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118Y1 - 낚싯대 받침 틀 - Google Patents

낚싯대 받침 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118Y1
KR0128118Y1 KR2019960004285U KR19960004285U KR0128118Y1 KR 0128118 Y1 KR0128118 Y1 KR 0128118Y1 KR 2019960004285 U KR2019960004285 U KR 2019960004285U KR 19960004285 U KR19960004285 U KR 19960004285U KR 0128118 Y1 KR0128118 Y1 KR 01281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shing rod
rod
fish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42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150U (ko
Inventor
이무근
Original Assignee
이무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무근 filed Critical 이무근
Priority to KR2019960004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118Y1/ko
Publication of KR970053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1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1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1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12Plural, selectively usable, article engag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개의 낚싯대(100)를 가지고 낚시할 때 낚싯대(100)를 지지·고정하기 위한 낚싯대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지지대가 그 설치를 위해 낚시하는 사람이 물 또는 진흙에 들어가야 하고 물고기에 의해 낚싯대(100)를 잃어버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낚싯대(100)를 지지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 말단의 홈(11)에 탈착 가능토록 취부되어 낚싯대(100) 손잡이가 고정되는 지지링(20)과, 상기 지지대(10)의 힌지부(12)가 삽입되어 힌지 고정될 수 있도록 홀(미 도시)이 형성된 돌출부(32)가 복수개 형성된 바디(30)와, 상기 바디(30)의 돌출부(32) 앞쪽에 취부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앞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낚싯대(100)의 선단 높이를 조절하는 고도 조정 핀(40)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장소에 관계없이 손쉽게 설치하여 낚싯대(10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그 설치를 위하여 물 또는 진흙에 들어가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이동시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는 낚싯대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싯대 받침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틀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틀의 조립 정면도.
제3도는 지지대의 사시도.
제4도는 지지링 사시도.
제5도는 고도 조정 핀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싯대 받침틀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대 11 : 홈
12 : 힌지부 14 : 힌지핀
20 : 지지링 23 : 고정축
24 : 고정 너트 25 : 고정 핀
30 : 바디 31 : 덮개
32 : 돌출부 40 : 고도 조정 핀
41 : 핀 몸체 42 : 탄성봉
43 : 스프링 44 : 조절나사
50 : 지지봉 51 : 가로 지지봉
60 : 균형판 61 : 돌출단
본 고안은 낚싯대를 지지 및 고정하는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낚시하는 사람이 물에 들어가지 않고도 여러 개의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낚싯대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여러 개의 낚싯대를 동시에 사용하여 낚시를 즐기기 때문에, 낚싯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종래의 지지대는 낚싯대 손잡이 앞쪽을 지지하는 제1지지대와, 손잡이 뒤쪽을 지지 및 고정하는 제2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대는 복수의 단으로 구성되어 이를 조립하여 사용토록 되어있고, 상기 제2지지대는 하나의 단으로 구성되어 낚싯대 손잡이의 끝부분의 상승을 막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지대의 상단에는 낚싯대가 놓여질 수 있도록 받침판이 설치되고, 상기 제2지지대의 상부에는 낚싯대를 어느 정도 고정하는 고정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지지대는 다음과 같이 사용되고 있다.
먼저, 제1지지대를 조립하여 전방으로 경사지도록 수중의 땅에 설치한 후, 낚싯대를 상기 제1지지대의 받침판에 놓아둔 뒤, 상기 제2지지대를 적당한 위치에 설치하여 낚싯대를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지지대는 상기 제1지지대의 설치를 위해 물 또는 진흙에 낚시하는 사람이 들어가야 하고,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므로 낚시하는 사람이 부주의 할때 어느 일 순간 물고기에 의해 낚싯대가 끌려가 낚싯대를 잃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낚시하는 사람이 물에 들어가지 않고도 여러 개의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한 낚싯대 받침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단이 좌우로 갈라지게 형성되고 타단에 홈이 형성되어 낚싯대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말단의 홈에 탈착 가능토록 취부되어 낚싯대 손잡이가 고정되는 지지링과, 상기 지지대의 힌지부가 삽입되어 힌지 고정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된 돌출부가 복수개 형성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돌출부 앞쪽에 취부되어 상기 지지대의 앞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낚싯대의 선단 높이를 조절하는 고도 조정 핀과, 하측은 날카롭게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바디의 하측 양단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를 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바디와 가로 지지봉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판과, 상기 균형판의 중앙에 위치된 돌출단에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상기 균형판을 지지하는 균형판 지지봉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낚싯대 받침틀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Y자 형으로 갈라지게 형성되고 타단에 홈(11)이 형성되어 낚싯대(100)를 지지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0)를 회동시키는 힌지부(12)와, 상기 지지대(10) 말단의 홈(11)에 탈착 가능토록 취부되어 낚싯대(100) 손잡이가 고정되는 지지링920)과, 상기 지지대(10)의 힌지부(12)가 삽입되어 힌지 고정될 수 있도록 홀(미 도시)이 형성된 동출부(32)와, 상단에 상기 돌출부(32)가 3개 형성된 바디(30)와, 상기 바디(30)의 돌출부(32) 앞 쪽에 취부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앞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낚싯대(100)의 선단 높이를 조절하는 고도 조정 핀(40)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측은 날카롭게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바디(30)의 하측 양단의 중앙부에 삽입상기 바디(30)를 지지하는 지지봉(50)과, 상기 바디(30)와 가로 지지봉(51)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디(30)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판(60)과, 상기 균형판(60)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단(61)과, 상기 돌출단(61)에 형성된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균형판(60)을 지지하는 균형판 지지봉(52)이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12)와 상기 돌출부(32)는 힌지 핀(14)에 의하여 고정되는데, 상기 힌지부(12) 일측의 홀(미도시)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 핀(14)과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힌지부(12)와 상기 돌출부(32)를 견고하게 힌지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바디(3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32)는 바깥쪽의 2개가 중앙을 향하여 비스듬히 형성되어 낚시하는 사람의 낚시 행위를 보조하게 된다.
상기 지지링(20)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호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된 상·하측 지지편(21, 22)과, 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머리 부분이 상기 상측 지지편(21)의 자유단에 형성된 홈(26)에 회전 가능토록 취부되는 고정축(23)과, 상기 고정축(23)의 나사산에 끼워지는 고정 너트(24)와, 하측에 고정볼(25')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지지판(22)의 하측에 취부되어 그 중간 부분이 상기 지지대(10)의 말단부 홈(11)에 탈착 가능토록 취부되는 고정핀(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디(30)는 그 내부가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상측에 덮개(31)가 설치되어 그 공간부에 미끼 등을 담을 수 있게끔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대(10) 말단부의 홈(11)과 상기 하측 지지판(22)에 형성된 홈(미 도시)은 외부쪽으로 트여 있어 상기 지지링(20)의 고정핀(25)과 상기 고정축(23)이 손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고도 조정 핀(40)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공 상태인 핀 몸체(41)와, 상기 핀 몸체(4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앞부분을 지지하고 탄력을 주는 탄성봉(42)과, 상기 핀 몸체(41)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봉(42)을 탄발시키는 스프링(43)과, 상기 스프링(43)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 나사(4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디(30)와 상기 균형판(60)을 상기 가로 지지봉(51)으로 연결하고 상기 지지봉(50)과 상기 균형판 지지봉(52)을 삽입한 후, 상기 지지봉(50, 52)들을 땅에 박아 넣어 견고하게 상기 바디(30)를 고정한다. 상기 바디(30)가 고정되면 상기 지지대(10)의 힌지부(12)와 상기 바디(30)의 돌출부(32)를 힌지핀(14)으로 힌지 고정하고, 상기 돌출부(32)의 앞쪽에 상기 고도 조정 핀(40)을 삽입하여 낚싯대 지지틀의 조립을 완료한다.
낚싯대 지지틀의 조립이 완료되면 낚싯대(100)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지지링(20)을 전개하여 낚싯대(100)의 손잡이 끝부분을 상기 고정축(23)과 상기 고정 너트(24)로 고정한 후, 상기 지지대(10)의 Y자 형으로 갈라진 부분에 낚싯대(100)를 걸쳐 놓고 상기 지지링(20)의 고정핀(25)을 상기 지지대(10)의 홈(11)에 삽입시켜 취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도 조정 핀(40)은 낚싯대(100)의 칸 수에 따라 상기 핀 몸체(41)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낚싯대(100)의 선단 높이를 제어하고, 조절 나사(44)를 이용하여 상기 탄성봉(42)의 에 걸리는 탄성력을 가감시키게 된다.
고기가 낚이거나, 미끼의 교체 또는 낚시를 마치기 위하여 낚싯대(100)를 거두고자 할 경우, 낚싯대(100)를 당기면서 들어 올리면 상기 지지링(20)이 상기 지지대(10) 말단부 홈(11)의 개방된 부분으로 용이하게 탈락된다.
그러나, 낚시하는 사람이 부주의 할 때 고기가 물려 고기가 낚싯대(100)를 끌고 가려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링(20)이 상기 지지대(10)와 상기 고정핀(25)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대(100)는 끌려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바디(30)의 중공부에 미끼나 크기가 작은 낚시 소모품등을 담아 둘 수 있으므로, 주위가 산만하지 않게 되어 낚시를 즐기는데 도움이 된다.
만약, 낚시터와 같이 좌대가 설치된 곳에서 낚시를 할 경우에는 상기 지지봉(50)이나 상기 균형판(60) 등은 조립하지 않고, 상기 바디(30)와 상기 지지대(10)만을 조립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장소에 관계없이 손쉽게 낚싯대 받침틀을 설치하여 낚싯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낚싯대 받침틀 설치를 위하여 물 또는 진흙에 들어가지 않아도 되므로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낚싯대 받침틀을 손쉽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므로 이동시 큰 부피를 차지하지 않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일단이 좌우로 갈라지게 형성되고 타단에 홈(11)이 형성되어 낚싯대(100)를 지지하는 지지대(10)와, 상기 지지대(10) 말단의 홈(11)에 탈착 가능토록 취부되어 낚싯대(100) 손잡이가 고정되는 지지링(20)과, 상기 지지대(10)의 힌지부(12)가 삽입되어 힌지 고정될 수 있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된 돌출부(32)가 복수개 형성된 바디(30)와, 상기 바디(30)의 돌출부(32) 앞쪽에 취부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앞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낚싯대(100)의 선단 높이를 조절하는 고도 조정 핀(40)과, 하측은 날카롭게 형성되고 상측은 상기 바디(30)의 하측 양단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상기 바디(30)를 지지하는 지지봉(50)과, 상기 바디(30)와 가로 지지봉(51)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디(30)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균형판(60)과, 상기 균형판(60)의 중앙에 위치된 돌출단(61)에 형성된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상기 균형판(60)을 지지하는 균형판 지지봉(5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링(20)은 일단이 상호 힌지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된 상·하측 지지편(21, 22)과, 하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머리 부분이 상기 상측 지지편(21)의 자유단에 형성된 홈(21)에 회전 가능토록 취부되는 고정축(23)과, 상기 고정축(23)의 나사산에 끼워지는 고정 너트(24)와, 하측에 고정볼(25')이 형성되고 상기 하측 지지판(22)의 하측에 취부되어 그 중간 부분이 상기 지지대(10)의 말단부 홈(11)에 탈착 가능토록 취부되는 고정핀(2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0)는 그 내부가 중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 상측에 덮개(31)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 조정 핀(40)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중공 상태인 핀 몸체(41)와, 상기 핀 몸체(41)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10)의 앞부분에 탄력을 주는 탄성봉(42)과, 상기 핀 몸체(41)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봉(42)을 탄발시키는 스프링(43)과, 상기 스프링(43)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 나사(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받침틀.
KR2019960004285U 1996-03-08 1996-03-08 낚싯대 받침 틀 KR01281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285U KR0128118Y1 (ko) 1996-03-08 1996-03-08 낚싯대 받침 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4285U KR0128118Y1 (ko) 1996-03-08 1996-03-08 낚싯대 받침 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150U KR970053150U (ko) 1997-10-13
KR0128118Y1 true KR0128118Y1 (ko) 1998-10-15

Family

ID=1945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4285U KR0128118Y1 (ko) 1996-03-08 1996-03-08 낚싯대 받침 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1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150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8700A (en) Reel and rod hanger
US4831770A (en) Fishing lure
US6938367B2 (en) Tension measured fishing line bite detector alarm
US3992801A (en) Fishing hook assembly
US5462407A (en) Ceiling fan blade and hub assembly
KR0128118Y1 (ko) 낚싯대 받침 틀
KR100352846B1 (ko) 낚시 받침대
KR200235432Y1 (ko) 낚시용 받침대
KR200221827Y1 (ko) 낚싯대 이탈 방지용 고정 장치
KR20210078729A (ko) 낚시의자
CN207836565U (zh) 碳素短节鱼竿两用支架
KR100511369B1 (ko) 낚싯대 받침구
KR100866996B1 (ko) 낚싯대용 받침대
KR200332628Y1 (ko) 낚싯대 받침판용 다용도 거치구
KR920001658Y1 (ko) 분해, 조립식 낚싯대 받침
KR920001659Y1 (ko) 낚시대용 뒷받침대
USD338945S (en) Mermaid fishing lure
KR100246252B1 (ko) 낚시용 좌대
KR200366997Y1 (ko) 낚시대 지지 장치
KR20240080819A (ko) 낚시대 받침틀에 연결하는 앞받침대 범용 연결홀더가 구비된 낚시용 받침대
CN208692111U (zh) 一种支架隐藏式多功能鱼竿
KR930007504Y1 (ko) 낚시대
KR200174228Y1 (ko) 미끼통이 형성된 낚시대 지지봉
KR200249276Y1 (ko) 낚싯대받침대 설치용 떡밥통
KR950002226Y1 (ko) 낚시대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