, 각 메모리셀이 전형적으로 2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마그네틱 데이터저장장치를 데체할 수 있을 정도의 메모리용량을 갖추기 위해 필요한 만큼 집적도를 증가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Currently available EEPROM (Electr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has technical advantages such as higher reliability and faster data programming than magnetic data storage. However, the total memory capacity of the EEPROM is not yet large enough to replace the magnetic data storage device. That is, in the conventional EEPROM, since each memory cell is typically composed of two transistor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gree of integration cannot be increased as necessary to have a memory capacity that can replace the magnetic data storage device. .

최근에는, 저장용량이 증가된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로서 NAND형 EEPROM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메모리에 따르면, 메뫼셀들이 소정 개수의 메모리셀 블록부(Memory Cell Block Section)로 분할된다. 여기에서, 각 메모리셀은 전형적으로 부유게이트형의 단일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NAND셀 유니트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메모리셀의 각 어레이와 대응하는 비트선간에는 단지 하나의 접촉부만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기판상에 전체 메모리셀이 점유하는 면적이 종래의 EEPROM에 비해 축소되게 되므로, EEPROM의 집적도가 향상되어 메모리의 총 용량이 증대되게 된다.Recently, a NAND type EEPROM has been developed as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with increased storage capacity. According to this type of memory, memocells are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memory cell block sections. Here, since each memory cell is typically composed of a NAND cell unit composed of a single transistor of floating gate type, only one contact portion is required between each array of memory cells and the corresponding bit line. Therefore, the area occupied by all the memory cells on the substrate is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EPROM, so that the degree of integration of the EEPROM is improved and the total capacity of the memory is increased.

상기 NAND형 EEPROM에 따르면, 트랜지스터의 부유게이트와 절연박막이 개재(介在) 된 기판간의 터널링현상에 의해 캐리어가 이동함으로써 소정의 메모리셀에대해 데이터가 기록되거나 독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NAND형 메모리셀은 FET-MOS형 메모리셀이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메모리셀이 N채널형 트랜지스터인 경우, 셀트랜지스터의 제어게이트에 20V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그 드레인층을 0V로 설정함으로써, 터널링효과에 의해 전자가 드레인영역으로부터 부유게이트로 주입된다. 그 결과, 셀트렌지스터의 문턱치(Threshold Value)는 정극성 방향(正極性 方向)으로 레벨쉬프트된다. 부유게이트에 저장된 전자를 기판으로 방출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20V의 고전압을 셀트랜지스터의 드레인영역에 인가하고, 그 제어게이트전극을 0V로 설정한다. 그러면 셀트랜지스터의 문턱치는 부극성 방향(負極性 方向)으로 레벨쉬프트된다. 이러한 각기 다른 2종류의 전압인가에 의해 셀트랜지스터내에서 데이터기록동작 및 데이터소거동작이 실행된다. 셀트랜지스터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전위레벨을 갖는 독출전압을 셀트랜지스터의 제어게이트에 인가한다. 그에 따라, 저장데이터의 논리값, 즉 논리 0 또는 1은 이러한 전압인가하에서 채널 전류가 셀트랜지스터내에 흐르는가 아닌가에 의해 판정된다. 그런데, 고집적 NAND형 EEPROM은 이하에 설명하는바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브레이크다운(Breakdown)으로 말미암아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데이터기록 및 소거모드에서 메모리셀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영역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P-N접합(예컨대, 드레인영역과, 기판내에 상기 드레인 영역에 근접하게 형성된 채널-스토퍼층간의 접합)에 브레이크다운이 발생한다. 브레이크다운은 드레인영역의 표면부위에도 발생하는 바, 이러한 브레인크다운은 표면 브레이크다운이라고 알려져 있다.According to the NAND type EEPROM, the carrier is moved by the tunneling phenomenon between the floating gate of the transistor and the substrate on which the insulating thin film is interposed so that data is written or read out to a predetermined memory cell. In this respect, a NAND memory cell is also called a FET-MOS memory cell. More specifically, when the memory cell is an N-channel transistor, by applying a high voltage of 20V to the control gate of the cell transistor and setting the drain layer to 0V, electrons are transferred from the drain region to the floating gate by the tunneling effect. Is injected. As a result, the threshold value of the cell transistor is level shifted in the positive direction. In order to emit electrons stored in the floating gate to the substrate, a high voltage of, for example, 20V is applied to the drain region of the cell transistor, and the control gate electrode is set to 0V. The threshold of the cell transistor is then level shifted in the negative direction. By applying these two different voltages, the data writing operation and the data erasing operation are performed in the cell transistor. In order to read the data stored in the cell transistor, a read voltage having a predetermined potential level is applied to the control gate of the cell transistor. Accordingly, the logic value of the stored data, namely logic 0 or 1, is determined by whether or not the channel current flows in the cell transistor under such voltage application. However, the highly integrated NAND type EEPROM suffers from a number of problems due to undesirable breakdown as described below. That is, when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rain region of the memory cell transistor in the data write and erase mode, breakdown occurs in the PN junction (e.g., the junction between the drain region and the channel-stopper layer formed adjacent to the drain region in the substrate). do. The breakdown also occurs on the surface portion of the drain region, and such a breakdown is known as a surface breakdown.

상기 브레이크다운현상은 데이터기록/소거동작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기 때문에, EEPROM에대해서는 매우 심각한 문제로 되고 있다. 설령 브레이크다운이 완벽하지 않더라도, 즉 부분적인 브레이크다운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기판을 흐르는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증대되어 부유게이트에 저장되어 있는 전자를 성공적으로 제거하기가 어렵게 되거나 불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저장된 전자를 제거하기가 어려워지면, EEPROM의 동작신뢰성이 저하하고, 최악의 경우에는 오동작이 일어난다. 이러한 점은 FLOTOX형 메모리셀이라 불리우는 EEPROM이나 자외선소거형 EEPROM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Since the breakdown phenomenon greatly degrades the performance of the data write / erase operation, it is a very serious problem for the EEPROM. Even if the breakdown is not perfect, that is, even when a partial breakdown occur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substrate is abnormally increased, making it difficult or impossible to successfully remove the electrons stored in the floating gate. When the stored electrons become difficult to remove in this way,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EEPROM is degraded, and in the worst case, malfunction occurs. The same is true of an EEPROM or an ultraviolet erasing type EEPROM called a FLOTOX type memory cell.

[발명의 목적][Purpose of inven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고집적화되어 있으면서 동작의 신뢰성이 대폭 개선된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를 제공하고 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high integration and greatly improved operation reliability.

[발명의 구성][Configuration of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도체기판과, 이 반도체기판상에 형성된 병렬 데이터전송선, 이 데이터전송선의 비트선에 접속된 메모리셀을 포함하는 메모리셀부로 구성된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를 제공한다. 그중 상기 메모리셀은, 제어게이트층을 갖춘 소정 개수의 데이터저장 트랜지스터와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직렬회로를 구비한 NAND형 셀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NAND형 셀 유니트가 데이터기록 또는 소거동작에 들어가 있는 중의 적어도 선택된 기간에 기판에 인가되고 있는 미리 선택된 정전압을 받아 들이도록 하기 위해, 도전층을 구비하고서 어떤 데이터전송선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전위고정수단이 기판내에 절연적으로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미리 선택된 정전압은 기판전압일 수도 있고, 또 NAND셀 유니트가 기판내의 반도체 웰영역(Well Region)에 형성된 경우에는 웰전위일수도 있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a memory cell portion including a parallel data transfer line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a memory cell connected to a bit line of the data transfer line. . The memory cell includes a predetermined number of data storage transistors having a control gate layer and a NAND cell unit having a series circuit of switching transistors. In order to receive the preselected constant voltage applied to the substrate in at least the selected period during which the NAND cell unit enters the data writing or erasing operation, the potential fixing is provided adjacent to a certain data transmission line with a conductive layer. Means are insulated in the substrate. The predetermined voltage may be a substrate voltage, or may be a well potential when the NAND cell unit is formed in a semiconductor well region in the substrate.

[실시예]EXAMPLE

이하,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래머블 독출전용 메모리(EEPROM)는 도면의 참조부호 10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 EEPROM(10)은 특정한 도전형의 반도체기판(12)을 갖추고 있는 바, 이 반도체기판(12)은 소량의 불순물이 도우프된 p형(p-형) 실리콘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보다 양호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제1도에는 모든 절연층에 대한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이들 절연층은 제2도와 제3도, 제4도, 제5도 및 제6도의 단면도에는 도시되어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referring to FIG. 1,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10. The EEPROM 10 includes a semiconductor substrate 12 of a specific conductivity type, and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may use a p-type (p-type) silicon substrate doped with a small amount of impurities. Here, for the sake of better understanding, the illustration of all the insulating layers is omitted in FIG. 1, but these insulating layers are shown in the cross-sectional views of FIGS. 2 and 3, 4, 5, and 6. It should be noted.

상기 실리콘기판(12)상에는 다수의 NAND셀 유니트(14)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제1도에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하나의 NAND셀 유니트만이 참조부호 14i(여기서 i는 적절하게 선택된 정수로서 생략할 수 있음)로 나타내어져 있고, 이들 각 NAND셀 유니트(14)는 실제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NAND셀 유니트(14i)에 관한 차후의 설명은 EEPROM(10)의 잔여 NAND셀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NAND셀 유니트(14i)는 상호 직렬로 접속된 소정 개수의 데이터기억 트랜지스터(M)의 에러이를 갖추고 있고, 또한 각 NAND셀 유니트는 메모리셀 트랜지스터 또는 트랜지스터로 약칭되는 데이터기억 트랜지스터(M)의 직렬어레이의 양단에 제공되는 2개의 선택트랜지스터(QS1, QS2)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서 NAND셀 유니트(14i)에는 8개의 셀트랜지스터(M1,M2,…,M8)RK 제공되는 바, 이 셀트랜지스터의 수는 16개 또는 32개 등으로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A plurality of NAND cell units 14 are formed on the silicon substrate 12. In FIG. 1, for simplicity, only one NAND cell unit i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14i (where i is an appropriately selected integer). Each of these NAND cell units 14 is actually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NAND cell unit 14i also applies to the remaining NAND cells of the EEPROM 10. do. As shown in FIG. 1, the NAND cell unit 14i is provided with error numbers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data storage transistors M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each NAND cell unit is abbreviated as a memory cell transistor or a transistor. Two select transistors QS1 and QS2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erial array of the data storage transistor M. In this embodiment, eight cell transistors (M1, M2, ..., M8) RK are provided in the NAND cell unit 14i. The number of the cell transistors can be changed to 16 or 32 as necessary.

상기 NAND셀 유니트(14)는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도전층(16)으로서의 대응하는 비트선(BLi)과 결합되고, 상기 NAND셀 유니트(14i)내에서 셀트랜지스터(M)의 직렬어레이의 일단에는 제1선택지스터(QS1)가 제공되는데. 이 제1선택트랜지스터(QS1)는 선택적으로 도통되어, 예컨대 상기 제1선택트랜지스터(QS1)가 턴온되는 경우에는 NAND셀 유니트(14i)가 셀트랜지스트(M1)의 드레인에서 도통상태인 상기 제1선택트랜지스터(QS1)를 매개하여 대응하는 비트선(BLi)에 접속된다. 또, 상기 NAND셀 유니트(14i)내에서 셀트랜지스터(M)의 직렬어레이의 타단에는 제2선택트랜지스터(QS2)가 제공되는데, 이 제2선택트랜지스터(QS2)도 선택적으로 도통되므로, 예컨대 이 제2선택트랜지스터(QS2)가 턴온되는 경우에는 NAND셀 유니트(14i)가 셀트랜지스터(M8)의 소오스에서 EEPROM(10)의 공통소오스영역에 접속된다. NAND셀 유니트(14i)내의 메모리셀 트랜지스터(M1∼M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유게이트층(18-i; I=1,2, …, 8)과 제어게이트층(20-i; i=1,2,…, 8)을 갖춘 금속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트랜지스터(MOSFET)인 반면, 상기 제1 및 제2선택트랜지스터(QS1, QS2)는 각각 제어게이트층만을 갖춘 스위칭 MOSFET이며, 상기 셀트랜지스터(M)의 제어게이트층(20)은 EEPROM(10)의 워드선으로 작용한다. 이하, NAND셀 유니트(14i)의 구조에 대해 제2도 내지 제6도를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p-형 실리콘기판(12)의 필드영역에는 800nm 두께의 소자분리용 절연층(30)이 형성되고, 상기 실리콘기판(12)상에서 소자분리층(32)은 메모리셀이 형성되는 소자형성 표면영역을 규정하게 되는데, 이 p형 소자분리층(32)은 채널스토퍼층으로서 상기 소자분리용 절연층(30) 아래에 형성된다. 제2도 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기판(12)상의 소자형 성역내에는 박막의 제1게이트절연층(34)이 형성되는데, 이 제1게이트절연층(34)은 터널링전류가 그 제1게이트절연층(34)을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특정한 두께를 갖는다. 또, 각 NAND셀 트랜지스터(Mi)의 캐리어저장을 위한 부유게이트층(18-i; 본 실시예에서 I=1,2…, )으로서 작용하는 제1다결정실리콘층이 각 NAND셀 트랜지스터영역의 제1게이트절연층(34)상에 절연적으로 형성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부유게이트층(18)은 그 양단이 실리콘기판(12)상의 NAND셀 유니트의 양단에 위치한 소자분리용 절연층(30)에서 종료하게끔 연장되도록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제어게이트(20)으로서 작용하는 제2다결정실리콘층은 상기 각 NAND셀 트랜지스터영역내의 제1다결정실리콘층, 즉 부유게이트층(18)상에 형성되고, 제어게이트층(20-i)은 상기 부유게이트층(18)과 제어게이트층(20) 사이에 개재되는 제2게이트절연층(39)에 의해 절연되며, 제어게이트층(20-1, 20-2, …20-8)은 NAND셀 유니트(14)내의 메모리셀 트랜지스터(M1, M2, …, M8)용 워드선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The NAND cell unit 14 is coupled to a corresponding bit line BLi as the conductive layer 16 formed of, for example, aluminum, and is provided at one end of a series array of cell transistors M in the NAND cell unit 14i. 1 selector QS1 is provided. The first selection transistor QS1 is selectively conductive, for example, when the first selection transistor QS1 is turned on, the first NAND cell unit 14i is in the conductive state at the drain of the cell transistor M1. The select transistor QS1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bit line BLi. In addition, a second selection transistor QS2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eries array of cell transistors M in the NAND cell unit 14i, and the second selection transistor QS2 is also selectively conducted. When the two-select transistor QS2 is turned on, the NAND cell unit 14i is connected to the common source region of the EEPROM 10 at the source of the cell transistor M8. The memory cell transistors M1 to M8 in the NAND cell unit 14i are floating gate layers 18-i (I = 1, 2, ..., 8) and control gate layers 20-i; i = 1 as described later. Are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s (MOSFETs) having (2, ..., 8), whereas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transistors (QS1, QS2) are switching MOSFETs each having only a control gate layer, and the cell transistor (M). Control gate layer 20 serves as a word line of the EEPROM 10.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NAND cell unit 14i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An 800 nm-thick insulating layer 30 is formed in the field region of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2, and the isolation layer 32 is an element formation surface region on which the memory cell is formed. The p-type device isolation layer 32 is formed under the device isolation insulating layer 30 as a channel stopper layer. As shown in FIG. 2 or FIG. 3, a first gate insulating layer 34 of a thin film is formed in the element-shaped sanctuary on the silicon substrate 12, and 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34 is a tunneling current. Has a specific thickness so that it can flow through the first gate insulating layer 34. In addition, a first polysilicon layer acting as a floating gate layer 18-i for carrier storage of each NAND cell transistor Mi (I = 1, 2, ..., in this embodiment) is formed in each NAND cell transistor region. It is formed insulated on the one gate insulating layer 34. As shown in FIG. 2, the floating gate layer 18 is formed by patterning such that both ends thereof extend to terminate the device isolation insulating layer 30 located at both ends of the NAND cell unit on the silicon substrate 12. As shown in FIG. The second polysilicon layer serving as the control gate 20 is formed on the first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that is, the floating gate layer 18, in each of the NAND cell transistor regions, and the control gate layer 20-i is Insulated by the second gate insulating layer 39 interposed between the floating gate layer 18 and the control gate layer 20, the control gate layer (20-1, 20-2, ... 20-8) is NAND It can be used as a word line for the memory cell transistors M1, M2, ..., M8 in the cell unit 14.

그리고, 각 제어게이트층(20-i)은 제2도, 제3도 또는 제4도에서 명백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절연층(36)으로 덮여지게 되는데, 이 절연층(36)은 CVD처리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므로 CVD절연층이라 칭한다. 또한, 비트선으로서 작용하는 도전층(16)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적인 평면형상을 갖도록 CVD절연층(36)상에 형성되고, 이 경우 상기 도전층(16)은 알루미늄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비트선(BL)은, 워드선 즉 NAND셀 유니트(14)에서 셀트랜지스터(M)의 제어게이트층(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선택트랜지스터(QS1, QS2)가 NAND셀 트랜지스터(M1∼M8)의 직렬회로 양단에 제공되는데, 그중 제1선택트랜지스터(QS1)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ND셀 유니트(14i)의 제1셀트랜지스터(M1)와 이 NAND셀 유니트(14i)에 결합된 비트선(BLi) 사이에 접속되고, 제2선택트랜지스터(QS2)는 NAND셀 유니트(14i)의 제8셀트랜지스터(M8)와 소오스전압 또는 공통소오스전압으로 참조되면서 경우에 따라서는 접지전압전위로 설정되는 기관전압(Vss)을 갖는 실리콘기판(12) 사이에 접속된다. 제5도에 명백히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선택트랜지스터(QS1, QS2)의 각각은 2층구조의 다결정실리콘층으로 형성된 게이트전극을 갖추고 있는 바, 제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선택트랜지스터(QS1)의 2층구조조ㅗ 게이트전극은 선택게이트제어선(SG1)에 접속되는 반면, 제2선택트랜지스터(QS2)의 2층구조 게이트전극은 선택게이트제어선(SG2)에 접속된다. 이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선택트랜지스터(QS1)는 제1다결정실리콘층(40)과 이 제1다결정실리콘층(40)상에 절연적으로 배치된 제2다결정실리콘층(42)을 갖추고 있고, 그중 상기 제1다결정실리콘층(40)은 NAND셀 트랜지스터(M)의 부유게이트층(18)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 동일한 층을 패팅닝함으로써 형성되는 반면, 상기 제2다결정실리콘층(42)은 NAND셀 트랜지스터의 제어게이트층(20)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 동일한층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그 이외의 제2선택트랜지스터(QS2)에 대해서도 상기한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바, 제2선택트랜지스터(QS2)는 제1다결정실리콘층(44)과 이 제1다결정실리콘층(44)상에 절연적으로 배치된 제2다결정실리콘층(46)을 갖추고 있고, 그중 하부구조인 제1다결정실리콘층(44)은 부유게이트층(18)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 동일한 층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되는 반면, 제2다결정실리콘층(46)은 NAND셀 트랜지스터(M)의 제어게이트층(20)을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 동일한 층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실리콘기판(12)은 불순물이 다량으로 도우프된 n형(n+형) 반도체층(48, 50, 52, 54, 56, 58, 60, 62)을 갖추고 있는데, 그중 n+층(48, 50, 52, 54, 56, 58)은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인접한 부유게이트층(40, 18-1)과 부유게이트층[(18-i, 18-(i+1)] 또는 부유게이트층(18-8, 44) 사이에서 규정되는 특정한 기판 표면부분에 위치되고, 또 n+형 층들은 EEPROM(10)의 제조공정중 게이트층(18, 20, 40, 42, 44, 46)이 제조된 후 및 비트선층(16)이 형성되기 이전에 불순물도우핑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n+형층(48)은 대응하는 NAND셀 트랜지스터(Mi)의 소오스와 드레인영역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또 셀트랜지스터(M)는 직렬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n+형 층(48, 50, 53, 54, 56, 58, 60)중의 어느 하나는 특정한 셀트랜지스터(Mi)의 소오스영역으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인접하는 셀트랜지스터[M(i+1)]의 드레인영역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n+층(50)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NAND셀 트랜지스터(.M1)의 소오스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그 셀트랜지스터(M1)에 인접하는 NAND셀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n+층(42)은 비트선(16)과의 접촉부분으로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잔여의 n+층보다도 크게 되어 있고, 이 경우 비트선(16)이 NAND셀 트렌지스터(M)의 드레인으로서 작동하는 n+층(62)과 접촉되도록 접촉구멍(64)이 상기 CVD절영층(36)에 형성된다.Each control gate layer 20-i is then covered with an insulating layer 36, as is apparent in FIGS. 2, 3, or 4, which are subjected to the CVD process. Since it can form, it is called a CVD insulating layer. In addition, a conductive layer 16 serving as a bit line is formed on the CVD insulating layer 36 to have a linear planar shape as shown in FIG. 1, in which case the conductive layer 16 is formed of aluminum. Can be. The bit lines BL are arranged side by si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ontrol gate layer 20 of the cell transistor M in the word line, that is, the NAND cell unit 14. The two selection transistors QS1 and QS2 are provided across the series circuits of the NAND cell transistors M1 to M8, of which the first selection transistor QS1 is the NAND cell unit 14i as shown in FIG.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cell transistor M1 of < RTI ID = 0.0 >) < / RTI > and the bit line BLi coupled to this NAND cell unit 14i, and the second selection transistor QS2 is an eighth cell transistor of the NAND cell unit 14i. It is connected between M8) and the silicon substrate 12 having the engine voltage Vss set to the ground voltage potential in some cases while being referred to as a source voltage or a common source voltage. As clearly shown in FIG. 5,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election transistors QS1 and QS2 has a gate electrode formed of a polysilicon layer having a two-layer structure, as shown in FIG. The two-layer structured gate electrode of the first selection transistor QS1 is connected to the selection gate control line SG1, while the two-layer structur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selection transistor QS2 is connected to the selection gate control line SG2. Connected. In more detail, the first selection transistor QS1 may include a first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40 and a second polysilicon layer 42 that is insulated on the first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40. Wherein the first polysilicon layer 40 is formed by patterning the same layer provided to form the floating gate layer 18 of the NAND cell transistor M, while the second polysilicon layer 42 is formed by patterning the same layer provided to form the control gate layer 20 of the NAND cell transistor. 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lso applied to the other second selection transistor QS2, and the second selection transistor QS2 is formed on the first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44 and the first polycrystalline silicon layer 44. A second polysilicon layer 46 disposed insulated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first polysilicon layer 44, which is a substructure, is formed by patterning the same layer provided to form the floating gate layer 18; The second polysilicon layer 46 is formed by patterning the same layer provided to form the control gate layer 20 of the NAND cell transistor M. Meanwhile, the silicon substrate 12 has n-type (n +) semiconductor layers 48, 50, 52, 54, 56, 58, 60, and 62 doped with a large amount of impurities, of which n + layer 48 , 50, 52, 54, 56 and 58 are two adjacent floating gate layers 40 and 18-1 and a floating gate layer [(18-i, 18- (i + 1)] or floating gate layer respectively. Located on a specific substrate surface portion defined between (18-8, 44), and the n + type layers are fabricated with gate layers 18, 20, 40, 42, 44, 46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EEPROM 10. After and before the bit line layer 16 is formed by impurity doping, the n + type layer 48 acts as a source and drain region of the corresponding NAND cell transistor Mi. ) Are connected in series so that any one of the n + type layers 48, 50, 53, 54, 56, 58, and 60 is used as a source region of a specific cell transistor Mi and adjacent cell transistors [M]. (i + 1)] For example, the n + layer 50 is used as a source of the NAND cell transistor (.M1) as shown in Fig. 5, and the NAND cell transistor (M2) adjacent to the cell transistor (M1) can be used. The n + layer 42 is larger than the remaining n + layer so that the n + layer 42 can also be used as a contact portion with the bit line 16, in which case the bit line 16 is a NAND cell. A contact hole 64 is formed in the CVD saving layer 36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n + layer 62 serving as the drain of the transistor M.

그리고, 상기 제1선택트랜지스터(QS1)가 도통됨에 따라 NAND셀 유니트(14i)는 그에 결합된 대응하는 비트선(BL1) 에 접속하는 바,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선택트랜지스터(QS1)가 턴온되는 경우 NAND셀 트랜지스터(QS1)의 드레인은 대응하는 비트선(BLi)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편, 제2선택트랜지터(QS2)가 도통되는 경우 NAND셀 유니트(14i)는 그 NAND셀 유니트(14i)내의 제8셀트랜지스터(M8)의 소오스에서 공통소오스전압에 접속된다.As the first selection transistor QS1 is turned on, the NAND cell unit 14i is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bit line BL1 coupled thereto.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election transistor QS1 is connected to the NAND cell unit 14i. When turned on, the drain of the NAND cell transistor QS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bit line BLi, while the NAND cell unit 14i is connected to the NAND cell unit 14 when the second selection transistor QS2 is conducted. The source of the eighth cell transistor M8 in 14i) is connected to the common source voltage.

여기서, 매우 중요한 점으로는 제1선택트랜지스터(QS1)의 2층 게이트구조, 즉 제1 및 제2다결정실리콘층(40, 42)이 다수의 접촉부분에서 상호 직접 접촉되는 것을 들 수 있는데, 제1도 또는 제6도에서는 참조부호 70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접촉층만이 가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 제1도에 나타낸 평면형상을 갖도록 패터닝처리에 의해 형성된 제3다결정실리콘층을 지칭하는 도전층을 상기 게이트층(40, 42)을 서로 접속시키기 위한 접촉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들 접촉층(70)은 워드선(WL)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제공되는데, 이들 접촉층(70)의 간격은 반드시 고정적인 간격값으로 힐 필요는 없지만, 1쌍의 선택된 NAND셀 유니트 예컨대 NAND셀 유니트(14i)와 NAND셀 유니트[14(i+8) 또는 14(i+6)] 사이의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의 부유게이트층(40)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반면, 상부의 제어게이트층(42)은 다수의 층부분, 즉 접촉층(70)에 의해 상호 도통되면서 상기 하부의 부유게이트층(40)과 접속되어 모든 2개의 인접하는 층부로 분할된다. 또 그 이외의 게이트층(44, 46)으로 이루어지는 제2선택트랜지스터(QS2)의 2층구조 게이트전극에 대해서도 상기와 유사한 접촉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Here, a very important point is that the two-layer gate structure of the first selection transistor QS1,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polysilicon layers 40 and 42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In FIG. 1 or FIG. 6 only one contact layer is visually shown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70. A conductive layer, which refers to the third polysilicon layer formed by the patterning process so as to have the planar shape shown in FIG. 1, can be used as the contact layer for connecting the gate layers 40 and 42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se contact layers 70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word line WL, and the intervals of these contact layers 70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fixed to a fixed interval value, but a pair of The distance between the selected NAND cell unit, for example, the NAND cell unit 14i and the NAND cell unit 14 (i + 8) or 14 (i + 6) can be set. In this case, the lower floating gate layer 40 is continuously formed, while the upper control gate layer 42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layer portions, that is, the contact layer 70, and the lower floating gate layer 40 ( Connected to 40) and divided into two adjacent layers. A contact structure similar to the above can also be used for the two-layer structure gate electrode of the second select transistor QS2 composed of other gate layers 44 and 46.

그리고, 상기 NAND셀구조에 더하여, 또 다른 도전성의 직선향상층(72)이 특히 2개의 인접하는 비트선(BLi)과 제1도에서는 도시되지 않는 비트선[BL(i+1)] 사이에 규정되는 소자분리영역에 제공되는 바, 이 부가적인 직선형상층(72)은 비트선(BL)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CVD절연층(36)상에 형성됨과 더불어, 그 직선형상층(72)은 알루미늄층으로 형성하고, 더욱이 그 직선형상층(72)은 모든 인접하는 2개의 비트선[BLi, BL(i+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NAND cell structure, another conductive linear enhancement layer 72 is provided between two adjacent bit lines BLi and bit lines BL (i + 1) not shown in FIG. The additional linear layer 72 is formed on the CVD insulating layer 36 so as to extend in parallel with the bit line BL, while the linear layer 72 is provided in the defined device isolation region. In addition, the linear layer 72 can be formed between all two adjacent bit lines BLi and BL (i + 1).

한편,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직선형상층(72)은 상기 CVD절연층(36)에 형성된 접촉구멍(74)을 매개해서 소위 채널스토퍼층으로서 실리콘기판(12)내에 형성된 p형 분리층(78)에 형성된 p+형 확산층(76)과 접속되는 형태로 상기 실리콘기판(12)에 접속되고, 상기 채널스토퍼층(78)은 비트선(BL)과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실리콘기판(12)에서 소자분리용 절연층(30)의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직선형상층(72)은 상기 실리콘기판(12)과 그 직선형상층(72) 사이의 접촉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상기 p+형 확산층(76)에 의해 p형 실리콘기판(12)과 접속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직선형상의 도전층(72)은 고정적으로 기판전위(Vss)로 설정되는 바, 이러한 의미에서 이 도전층(72)은 기판전위고정전극으로서 설명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6, the linear layer 72 is a p-type separation layer formed in the silicon substrate 12 as a so-called channel stopper layer via a contact hole 74 formed in the CVD insulating layer 36 ( The silicon substrate 12 is connected to the silicon substrate 12 in a form of being connected to the p + type diffusion layer 76 formed at 78, and the channel stopper layer 78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bit line BL. The linear layer 72 is formed under the isolation insulating layer 30, and the linear layer 72 is formed on the p + type diffusion layer 76 to minimize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silicon substrate 12 and the linear layer 72. It connects with the p-type silicon substrate 12 by this.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linear conductive layer 72 is fixedly set to the substrate potential Vss. In this sense, the conductive layer 72 is described as the substrate potential fixed electrode.

한편, 선택된 NAND셀 ㅇ퓨니트(14i)에서의 메모리셀 트랜지스터(M1∼M8)내의 데이터기록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순차적인 형태로 수행되는 바, EEPROM(10)이 데이터 기록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그 선택된 NAND셀 유니트(14i)의 제8셀트랜지스터(M8)가 먼저 데이터기록의 대상으로 되고, 이어 제7셀트랜지스터(.M7)가 데이터기록의 대상으로 되며, 계속해서 잔여의 샐트랜지스터에서 M6, …, M3, M2, M1의 순서로 데이터기록이 수행된다. 여기서, 이러한 순차적인 데이터기록의 특징을 요약하면, NAND셀 유니트(14i)가 선택 NAND셀 유니트로서 지정되는 경우, 그 선택된 NAND셀 유니트내에 포함된 메모리셀 트랜지스터(M)는 그 NAND셀 유니트(14i)를 대응하는 비트선(BLi)에 접속시키기 위한 제1선택트랜지스터(QS1)로부터 가장 멀리 위치하는 최종 셀트랜지스터(M8)가 먼저 선택되고, 그에 인접하는 셀트랜지스터(M7, …, M3, M2)가 차례대로 선택되며, 상기 제1서택트랜지스터(QS1)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1셀트랜지스터(M1)가 최종적으로 선택되는 특정한 순서로 데이터 기록동작이 수행된다.On the other hand, the data writing in the memory cell transistors M1 to M8 in the selected NAND cell unit 14i is performed in a sequential mann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EEPROM 10 is set to the data writing mode, the selected data is selected. The eighth cell transistor M8 of the NAND cell unit 14i is first subjected to data recording, and the seventh cell transistor (.M7) is then subjected to data recording, and then M6,... , Data recording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M3, M2, M1. Here, to summarize the features of such sequential data writing, when the NAND cell unit 14i is designated as the selected NAND cell unit, the memory cell transistor M included in the selected NAND cell unit is the NAND cell unit 14i. ) Is the first cell transistor M8 located farthest from the first selection transistor QS1 for connecting the corresponding bit line BLi to the corresponding bit line BLi, and the cell transistors M7, ..., M3, M2 adjacent thereto are first selected. Are sequentially selected, and the data write operation is performed in a specific order in which the first cell transistor M1 positioned adjacent to the first select transistor QS1 is finally selected.

상기한 순차적인 데이터기록모드에 따르면, 메모리셀 트랜지스터(M1)내에 먼저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20V의 하이레벨전압이 선택된 NAND셀 유니트(14i)와 결합된 비트선(BLi)에 공급되고, 이때 잔여의 NAND셀 트랜지스터(M1∼M7)의 게이트전극에 접속된 워드선(WL1∼WL7)은 하이레벨전압보다 낮으면서 상기 셀트랜지스터(M1∼M7)를 도통시킬만큼 충분히 높은 정의 값을 갖는 중간전압이 공급되게 되는데, 이 중간전압은 10V 정도로 설정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선택된 NAND셀 유니트(14i)와 결합된 비트선(BLi)상에 나타나는 데이터전압은, 상기 제1선택트랜지스터(QS1)가 선택 게이트제어선(SG1)에 의해 전송되는 선택 게이트제어신호에 응답해서 도통상태로 되는 경우, 잔여의 트랜지스터(M1∼M7)를 통해 선택된 트랜지스터(M8)에 전송되게 된다. 이때, 제2선택트랜지스터(QS2)도 턴온됨에 따라 트랜지스터(M8)에 전송되게 된다. 이때, 제2선택트랜지스터(QS2)도 턴온됨에 따라 트랜지스터(M8)의 드레인이 기판전압(Vss)에 접속되고, 이때 워드선(WL8)이 예컨대 기판전합(Vss) 즉 0V로 설정되며, 이 결과 캐리어, 즉 이 경우에는 전자가 트랜지스터(M8)의 드레인(58)으로부터 터널링에 의해 그 부유게이트(18-1)내에 주입되게 되는 바, 이 부유게이트(18-8)내에 전자축적은 셀트랜지스터(M8)내에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의미하게 된다. 또 잔여의 셀트랜지스터(M7, …, M2, M1)가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데이터기록동작의 대상으로 된다.According to the sequential data write mode described above, in order to first write data into the memory cell transistor M1, for example, a high level voltage of 20 V is supplied to the bit line BLi coupled with the selected NAND cell unit 14i, At this time, the word lines WL1 to WL7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s of the remaining NAND cell transistors M1 to M7 have a positive value that is lower than the high level voltage and high enough to conduct the cell transistors M1 to M7. The voltage is supplied, which is set at about 10V. Under this condition, the data voltage appearing on the bit line BLi coupled with the selected NAND cell unit 14i is equal to the selection gate control signal transmitted by the selection gate control line SG1. In response to the conduction state, it is transmitted to the selected transistor M8 through the remaining transistors M1 to M7. At this time, as the second selection transistor QS2 is also turned on, the second selection transistor QS2 is transferred to the transistor M8. At this time, as the second select transistor QS2 is also turned on, the drain of the transistor M8 is connected to the substrate voltage Vss, and the word line WL8 is set to, for example, the substrate total Vss, that is, 0V. Carrier, in this case, electrons are injected into the floating gate 18-1 by tunneling from the drain 58 of the transistor M8, and the electron accumulation in the floating gate 18-8 is a cell transistor ( This means that data is recorded in M8). The remaining cell transistors M7, ..., M2, M1 are subjected to the data write operation in a similar manner to the above.

이에 대해, 데이터의 소거는 NAND셀 트랜지스터의 부유게이트에 누적된 전자를 선택적인 방식 또는 일괄적인 방식으로 방출시킴으로써 수행되는바, 이 데이터소거모드에서 예컨대 선택된 셀트랜지스터(M2)를 포함하는 선택 NAND셀 유니트(14i)와 결합된 비트선(BLi)에는 0V전압이 공급되는 반면, 선택된 셀트랜지스터(M2)의 제어게이트전압(18-2)에 접속된 워드선(WL2)에는 20V정도의 하이레벨전압이 일제히 공급된다. 이러한 전압의 공급에 따라 부유게이트(18-2)에 축적된 전자가 실리콘기판으로 방출되는데, 이러한 방식이 선택적인 데이터소거모드이다. 이에 대해, 만일 모든 워드선(WL1∼WL8)에 하이레벨전압이 인가되면, 상기한 전잔방출이 선택된 NAND셀 유니트(14i)에 포함된 모든 셀트랜지스터(M1∼M8)에서 동시에 수행되는데, 이 방식이 일괄적인 테이터소거모드이다. 또, 만일 선택적인 데이터소거동작이 NAND셀 트랜지스터(M)에 대해 순차적으로 수행되면, 이 방식은 순차적인 데이터소거모드라 칭해진다.On the other hand, the erasing of data is performed by emitting electrons accumulated in the floating gate of the NAND cell transistor in a selective manner or in a batch manner. In this data erasing mode, for example, the selected NAND cell including the selected cell transistor M2. While the 0V voltage is supplied to the bit line BLi coupled to the unit 14i, the high level voltage of about 20V is applied to the word line WL2 connected to the control gate voltage 18-2 of the selected cell transistor M2. This is supplied in unison. As the voltage is supplied, electrons accumulated in the floating gate 18-2 are emitted to the silicon substrate, which is a selective data erasing mode. On the other hand, if a high level voltage is applied to all the word lines WL1 to WL8, the above-mentioned full discharge is simultaneously performed in all the cell transistors M1 to M8 included in the selected NAND cell unit 14i. This batch data erasing mode. In addition, if the selective data erasing operation is performed sequentially with respect to the NAND cell transistor M, this method is called a sequential data erasing mode.

상기한 데이터기록/소거모드시 기판전위고정전극(72)은 접지전위(0V) 또는 부극성 값의 저전위로 미리 설정된 전위를 갖는 특정한 전압으로 일정하게 고정되는 바, 이러한 전압설정에 따르면, 만이 기판전압(Vss)이 터널링 전류의 유동 예컨대 선택된 NAND셀 트랜지스터(14)의 부유게이트(18)와 실리콘기판(12) 사이의 터럴링에 의한 전자의 전송에 기인해서 변화하더라도, 상기 기판전위고정전극(72)은 미리 설정된 일정한 전압으로 유효하면서 안정하게 설정될 수 있다. 만일 기판전압(Vss)의 변동이 있더라도, 원칙적으로 상기 기판전위고정전극(72)에 의해 유효하게 흡수됨과 더불어, 상기 기판전위고정전극(72)과 접속된 채널스토퍼영역(78)에 의해 보조적으로 흡수된다. 그 결과, 기판전압(Vss)의 불필요한 증가가 억제되거나 배제되어 EEPROM(10)의 동작여유에 대한 확장을 최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전위고정전극(72)에 대한 일정한 전압의 적용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방법이 채용가능한 바, 한편으로는 상기 기판전위고정전극(72)에 예컨대 EEPROM(10)의 데이터억세스모드를 통한 일정한 특정전압 즉 기판전압(Vss)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특정전압(Vss)이 데이터기록/소거모드시에 특정되는 일정한 간격이나 가변적인 간격으로 상기 기판전위고정전극(72)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기판전위고정”특징에 관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전압(Vss)이 일정한 전압으로 안정하게 유지되므로, 고집적 EEPROM에서 보다 증가되는 실리콘기판(12)의 전위변동이 데이터소거 및 기록모드시 효과적으로 제거되어, “표면브레이크다운”을 포함한 전압브레이크다운현상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ERROM의 동작여유를 최대화할 수 있으므로, 높은 신뢰성의 양호한 데이터기록/소거동작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전압(Vss)을 안정하게 하기 위한 별도의 층으로서 기판전위고정전극(72)이 실리콘기판(12)상에서 2개의 인접하는 NAND셀 유니트[14i, 14(i+1)]사이에 규정되는 필드영역에 위치됨과 더불어, 접촉구멍(74)은 선택게이트제어선(SG1)으로서 작용하는 2층 선택게이트전극의 상부 제어게이트층(42)과 하부의 부유게이트층(40)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접촉층(70)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바꾸어 말하면, 기판전압을 안정하게 하기 위한 별도층의 구성은, 본래 어떤 층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하지 않는 “이용불가공간(dead space)”에 형성되는 바, 이는 기판전위 고정전극(72)의 부가시 제한된 크기의 실리콘기판(12)상에서 별도의 표면공간이 근본적으로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실시예는 제 7도와 제 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는 바, n형 실리콘기판(90)이 통상 “웰영역”으로 칭해지는 영역으로 형성된 p형 반도체층(92)에 사용된다. 또 제 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NAND셀 유니트(14)는 웰영역(92)에 형성된 메모리셀 트랜지스터(M1~M8)와 제1선택트랜지스터(QS1) 및 제2선택트랜지스터(QS2)의 직렬회로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전위고정전극(72)은 p+층(76)과 채널스토퍼층(78)을 매개해서 NAND셀 유니트(14)의 데이터 기록 또는 소거동작에 기인해서 터널전류가 흐르게 되어 웰전위(Vw; w는 “웰”을 의미함)가 변화하는 웰영역(92)에 접속되는 바, 이러한 웰전위의 변동이나 불안정은 기판전위고정전극(72)을 설계·사용함으로써 완전하게 보상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전위고정전극층은 웰전위(Vw)와 같거나 부극성의 저전압으로 될 수 있는 미리 선정된 전압으로 설정되도록 웰영역(92)의 전위(Vw)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이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전위고정전극층은 “웰전위 고정전극”으로 칭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1 및 제2선택트랜지스터(QS1,QS2)의 어느 하나 또는 양 선택트랜지스터의 2층 선택게이트층구조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상부 및 하부의 다결정실리콘 게이트층(42,40)은 제3도에 명백히 나타낸 접촉층(70)과 같이 어떠한 접촉층의 사용없이 상호 직접 접촉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EEPROM의 상부면 구성은 비트선층(16)과 기판전위고정전극(72)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 동일한 높이로 위치할 수 있도록 편탄하에 만들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특별히 다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각 비트선(BLi)에 대한 접촉구멍(64)은 기판전위고정전극(72)에 대해 증가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워드선의 연장방향을 따라 약간 이동하여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명백하게 본 발명은 이상에서 개시한 NAND셀형 EEPROM 뿐만 아니라, NOR형 EEPROM이라던지 FLOTOX형 메모리셀구조를 갖춘 EEPROM, 자외선소거형 PROM 등과 같은 다른 여러가지 형태의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원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 구성요소에 병기한 도면에 대응하는 참조부호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한정할 의도로 병기한 것은 아니다.In the data recording / erasing mode,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is constantly fixed to a specific voltage having a preset voltage at a ground potential (0 V) or a low potential of negative polarity. According to this voltage setting, only the substrate Even though the voltage Vss changes due to the flow of tunneling current, for example, due to the transfer of electrons by the turret between the floating gate 18 and the silicon substrate 12 of the selected NAND cell transistor 14, the substrate potential fixed electrode ( 72 can be set to be effective and stable at a predetermined constant voltage. Even if there is a variation in the substrate voltage Vss, in principle, it is effectively absorbed by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and assisted by the channel stopper region 78 connected to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Is absorbed. As a result, an unnecessary increase in the substrate voltage Vss can be suppressed or excluded, thereby maximizing the expansion of the operation margin of the EEPROM 10. Here, various methods may be employ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constant voltage to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Meanwhile,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may be fixed to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for example, through the data access mode of the EEPROM 10. A voltage, that is, a substrate voltage Vss is continuously supplied, and on the other hand, a specific voltage Vss is selectively supplied to the substrate potential fixed electrode 72 at a constant interval or at a variable interval specified in the data recording / erasing mode. Note that it can be suppli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substrate potential fixed” feature, since the substrate voltage Vss remains stable at a constant voltage, the potential variation of the silicon substrate 12 which is increased in the highly integrated EEPROM is effectively eliminated in the data erasing and recording mode. This eliminates voltage breakdown, including “surface breakdown”. Therefore, the operation margin of the ERROM can be maximized, so that a good data recording / erasing operation with high reliability can be provided. In the above embodiment,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has two adjacent NAND cell units 14i and 14 (i + 1) on the silicon substrate 12 as a separate layer for stabilizing the substrate voltage Vss. In addition, the contact hole 74 is located in the field region defined between the upper control gate layer 42 and the lower floating gate layer 40 of the two-layer select gate electrode serving as the select gate control line SG1. It is important to be formed adjacent to the contact layer 70 for interconnecting them. In other words, the configuration of a separate layer for stabilizing the substrate voltage is formed in a "dead space" which is not originally used to form any layer, which is the addition of the substrate potential fixed electrode 72. This means that a separate surface space is essentially not necessary on the silicon substrate 12 of limited size. Meanwhile, the embodiment can be changed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is used for the p-type semiconductor layer 92 in which the n-type silicon substrate 90 is formed of a region commonly referred to as a "well region". do. As shown in FIG. 7, the NAND cell unit 14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ctually includes the memory cell transistors M1 to M8, the first select transistor QS1 and the first transistors formed in the well region 92. FIG. It is formed to have a series circuit of two-selection transistor QS2.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has a tunnel current due to the data writing or erasing operation of the NAND cell unit 14 via the p + layer 76 and the channel stopper layer 78. FIG. The well potential (Vw; w means " well ") is connected to the well region 92 in which the well potential changes. The variation or instability of the well potential is completely reduced by designing and using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Can compensate. In this case, the substrate potential fixed electrode layer has a function of fixing the potential Vw of the well region 92 so as to be set to a predetermined voltage which may be equal to the well potential Vw or a negative low voltage. In an embodiment, the substrate potential fixed electrode layer may be referred to as a “well potential fixed electrode”. In addition, the two-layer select gate layer structure of one or both of the first and second select transistors QS1 and QS2 may be changed as shown in FIG. The polysilicon gate layers 42 and 40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the use of any contact layer, such as the contact layer 70 clearly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pper surface configuration of the EEPROM can be made under flattening so that the bit line layer 16 and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can be positioned at substantially the same height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lthough this invention was illustrated and demonstrated especially about some preferable embodiment, various changes and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technical summary and range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tact hole 64 for each bit line BLi may be slightly mov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word line to secure the increased space with respect to the substrate potential fixing electrode 72. Obvious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NAND cell type EEPROM described above, but also to other types of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such as a NOR type EEPROM, an EEPROM having a FLOTOX type memory cell structure, and an ultraviolet erasing type PROM. . On the other hand, the reference numerals corresponding to the drawings in parallel with each component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intention to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not one.

Claims (18)

반도체 지지층(12,92)과, 이 반도체 지지층(12,92) 상에 형성된 병렬 데이터전송선(BL) 및, 이 데이터전송선(BL)의 임의의 비트선(16,BLi)에 결합된 프로그래머블 메모리셀(M1,M2,…,M8)의 어레이를 포함하는 메모리셀부를 구비한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에 있어서, 상기 NAMD형 셀 유니트가 데이터 기록/소거동작에 들어가 있는 중의 적어도 선택된 기간에 상기 반도체 지지층(12,92)에 인가되고 있는 소정의 정전압을 받아 들이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임의의 데이터전송선(16,BLi)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전위고정수단(72)이 상기 반도체 지지층(12,92)상에 절연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Programmable memory cells coupled to the semiconductor support layers 12 and 92, parallel data transfer lines BL formed on the semiconductor support layers 12 and 92, and arbitrary bit lines 16 and BLi of the data transfer lines BL.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memory cell portion including an array of (M1, M2, ..., M8), said semiconductor support layer (10) in at least a selected period during which said NAMD cell unit enters a data write / erase operation. In order to accept a predetermined constant voltage applied to the 12,92, a potential fixing means 72 positioned adjacent to the arbitrary data transfer line 16, BLi is provided on the semiconductor support layers 12,92.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insul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셀이 제어게이트를 갖춘 소정 개수의 데이터저장 트랜지스터(M1∼M8)와 스위칭 트랜지스터(QS1)의 직렬회로를 구비한 NAND형 셀 유니트(14i)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2. The memory cell of claim 1, wherein the memory cell comprises a NAND cell unit 14i having a series circuit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data storage transistors M1 to M8 and a switching transistor QS1 having a control gat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위고정수단(72)이, 전기적으로 반도체 지지층(12,92)에 접속되면서 상기 임의의 데이터전송선(16,BLi)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반도체 지지층(12,92)상에 절연적으로 제공되는 도전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The semiconductor support layer (12,92)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tential holding means (7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support layers (12,92) and positioned adjacent to the arbitrary data transfer lines (16, BLi).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ductive layer provided on the insulating lay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이 상기 반도체 지지층(12,92)에 고정적으로 접속되고 데이터기록모드나 데이터소거모드시에 상기 소정의 정전압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4.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said conductive layer is fixedly connected to said semiconductor support layer (12,92) and is set to said predetermined constant voltage in a data recording mode or a data erasing mod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72)이 형성되는 적층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반도체 지지층이, NAND형 셀 유니트가 형성되는 표면부를 갖춘 반도체기판(1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4.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the semiconductor support layer having a stacked region in which the conductive layer 72 is formed comprises a semiconductor substrate 12 having a surface portion on which a NAND cell unit is formed. Memor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72)이 형성되는 적층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반도체 지지층이, 제 1도전형의 반도체기판(12)과, 상기 NAND형 셀 유니트가 형성되는 표면부를 구비하고서 상기 반도체기판(12)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 웰영역(92)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4. The semiconductor support lay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emiconductor support layer having a stacked region in which the conductive layer 72 is formed includes a first conductive semiconductor substrate 12 and a surface portion on which the NAND cell unit is formed. And a semiconductor well region (92) formed on said semiconductor substrate (12).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12)과 동일한 도전형을 가지면서 상기 적층영역의 상기 반도체기판(12)내에 형성되어 상기 NAND형 셀 유니트(14)에 대한 채널 스토퍼층으로 기능하는 반도체층(78)과, 상기 반도체층(78)에 접속된 도전층(7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The semiconductor device of claim 5, where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has the same conductivity type as the substrate 12 and is formed i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in the stacked region, and functions as a channel stopper layer for the NAND cell unit 14. And a conductive layer (70)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ayer (7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78)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기판(12)과 동일한 도전형인 고농도로 도우프된 반도체층(76)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체층(70)은 상기 고농도로 도우프된 반도체층(78)과 접촉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8. The semiconductor device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emiconductor layer 76 form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78 and heavily doped with the same conductivity type as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contact with a heavily doped semiconductor layer (7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72)은 2개의 인접하는 데이터전송선(BL)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7.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72)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data transfer lines (BL).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72)은 2개의 인접하는 데이터전송선(BL) 사이마다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7.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72) is formed between two adjacent data transfer lines (BL).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데이터저장 트랜지스터(M)는 상기 기판(12)위에 절연적으로 설치된 캐리어저장층(41)을 갖고 있고,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SD)는 선택게이트를 구비하고서 상기 데이터저장 트랜지스터(M)의 직렬회로와 대응하는 데이터전송선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7. The data storage transistor (M) according to claim 5 or 6, wherein each data storage transistor (M) has a carrier storage layer (41) provided on the substrate (12) insulated. And a data link between the serial circuit of the data storage transistor (M) and a corresponding data transfer l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S1)는 상기 반도체기판(12)위에 절연적으로 배치된 제1도전층(40)과, 상기 제 1층(40)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층(4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속되는 제 2도전층(42)을 구비한 2층 게이트전극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switching transistor QS1 is disposed on the first substrate 40 and the first conductive layer 40 insulated from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And a two-layered gate electrode having a second conductive layer (42) at least partly connected thereto.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층 게이트전극을 따라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층(40)을 상기 제2층(40)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접촉수단(70)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 contact means (70)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two-layer gate electrod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layer (40) with the second layer (40).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40)과 상기 캐리어저장층(18)은 상기 반도체기판(12)위에 절연적으로 배치된 제1다결정반도체층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15.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as claimed in claim 13, wherein the first layer (40) and the carrier storage layer (18) are formed in a first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layer insulatedly disposed on the semiconductor substrate (12). Memory.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42)과 상기 제어게이트층(20)은 상기 제1다결정반도체층위에 절연적으로배치된 제2다결정층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15.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said second layer (42) and said control gate layer (20) are formed in a second polycrystalline layer insulatedly disposed on said first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layer. Devic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수단은 상기 제2다결정반도체층위에 위치된 제3다결정반도체층내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층(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16.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5, wherein said contact means comprises a contact layer (70) formed in a third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layer located on said second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layer.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72)은 상기 접촉층(70)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겹쳐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17.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72) is at least partially overlapped with the contact layer (7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층(72)은 상기 접촉층(70)위에 절연적으로 배치된 층부를 갖춘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휘발성 반도체기억장치.18. The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7, wherein the conductive layer (72) is made of a metal layer hav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on the contact layer (70).
KR1019900008664A 1989-06-13 1990-06-13 Non-vocat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voltage stabilizing electrode KR013054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50186 1989-06-13
JP15018689A JP2944104B2 (en) 1989-06-13 1989-06-13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986A KR910001986A (en) 1991-01-31
KR0130548B1 true KR0130548B1 (en) 1998-04-08

Family

ID=1549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664A KR0130548B1 (en) 1989-06-13 1990-06-13 Non-vocat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voltage stabilizing electrod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944104B2 (en)
KR (1) KR0130548B1 (en)
DE (1) DE401897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3160A (en) * 1991-04-25 1992-04-07 Hughes Aircraft Company Shunt regulator with tunnel oxide reference
KR100385230B1 (en) * 2000-12-28 2003-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programming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542701B1 (en) * 2003-11-18 2006-01-1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Method of measuring threshold voltage for a NAND flash memor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018977C2 (en) 1992-02-20
KR910001986A (en) 1991-01-31
JPH0316096A (en) 1991-01-24
JP2944104B2 (en) 1999-08-30
DE4018977A1 (en) 1991-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802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402373A (e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with electric field decreasing controller
US556842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n which selective transistors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respective memory cell units
US7939879B2 (en) Semiconductor device
US6285584B1 (en) Method to implement flash memory
KR960008739B1 (e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with an array of one-transistor
JPH0451917B2 (en)
JPH0343792B2 (en)
KR960016106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179427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voltage stabilizing electrode
JP4073525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9990036748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6744106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671399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2825407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7226490A (en) Semiconductor device
US6240021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mproved in readout operation
US5303184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having commonly used source or drain regions of floating gate type transistors
JP2647101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0130548B1 (en) Non-vocat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voltage stabilizing electrode
JP2809802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307229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tructure with superimposed bit lines and short-circuit metal strips
EP0647947B1 (en) Low voltage flash EEPROM X-cell using Fowler-Nordheim tunneling
US2023006418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950004865B1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nand cell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