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692Y1 - 푸시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692Y1
KR0129692Y1 KR2019950023536U KR19950023536U KR0129692Y1 KR 0129692 Y1 KR0129692 Y1 KR 0129692Y1 KR 2019950023536 U KR2019950023536 U KR 2019950023536U KR 19950023536 U KR19950023536 U KR 19950023536U KR 0129692 Y1 KR0129692 Y1 KR 0129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witch
case
display window
butt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3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109U (ko
Inventor
김홍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23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692Y1/ko
Publication of KR9700111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1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6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푸시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 특히 표시창에 보여지는 내부빛의 변화로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게 한 조명등을 내재한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내부 중심에 조명등(70)이 끼워고정되고 상부측으로 버팀대(62)가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스위칭부(90)가 형성된 케이스(60)와, 상기 케이스(60)측으로 돌출된 조작부재(30)를 갖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조작부재(30) 내측에 일측을 끼워맞추고 중심에 구멍(50)이 형성된 섭동부재(40)와, 상기 섭동부재(40)일측에 축설되는 인식판재(42)와, 섭동부재(40)내측과 케이스(60)사이에 설치된 스프링(80)을 구비함으로써, 주간(晝間)에 광량(光量)이 많거나, 그 상호간의 간섭(干涉)현상에 상관없이, 조명등(70)의 작동상태를 표시창(20)을 통해서 판별되는 색상으로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夜間)에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손으로 직접 더듬어 찾을 필요없이 야광(夜光)이나 형광(螢光)물질을 함유한 인식판체의 차별된 빛으로 손쉽게 스위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가전기기 외에 특히 자동차에 사용함으로써 우발적인 상황에 긴급하게 대처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
제1도는 종래 푸시버튼 스위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스위치 작동전의 상태도, (b)는 스위치 작동시의 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 푸시버튼 스위치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a)는 스위치 작동전의 상태도, (b)는 스위치 작동시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부 20 : 표시창
30 : 조작부재 40 : 작동부재
42 : 인식부재 50 : 구멍
60 : 케이스 62 : 버팀대
70 : 조명등 80 : 스프링
90 : 스위칭부
본 고안은 푸시버튼 스위치(PUSH-BUTTON SWITCH)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창에 보여지는 내부빛의 변화로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게 한 조명등을 내재한 푸시버튼 스위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푸시버튼 스위치는, 그 제작이 용이하고 용도가 매우 다양하며 그 사용이 손쉽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사용자가 작동시에 스위치의 온(ON)·오프(OFF) 상태를 구별하기 힘들다는 불편이 있었다.
그래서, 요즘은 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스위치의 내부에 조명등을 내재시켜 구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거리에서도 표시창에 비춰지는 조명빛의 유·무로서 손쉽게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가 대부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1도는 종래 조명등이 내재된 푸시버튼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도의 (a),(b)에서와 같이 종래의 스위치는, 내부에 조명등(70)이 끼워고정되고 기기몸체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스(60), 전면부에 표시창(20)이 있고 케이스 측으로 돌출된 조작부재(30)로 형성된 손잡이부(10), 조작부재(30) 내측에 끼워맞춤되고 구멍(50)이 형성된 섭동부재(40), 섭동부재(40) 내측과 케이스(6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운동하는 스프링(80), 그리고 전원을 단락시키는 공지의 스위칭부(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0)를 누르면 내부의 조작부재(30) 내측에 형성된 섭동부재(40)는 스프링(80)을 압박하여 밀게된다. 이 때, 일정한 시접에 이르러 스위치는 '온'되고 손잡이부(10)의 표시창(20)을 통해 조명등(70)의 빛이 밖으로 비춰지게 되어 사용자는 기기가 작동되는 상태임을 판별하게 된다.
그러나, 광량(光量)이 많은 주간(晝間)에는 여러 난반사와 그 상호간의 간섭(干涉)현상으로 인해, 푸시버튼 스위치 전면부에 표시창(20)을 통해서 작동상태를 판별하기는 매우 어려웠던 문제점과, 야간(夜間)에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손으로 직접 스위치 부근을 어림짐작으로 더듬어 찾아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조명등을 내재시킨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는, '오프' 상태에서는 스위치 내부의 조명등이 작동되지 아니하고, '온' 상태에서만 조명등이 작동되게 함으로서, 사용자는 표시창에 비춰진 조명빛만을 보고도 그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 상태인지 그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손쉽게 판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조명등이 내재된 푸시버튼 스위치는, 자연광의 양이 많은 주간(晝間)에는 광량(光量)이 많고, 그 상호간의 간섭(干涉)현상으로 인해, 푸시버튼 스위치에 내재된 조명등의 작동상태를 표시창을 통해서 판별하기에는 매우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간(夜間)에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손으로 직접 스위치 부근을 어림짐작으로 더듬어 찾아서 스위치를 '온'시켱야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주간의 많은 양의 자연광이나 그 간섭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조명등이 내재된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다른 목적은 야간에도 스위치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위치 손잡이부의 표시창과 내부의 조명등사이에 가동수단을 갖는 인식수단을 구성시키는 특징이 있다.
상기 인식판재는 차별된 색깔을 띠는 판체로 구성시킨다.
상기 가동수단으로는 인식수단의 일측에 회전축을 축설하여 회전운동되게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래크(RACK)와 피니언(PINION)과 같은 치차(齒車)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2도의 (a),(b)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스위치는 , 내부에 조명등(70)이 끼워고정되고 손잡이부(10) 측으로 돌출된 버팀대(62)가 형성되며 스위칭부(90)가 형성된 케이스(60)와, 케이스(60)측으로 돌출된 조작부재(30)를 형성하고 전면에 표시창(20)이 형성된 손잡이부(10)와, 상기 조작부재(30)내부 일측에 끼워맞춤되고 중심에 구멍(50)이 형성된 섭동부재(40)와, 상기 섭동부재(40)일측에 축설되는 인식판재(42)와, 섭동부재(40)내측과 케이스(60) 사이에 설치한 스프링(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식판재(42)로는 차별된 색깔을 띠는 판체만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으나, 야간에서도 판별이 용이한 야광(夜光)이나 형광(螢光)물질을 함유한 판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표시창(20)이 형성된 손잡이부(10)의 조작부재(30)내측에, 구멍(40)크기보다 큰 인식판재(42)를 축설시킨 섭동부재(40)를 결합고정시키고, 섭동부재(40)내측에 스프링(80)을 결합시키고, 내측면에 스위칭부(90)를 형성시키고 조명등(70)을 결합고정시킨 케이스(60)를 손잡이부(10)와 가동되게 결합시킨다.
이처럼 조립되는 본 발명은 제2도 (a)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창(20)을 통해 인식판재(42)에서 발샌되는 야광(夜光)이나 형광(螢光)빛의 색상으로 스위치의 위치를 감지하고 손잡이부(10)를 누르면, 내부의 조작부재(30) 내측에 결합된 섭동부재(40)는 그 힘을 전달받아 스프링(80)을 케이스(60)방향으로 압박하여 밀게 된다. 이 때, 섭동부재(40)의 일측에 축결합된 인식판재(42)는 케이스(60)에 고정설치된 버팀대(62)에 의해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햐으로 열리면서 회전되어 진다.
사용자가 손잡이부(10)를 계속적으로 누르게 되면, 제2도의 (b)에서와 같이 인식판재(42)가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대략 90°정도 회전되어 지고, 스위칭부(90)에서 '온' 되면서 조명등(70)은 켜져 빛을 발산하게 된다.
사용자가 다시 손잡이부(10)를 누르게 되면, 상기의 순서와 역순으로 작동되어, 스위칭부(90)에서 '오프'되면서 조명등은 꺼져 빛을 상실한다.
이 때, 손잡이부(10)는 스프링(80)의 탄발력으로 복원되고, 케이스부(60)에 고정설치된 버팀대(62)에 의해 지지되던 인식판재(42)는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대략 90°정도 회전되어 구멍(40)을 닫아서 가리고, 야간에도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야광(夜光)이나 형광(螢光)빛의 색상으로 스위치의 위치를 표시하게 되는 제2도의 (a)의 상태로 전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자연광의 양이 많은 주간(晝間)에도 광량(光量)이 많거나, 그 상호간의 간섭(干涉)현상에 상관없이, 푸시버튼 스위치에 내재된 조명등의 작동상태를 표시창을 통해서 판별되는 색상으로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야간(夜間)에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손으로 직접 스위치 부근을 어림짐작으로 더듬어 찾을 필요없이 야광(夜光)이나 형광(螢光)물질을 함유한 인식판체의 차별된 빛으로 손쉽게 스위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가전기기 외에 특히 자동차에 사용함으로써 우발적인 상황에 긴급하게 대처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내부 중심에 조명등(70)이 끼워 고정되고 상부측으로 버팀대(62)가 돌출 형성되며 하부에 스위칭부(90)가 형성된 케이스(60)와; 상기 케이스(60)측으로 돌출된 조작부재(30)를 형성하고 전면부에 표시창(20)을 갖는 손잡이부(10)와; 상기 조작부재(30) 내측에 일측을 끼워맞추고 중심에 구멍(50)이 형성된 섭동부재(40)와; 상기 섭동부재(40)일측에 축설되는 인식판재(42)와; 그리고 상기 섭동부재(40)내측과 케이스(60)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8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판재(42)는 야광물질을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KR2019950023536U 1995-08-31 1995-08-31 푸시버튼 스위치 KR0129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536U KR0129692Y1 (ko) 1995-08-31 1995-08-31 푸시버튼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536U KR0129692Y1 (ko) 1995-08-31 1995-08-31 푸시버튼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09U KR970011109U (ko) 1997-03-29
KR0129692Y1 true KR0129692Y1 (ko) 1998-12-15

Family

ID=19422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3536U KR0129692Y1 (ko) 1995-08-31 1995-08-31 푸시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6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438B1 (ko) * 2008-01-16 2009-09-03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푸시 버튼형 리셋 스위치의 엘이디 램프 조립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438B1 (ko) * 2008-01-16 2009-09-03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푸시 버튼형 리셋 스위치의 엘이디 램프 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109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898B2 (en) Button assembly for home appliance
US7185999B2 (en) Flashlight with touch sensing on/off operation
US5673996A (en) Pen with led indicator
US6890086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multi-light flashlight
US8456319B2 (en) Switch arrangement for a lighting device
KR20070073122A (ko) 냉장고용 제어기 버튼
US4277665A (en) Illuminated push-button electrical switch
US4778967A (en) Illuminated switch
KR0129692Y1 (ko) 푸시버튼 스위치
US2522423A (en) Electric appliance switch with position indicator
JPH031861Y2 (ko)
JPH05182560A (ja) 照光式押ボタンスイッチ
JP2595063Y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S6039957Y2 (ja) 自動車に装備された各種装置のピアノスイツチ
JPS5810263Y2 (ja) スイッチ装置
JPH11134960A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H0342580Y2 (ko)
KR850000158Y1 (ko) 타이머가 설치된 푸시버튼 스위치
KR930003862Y1 (ko) 푸쉬버튼용 수행기능 표시장치
KR0137511Y1 (ko) 원터치 점등 가능 차량 룸 램프
JPH022845Y2 (ko)
JPH0129935Y2 (ko)
JPH044331Y2 (ko)
JPS6336579Y2 (ko)
JPS62220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