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575Y1 -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골조연결구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골조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575Y1
KR0129575Y1 KR2019950010533U KR19950010533U KR0129575Y1 KR 0129575 Y1 KR0129575 Y1 KR 0129575Y1 KR 2019950010533 U KR2019950010533 U KR 2019950010533U KR 19950010533 U KR19950010533 U KR 19950010533U KR 0129575 Y1 KR0129575 Y1 KR 0129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ring
support
present
extension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663U (ko
Inventor
주동수
Original Assignee
주동수
배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수, 배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동수
Priority to KR2019950010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575Y1/ko
Publication of KR9600376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6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5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텐트골조연결구의 절첩관절부 구성에 대한 체결력 강화와 상품성 향상 및 취급사용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각각 텐트골조가 연결된 두개의 연결구(1)(2)를 지축(5)으로 체결하여 절첩가능한 관절부를 형성하는것에 있어서, 일측 연결구(2) 외면에 연결구몸체를 가려줄 수 있는 길다란 길이의 작동관(10)을 끼우고 그 내면에는 스프링(13)의 후단이 받쳐지는 받침턱(11)과 후진이탈방지용 정지턱(17)을 계단식으로 형성하며, 작동관 후단내면과 연장편(14) 외면에는 각각 미끄럼방지용돌기면(15)(1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함.

Description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골조연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의 (a)는 잠금상태도, (b)는 풀림상태도, (c)는 접힘상태도.
제4도는 종래구성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잠금상태도, (b)는 접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연결구 10 : 작동관
11 : 받침턱 12 : 스프링시이트
13 : 스프링 14 : 연장편
15,16 : 미끄럼방지용돌기면 17 : 정지턱
본 고안은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골조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본 출원인의 선고안(실용신안공고번호 88-4262)을 개량고안 한 것이다.
선고안은 제4도와 같이 각각 골조(3)(4)가 연결된 두개의 연결구(1)(2)를 절첩가능하게 지축(5)으로 체결하고 일측연결구(1) 선단의 연장편(6)을 스프링(7)에 의해 밀려지는 소켓관(8)으로 협지하여 펼침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인바, 이와 같은 선고안은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텐트천이 스프링에 걸려서 찢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스프링이 쉽게 부식되어 외관상 깨끗하지 못하고 상품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은 좌우이동되는 소켓관의 기장이 매우 짧기 때문에 좌우유동이 발생되어 체결력이 약하고 두손가락으로 잡아 내리기가 불편하며 비바람에 의해 텐트가 흔들릴경우에는 소켓관의 유동에 의해 체결부가 풀리는 문제점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체결부의 안정성과 체결력 강화 및 상품성 향상을 목적으로 안출한 것이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 텐트골조가 연결된 두개의 연결구(1)(2)를 지축(5)으로 체결한 것에 있어서, 일측 연결구(2)의 외면에 연결구몸체를 가려줄 수 있는 길다란 길이를 가진 작동관(10)을 끼우고 내측에 설치된 스프링(13)의 양단을 연결구 전단의 스프링시이트(12)와 작동관 내면의 받침턱(11)에 받쳐지게 하며 타측 연결구(1)의 연장편(14) 외면과 작동관(10) 후단의 내면에는 각각 미끄럼방지용돌기면(15)(16)을 형성하여 이들의 맞물림에 의한 임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고 작동관(10) 전단내면에는 정지턱(17)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스프링(13)의 탄성에 의해서 작동관(10)은 항상 전진된 상태로 있다.
즉, 제3도(a) 상태처럼 골조가 펼쳐진 상태일때는 작동관(10)이 상대쪽 연결구의 연장편(14)을 협지하게 되고, 제3도(c) 상태처럼 골조가 접혀진 상태일때는 작동관(10)이 최대전진 위치에 있게 되는 것이다.
작동관(10)은 길다란 관체로 형성되어 해당연결구(2)를 가려주게 되고, 손아귀에 움켜잡기 좋도록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동관(10) 내면에는 정지턱(17)과 스프링 받침턱(11)이 계단식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관(10)을 후진시킬 때는 (b) 상태처럼 정지턱(17)이 스프링시이트(12)에 걸려져서 더이상의 후진이 방지되게 하고, 스프링 받침턱(11)을 스프링전단부가 받쳐져서 향상 전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연장편(14) 외면과 작동관(10) 후단내면에는 미끄럼방지용돌기면(15)(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a) 상태처럼 협지되었을때 양쪽돌기면(15)(16)이 요철식으로 결합되고, 이러한 결합은 연결구에 심한 요동이나 흔들림이 발생하여도 임의 이탈됨이 없고,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작동관을 건드려도 움직임이 없고 작동관(10)이 록킹 된것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되어 체결력이 풀리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작동관(10)이 길게 형성되어 유동없이 직선이동 될 수 있고 손아귀에 움켜잡아서 밀어줄 수 있기 때문에 펼쳐진 골조를 펼침방향의 반대쪽으로 약간 눌러 주면서 작동관을 가볍게 밀어주기만 하면 쉽게 접어 줄 수 있는 사용상의 안정성 및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작동관(10)은 스프링과 연결구를 가려주어 외부노출이 없게 하므로 연결부의 외관이 깨끗하고 상품성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각각 텐트골조가 연결된 두개의 연결구(1)(2)를 지축(5)으로 체결하여 절첩가능한 관절부를 형성하는 것에 있어서, 일측 연결구(2)의 외면에 연결구몸체를 가려줄 수 있는 길다란 길이의 작동관(10)을 끼우고 그 내면에는 스프링(13)의 후단이 받쳐지는 받침턱(11)과 후진이탈방지용 정지턱(17)을 계단식으로 형성하며, 작동관 후단내면과 연장편(14) 외면에는 각각 미끄럼방지용돌기면(15)(16)을 형성하여서된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골조연결구.
KR2019950010533U 1995-05-18 1995-05-18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골조연결구 KR0129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533U KR0129575Y1 (ko) 1995-05-18 1995-05-18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골조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533U KR0129575Y1 (ko) 1995-05-18 1995-05-18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골조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663U KR960037663U (ko) 1996-12-18
KR0129575Y1 true KR0129575Y1 (ko) 1998-12-15

Family

ID=1941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533U KR0129575Y1 (ko) 1995-05-18 1995-05-18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골조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5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183B1 (ko) * 2012-02-14 2014-04-24 안정기 천막의 원터치 연결구
GB2623987A (en) * 2022-11-02 2024-05-08 Baejin Corp A hinge-type connector for connecting one-touch folding tent frame member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183B1 (ko) * 2012-02-14 2014-04-24 안정기 천막의 원터치 연결구
GB2623987A (en) * 2022-11-02 2024-05-08 Baejin Corp A hinge-type connector for connecting one-touch folding tent frame mem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663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07012B1 (en) Lower joint folding preventing device for one touch type dome shaped tent
US7621289B2 (en) Connector of instant set-up foldable tent frame
US4415180A (en) Stroller latch
US5468005A (en) Foldable cart
US3839754A (en) Folding baby cot
US4047753A (en) Foldable chair with rocking means
US6095596A (en) Folding chair structure
KR0129575Y1 (ko)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골조연결구
KR100341167B1 (ko) 유모차용보호프레임
US3999229A (en) Double joint assembly
GB2115358A (en) Foldable sledge
CA1093952A (en) Folding chair
CA2191904A1 (en) Rod member connector for a folding chair
EP0445082A3 (en) Connection for foldable tubular members
US6644732B1 (en) Structure of a foldable chair with a locking mechanism
JPH0751891Y2 (ja) 折畳み自在なたも網
KR910004568Y1 (ko) 원터치식 돔형텐트의 하부관절 접힘방지장치
JPH0225365U (ko)
KR920003108Y1 (ko) 텐트 골조의 절첩식 연결구
JP3036395U (ja) 椅 子
KR940002692Y1 (ko) 절첩식 상다리
KR200147522Y1 (ko) 절첩식 다기능 휴대용 의자
JPH0648442U (ja) 折り畳み椅子
KR880004263Y1 (ko) 범용성 절첩식 골조 연결구
KR200245697Y1 (ko) 우산식텐트의 절첩방지용 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