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98Y1 - 양초등 - Google Patents

양초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98Y1
KR0129598Y1 KR2019960000011U KR19960000011U KR0129598Y1 KR 0129598 Y1 KR0129598 Y1 KR 0129598Y1 KR 2019960000011 U KR2019960000011 U KR 2019960000011U KR 19960000011 U KR19960000011 U KR 19960000011U KR 0129598 Y1 KR0129598 Y1 KR 0129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dle
asbestos
cap
candle lam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951U (ko
Inventor
장환민
Original Assignee
장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환민 filed Critical 장환민
Priority to KR2019960000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98Y1/ko
Publication of KR9700179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9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3/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point-like light source; 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employing a light source of unspecified shap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열전도가 되지 않으며 분리 가능한 수지통에 저장되어 있는 파라핀액 또는 파라핀유를 흡인하여 점화시키고, 파라핀액 또는 파라핀유를 보충시켜 줌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초등에 관한 것으로서, 수지통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라핀액을 심지를 통해 흡인하여 점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수지통의 본체부(10)와 캡부(20)는 서로 나사결합되어지며, 상기 캡부(20)의 상면 중심부에는 통공부(30)가 형성되고, 열전도 방지수단으로서 상기 통공부(30)를 통해 삽통되는 석면튜브(45)의 일단이 노즐부(40)의 하부 중심공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석면 튜브(45)의 외주면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세라믹 고리(41,43,46), 석면 고리(42,44,47) 또는 테프론 고리(48)가 상기 노즐부(40)의 저부와 캡부(20)의 상면부 사이에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초등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등의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등의 분리형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등의 측단면도이며,
제4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초등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20 : 캡부
25 : 돌출부 30 : 통공부
40 : 노즐부 41,43,46 : 세라믹 고리
42,44,47 : 석면 고리 48 : 테프론 고리
60 : 테이퍼부 70 : 심지
80 : 도화
본 고안은 양초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전도가 되지 않으며 분리 가능한 수지통에 저장되어 있는 파라핀액 또는 파라핀유를 흡인하여 점화시키고, 파라핀액 또는 파라핀유를 보충시켜 줌으로써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양초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체상태의 파라핀의 중심부에 삽입된 심지를 점화하여 양초등으로 사용하거나, 이러한 양초를 유리상자 내부에 착설하여 양초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양초등은 일회용이기 때문에 사용 후 새로운 양초로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양초가 내설되어 있는 유리상자형 양초등은 유리상자로 인해서 그 만큼 조광효과가 떨어질뿐만 아니라, 유리상자가 촛불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유리상자 외면에 부착되어 있는 도화 같은 장식물이 연소 또는 변질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양초등에 비해 그 효과가 현저한 양초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가열되지 않는 수지통에 저장되어 있는 파라핀액 또는 파라핀유가 수지통 상부에 인출되어 있는 심지부로 흡인되어 점화되는 양초등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양초등의 수지통은 원통형 본체부(10)와 캡부(20)가 서로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캡부(20)의 상면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테이퍼되며 형성된 돌출부(25)의 중심부에는 열전도 방지수단이 삽입되는 통공부(30)가 형성되고, 상기 열전도 방지수단의 중심부에 삽설되는 노즐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열전도 방지수단은 일단이 노즐부(40) 하부에 삽입되며 타단이 상기 통공부(30)에 삽통되는 소정길이의 석면 튜브(45), 그리고 테이퍼형 돌출부(25)의 상부와 노즐부(40)의 저부 사이에 장착되는 다수의 세라믹 고리 및 석면 고리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캡부(20)의 상면부에는 공기배출 수단으로서 천공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체부(10)의 저면부는 촛대꽂이용 테이퍼부(60)가 내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체부(10)의 외부 표면에는 장식용 도화(80)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등의 원통형 본체부(10)의 외주면상과 캡부(20)의 내주면상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원통형 본체부(10)와 캡부(20)는 서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촛불의 방사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캡부(20)의 상면 중심 부근으로부터 상부로 테이퍼되며 형성된 돌출부(25)의 통공부(30) 내에 열전도 방지수단, 즉, 석면튜브(45)가 삽통되며, 이 석면 튜브(45)의 상단은 노즐부(40)의 하부를 통해 끼워진다. 또 다른 열전도 방지수단으로서, 노즐부(40)의 저부와 테이퍼형 돌출부(25)의 상면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의 세라믹 고리와 석면 고리가 석면 튜브(45) 외주면상에 장착된다.
이렇게 형성되는 양초등의 노즐부(40)의 중심부를 통해 삽입된 양초 심지(70)가 원통형 본체부(10)의 하부 내면까지 길게 내설되고, 본체부(10) 내부는 파라핀액 또는 파라핀유가 채워진다. 본체부(10)에 채워져 있는 파라핀액은 노즐부(40)의 중심부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심지(70)까지 흡인되며,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심지(70)가 점화된다.
상술한 양초등의 저부면의 중심부에는 촛대꽂이가 끼워지는 테이퍼부(60)가 내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테이퍼부(60)에 촛대꽂이를 끼워 양초등을 지지시킴으로써 양초등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등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등의 분리형 사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양초등의 측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초등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제1도 내지 제3도에 관련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합성수지인 HiPS(일명, 화인백 또는 하이 폴리에스텔) 재질로 구성되고 상부 외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본체부(10) 내에 파라핀액 또는 파라핀유를 채우고, 원통형 고리(50) 및 금속재인 노즐부(40)가 삽설되어 있고 내주면상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캡부(20)의 중심부를 통해 양초 심지를 삽통시킨다. 이러한 캡부(20)를 원통형 본체부(10)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 때, 캡부(20)와 본체부(10)의 신속한 결합과 해체를 위해서는 2리드 정도의 나사부가 양호할 것이다. 상술한 원통형 본체부(10)와 캡부(20)를 이루는 HiPS 재질은 고강력 폴리에스텔으로서, 내열성과 함께 열전달 방지제이다.
또한, 본체부(10)에 캡부(20)를 결합할 때, 내부의 공기가 압축됨으로 인해서 그 결합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캡부(20)의 상면에 다수의 천공부(21)를 형성하여 그 천공부(21)를 통해 압착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렇게 형성되는 양초등의 노즐부(40)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양초 심지까지 파라핀액(또는 파라핀유)이 흡인된 상태에서, 일반적인 점화수단에 의해 심지를 점화시킨다.
한편, 양초등의 심지를 점화시키면 양초등의 캡부(20)와 본체부(10)는 열을 전달 받아 가열되는데, 합성수지인 HiPS 재질로 이루어진 캡부(20)와 본체부(10)는 양초등이 장시간 점화상태로 놓여 있는 동안에 그 가열로 인해서 수지통의 본래의 모양이 변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의 형태가 일그러져 나사부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으로 인해서 본체부(10)로부터 캡부(20)를 분리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양초등의 분광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 본체부(10)의 재질을 무색투명한 합성수지를 사용하고, 양초등의 외부표면에는 장식용 도화(8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이렇게 부착된 장식용 도화(80)는 상술한 수지통이 가열됨으로 인해서 연소되거나 변질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지통의 가열을 방지하기 위한 열전달 방지수단으로서 촛불의 방사효과를 제공하기 위하여 캡부(20)의 상면 중심 부근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형성된 테이퍼형 돌출부(25) 중심부의 통공부(30) 내에 열전도 방지수단, 즉, 석면 튜브(45)가 삽통되며, 이 석면 튜브(45)의 상단은 노즐부(40)의 하부를 통해 끼워진다. 또 다른 열전도 방지수단으로서, 노즐부(40)의 저부와 테이퍼형 돌출부(25)의 상면부 사이에 착설되는 다수의 세라믹 고리와 석면 고리가 석면 튜브(45) 외주면상에 장착되는데, 노즐부(40)의 저부에 착설된 제1 및 제2세라믹 고리(41,43) 사이에 제1석면 고리(42)가 착설되며, 제2세라믹 고리(42) 저부에 제2석면 고리(44)가 착설된다. 이러한 석면 튜브(45), 세라믹 고리(41,43)와 석면 고리(42,44)는 심지(80) 상단부의 가열에 의한 열이 양초등의 캡부(20) 및 본체부(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수지통의 본체부(10)에 저장된 연료, 즉, 파라핀액(또는 파라핀유)이 소모되었을 경우에는 본체부(10)로부터 캡부(20)를 분리하여 본체부(10) 내에 연료를 채울 수 있다. 특히, 수지통이 무색투명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연료의 소모 상태를 육안으로 체크할 수 있어서, 연료가 없는 상태에서 심지가 연소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양초등은 하부에 형성된 촛대 꽂이용 테이퍼부(60)에 촛대 꽂이를 끼워 양초등을 세울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작용 및 실시예에 따르는 양초등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적인 양초 또는 양초등과 달리, 단지 파라핀액 또는 파라핀유만 보충하면 언제든지 점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리고 양초등에 열전달 방지수단이 착설되어 있기 때문에, 양초등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장식용 도화(80)가 가열로 인해 연소 또는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다량의 양초를 필요로 하는 종교단체에 본 고안은 특히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호한 실시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양초등의 캡부(20)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통공부(30)를 통해 열전달 방지수단, 즉, 석면 튜브(45)가 삽통되고, 상기 석면 튜브(45)의 상단은 노즐부(40) 중심공의 하부를 통해 끼워진다. 또 다른 열전달 방지수단으로서 세라믹 고리(46), 석면 고리(47), 그리고 테프론 고리(48)가 석면 튜브(45) 외주면상에 장착되는데, 노즐부(40) 저부에 착설되는 세라믹 고리(46) 저부에 복수의 석면 고리(47)가 착설되며, 이 석면 고리(47) 저부와 캡부(20) 상면부 사이에 테프론 고리(48)가 착설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초등이 내설되어 있는 소정길이의 심지(70)가 노즐부(40)의 중심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심지(70)의 상단을 점화시키면, 양초등에 내장되어 있는 파라핀액이 심지(70)에 흡인되어 있기 때문에 양초등이 점화된다.
본 고안은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일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충분히 수정 또는 변경이 가능하게 될 수 있지만, 고안의 사상에 있어서 그 수정 또는 변경 역시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4)

  1. 수지통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라핀액을 심지가 흡인하여 점화되는 양초등에 있어서, 상기 수지통의 본체부(10)와 캡부(20)가 서로 나사결합되어지며, 상기 캡부(20)의 상면 중심부에는 통공부(30)가 형성되고, 열전도 방지수단으로서 상기 통공부(30)를 통해 삽통되는 석면 튜브(45)의 일단이 노즐부(40)의 하부 중심공을 통해 삽입되며, 상기 석면 튜브(45)의 외주면상에 장착되는 다수의 세라믹 고리(41,43,46), 석면 고리(42,44,47) 또는 테프론 고리(48)가 상기 노즐부(40)의 저부와 캡부(20)의 상면부 사이에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저면부는 촛대꽂이용 테이퍼부(60)가 내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 및 캡부(20)의 재질이 하이 폴리에스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외부 표면에 도화(8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초등.
KR2019960000011U 1995-10-26 1996-01-03 양초등 KR01295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011U KR0129598Y1 (ko) 1995-10-26 1996-01-03 양초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5-30422 1995-10-26
KR19950030422 1995-10-26
KR2019960000011U KR0129598Y1 (ko) 1995-10-26 1996-01-03 양초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951U KR970017951U (ko) 1997-05-23
KR0129598Y1 true KR0129598Y1 (ko) 1998-12-15

Family

ID=7101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011U KR0129598Y1 (ko) 1995-10-26 1996-01-03 양초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070A (ko) * 2020-02-07 2021-08-18 김경태 연소과정 중 그을음이 없이 은은한 향을 발생하는 양초 및 그 이용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070A (ko) * 2020-02-07 2021-08-18 김경태 연소과정 중 그을음이 없이 은은한 향을 발생하는 양초 및 그 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951U (ko) 199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2850A (en) Anti-flash wick sustainer and pedestal
US2324753A (en) Candle lamp and wick holder therefor
US6062847A (en) Anti-flash wick support
ZA200303046B (en) Candle comprising a container and a wick sustainer.
US4781577A (en) Fuel bottle with candle-like attachment
US4937701A (en) Safety device for burning candles
KR0129598Y1 (ko) 양초등
US6638060B1 (en) Everlasting candle
US2503496A (en) Metal candle
US1255614A (en) Sanctuary-lamp.
US4084086A (en) Solid fuel lamp
US4131414A (en) Lantern with kerosene preheater
US6511314B2 (en) Decorative candle and oil lamp assembly
US3363436A (en) Plug and tapered candle
US20020090585A1 (en) Color flame candles or lamps and method of making
KR200179220Y1 (ko) 촛불의 장식기능을 갖는 양초
US2279137A (en) Candle unit
US2646111A (en) Pot-type oil burner and igniter
KR200153229Y1 (ko) 알코올 유출이 방지되는 알코올 램프
US126625A (en) Improvement in lamps for burning the vapor from hydrocarbon oils
JPH0524089Y2 (ko)
US382270A (en) Feank bhind
JP3009792U (ja) 香 炉
US894587A (en) Miner's lamp.
RU3313U1 (ru) Светильни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