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493Y1 - 보일러제어용 다목적 수면계기 - Google Patents

보일러제어용 다목적 수면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493Y1
KR0128493Y1 KR2019950006686U KR19950006686U KR0128493Y1 KR 0128493 Y1 KR0128493 Y1 KR 0128493Y1 KR 2019950006686 U KR2019950006686 U KR 2019950006686U KR 19950006686 U KR19950006686 U KR 19950006686U KR 0128493 Y1 KR0128493 Y1 KR 01284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water
led
boiler
leve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6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306U (ko
Inventor
김용학
Original Assignee
김충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일 filed Critical 김충일
Priority to KR2019950006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493Y1/ko
Publication of KR960035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3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4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4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6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7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제어용 다목적수면계기에 관한 것으로, 급수구(10)와 증기구(12)를 통하여 보일러급수탱크(14)에 수위감지통(16)이 연결되고 이 수위감지통(16)내에 자석(22)이 착설된 부자(24)가 장설되며, 수위 감지통(16)의 외면측에 자석(22)의 수직이동경로에 대응하여 자력감응수단(26)이 수직으로 배치된다.
자력감응수단(26)이 다수의 홀감지기 S1-S16(28)으로 구성되고 이들 홀감지기 S1-S16(28)는 보일러급수탱크(14)의 급수 및 단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입력신호를 제공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42)의 디스플레이회로(44)에는 수위감지통(16)의 외갑체(30)에 배열된 다수의 LED1-LED16(32)가 연결된다.

Description

보일러제어용 다목적 수면계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수직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사용된 제어유니트의 블럭다이아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수구 12 : 증기구
14 : 보일러급수탱크 16 : 수위감지통
22 : 자석 24 : 부자
26 : 자력감응수단 28 : 홀감지기
32 : LED 42 : 마이크로프로세서
44 : 디스플레이회로
본 고안은 보일러제어용 다목적 수면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위감지표시기능과 수위변환에 따른 수위제어기능을 함께 갖는 보일러제어용 다목적 수면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용 급수탱크에는 이 급수탱크의 수위를 외부로 표시하는 수면계와 급수탱크내의 수위변환에 따라 수위를 적정선으로 유지코록 하는 수위조절기가 결합구성된다.
종래의 수면계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보일러용 급수탱크에 상하연결관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유리관수면계가 있다. 이는 유리관수면계내의 수위가 급수탱크내의 수위와 동일하게 유지되는 점을 이용한 것으로 유리관내의 수위를 읽으므로서 급수탱크내의 수위를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원시적인 유리관 수면계는 작업자가 유리관수면계에 근접이동하여 수위를 읽어야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유리관수면계의 유리관과 같이 급수탱크에 바이패스관을 연결하고 이 바이패스관내에 수위변화에 따라 이동가능하고 자석이 부착된 부자를 내설하여 그 바이패스관의 외부에 자력의 작용을 받는 리드스위치를 배치하여 부자의 자석에 감응하는 리드스위치의 작동으로 수위표시램프가 수위변화에 따라 점멸토록하므로서 수위를 읽을 수 있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자력의 작용에 감응하는 감응소자로서 사용된 리드스위치가 수위표시램프의 온-오프용으로만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수위조절용으로 이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별도의 수위조절기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보일러용 수위조질기로서는 소위 맥도날드(상표명) 수위조절기가 있다. 이는 수면계와는 독립된 구조로 보일러 급수탱크내의 수위를 별도 감지하여 급수또는 급수차단하는 기능을갖는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급수탱크에 연결된 수위감지통내에서 수위변화에 따라서 이동하는 부자에 착설된 자석의 자력에 감응하는 감지소자에 다수의 홀감지기(hall sensor)를 이용하여 수면계기 외부에 배열한 다수의 수위표시 발광다이오드(LED)를 동작케하여 수위를 표시케하는 동시에 홀감지기의 신호를 입력으로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통하여 급수 및 단수의 제어, 스케일발생의 표시, 펌프 및 버너차단, 그리고 비상차단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측의 급수구(10)와 상측의 증기구(12)를 통하여 보일러급수탱크(14)에 비자성체의 수위감지통(16)을 연결하고, 수위감지통(16)내에는 내주인둘레에 수개의 부자안내봉(18)을 착설하며 내주인둘레의 일부에 한쌍의 자석안내봉(20(20')을 착설하여 상측변부에 일부가 돌출되는 자석(22)이 착설된 부자(24)를 수위감지통(16)내에 장설하고, 수위감지통(16)내에 장설하고, 수위감지통(16)의 외주연일측에 자석(22)에 대응토록 수직으로 배치한 것에 있어서, 자력감응수단(26)이 다수의 홀감지기 S1,S16(28)로 구성되며, 수위감지통(16)의 외부를 둘러싸는 외갑체(30)에는 다수의 홀감지기(28)에 대응하는 다수의 LED1-LED16(32)와 단수스위치(34)와 급수스위치(36)를 배치하며 하측에는 급수펌프작동표시등(38)과 버너작동표시등(40)을 배치하고, 외갑체(20)내에는 단수스위치(34)와 급수스위치(36)를 배치하며 하측에는 급수펌프작동표시등(38)와 급수스위치(36)가 일측입력으로 연결되고 홀감지기S1-S16(28)가 타측입력으로 언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42)를 내장하여 그 일측출력에 디스플레이회로(44)를 통하여 LED1-LED16(32)를 연결하며 타측에는 펌프차단출력(46), 버너차단출력(48) 및 비상차단출력(50)이 출력되게하고, 홀감지기 S1과 LED1은 저수위감지 및 표시용으로 사용되고 홀감지기 S2와 LED2는 스케일감지 및 표시용으로 사용되며, 홀감지기 S3-S8와 LED3-LED8은 급수감지및 표시용으로 사용되고 홀감지기 S9-S15와 LED9-LED15는 단수감지 침표시용으로 사용되며, 홀감지기 S16과 LED16은 급수차단을 위한 오우버플로감지 및 표시용으로 사용된다.
도면중 미설염부호 52는 퇴수구 53는 퇴수밸브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수위감지통(16)내에서 보일러급수탱크(14)내의 수위변화와 동일한 변화를 보이는 수위에 따라서 부자(24)가 상하로 이동되며 이에 착설된 자석(22)는 그 자력을 발생하여 이 자석(22)의 이동경로에 대응하게 배치된 자력감응수단(26)의 홀감지기 S1-S16(28) 를동작케 한다. 이러한 홀감지기 S1-S16(28)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회로(44)의 LED1-LED16(32)를 점멸작동시키는 동시에 요구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LED1-LED16(32)중에서 LED3-LED8은 수위감지통(16)내의 수위가 낮아져 급수가 요구됨을 나타내는데 이용되고 LED9-LED15는 수위가 높아져 단수가 요구됨을 나타낸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 각 경우의 볼감지기 S3-S8와 홀감지기 S9-S18는 각 대응 LED3-LED8과 LED9-LED15를 점등표시함과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42)를 통하여 급수 또는 단수가 이루어지도록 보일러의 급수펌프(도시하지 않았음)를 제어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홀감지기 S1과 LED1가 제수위 감지 및 표시용으로 사용되고 홀감지기 S2와 LED2는 보일러내에 스케일이 생성되어 부자(24)의 하강이 방해받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표시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최상단의 홀감지기 S16과 LED16는 보일러급수탱크(14)에 과잉급수되는 것을 감지하여 급수를 차단하는데 이용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홀감지기를 이용하여 급수 및 단수의 제어가 가능하도록하는 동시에 보일러운전에 필요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것이다.

Claims (1)

  1. 급수구(10)과 증기구(12)를 통하여 보일러급수탱크(14)에 수위감지통(16)을 연결하고 이 수위감지통(16)내에 자석(22)이 착설된 부자(24)를 장설하며, 수위감지통(16)의 외면측에 자석(22)의 수직이동경로에 대응하여 자력감응수단(26)이 다수의 홀감지기 S1-S16(28)으로 구성되고 이들 홀감지기 S1-S16(28)는 보일러급수탱크(14)의 급수 및 단수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입력신호를 제공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42)에 입력신호를 제공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42)의 디스플레이회로(44)에는 수위감지통(16)의 외갑체(30)에 배열된 다수의 LED1-LED16(32)를 연결하여서된 보일러제어용 다목적수면계기.
KR2019950006686U 1995-04-04 1995-04-04 보일러제어용 다목적 수면계기 KR01284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686U KR0128493Y1 (ko) 1995-04-04 1995-04-04 보일러제어용 다목적 수면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6686U KR0128493Y1 (ko) 1995-04-04 1995-04-04 보일러제어용 다목적 수면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306U KR960035306U (ko) 1996-11-21
KR0128493Y1 true KR0128493Y1 (ko) 1998-12-01

Family

ID=1941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6686U KR0128493Y1 (ko) 1995-04-04 1995-04-04 보일러제어용 다목적 수면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4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8036A2 (ko) * 2008-12-10 2010-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수위 표시 장치 및 그를 포함한 수위 측정 시스템
US11435217B2 (en) * 2015-11-18 2022-09-06 Gems Sensors Inc. Visual liquid level indicat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68036A2 (ko) * 2008-12-10 2010-06-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수위 표시 장치 및 그를 포함한 수위 측정 시스템
WO2010068036A3 (ko) * 2008-12-10 2010-09-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수위 표시 장치 및 그를 포함한 수위 측정 시스템
KR100989054B1 (ko) * 2008-12-10 2010-10-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수위 표시 장치 및 그를 포함한 수위 측정 시스템
US11435217B2 (en) * 2015-11-18 2022-09-06 Gems Sensors Inc. Visual liquid level indic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306U (ko) 199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1329A (en) Digital level with plumb
US4571995A (en) Digital readout indicator of oxygen usage, pressure and flow
US4173886A (en) Gas detectors
US4297081A (en) Liquid level control system
US8362432B2 (en) Optical liquid sensor
KR101877889B1 (ko) 전반사 프리즘을 이용한 지시형 수위계
KR0128493Y1 (ko) 보일러제어용 다목적 수면계기
ITMI20010632A1 (it) Misuratore ottico di portata
KR850006628A (ko) 자동판매기용 시럽 감지기
RU2307974C2 (ru) Управляемый с помощью электроники многоходовой клапан для топливных резервуаров, содержащих жидкий нефтяной газ
CN106404123A (zh) 汽车用液位传感器
US4380933A (en) Electrical control mercury monometer
KR910012405A (ko) 경사 호부기(經絲糊付機)
WO1989002065A1 (en) Flow detector
CN208331326U (zh) 一种电子恒温混水阀
JP3041986B2 (ja) 液面検知装置
JPH0520988Y2 (ko)
CN109459114B (zh) 水箱浮子高低位检测工装
JPH0445654Y2 (ko)
JPH01224670A (ja) ガス流検知装置
KR200266373Y1 (ko) 오일 탱크의 유량 측정 장치
KR0114352Y1 (ko) 유체 감지장치
ES1017551U (es) Dispositivo de deteccion del nivel minimo de un liquido en un deposito.
KR200141470Y1 (ko) 오일연소기용 유량검지 장치
US598030A (en) stagg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