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802B1 -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반화소(half pel)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 - Google Patents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반화소(half pel)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802B1
KR0129802B1 KR1019940000775A KR19940000775A KR0129802B1 KR 0129802 B1 KR0129802 B1 KR 0129802B1 KR 1019940000775 A KR1019940000775 A KR 1019940000775A KR 19940000775 A KR19940000775 A KR 19940000775A KR 0129802 B1 KR0129802 B1 KR 012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signal
output
output terminal
pix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4588A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00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802B1/ko
Publication of KR950024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4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implementation details or 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or decompression, e.g. dedicated software implementation
    • H04N19/43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motion estimation or compensation
    • H04N19/433Hardware specially adapted for motion estimation or compensation characterised by techniques for memory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시 각 단계별로 움직임벡터의 수평 또는/ 및 수직방향의 이동을 고려하여 수행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처리시간을 단축시킨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회로는 소정의 화소단위로 움직임벡터의 수평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와 수직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 의 논리상태에 따라 메모리뱅크로부터 시리얼하게 전송되는 화소데이터가 해당되는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을 위한 구조로 배열되도록 화소데이터에 대한 디멀티플렉싱을 하는 디멀티플렉서 소정의 화소단위로 수평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와 수직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의 논리상태에 따라 반화소 단위의 움직임보상시 서로 연산대상이 되는 화소데이터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해당되는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전송되는 화소데이터를 설정된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전송하는 딜레이 체인기: 및 소정의 화소단위로 수평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와 수직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의 논리상태에 따라 1번의 가산동작으로 해당 연산동작이 수행되도록 해당 가산연산동작을 결정하고, 지연 체인기로부터 동시에 전송된 소정의 화소데이터들에 대해 결정된 가산연산동작에 따라 연산한 값을 반화소 움직임 보상된 값으로 출력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반화소(half pel)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
제1도는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종래의 반화소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에 대한 상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를 구비한 영상압축 장치의 개략적인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화소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의 상세 블럭도.
제4도는 움직임벡터가 수평방향으로 이동시 제 3 도에 의한 반화소 움직임보상회로의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도.
제5도는 움직임벡터가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제 3 도에 의한 반화소 움직임보상회로의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도.
제6도는 움직임벡터가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모두 이동시 제 3 도에 의한 반화소 움직임보상회로의 시뮬레이션 결과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0 : 역이산여현변환부(IDCT) 20 : 가산기
30 : 반화소 움직임보상회로 31 : 디멀티플렉서
32 : 딜레이 체인기 33 : 가산부
40 : 메모리 뱅크
본 발명은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움직임벡터의 수평 또는/및 수직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처리시간을 단축시킨 움직임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1980년대 들어오면서 화상처리 및 통신을 위한 기술들이 비약적으로 발전되었다. 이에 따라 수 MIPS에 달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등장하게 되었고, 음성이나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디지털 처리기술이 개발되었으며, 화상정보와 같은 대규모의 정보(보통 용지크기에 기록된 텍스트정보는 대략 수 K 바이트에 해당하는데 비하여 컴퓨터화면에 표시되는 자연색의 화상정보는 수백K 바이트 정도의 용량을 필요로 한다)를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의 하드 디스크나 CD-ROM이 등장하게 되었을 뿐 아니라 LAN(근거리 통신망)이나 ISDN(종합정보 통신망)과 같은 고속으로 데이타를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상술한 기술들을 응용기술들이 속속 제시되었다. 즉, 중앙에 보관된 화상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검색한다든지, 화상회의를 통하여 멀리 떨어진 사람들과 회의를 진행하는 등의 새로운 화상통신 서비스들이 그 예이다.
이와같은 화상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술중의 하나는 화상정보를 압축하는 기술이다.
현재 CCITT(International Telegraph and Elephlne Consultative Committe)나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에서 이에 대한 표준화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JBIG(Joint Bi-level Image experts Group),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t),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등에서도 이에 관련된 표준화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중 MPEG은 동영상정보를 부호화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즉, 동화상이 프레임과 프레임사이에 존재하는 정보의 중복성을 고려하여 보다 높은 압축율을 얻기위한 동영상 부호화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MPEG의 영상 압축기술은 크게 두가지 기술을 바탕으로 한다. 즉, 시간상의 중복성을 줄이기 위한 블럭단위의 움직임 보상기술과 공간상의 중복성을 줄이기 위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기준 압축 알로리즘이 그것이다. 움직임 보상기술은 순수 예측 보호화와 보간 보호화 기법을 이용하고 있으며, 움직임 보상에 의하여 검출된 예측 오류는 DCT 알고리즘에 적용되어 압축된다. MPEG에 의한 움직임 보상기술은 처음에 정수(integer) 단위로 수행되는 것이 발표되었으나, 최근에 반화수(half pel) 단위로 처리되는 것이 제안되었다.
제1도는 MPEG이론을 기반으로하여 기존에 제안된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의 상세회로도이다. 제1도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8비트로 표현된 화소데이터가 인가되면, 플립플롭(1), 제 1 가산기(4) 및 멀티플렉서(8)의 a입력단자로 전송된다. 플립플롭(1)은 인가된 1화소 데이터를 1 클럭기간동안 지연시킨뒤 출력한다. 출력된 1화소 데이터는 딜레이 체인(delay chain)부(2) 및 제 1 가산기(4)로 전송된다.
제 1 가산기(4)에서는 현재 입력되는 입력데이타(Din)와 플립플롭(1)에 의해 1클럭기간 지연된 데이타를 가산하는데, 이 제 1 가산기(4)의 동작에 의해 수평방향 의 반화소값이 된다.
제 1 가산기(4)의 출력은 멀티플렉서(8)의 b입력단자 및 제4 가산기(7)로 각각 전송된다.
멀티플렉서(8)는 수평방향(Hor)신호가 액티브 '하이' 상태로 인가될 때, b 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제 1 가산기(4)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한다.
한편, 딜레이 체인부(2)는 필드 구조를 기준으로 반화소값을 계산하기 위하여 두개의 라인을 저장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입력신호에 대해 17 클럭기간동안 지연한 후 출력한다. 출력된 데이터는 플립플롭(3), 제 2 가산기(5) 및 제 3 가산기(6)로 각각 전송된다.
제 3 가산기(6)는 수직방향의 반화소값을 계산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인가되는 입력데이타(Din)와 딜레이 체인부(2)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가산하여 멀트플렉서(8)의 c입력단자로 출력한다.
멀티플렉서(8)는 수직방향(Ver)신호가 액티브 '하이' 상태로 인가될 때, C 입력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제 3 가산기(6)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한다.
제 2 가산기(5)는 딜레이 체인부(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와 플립플롭(3)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출력된 데이터는 제 4 가산기(7)로 전송된다.
제 4 가산기(7)는 수평 및 수직방향의 화소에 대한 반화소값을 계산하기 위하여 제 1 가산기(4)에서 출력된 값과 제 2 가산기(5)에서 출력된 값을 가산하여 출력한다.
제 4 가산기(7)에서 출력된 값은 멀티플렉서(8)의 D 입력단자로 전송된다. 멀티플렉서(8)는 수평방향(Hor)신호와 수직방향(Ver)신호가 모두 액티브 '하이'상태로 인가될 때 D 입력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제 4 가산기(7)의 출력신호를 선택하여 전송한다.
또한 멀티플렉서(8)는 수평방향(Hor)신호와 수직방향(Ver)신호가 모두 '로우' 상태로 인가될 때에는 A 입력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입력데이타(Din)를 선택하여 전송하도록 동작된다.
라운드(Rount)부(9)는 멀티플렉서(8)로부터 제1 가산기(4) 또는 제 3 가산기(6)의 출력값이 전송될 때에는 전송된 값을 2로 나눈값을 Dout 으로 출력하고, 제 4 가산기(7)의 출력값이 전송될 때에는 전송된 값을 Dout으로 출력하도록 동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반화소 움직임보상회로는 필드구조를 기준으로 구성되어, 딜레이체인부에 구비되는 체인고리가 길고, 수평 및 수직방향의 반화소값 계산시 2단계의 가산과정을 거쳐 상대적으로 반화소 움직임 보상처리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반화소 단위의 움직임보상시 각 단계별로 움직임벡터의 수평 또는 / 및 수직방향의 이동을 고려하여 수행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처리시간을 단축시킨 반화소단위의 움임보상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화소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는 소정 블록단위로 역이산여현변환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픽쳐구조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뱅크를 구비한 영상압축장치의 반화소 단위 움직임보상회로에 있어서, 소정의 화소단위로 움직임벡터의 수평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와 수직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의 논리상태에 따라 메모리뱅크로부터 시리얼하게 전송되는 화소데이터가 해당되는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을 위한 구조로 배열되도록 화소데이터에 대한 디멀티플렉싱을 하는 디멀티플렉서: 소정의 화소단위로 수평방향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와 수직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의 논리상태에 따라 반화소 단위의 움직임 보상시 서로 연산대상이 되는 화소데이터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해당되는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전송되는 화소데이터를 설정된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전송하는 딜레이 체인기: 및 소정의 화소단위로 수평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와 수직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의 논리상태에 따라 1번의 가산동작에 의해 해당 연산동작이 수행되도록 해당 가산연산동작을 결정하고, 지연 체인기로부터 동시에 전송되는 소정의 화소데이터들에 대해 결정된 가산연산동작에 따라 연산한 값을 반화소 움직임 보상된 값으로 출력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화소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를 구비한 영상압축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소정단위의 영상신호가 인가되면 이산여현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DCT라고도 함)되기 이전의 신호로 복원하기 위하여 역이산여현변환을 하는 역이산여현변환부(inverse DCT)(10), 역이산여현변환부(10)의 출력신호와 반화소 움직임보상부(30)의 출력신호간의 차분펄스코드변도(DPCM)된 데이터를 구하기 위하여 상술한 2 출력신호를 가산하는 가산기(20), 가산기(21)의 출력신호를 픽쳐구조(I,P,B프레임구조)로 각각 저장하는 메모리 뱅크(40), 및 움직임보상을 위해 메모리뱅크(40)롤부터 독출된 데이터를 입력신호로 하여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처리를 하여 가산기(20)로 출력하는 반화소 움직임보상부(30)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반화소 움직임보상회고(30)의 상세 블록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의 상세 블록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화소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는 움직임벡터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Hor신호와 수직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Ver 신호의 조건에 따라서 클럭신호에 동기되어 인가되는 입력데이타(data in)를 해당되는 반화소 움직임 보상을 위한 배열로 재배열하기 위하여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31), Hor신호와 Ver신호의 조건에 따라 디멀티플렉서(31)의 각 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되는 화소데이터들에 대하여 상호연산처리된 화소데이터 같은 시점에 전송될 수 있도록 지연처리를 하는 지연체인기(32), 지연체인기(32)의 각 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대하여 Hor 신호와 Ver신호의 조건에 따라 소정의 연산처리를 하여 해당하는 반화소 움직임 보상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가산부(33)로 구성된다.
여기서 디멀티플렉서(31)로 인가되는 입력데이터는 제2도의 메모리뱅크(40)로부터 독출된 데이타이고, 가산부(33)로부터 출력되는 신호(data out)는 제2도의 가산기(20)의 일측 입력단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반화소 움직임 보상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먼저, 움직임 벡터가 수평방향으로만 이동이 이루어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Hor신호가 '하이'상태로 전송되고 Ver 신호가 '로우'상태로 전송되면, 디멀티플렉서(31)는 클럭신호(CLK)에 동기되어 인가되는 8비트의 입력데이타(data in)가 ‘ a ’출력단자와 ‘ b ’출력단자를 통해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즉, 제4도의 데이터 입력 라인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서(93, 21, 99, 32,...)로 데이터가 입력되면, 디멀티플렉서(31)는 'a'출력단자를 통해 '93, 99, 45,...'순으로 데이타를 출력하고, 'b'출력단자를 통해 '21, 32, 61,...'순으로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동작된다. 이때, 역이산여현변환시 처리블럭이 8×8화소 단위인 경우에 디멀티플렉서(31)는 9화소단위로 동작된다. 따라서 9화소단위로 인가되는 Hor, Ver신호의 상태를 체크하여 전송상태를 제어하게 되는데, 처음 9개의 화소데이터 '93, 21, 99, 32, 45, 61, A3, C2, 69'인가시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만으로 이동이 이루어진 경우에 (Hor'이 하이상태로 인가된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a' 및 'b'출력단자를 통해 상술한 순서로 출력되도록 디멀티플렉싱한다.
그리고, 그 다음 9화소데이터 인가시 인가되는 Hor, Ver신호의 논리상태가 변경되지 않으면 계속해서 상술한 방식으로 인가된 화소데이터가 출력되도록 디멀티플렉싱을 한다. 그러나 인가되는 Hor, Ver신호의 논리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되는 상태에 따른 디멀티플렉싱동작을 수행한다.
디멀티플렉서(31)로 인가되는 Hor, Ver신호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Hor신호는 '로우'상태로 전송되고 Ver신호는 '하이'상태로 전송되면 디멀티플렉서(31)는 클럭신호(CLK)에 동기되어 제4도에서와 같은 순서로 인가되는 입력데이타가 A 출력단자와 C 출력단자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동작된다. 즉, 상술한 바와같이 9개 화소단위로 동작되는 경우에, 'a'출력단자를 통해 '93'부터 '69'까지 9개의 화소데이터를 출력하고, 'c'출력단자를 통해 'B5'부터 '23'까지 9개의 화소데이터를 출력하도록 디멀티플렉싱한다. 이와 같은 동작시, 디멀티플렉서(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가되는 Hor, Ver신호의 논리상태가 변경되면, 변경되는 상태에 따른 디멀티 플렉싱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움직임 벡터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모두 이동되어 인가되는 Hor 신호와 Ver 신호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하이'상태로 전송되는 경우에, 디멀티플렉서(31)는 클럭신호(CLK)에 동기되어 상술한 제4도 및 제5도와 같은 순서로 인가되는 입력데이타가 a, b, c, d 출력단자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9개의 화소단위로 동작되는 경우에, 처음 9개의 화소데이터는 'a'와 'b' 출력단자를 통해 상술한 수평 이동시와 같은 방식으로 디멀티플렉싱되어 출력되고, 다음 9개의 화소데이터는 'c'와 'd'출력단자를 통해 상술한 수평이동시와 같은 방식으로 디멀티플렉싱되어 출력된다.
지연 체인부(32)는 Hor, Ver 신호의 조건에 따라서 디멀티플렉서(31)의 a, b, c, d 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된 신호에 대하여 서로 연관성이 있는 화소데이터는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지연처리를 한다. 이로 인하여 지연 체인부(32)의 f와 g 출력단자를 통해 동시에 출력되는 데이터는 서로 1클럭주기의 잠복기(latency)를 갖는 화소데이터가 되고, h, i 출력단자는 통해 동시에 출력되는 데이터는 서로 9클럭주기의 잠복기를 갖는 화소데이터가 된다.
즉, 상술한 수평이동에 의하여 Hor신호가 '하이'상태로 인가되면, 디멀티플렉서(31)의 'a' 및 'b'출력단자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전송되는 화소데이터에 대하여 딜레이 체인부(32)는 'a'출력단자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화소데이터만을 1클럭 주기동안 지연되도록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a'출력단자로부터 화소데이터가 인가되면 1클럭주기동안 지연시키고, 'b'출력단자로부터 전송된 소정의 화소데이터가 인가되면 동시에 f 및 g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한다. 이 때 1클럭주기 지연된 화소데이터는 f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고, 지연되지 않은 화소데이터는 g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g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화소데이터는 g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g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화소데이터는 f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화소데이터에 대하여 1클럭주기 뒤에 입력된 화소데이터가 된다.
또한, 상술한 수직이동에 의하여 Ver신호가 '하이'상태로 인가되면, 디멀티플렉서(31)의 a,c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되는 소정의 화소데이터에 대하여 딜레이체인부(32)는 a 출력단자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9클럭주기동안 지연시킬 수 있도록 지연시간을 설정하여 지연시키고, c출력단자로부터 화소데이터가 전송될 때, 동시에 h, i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 때 9 클럭주기 지연된 화소데이터는 h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고, 지연되지 않은 화소데이터는 i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i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화소데이터는 h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화소데이터에 대하여 9클럭주기 뒤에 입력된 화소데이터가 된다.
그리고, 상술한 수평 및 수직방향 이동에 의하여 Hor신호와 Ver시니호가 모두 '하이'상태로 인가되면, 디멀티플렉서(31)의 a, b, c출력단자를 통해 상술한 구조로 전송되는 화소데이터에 대하여 딜레이 체인부(32)는 a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b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보다 1클럭주기동안 지연시키고, c 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d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보다 1클럭주기동안 지연시키고, a, b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c, d 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에 대하여 9클럭주기동안 지연시키도록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지연시간에 대한 입력된 화소데이터에 대한 지연이 이루어지면, f, g, h, i출력단자를 통해 동시에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g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 화소데이터는 f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 화소데이터보다 1화소 늦게 전송된 데이터가 되고, i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 화소데이터는 h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 화소데이터보다 1화소 늦게 전송된 데이터가 되며, h, i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 화소데이터는 f, g 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된 화소데치타보다 9화소 늦게 전송된 데이터가 된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딜레이 체인부(32)에 최대한 존재되는 체인은 10개가 된다. 그리고 상술한 지연시간설정은 9화소단위로 인가되는 Hor, Ver신호에 따라 이루어진다. 딜레이 체인부(32)에서 출력된 화소데이터들은 가산부(33)로 전송된다.
가산부(33)는 Hor 신호와 Ver신호에 따라 딜레이 지연기(3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연산하여 해당되는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된 값을 출력한다. 즉, Hor신호가 '하이'상태로 인가되면, 후술할 해당 가산연산동작을 결정하고, 지연 체인부(32)의 f, g 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된 2화소데이터에 대하여 화소단위로 가산하고 가산된 값을 '2'로 나눈 결과를 움직임보상된 값으로 출력한다.
또, Ver 신호가 '하이'상태로 인가되면, 가산부(33)는 후술할 해당 가산연산 동작을 결정하고, 지연 체인부(32)의 h, i 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되는 2화소데이터에 대하여 화소단위로 가산하고, 가산된 값을 '2'로 나눈 결과를 움직임보상된 값으로 출력한다.
한편, Hor 신호와 Ver 신호가 모두 '하이'상태인 경우에는 가산부(33)는 후술할 해당 가산연산동작을 결정하고, 지연 체인부(32)의 f, g, h, i 출력단자를 통해 전송된 신호를 화소단위로 가산하고, 가산된 값을 '4'로 나눈 결과를 움직임보상된 값으로 출력한다.
상술한 가산부(33)의 가산연산동작 결정은 9화소단위로 인가되는 Hor, Ver 신호의 논리상태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리고, 디멀티플렉서(31), 딜레이 체인부(32)와 가산부(33)는 리세트신호(RST)에 의해 리셋되어 동작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뱅크로부터 읽혀진 화소데이터를 움직이미벡터의 수평 및 수직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에 적합하도록 배열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 지연시간을 최소화하고, 연산대상이 되는 화소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여 연산이 이루어지는 가산단계를 1단계로 구성하여 전체적인 반화소단위 움직임보상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수리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3)

  1. 소정 블록단위로 역이산여현변환된 영상신호를 소정의 픽쳐구조로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뱅크를 구비한 영상압축장치의 반화소단위 움직임보상회로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뱅크로부터 9개 화소단위로 시리얼하게 전송되는 화소데이터를 해당되는 반화소단위의 움직임보상을 위한 구조로 배열하기 위하여, 움직임벡터의 수평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만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되면, 상기 메모리 뱅크로부터 상기 9개 화소단위로 전송되는 화소데이터중 홀수번째로 전송되는 화소데이터는 제1출력단자(a)를 통해 출력하고, 짝수번째로 전송되는 화소데이터는 제2 출력단자(b)를 통해 출력되도록 디멀티플렉싱하고, 상기 움직임벡터의 수직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만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되면, 홀수번째 라인의 상기 9개 화소단위의 데이터는 상기 제1 출력단자(a)를 통해 출력하고, 짝수번째 라인의 상기 9개 화소단위의 데이터는 제3 출력단자(c)를 통해 출력되도록 디멀티플렉싱하고, 상기 움직임벡터의 수평 및 수직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들(Hor, Ver)이 모두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되면, 홀수번째 라인의 상기 9개 화소단위의 데이타는 상기 제1 출력단자(a)와 제2 출력단자(b)를 통해 상기 수평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만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될 때와 같은 순서로 출력되고, 짝수번째 라인의 상기 9개 화소단위의 데이터는 상기 제3출력단자(c)와 제4출력단자(d)를 통해 상기 수평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만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될 때와 같은 순서로 출력되도록 디멀티플렉싱하는 디멀티플렉서:
    상기 9개 화소단위로 상기 수평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와 상기 수직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의 논리상태에 따라 상기 반화소 단위의 움직임보상시 서로 연산대상이 되는 화소데이터가 동시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해당되는 소정의 지연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디멀티플렉서의 제1 내지 제4 출력단자를 통해 각각 전송되는 화소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지연시간만큼 지연하여 전송하는 딜레이 체인기: 및
    상기 9개 화소단위로 상기 수평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와 상기 수직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의 논리상태에 따라 1번의 가산동작에 의해 해당 연산동작이 수행되도록 해당 가산연산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지연 체인기로부터 동시에 전송되는 소정의 화소데이터들에 대해 상기 결정된 가산연산동작에 따라 연산한 값을 반화소 움직임보상된 값으로 출력하는 가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화소단위 움직임보상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체인기는 상기 수평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만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되면 상기 디멀티플렉서의 상기 제1출력단자(a)와 제2출력단자(b)를 통해 전송되는 화소데이터간에 1클럭주기의 잠복기를 갖도록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수직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만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되면 상기 디멀티플렉서의 상기 제1 출력단자(a)와 제3 출력단자(c)를 통해 전송되는 화소데이터간에 9클럭주기의 잠복기를 갖도록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방향을 나타내는 신호(Hor, Ver)가 모두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되면, 상기 제1출력단자(a)와 제2출력단자(b)를 통해 전송되는 화소데이터간에는 1클럭주기의 잠복기를 갖도록 하고, 상기 제3 출력단자(c)와 제4 출력단자(d)를 통해 전송되는 화소데이터간에는 1클럭주기의 잠복기를 갖도록 하고, 제3출력단자(c) 및 제4출력단자(d)를 통해 전송되는 화소데이터에 대하여 제1 및 2 출력단자(a, b)를 통해 전송되는 화소데이터가 9클럭주기의 잠복기를 갖도록 상기 지연시간을 결정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화소단위 움직임보상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산부는 상기 수평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가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되면, 상기 1클럭주기의 잠복기를 통해 동시에 전송되는 2 화소데이터에 대하여 가산하고, 가산된 값을 2로 나누는 연산처리를 하도록 상기 가산연산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수직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Ver)가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되면, 상기 9클럭주기의 잠복기를 통해 동시에 전송되는 2화소 데이터에 대하여 가산하고, 가산된 값을 2로 나누는 연산처리를 하도록 상기 가산연산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의 이동을 나타내는 신호(Hor, Ver) 모두 액티브 논리상태로 인가되면, 1클럭주기의 잠복기와 9클럭주기의 잠복기를 거쳐 전송되는 4화소데이터에 대하여 가산하고, 가산된 값을 4로 나누는 연산처리를 하도록 상기 가산연산동작을 결정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화소단위 움직임보상회로
KR1019940000775A 1994-01-18 1994-01-18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반화소(half pel)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 KR0129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775A KR0129802B1 (ko) 1994-01-18 1994-01-18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반화소(half pel)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775A KR0129802B1 (ko) 1994-01-18 1994-01-18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반화소(half pel)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588A KR950024588A (ko) 1995-08-21
KR0129802B1 true KR0129802B1 (ko) 1998-04-11

Family

ID=19375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775A KR0129802B1 (ko) 1994-01-18 1994-01-18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반화소(half pel)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8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93B1 (ko) * 2008-03-25 2011-04-2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에이치 닷 264 표준에 근거한 디코더용 움직임 보상기 및 그 보간 연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493B1 (ko) * 2008-03-25 2011-04-29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에이치 닷 264 표준에 근거한 디코더용 움직임 보상기 및 그 보간 연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4588A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57676A (en) Digital video signal inter-block interpolative predictive encoding/decoding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high efficiency of encoding
TW245871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addressing of dram in a video decompression processor
JP4545250B2 (ja) 動きベクトルの格納および読出を用いることによりビデオ信号を符号化および解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970003102B1 (ko) 영상 복호기에서의 하프 픽셀 움직임 보상 회로
EP0585051B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H0837662A (ja) 画像符号化復号化装置
JPH05207460A (ja) 画像信号の多重化伝送装置及びシステム
US5430490A (en) Scanning format converting circuit using motion vectors
JPH089389A (ja) デジタルビデオ信号の並列復号化装置
JPH06225292A (ja) イメージデコーデングシステムのためのモジュールメモリ
KR100451584B1 (ko) 웨이블릿 변환과 움직임 추정을 이용한 동영상 부호화 및복호화 장치
US8644380B2 (en) Integer pixel motion estimation system, motion estimation system for quarter-pixel luminance, motion estimation system for quarter-pixel chrominance, motion estimation system for combined luminance, motion estimation system for combined luminance and chrominance, and motion estimation system for quarter-pixel luminance and chrominance
JP3352931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KR0129802B1 (ko) 영상압축장치에 있어서 반화소(half pel) 단위의 움직임보상회로
KR100252838B1 (ko) 화상처리 장치
JP3126576B2 (ja) 高画質テレビジョンの色差信号動ベクトル抽出方法および動き補償装置
KR100323235B1 (ko) 저 복잡도의 동영상 인코더 장치 및 방법
US6668087B1 (en) Filter arithmetic device
JP2946982B2 (ja) 画面分割符号化装置
KR0123090B1 (ko) 움직임 보상을 위한 어드레스 생성기
JP2862233B2 (ja) 情報伝送システム
JPH09261661A (ja) 2つの基準ピクチャから双方向コード化ピクチャを形成するための方法
ITPI990025A1 (it) Metodo di stima del moto in una sequenza video mediante tecnica diblock-matching con full search e architettura programmabile a bassa
KR100836534B1 (ko) 저전력 서브 픽셀 보간 블록 구조
KR0174464B1 (ko) 움직임 추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