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677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677B1
KR0128677B1 KR1019940036487A KR19940036487A KR0128677B1 KR 0128677 B1 KR0128677 B1 KR 0128677B1 KR 1019940036487 A KR1019940036487 A KR 1019940036487A KR 19940036487 A KR19940036487 A KR 19940036487A KR 0128677 B1 KR0128677 B1 KR 0128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door unit
key input
air conditioner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6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087A (ko
Inventor
정의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36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677B1/ko
Publication of KR96002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6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20Heat-exchange fluid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기의 운전 방지 후 실내 팬을 일정시간 동안 회전시킴으로써 실내기 내의 냉기를 모두 실내기 밖으로 토출시켜서 실내기 내에 습기가 잔류하는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실내기의 재기동시에 상기 실내기 내부로부터 약취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쾌적하고 청결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 내의 습기로 인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사용 중 경제적인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회로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
2 : 실내기, 4 : 열교환기,
6 : 팬모터, 8 : 온도센서,
10 : 팬, 12 : 토출구,
14 : 도어, 24 : 제어수단,
26 : 키입력수단, 32 : 도어구동수단,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 후 실내기 내의 습기를 제거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실내기 내로 흡입하는 흡입구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열교환된 실내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로 이루어져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실내기 내에 남았던 차가운 공기는 서서히 실내공기와 열교환됨으로써 실내기 내에 습기가 남아 있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조화기를 다시 가동할 경우 상기 토출구로부터 악취가 토출되지 않는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구를 통해 먼지나 곤충 등의 이물질이 실내기 내로 유입되어 실내기 내부가 더러워지고 열교환기의 표면에 이물질이 흡착됨으로써 열교환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이물질이 토출구를 통해 실내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장착한 공기조화기가 최근에 개발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도어가 장착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토출구의 도어가 즉시 폐쇄되고, 이 경우 실내기 내에 남아 있던 차가운 공기가 습기로서 열교환기의 표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실내기를 재가동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구의 도어를 개방하면 상기 실내기 내부로부터 상시 토출구를 통하여 실내로 악취가 토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실내기 내에 남아 있던 습기가 실내기 내의 각 부품에 침투하여 부품이 손상됨으로써 사용자에게 경제적으로 손실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발명의 목적은 실내기를 청결히 유지할 수 있고 제품의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쾌적하고 청결한 느낌을 줄 수 있고 제품의 사용 중 경제적은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에 운전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실내기의 공기를 실내로 순환시키도록 팬을 회전시키고 상기 키입력수단에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기 내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상기 팬을 일정시간 회전시키는 팬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운전정지신호가 키입력수단에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운전 정치 판별스탭과, 상기 운전 정지 판별스탭에서 운전정지신호가 상기 키입력수단에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 실내기 내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팬모터를 구동하는 팬모터 구동스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2)의 중앙에는 실내공기와 열을 교환하는 열교환기(4)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열교환기(4)의 표면에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시 상기 실내기(2)의 열교환기(4)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상승할 때까지 후술하는 팬모터(6)를 구동하도록 온도센서(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열교환기(4)의 하측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구(9)를 통해 실내기(2) 내로 흡입한 다음 상기 열교환기(4)에서 열교환하도록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팬(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내기(2)의 상측에는 상기 실내기(2) 내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하는 토출구(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기(4)의 상측에는 실내기(2)의 토출구(12)를 개폐하는 도어(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14)의 내면에는 랙(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랙(18)은 피니언(16)을 통해 도어구동수단(3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토출구(12)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14)의 개방 및 폐쇄를 감지하는 도어감지센서(20,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도어감지센서(20,22)는 광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토출구(12)의 내측에는 상기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실내공기의 토출방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루버(23)와, 상시 토출구(12)에서 토출되는 실내공기의 토출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루버(25)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24)은 공기조화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다.
상기 제어수단(24)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수단(26)은 상기 제어수단(24)의 입력단자(11)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수단(24)의 입력단자(14)와 입력단자(15)에는 상기 제어수단(24)에 클록신호를 입력하는 수정발진다(CRYSTAL OSCILLATOR, XT)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수단(24)의 출력단자(01,02,03)에는 상기 키입력수단(26)에 운전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실내기(2)의 공기를 실내로 순환시키도록 팬(10)을 회전시키고 상기 키입력수단(26)에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24)으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기(2) 내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상기 팬(10)을 회전시키는 팬모터(6)가 인버터(NOT1, NOT2, NOT3) 및 릴레이(RY1, RY2, RY3)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팬모터(6)는 상기 팬(10)을 빠른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제1코일(L1)과, 상기 팬(10)을 중간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키는 제2코일(L2) 및 상기 팬(10)을 약한 회전 속도로 회전시키는 제3코일(L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어수단(24)의 출력단자(04)에는 인버터(NOT4) 및 릴레이(RY4)를 개재해서 압축기(2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 키입력수단(26)에 운전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실내기(2)의 공기를 실내로 순환시키도록 토출고(12)의 도어(14)를 개방하고, 상기 키입력수단(26)에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실내기(2) 내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상기 팬모터(6)가 회전하는 도안 상기 도어(14)를 개방하는 도어구동수단(32)은 모터이다. 상기 도어구동수단(32)은 상기 토출구(12)를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14)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5코일(L5)과, 상기 토출구(12)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14)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6코일(L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5코일(L5)은 릴레이(RY5)와 인버터(NOT5)를 개재해서 상기 제어수단(24)의 출력단자(05)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6코일(L6)은 릴레이(RY6)와 인버터(NOT6)를 개재해서 상기 제어수단(24)의 출력단자(06)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와 연관하여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먼지 동작을 위한 초기조건으로서 상기 공기조화기에는 전원이 공급되었고, 상기 키입력수단(26)에는 운전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가정한다.
스텝SI에서는 실내기(2)의 압축기(28)가 동작 중이므로 상기 팬모터(6)는 일례로 중간의 회전속도로 회전되고 있다. 또한 상기 도어(14)는 하측으로 이동되어서 상기 토출구(12)는 개방되어 있다.
다음에 스텝S2에서는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키입력수단(26)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24)의 입력단자(I1)로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키입력수단(26)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24)의 입력단자(I1)로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스텝S3로 진행한다.
스텝S3에서는 상기 제어수단(24)의 출력단자(04)로부터 상기 인버터(NOT4)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인버터(NOT4)로부터 상기 릴레이(RY3)로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릴레이(RY3)의 접점(RY3-c)이 개방되어 압축기(28)의 동작이 정지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24)의 출력단자(02)로부터 상기 인버터(NOT2)로 계속해서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인버터(NOT2)로부터 상기 릴레이(RY2)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릴레이(RY2)에 전류가 흘러서 상기 릴레이(RY2)의 접점(RY2-c)이 폐쇄된다. 상기 접점(RY2-c)이 폐쇄되면 상기 제2코일(L2)에 전류가 흘러서 팬모터(6)가 계속해서 중간속도로 회전한다.
그러면 팬모터(6)를 제외한 공기조화기의 모든 부하는 정지하며, 팬(10)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4)의 주위에 있던 차가운 공기가 상기 토출구(12)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다음에 스텝S4에서 상기 제어수단(4)은 상기 열교환기(4)의 표면의 온도가 상기 제어수단(4)에 미리설정된 설정온도 이상이 되었는가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된 시간부터 현재까지 습기를 제거하기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별한다. 이 판별 결과, 상기 열교환기(4)의 표면의 온도가 상기 제어수단(24)에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 이상이어서 상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된 시간부터 현재까지 습기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YES일 경우에는) 실내기(2) 내에 습기가 남아 있지 않으므로 스텝S5로 진행한다.
스텝S5에서 상기 제어수단(24)의 출력단자(02)로부터 상기 인버터(NOT2)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다음에 상기 인버터(NOT2)로부터 상기 릴레이(RY2)로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릴레이(RY2)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상기 접점(RY2-c)이 개방된다. 상기 접점(RY2-c)이 개방되면 상기 제2코일(L2)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팬모터(6)가 정지함으로써 팬(10)이 회전하지 않는다. 다음에 스텝S6에서 상기 제어수단(24)의 출력단자(05)로부터 상기 인버터(NOT5)로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인버터(NOT5)로부터 상기 릴레이(RY5)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릴레이(RY5)에 전류가 흘러서 상기 릴레이(RY5)의 접점(RY5-c)이 폐쇄된다. 상기 접점(RY2-c)이 폐쇄되면 상기 도어구동수단(32)의 제5코일(L1)에 전류가 흘러서 상기 피니언(1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랙(18)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도어(14)를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스텝S7에서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도어감지센서(20,22)로부터 상기 제어수단(24)의 입력단자(12,16)에 입력된 도어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토출구(12)가 폐쇄되었는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결과, 상기 토출구(12)가 폐쇄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YES일 경우에는) 도어(14)의 상승을 정지하기 위해 스텝S8로 진행한다.
스텝S8에서는 상기 제어수단(24)의 출력단자(05)로부터 상기 인버터(NOT5)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면 상기 인버터(NOT5)로부터 상기 릴레이(RY5)로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상기 릴레이(RY5)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상기 릴레이(RY5)의 접점(RY5-c)이 개방된다. 상기 접점(RY5-c)이 개방되면 상기 도어구동수단(32)의 제5코일(L5)에 전류가 흘러서 상기 피니언(16)의 회전이 정지한다. 다음에 도어(14)의 이동이 정지한다.
한편, 상기 스텝S2에서 상기 키입력수단(26)으로부터 상기 제어수단(24)의 입력단자(I1)로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상기 키입력신호에 미리 입력된 운전신호에 대응하여 계속해서 압축기 및 팬모터를 구동한다.
한편, 상기 스텝S4에서 상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된 시간부터 현재까지 습기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 (NO일 경우에는) 상기 스텝S3로 진행하여 계속해서 팬모터(6)를 구동함으로써 습기를 제거한다.
한편, 상기 스텝S7에서 상기 토출구(12)가 폐쇄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에는(NO일 경우에는)상기 스텝S6으로 진행하여 상기 도어(14)를 계속해서 상승시킨다.
한편, 상술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텝S4에서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열교환기(4)의 표면의 온도가 상기 제어수단(24)에 미리 설정된 설정온도 이상이 되었는가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된 시간부터 현재까지 습기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별하였다.
그러나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수단(24)에 상기 실내기(2) 내의 습기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설정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상기 스텝S4에서 상기 제어수단(24)은 상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된 시간부터 현재까지 경과한 시간이 상기 제어수단(24)에 미리 설정한 설정시간보다 큰가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된 시간부터 현재까지 습기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시간이 경과되었는가를 판별할 수도 있다.
상승한 바와 같이 본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실내기의 운전 정지 후 실내팬을 일정시간 동안 회전시킴으로써 실내기 내의 냉기를 모두 실내기 밖으로 토출시켜서 실내기 내에 습기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실내기의 재기동시에 상기 실내기 내부로부터 악취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쾌적하고 청결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내기 내의 습기로 인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제품의 사용 중 경제적인 손실을 감소시킬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어 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수단과, 상기 키입력수단에 운전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실내기의 공기를 실내로 순환시키도록 팬을 회전시키고 상기 키입력수단에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실내기 내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상기 팬을 일정시간 회전시키는 팬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에는 상기 키입력수단에 운전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실내기의 공기를 실내로 순환시키도록 토출구의 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키입력수단에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시 실내기 내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상기 팬모터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토출구의 도어구동수단이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키입력수단에 운전정지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 상기 실내기의 열교환기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상승할 때까지 상기 팬모터를 구동하도록 상기 열교환기의 표면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전정지신호가 키입력수단에 입력되었는지를 판별하는 운전 정지 판별스텝과, 상기 운전 정지 판별스텝에서 운전정지신호가 상기 키입력수단에 입력되었다고 판별하였을 경우 실내기 내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팬모터를 구동하는 팬모터 구동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정지 판별스텝에서 운전 정지 신호가 상기 키입력수단에 입력되지 않았다고 판별하였을 경우 상기 키입력신호에 입력된 운전신호에 대응하여 압축기 및 팬모터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19940036487A 1994-12-23 1994-12-2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0128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487A KR0128677B1 (ko) 1994-12-23 1994-12-2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6487A KR0128677B1 (ko) 1994-12-23 1994-12-2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087A KR960024087A (ko) 1996-07-20
KR0128677B1 true KR0128677B1 (ko) 1998-04-04

Family

ID=19403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6487A KR0128677B1 (ko) 1994-12-23 1994-12-2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6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087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7231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755230A (ja) 空気調和器の吐出口開閉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0182545B1 (ko) 공기조화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5787717A (en) Suction inlet/discharge outlet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an air conditioner and method therefor
KR19990081790A (ko) 공기조화기
JP3115260B2 (ja) 空気調和機の運転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197683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0128677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619983B2 (ja) 空気調和機
KR10055119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 제어방법
KR100324140B1 (ko) 공기조화기의흡입그릴열림감지장치
KR100231048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 제어방법
KR19980016491A (ko) 가전기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1078253A (ja) 空気調和機
KR0182578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91510B1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332701B2 (ko)
KR100187243B1 (ko) 공기조화기의 냄새제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87244B1 (ko) 공기조화기의 음향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25754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18724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100197693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구개폐장치 및 그 방법
KR0136724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82579B1 (ko) 공기조화기의 풍량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100189096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