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465B1 - 이상 전압 검출 수단을 갖는 소성기 - Google Patents

이상 전압 검출 수단을 갖는 소성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465B1
KR0130465B1 KR1019890015967A KR890015967A KR0130465B1 KR 0130465 B1 KR0130465 B1 KR 0130465B1 KR 1019890015967 A KR1019890015967 A KR 1019890015967A KR 890015967 A KR890015967 A KR 890015967A KR 0130465 B1 KR0130465 B1 KR 0130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reference voltage
input
de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787A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이경훈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훈,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경훈
Priority to KR1019890015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465B1/ko
Publication of KR91001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04Constant-current suppl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Control Of Voltage And Current In General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재화성 전원의 일단을 재화성 조에 인가하고, 그 타단을 재화성 조내의 재화성 용액에 잠긴 소재에 인가하여 화성처리하는 소성기에 있어서, 상기 인가되는 재화성 전원의 이상 상태를 출력 표시하기위하여 상기 전원의 일단으로부터 전압과 상기 타단으로부터의 전압을입력받아 상기 전원으로부터의 전압변동이 발생할 경우 그 전압차를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전압차가 인가되는 한 입력단 및 설정된 기준전압값이 인가되는 타입력단으로 이루어지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으로부터의 전압변동 발생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단의 작동에 의해작동하며 출력 표시하는 구동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성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상 전압 검출 수단을 갖는 소성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변동 검출 수단을 갖는 소성기의 개략적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도의 실시예를도시하는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부 20 : 재화성조
30 : 검축부 35 : 비교기
본 발명은 재화성 전원을연가하여 재화성 용액중에서 소재의 화성 처리를수행하는 소성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성 처리중에 전압의 급격한 변동을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성기는 화성 처리한 펠릿(pellet)을 1치구 단위로, 1 사이클의 함침 및 소성을 행하는 장치로서, 상기 1 사이클의 공정은 재화성, 건조, 함침, 소성, 냉각으로 이루어지며, 1 사이클은 함침액의 종류별로설정된 횟수 만큼의 함침→소성→냉각→재화성→건조의 각 공정을 거치는 것으로 완료된다. 이러한 소성기를 이용하여 펠릿을 재화성시키는 공정중 화성처리시에 전압변동, 즉 전압 하강현상이 발생하면 재화성조에 잠긴 정밀을 요하는 소재, 예를들면 정밀도의 오차만을 허용하는 종류의 카페시터가 불량품으로 제조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한 상황은 시스템 및/또는 전원 불안정 등에 기인한 것으로 이를 검출하는 방법이나 장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성 처리중에 발생한 전압의 변동을 검출하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 검출된 결과를 표시 출력하는 전압 젼동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원의 변동을 검출하는 수단에 의해 전원의 변동 상태를 출력수단에서 경보를 울리거나 또는 램프로 점등 표시하도록 하였으며, 이를 다음과 같이 첨부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압 변동을 검출하는 소성기를 개략적으로도시하는도면으로서, 전원부(10)는 소재의 종류에 따라 0∼150V와 0∼1A의 전력을 공급한다.
재화성 용액을 담고 있는 재화성 조(20)는 상기 전원부(10)로부터 소재를 화성 처리하기 위한 재화성 전원을 인가 받으면 그 용액에 침잠된 소재를 화성 처리한다. 이때 검출수단(30)은 재화성조(20)에 인가된 전압을 계속적으로 감지하여 전압 변동, 즉 전압 하강 현상을 감지한다.
스위치 수단(50)은 상기 검출 수단(30)으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출력 구동부(60)를 온.오프시킨다.
상기 구동부(60)가 작동되면 출력부(70)에서 경보음등이 발생하여 조작자에게 전압 변동 사실을 알려 조치하게 한다.
이것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제2도가 상세회로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제2도에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비교기(35)의 기준전압을 5V로 가정한다.
상기 비교기(35)의 반전(-)단자에는 전원부(10)의 한라인과 제너 다이오드(Z1)를 통하여 타전원 라인이 접속되어 있으며, 비교기의 비 반전단자(+)에는 입력된 교류 전원을 받아 정류된 직류전압을 발생하는 정류 회로(40)를 통하여 전압이 인가되는데, 이 전압은 분배 저항(R2)과 (R3)에 의해 분배되고 제너 다이오드(Z2)에 의해 항시 일정한 기준전압(+5)이 인가되게 구성된다.
비교기(35)의 반전 단자(-)에는 전원부(10)로부터 재화성조(20)로 공급되는 재화성 전압이 계속적으로 인가되는데, 그동안 전원부의 이상 또는 시스템의 불안정 등에 의해 재화성조에서 처리될 소재의 불량을 야기하는 전압변동, 즉 전압이 하강할 때 비교기(35)는 비 반전단자(+)의 기준 전압과 반전 단자(-)에 입력되는변동 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된 검출 전압에 의해 출력 신호를발생한다. 출력된 하이(high)상태의 신호는 저항(R7)을 통해 다이오드(D1)를도통시킨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의베이스에 전류가 흐르게 되어 트랜지스터(TR)가 통전하면 구동부(60)의 릴레이(CR1)이 작동하여 출력부(70)에서 경부 장치 또는 점등 표시로전압변동을 알리게 된다.
그러나, 비 반전단자(+)에 인가된 기준 전압보다 전원부(10)로부터의전압이 클 경우에는 제너다이오드(Z1)에 의해 반전단자(-)에는 일정한 -5ㅍ의 전압이 인가되어 비교기(35)의 출력이 로우(LOW) 상태를 나타낼 것이다. 이것은 상기 설명된 구성에 의하여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전자에게 명백한 사실이며, 따라서 다이오드(D1)에 역방향 전압이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TR)이도통되지 않고 정보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도면에서 설명되지 않은 정류 회로(40)에서의 (45)는 전압 안정화 회로이고, 캐패시터(C2)과 (C1)는 각기 교류 전압의 평활용 및 트랜지스터 보호용 캐패시터이며, 다이오드(D2)는 역기전력의 발생으로 인한 릴레이(CR1) 보호용 다이오드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압 변동 검출 수단을 갖는 소성기에 의하여 화성 처리되는 소재의 불량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잇점이 제공된다.

Claims (2)

  1. 재화성 전원의 일단을 재화성조에 인가하고, 그 타단을 재화성조내의 재화성 용액에 잠긴 처리될소재에 인가하여 화성 처리하는 소성기에 있어서, 상기 인가되는 재화성 전원의 이상 상태를 출력표시하기 위하여상기 전원의 일단으로부터의 전압과 상기 타단으로부터의전압을 입력받아 상기 전원으로 부터의전압 변동이 발생할 경우 그 전압차를 설정된 기준 전압값과 비교하여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전압자가 인가되는 한 입력단 및 설정된 기준 전압값이 인가되는 타입력단으로 이루어지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으로부터의 전압변동 발생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스위치 수잔의 작동에 의해 작동하며 출력 표시하는 구동부 및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의 한 입력단에는 전원부의 이상 전압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기준전압 이상의 저압이 인가될 때 기준 전압을 초과하지 않는 기준 전압이하가인가되게 해주는 정전압 장치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비교 수단의 타 입력단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은 외부 전원이 입력된 정류회로로부터 발생된 전압을항시 일정한 값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한 정전압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소성기.
KR1019890015967A 1989-11-04 1989-11-04 이상 전압 검출 수단을 갖는 소성기 KR0130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5967A KR0130465B1 (ko) 1989-11-04 1989-11-04 이상 전압 검출 수단을 갖는 소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5967A KR0130465B1 (ko) 1989-11-04 1989-11-04 이상 전압 검출 수단을 갖는 소성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787A KR910010787A (ko) 1991-06-29
KR0130465B1 true KR0130465B1 (ko) 1998-04-09

Family

ID=19291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967A KR0130465B1 (ko) 1989-11-04 1989-11-04 이상 전압 검출 수단을 갖는 소성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4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521B1 (ko) * 2004-02-20 200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787A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53678B (zh) 变换器装置
KR950011993A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30465B1 (ko) 이상 전압 검출 수단을 갖는 소성기
US5276292A (en) Operation check device of dynamic brake circuit for elevator
KR20010001187A (ko) 자동 전압 전환장치
KR200170589Y1 (ko) 인버터세탁기의 이상전압감지회로
US51025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vering metals from solutions
CA2450918A1 (en)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one low-pressure discharge lamp and operating device for at least one low-pressure discharge lamp
JPH0723034Y2 (ja) 三相整流回路の欠相検出装置
JPH0442643B2 (ko)
KR970003351Y1 (ko) 지티오(gto)의 구동에러 검출장치
KR100283898B1 (ko) 인버터 세탁기의 직류링크단 전압감지를 통한 회생제동장치
KR890007768Y1 (ko) 교류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KR950005728A (ko) 엘리베이터용 전원 캐패시터의 정전용량 이상 검출장치
JPH04266A (ja) 整流装置の直流電流制御装置
CN212435601U (zh) 一种电子式稳压电源的输出控制装置
JPS6412813A (en) Power device for dc stabilization
KR0155104B1 (ko) 전원공급장치의 이상전압 보호회로
KR920007551B1 (ko) 인버터식(inverter type) 저항 용접기
JPS6219322A (ja) ワイヤ放電加工用電源装置
KR970004701Y1 (ko) 정수기의 급수 제어장치
KR830001046B1 (ko) 탭반(Tap 盤)
JPH0560804A (ja) 直流スイツチング電源の入力交流電圧低下検出方法及び装置
KR20130032120A (ko) 리프팅 마그네트 제어장치용 정전 및 결상 검출회로
JP2004015874A (ja) 電動機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