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720Y1 - 정화조용 소포장치 - Google Patents

정화조용 소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720Y1
KR0129720Y1 KR2019950038249U KR19950038249U KR0129720Y1 KR 0129720 Y1 KR0129720 Y1 KR 0129720Y1 KR 2019950038249 U KR2019950038249 U KR 2019950038249U KR 19950038249 U KR19950038249 U KR 19950038249U KR 0129720 Y1 KR0129720 Y1 KR 0129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ir
septic tank
tank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2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978U (ko
Inventor
강대권
Original Assignee
강대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권 filed Critical 강대권
Priority to KR20199500382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720Y1/ko
Publication of KR9700389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9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7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1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화조내에서 오수나 분뇨가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기포를 물과 공기를 분사시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압축공기를 분사시켜 발생된 기포를 제거토록 하고는 있으나 이는 공기에 의해 일부만 제거될 뿐 미 제거된 기포가 유입된 공기에 의해 가스 배출구로 배출이 되어 정화조의 외부가 위생상, 미관상 좋지를 못하였고, 물을 압축분사시켜 발생된 기포를 제거토록 하고 있는 장치가 있으나 이 또한 외부의 물을 사용함으로 기포는 완전히 제거시킬 수는 있어도 정화조내에서 일정시간 동안 머물면서 부패되어 깨끗한 물로 배출되어야만 하는데 외부에서 유입된 물로 인해 정화조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짧아 제대로 정화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정화조내의 오수나 분뇨가 분해 정화된 물로서 수면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토록 미생물에게 공급하는 산소를 펌핑하는 에어펌프의 공기로 사용하여 물과 함께 분사시킴으로 별도의 시설이 필요하지 않고, 수압과 공압에 의해 정화된 물을 이송시켜 분사시킴으로서 정화된 물을 사용하여 정화효율을 높이고, 시설이 간편한 것이다.

Description

정화조용 소포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인입구
3 : 인출구 4 : 상판
7 : 유량조절탱크 8 : 제1정화탱크
9 : 제2정화탱크 10 : 제3정화탱크
11 : 에어펌프 14 : 14a) 공기공급관
15 : 15a) 수류공급관 16 : 분사관
17 : 노즐
본 고안은 정화조내에서 오수나 분뇨가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기포를 물과 공기를 분사시켜 제거하기 위한 정화조용 소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정화조내에서 오수나 분뇨가 부패하면서 발생하는 부패가스가 수면으로 상승하여 수면에 기포를 형성시켜 왔었다.
이같이 수면에 기포가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발생하여 정화조 외부로 누출이 됨으로서 정화조 외부가 누출된 기포에 의해 위생상 좋지를 못하였고, 또한 미관상에도 깨끗하지 못하게 되어 왔었다.
상기와 같이 오수나 분뇨의 부패시 발생하는 부패가스에 의해 생성되는 기포를 제거하는 소포장치로는 공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공기를 이용하는 방법은 압축 공기가 발생되는 기포의 상부에서 분사토록 하고 있으나 공기의 분사에 의해 기포가 일부는 제거되고 일부는 날아다니게 되어 날아간 기포가 가스 배출구로 가스와 함께 배출이 되어 위생상, 미관상 좋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외부의 물을 펌프로 퍼올려서 분사노즐로 발생된 기포의 상부에서 압축분사시키도록 하여 생성되는 기포를 완전히 제거시킬 수는 있으나 외부의 물을 사용함으로 물의 소비량이 많아지게 되었고, 물을 품어 올리는 펌프의 가동으로 인한 전기의 소모가 많게 되었으며, 외부의 물을 정화조내로 투입을 시킴으로 오수나 분뇨가 완전히 부패되어 깨끗하게 정화되기 전에 정화조에서 밖으로 배출이 됨으로서 완전히 정화되지 않은 오수나 분뇨에 의해 제2, 제3의 오염 발생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화조내의 최종 정화탱크내에 유입되어 완전히 정화된 물인 제3 정화탱크내의 중간부위인 중등수를 사용하고 미생물에 산소를 에어펌프의 일부공기로서 정화된 물을 품어 올려 분사시킴으로 발생된 기포를 제거시켜 위생상 깨끗하게 하고 외부의 물을 유입하지 않아 정화조에서 오수나 분뇨가 완전히 부패 정화하도록 하는데 주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개의 격벽(1a, 1b, 1c)을 일체로 형성하여 유량조절탱크(7), 제1정화탱크(8), 제2정화탱크(9) 및 제3 정화탱크(10)를 형성한 상부 양측으로 인입구(2)와 인출구(3)를 형성하는 본체(1)의 상부에 뚜껑(6)을 갖는 관찰구(5)을 일체로 형성하고 에어펌프(11)를 설치한 상판(4)을 설치하고, 에어펌프(11)에 설치되어 상판(4)을 관통 설치한 공급관(12)은 각각 유량조절탱크(7), 제1 정화탱크(8), 제2 정화탱크(9) 및 제3 정화탱크(10)의 하부에 설치한 분사노즐(13, 13a, 13b, 13c)에 연결 설치하며, 상판(4) 내측 저면에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한 다수개의 노즐(17)을 갖는 분사관(16)과 일체로 형성한 타측이 제3 정화탱크(10)의 중앙위치인 중등수가 인입될 수 있는 U자형으로 설치한 수류공급관(15)의 중앙부인 중등수가 인입될 수 있는 위치에 공기 공급관(14)의 일측끝이 연결 설치되어 구성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수류공급관(15a)의 일측끝이 제3 정화탱크(10)의 중앙부 위에 수직상태로 설치되고 공기 공급관(14a)의 일측끝이 수류공급관(15a)의 하부에서 삽입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생활오수나 화장실 변기의 배출관을 인입구(2)와 연결 설치하고, 인출구(3)를 하수구와 연결설치한 상태에서 생활오수나 분뇨가 인입구(2)를 통하여 유량조절탱크(7)로 인입되어 일정한 양만큼 적재되고, 일정한 양으로 적재되면 유량조절탱크(7)와 제1 정화탱크(8)간에 연결된 연결관(미도시됨)을 통하여 제1 정화탱크(8)로 유입이 된다.
제1 정화탱크(8)로 유입된 오수나 분뇨가 일정량 만큼 적재되면 제1 정화탱크(8)와 제2 정화탱크(9)간을 연결한 연결관(미도시됨)을 통하여 제2 정화탱크(9)로 오수나 분뇨가 제2 정화탱크(9)로 유입되고, 제2 정화탱크(9)에 일정한 양만큼 오수나 분뇨가 유입되면 제2 정화탱크(9)의 제3 정화탱크(10)간을 연결한 연결관(미도시됨)을 통하여 제3 정화탱크(10)로 유입이 된다.
이러한 연속적인 과정을 거치면서 미생물에 의해 오수나 분뇨가 부패정화되고, 제3 정화탱크(10)에서는 오수나 분뇨가 완전히 부패정화되어 깨끗한 상태의 물로 인출구(3)를 통하여 하수구로 유입이 된다.
그리고 에어펌프(11)에 의해 펌핑된 공기가 공급관(12)을 통하여 분사노즐(13, 13a, 13b, 13c)로 공급되어 분사노즐(13, 13a, 13b, 13c)에 의해 공기가 분사되어 오수나 분뇨를 분해시키는 미생물에게 산소를 공급시켜 줌으로서 미생물의 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함으로 오수나 분뇨의 정화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오수나 분뇨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생성되는 부패가스와 분사노즐(13, 13a, 13b, 13c)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 기포가 수면상부로 적재가 되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펌프(11)에 의해 펌핑된 공기가 공기 공급관(14)을 통하여 0.4kg의 압력으로 공급하면 수류공급관(15)을 통하여 정화된 물인 중등수를 공기공급관(14)을 통하여 공급되는 공기에 의해 상판(4) 저면에 설치한 분사관(16)으로 정화된 물과 공급된 공기가 함께 가느다란 물줄기 형태로 노즐(17)을 통하여 분사되어 수면상에 생기는 기포를 제거시켜 줌으로서 정화조의 외부로 기포의 누출을 방지하게 되고 정화조 내의 정화된 물을 사용함으로 별도의 물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정화조내의 오수나 분뇨의 정화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때에 공기공급관(14)을 통하여 수류공급관(15)내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수류공급관(15)내에 있는 물이 분사관(16)으로 이동하게 되고, 공기와 물이 수류공급관(15) 내에서 역류하는 것을 수압에 의해 방지가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류공급관(15a)의 하부로 부터 공기공급관(14a)을 결합시켜 놓으므로서 공기공급관(14a)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부로 향함으로서 수류공급관(15a)내로 유입되는 정화된 물인 중등수를 공급된 공기에 의해 더욱 원활하게 분사관(16)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의 정화조내의 오수나 분뇨가 분해정화된 물로서 수면에 발생되는 기포를 제거하고 공기의 유입은 미생물에게 공급하는 산소의 일부를 사용함으로 별도의 전기적인 시설이 필요하지 않게 되며, 수압과 공압에 의해 정화된 물을 이송시켜 분사시킴으로 정화된 물을 재활용할 수 있음으로 정화효율을 높일 수 있고, 시설이 간편한 등의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인입구(2)와 인출구(3)를 형성하고 유량조절탱크(7), 제1 정화탱크(8), 제2 정화탱크(9) 및 제3 정화탱크(10)를 설치한 본체(1) 상부에 분사노즐(13, 13a, 13b, 13c)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11)를 설치한 상판(4)으로 이루어진 정화조에 있어서, 상기 상판(4)의 저면 내측에 노즐(17)을 갖는 분사관(16)을 설치하고, 상기 분사관(16)과 일체로 형성한 수류공급관(15)의 일측끝을 U자형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3 정화탱크(10)의 중앙부에 삽입 설치하며, 상기 에어펌프(11)와 연결한 공기공급관(14)의 일측끝을 수류공급관(15)의 중앙하부 일측에 연결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용 소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16)과 일체로 형성하여 제3 정화탱크(10) 내에 설치하는 수류공급관(15a)을 직선형태로 형성하고, 공기공급관(14a)을 수류공급관(15a)의 하부로부터 삽입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화조용 소포장치.
KR2019950038249U 1995-12-05 1995-12-05 정화조용 소포장치 KR0129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249U KR0129720Y1 (ko) 1995-12-05 1995-12-05 정화조용 소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249U KR0129720Y1 (ko) 1995-12-05 1995-12-05 정화조용 소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978U KR970038978U (ko) 1997-07-29
KR0129720Y1 true KR0129720Y1 (ko) 1998-12-01

Family

ID=19432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249U KR0129720Y1 (ko) 1995-12-05 1995-12-05 정화조용 소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7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601A (ko) 2015-06-01 2016-12-09 최범규 정화조 자동 방역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1601A (ko) 2015-06-01 2016-12-09 최범규 정화조 자동 방역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978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8301B2 (ja) 散気装置
WO20010532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oxygenation of waste water
KR0129720Y1 (ko) 정화조용 소포장치
JP2007032303A (ja) 水移送ポンプ、水処理装置
CN216295736U (zh) 一种用于对半导体废气进行处理的净化设备
KR950004173B1 (ko) 오수처리장치
JP3382926B2 (ja) 散気装置の洗浄方法および散気装置
MXPA03001190A (es) Una planta para purificar agua contaminada por gotas de liquido hidrocarbonaceo.
CN110921779A (zh) 浸没式超滤膜净水系统
KR200305717Y1 (ko) 목욕탕 욕조수 정화장치
CN211570182U (zh) 浸没式超滤膜净水系统
KR101803041B1 (ko) 가스 및 거품 제거식 액비화장치
KR100630550B1 (ko) 수질 정화장치
KR20050022670A (ko) 오존수를 이용한 배관의 고압세척 장치
JPH081185A (ja) 処理槽における水中給気管装置
CN218202252U (zh) 一种带气水混合清洗功能的水处理设备
KR102387866B1 (ko) 설비 간소화 및 역세척 효율 향상이 가능한 분산용수 공급시스템
CN210030128U (zh) 气水反清洗与化学药剂清洗相结合的平板膜过滤系统
KR200229181Y1 (ko) 기포합체 방지용 원뿔형 산기관
JPH0828500A (ja) 負圧形成装置
KR980002463A (ko) 기름띠 및 오 · 폐수 처리선
RU2194024C2 (ru) Аэратор
KR0129721Y1 (ko) 유동상 여재와 고정상 여재를 겸한 정화조
JPH11309469A (ja) 気液反応水処理装置および気体注入器
KR950023440A (ko) 공기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