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700B1 -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 Google Patents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700B1
KR0128700B1 KR1019950013156A KR19950013156A KR0128700B1 KR 0128700 B1 KR0128700 B1 KR 0128700B1 KR 1019950013156 A KR1019950013156 A KR 1019950013156A KR 19950013156 A KR19950013156 A KR 19950013156A KR 0128700 B1 KR0128700 B1 KR 0128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lever
housing
push butt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224A (ko
Inventor
채희열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1019950013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700B1/ko
Publication of KR960040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7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의 측면에 구비된 푸쉬버튼(2)이 연결축(2a)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1)에 힌지핀(5)에 의해 힌지결합된 레버(4)와 상호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레버(4)의 양쪽에는 반발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우징(6)과 레버(4)에 고정된 스프링(6)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의 텅그유입부에는 텅그(3)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안내부재(7)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Description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에 텅그가 결합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Ⅰ-Ⅰ선 부분단면도.
제3도는 종래 구조로서, 제1도에 대응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유입부
2 : 푸쉬버튼 2a : 연결축
3 : 텅그 3a : 삽입홈
4 : 레버 4a : 걸림부
4b : 이동부 5 : 힌지핀
6 : 스프링 7 : 안내부재
본 발명은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클에 삽입고정된 텅그가 원터치방식으로 해제되어 사용이 간편하면서, 텅그의 결합력이 강화되도록 된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신체를 구속하여 차량충돌시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게 되는 안전벨트는 텅그를 좌석의 한측면에 구비된 버클에 결합시켜 승객의 신체를 구속시키게 되는데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텅그유입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측면에서 걸림단(102a)을 형성한 푸쉬버튼(102)이 힌지결합된 하우징(101)에 상기 푸쉬버튼(102)의 걸림단(102a)과 결합되도록 삽입홈(103a)을 형성한 텅그(3)가 결합되어 고정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승객이 안전벨트를 풀려면 하우징(101)의 측면에 구비되어 텅그(103)와 결합된 푸쉬버튼(102)의 하부부위를 누르게 되면 걸림단(102a)이 삽입홈(103a)에서 빠지게 되고 이어, 상기 텅그(103)의 반발력에 의해 하우징(101)으로부터 유출되어지게 되지만, 안전벨트를 해제하려면 반드시 푸쉬버튼(102)의 하부를 눌러야만 되므로 다른 부위를 눌렀을 경우 텅그(103)가 해제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텅그(103)가 푸쉬버튼(102)의 걸림단(102a)에 의해서만 고정되어져 내구성이 강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푸쉬버튼의 임이 부위를 누르더라도 한번의 누름으로 텅그의 해제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텅그의 결합시 고정력이 강화되고 이에 따라 내구성이 강화되어진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된 푸쉬버튼의 연결축을 매개로 상기 하우징의 힌지핀에 의해 힌지결합된 레버와 상호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레버의 양쪽에는 반발력으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우징과 레버에 고정된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텅그유입부에는 텅그의 유입을 안내하도록 안내부재가 구비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에 텅그가 결합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인 바, 하우징(1)의 상단 유입부(1a)로 삽입홈(3a)을 형성한 텅그(3)가 유입되도록 개구됨과 더불어, 하우징(1)의 측면부에 푸쉬버튼(2)이 형성되어있고, 텅그(3)의 삽입홈(3a)에 레버(4)의 걸림부(4a)가 삽입되며, 상기 텅그(3)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부면을 경사지게 형성시킨 걸림부(4a)와 일체로 형성된 이동부(4b)로 이루어진 레버(4)가 연결축(2a)을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지며, 상기 이동부(4b)에는 연결축(2a)과 반대부위에 하우징(1)과 결합된 힌지핀(6)을 매개로 레버(4)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에 힌지결합 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핀(5)과 결합된 레버(4)와 하우징(1)의 양측면에는 탄발력으로 레버(4)가 원위치로 복귀되어지도록 스프링(6)이 고정되는 한편, 상기 텅그(3)가 삽입되는 하우징(1)의 내부에는 상기 텅그(3)가 일직선으로 삽입되도록 안내부재(7)가 구비되어 체결을 용이하게 도와주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의 유입부(1a)로 삽입된 텅그(3)가 안내부재(7)를 따라 삽입되면서, 상기 하우징(1)에 힌지결합된 레버(4)의 걸림단(4a)를 누르게 되면, 상기 레버(4)가 스프링(6)과 함께 힌지핀(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지고, 이에 상기 텅그(3)의 삽입홈(3a)에 걸림부(4a)가 위치하면,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텅그(3)의 삽입홈(3a)에 삽입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승객이 안전벨트를 해제하고자 푸쉬버튼(2)을 누르면, 연결축(2a)으로 힘이 전달되어 레버(4)의 이동부(4b)를 움직이게 하여 힌지핀(5)을 중심으로 레버(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스프링(6)을 압축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4a)가 텅그(3)의 삽입홈(3a)에서 빠지면서 텅그(3)가 반발력에 의해 상기 버클로부터 빠지게되는 것이다. 상기 푸쉬버튼(2)을 놓게 되면 레버(4)가 스프링(6)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레버(4)와 이 레버(4)의 이동부(4b)에 연결된 연결축(2a) 그리고 푸쉬버튼(2)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텅그를 해제하거나 결합시키게 되는 레버가 연결축에 의해 푸쉬버튼과 상호 연결되어져 조작이 확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레버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작동되어져 텅그와의 결합력이 강화되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하우징(1)에 텅그(3)의 용이한 삽입을 위해 유입부(1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입부(1a) 를 따라 안내부재(7)가 구비됨과 더불어, 좌측부에 연결축(2a)과 결합된 레버(4)의 이동부(4b)와 푸쉬버튼(2)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레버(4)가 푸쉬버튼의 연결축(2a)에 고정된 이동부(4b)와 텅그(3)의 삽입홈(3a)에 삽입되어지는 걸림부(4a)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1)에 구비된 힌지핀(5)과 힌지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힌지핀(5)에 결합된 레버(4)의 양측면에는 힌지핀(5)에 결합 고정된 스프링(6)이 구비되어진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4)의 걸림부(4a)상부면이 텅그(3)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KR1019950013156A 1995-05-25 1995-05-25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KR0128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156A KR0128700B1 (ko) 1995-05-25 1995-05-25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156A KR0128700B1 (ko) 1995-05-25 1995-05-25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224A KR960040224A (ko) 1996-12-17
KR0128700B1 true KR0128700B1 (ko) 1998-04-06

Family

ID=19415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156A KR0128700B1 (ko) 1995-05-25 1995-05-25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7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224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55154B1 (en) High-security buckle
JP3188699B2 (ja) 特に子供用の安全ベルト用係止具
US4334341A (en) Buckle for a safety belt
US6367129B1 (en) Buckle
US4060879A (en) Seat belt buckle
US5765266A (en) Safety belt designed for use with a belt pretensioner
US3790994A (en) Push button buckle
JP3982955B2 (ja) 合成樹脂製バックル
US4677716A (en) Buckle in particular for a safety belt
US5216788A (en) Impact-protected safety belt buckle
JPS6228890Y2 (ko)
KR0128700B1 (ko)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KR0128697B1 (ko)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US3353234A (en) Safety belt buckle
KR0128698B1 (ko)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KR0128699B1 (ko) 안전벨트용 버클의 구조
US3523340A (en) Pushbutton buckle with slide action
KR920000309Y1 (ko) 스위치 장치
JP3204590B2 (ja) バックル
KR100426324B1 (ko) 버클
JPS6135047Y2 (ko)
KR19980023502U (ko) 차량의 양방향 오픈식 콘솔박스
JPH0327452Y2 (ko)
KR19980047913U (ko) 자동차 안전벨트 록킹구조
US4121327A (en) Clip ejector for safety seat belt buck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