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786Y1 -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786Y1
KR0127786Y1 KR2019930016495U KR930016495U KR0127786Y1 KR 0127786 Y1 KR0127786 Y1 KR 0127786Y1 KR 2019930016495 U KR2019930016495 U KR 2019930016495U KR 930016495 U KR930016495 U KR 930016495U KR 0127786 Y1 KR0127786 Y1 KR 01277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output
outputting
signal
limit 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4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480U (ko
Inventor
지명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164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786Y1/ko
Publication of KR9500074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7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7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H03G7/005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6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Abstract

적어도 두개 이상의 오디오 소스(Audio source)를 가지고 이들을 선택하는 선택 모드를 가지는 오디오 장치에서 모드 선택에 적응하여 입력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회로는 모드 선택시 해당음원의 출력 레벨을 직류화하고, 비교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직류화된 신호의 레벨을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의 범위의 값과 비교 출력 레벨의 상태를 검출한다.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의 범위를 벗어났을 때 전자 가변기의 출력을 조절하여 출력 레벨이 상기 설정된 기준 레벨의 범위 내에 위치 하도록 제어 한다.

Description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모드 선택 스위치 14 : 저역필터
16, 20 : 연산증폭기 18 : 전자 가변기
22 : 정류기 23, 28 : 제1, 제2비교기
26 : 반전버퍼 30 : 마이컴
R,R1~R5 : 저항 C1~C2 : 캐패시터
본 고안은 오디오 장치의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오디오 소스(Audio source)를 가지고 이들을 선택하는 선택 모드를 가지는 오디오 장치에서 모드 선택에 적응하여 입력 레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입력 레벨 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오디오 장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음원(Audio source)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음원를 선택하는 선택모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라디오 수신 선택모드와 기록 매체에 기록된 신호원을 재생할 수 있는 모드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튜너 선택 모드와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모드 혹은 폰(Phone), 마이크 입력 모드(AUX) 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음원을 입력할 수 있는 오디오 장치에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혹은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재생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 레벨이 상이하다. 이러한 원인은 콤팩트 디스크와 레이저 디스크의 녹음 레벨의 차이 혹은 디스크 플레이어와 오디오 장치 상호간의 임피던스 언매칭등에 의해서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현상은 튜너 혹은 폰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하나의 메인 앰프를 단일의 세트로 구입하고 콤팩트 디스크 혹은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 폰(Phone), 튜너등의 세트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콤폰넌트(Componet)의 경우에는 더욱 심한 문제가 발생한다. 각각의 음원의 세트에 따라 출력 레벨이 상이하게 때문에 해당하는 음원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모드 선택에 따라 음성 출력 레벨을 조절하는 볼륨을 다시 조절하여야만 적절한 출력 레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설명하면, 이전에 선택한 음원 세트의 출력 레벨이 낮아 볼륨을 높여 사용하다가 출력 레벨이 다소 높은 음원 세트를 선택하면 메인 앰프의 출력이 갑자기 높아질 뿐만이 아니라 출력 레벨의 클리핑이 발생하여 디스토션(distortion)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된 음원의 레벨을 검출하여 소망하는 레벨로 자동 조절하여 오디오 장치로 출력하는 오디오 장치의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원 세트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입력하여 증폭 출력하는 장치에 있어서, 음원 선택 모드에 적응하여 음성 입력 레벨을 동일하도록 자동 제어하는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음원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의 범위에 적응 출력되도록하는 음원레벨 자동조절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음원(Audio source)중 소망하는 음원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이의 선택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 스위치(12)와, 상기 선택 스위치(12)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저 역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저역필터(14)와, 상기 저역필터(14)의 출력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출력하는 연산 증폭기(16)와, 상기 연산 증폭기(16)의 출력 레벨을 제어 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가변 출력하는 전자 가변기(18)와, 상기 전자 가변기(18)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 출력하는 연산증폭기(20)와, 상기 연산증폭기(20)의 출력을 정류하여 직류 신호로 출력하는 정류기(22)와, 상기 정류기(22)의 출력을 극성 반전하여 출력하는 반전버퍼(26)와, 미리 설정된 상한 기준레벨(Ref1)과 상기 정류기(22)의 출력 레벨을 비교하여 정류기(22)의 출력이 상기 상한 기준레벨(Ref1)보다 더 클때 응답하여 하강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상반될 때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24)와, 미리 설정된 하한 기준레벨(Ref2)와 상기 반전 버퍼(26)의 출력을 비교하여 반전버퍼(26)의 출력이 상기 하한 기준레벨(Ref2)보다 더 클때 응답하여 상승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상반될 때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28)와, 상기 제1, 제2비교기(24)(28)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 적응하는 출력 레벨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가변기(18)로 출력하는 마이컴(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중, 저역필터(14)는 저항(R1)과 캐패시터(C1)가 직렬 접속된 수동형 필터이며, 연산증폭기(16)(20)들 각각은 증폭정수값을 설정하는 두개의 저항이 출력단자와 접지 사이에 직렬 접속되며, 이들의 접속 노드가 반전단자와 비반전 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정류기(24)는 연산증폭기(20)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반파 정류하기 위한 다이오드(D)와, 상기 다이오드(D)의 출력을 이상적인 직류신호에 근사하도록 평활하기 위한 캐패시터(C1)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서 미설명한 부호 R은 임피던스 매칭용 저항이며, R2, R3와 R4, R5는 상기한 연산증폭기(16)과 (20)의 증폭 저항이다.
상기와 같은 제1도의 구성중 정류기(24)와 반전버퍼(24), 제1, 제2비교기(24, 28)은 창비교기(Window comparator)의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이는 연상증폭기(20)의 출력이 미리설정된 상한 기준레벨(Ref1)과 하한 기준레벨(Ref2)의 범위내에 있는가를 검출하기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전자 가변기(18)는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전자 볼륨 혹은 디지털의 입력에 대응하여 출력레벨을 달리하는 가변 증폭기 혹은 감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고안에 따른 제1도의 동작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사용자가 모드선택 스위치(12)를 튜너(T)로 선택한 상태이어서 상기 튜너(T)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저역필터(14)와 연산증폭기(16)와 전자 가변기(18)를 통하여 소정의 레벨로 출력되고 있는 상태라 가정한다.
지금, 소정 레벨의 음원이 전자 가변기(18)로부터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모드 선택 스위치(12)를 콤팩트 디스크(C) 혹은 폰(P)의 모드로 스위칭하면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혹은 턴 테이블로 부터 출력되는 음원이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12)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때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12)는 모드 선택에 따른 모드선택신호를 마이컴(30)으로 출력한다. 상기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한 마이컴(30)은 소정의 주기로 입력단자(D1,D2)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색하여 검색된 신호들의 상태에 따라 전자 가변기(18)에 출력 레벨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상기 단자(D1,D2)로 입력되는 신호는 상기 전자 가변기(1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미리 설정된 기준 레벨들과 비교하여 발생된 신호로서 이는 모드 선택 스위칭시 상기 전자 가변기(18)의 출력이 일정한 레벨이 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며, 이는 후술하는 동작에 의해 발생된다.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12)로부터 선택된 모드의 음원이 출력되면, 이는 저항(R1)과 캐패시터(C1)으로 구성된 저역필터(12)에 의해 저역필터링된후 연산증폭기(16)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연산증폭기(16)는 입력된 음원의 신호를 반전단자에 접속된 증폭정수의 값에 의한 레벨로 증폭하여 전자 가변기(18)로 출력한다. 상기 전자 가변기(18)는 마이컴(30)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레벨 제어 신호에 대응된 레벨로 입력 신호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이때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레벨 제어신호는 이전의 출력상태 혹은 모드선택신호의 입력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어신호이다.
한편, 연산증폭기(20)는 전자 가변기(18)의 출력단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레벨을 적정한 레벨의 신호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적정한 레벨의 신호라함은 전자 가변기(18)의 출력을 직류화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는 레벨이다. 상기 연산증폭기(20)에서 적정한 레벨의 신호로 증폭된 출력신호는 다이오드(D)와 캐패시터(C2)로 구성된 정류기(22)에서 정류되어 신호 레벨에 대응한 직류 신호로서 출력된다. 예를들면, 전자 가변기(18)의 출력 레벨이 큰 경우 상기 정류기(2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레벨은 높아지며, 상기 전자 가변기(18)의 출력 레벨이 작은 경우 상기 정류기(22)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의 레벨은 낮아진다. 상기 정류기(2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제1비교기(24)의 비반전 단자와 반전버퍼(26)의 반전단자로 입력된다. 상기 반전버퍼(26)는 상기 정류기(22)의 출력을 반전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반전기(26)는 입력된 신호의 극성을 반전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비교기(24)(28)들 각각은 전자 가변기(1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레벨의 크기에 대응된 양의 전압과 음의 전압을 각각 입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출력 레벨에 대응되는 전압을 입력하는 제1비교기(24)와 제2비교기(28)는 각각의 비반전단자로 입력되는 신호 레벨을 반전 단자로 각각 입력되는 상한 기준레벨(Ref1)과 하한 기준레벨(Ref2)과 비교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한 기준레벨(Ref1)과 하한 기준레벨(Ref2)은 출력 레벨의 최대와 최소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며, 이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예에서는 절대치의 크기는 같고 극성만이 다르게 하였다. 상기 정류기(22)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상한 기준레벨(Ref1)보다 작으면 제1비교기(24)는 이들을 비교하여 로직 로우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2비교기(28)는 반전버퍼(26)에서 극성이 반전된 출력 레벨 검출신호와 하한 기준 레벨(Ref2)을 비교함으로써 로직 하이의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제1비교기(24)의 출력이 로우이고, 제2비교기(28)의 출력이 하이이면 전자 가변기(18)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 기준레벨(Ref1)과 하한 기준 레벨(Ref2)보다도 더 작은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만약, 전술한 바와 같은 비교에 의해 상기 제 1비교기(24)의 출력이 하이이고, 제2비교기(28)의 출력이 로우이라면 전자 가변기(18)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 기준레벨(Ref1)과 하한 기준 레벨(Ref2)보다도 더 큰 상태임을 알 수 있으며, 제1비교기(24)와 제2비교기(28)의 출력이 모두 로우인 경우에는 전자 가변기(18)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 기준레벨(Ref1)과 하한 기준 레벨(Ref2)의 범위 안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 제2비교기(24,28)의 출력에 관계하여 전자 가변기(18)의 출력 상태를 나타내면 하기 표 1과 같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한 마이컴(30)은 상기 제1, 제2비교기(24,2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주기로 검색하여 전자 가변기(18)의 출력을 증가 시킬 것인지 혹은 감소 시킬 것인지를 결정하고, 이에 대응되는 출력 레벨 제어신호를 전자 가변기(18)의 제어 단자에 입력시킨다.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레벨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제2비교기(24, 28)의 출력과 관계하여 진리표로 나타내면 하기 표 2와 같다.
상기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컴(30)은 상기 제1, 제2비교기(24,28)의 출력 상태에 따라 전자 가변기(18)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전자 가변기(18)의 출력 제어는 피이드 백(Feed back)되는 신호를 전술한 바와 같이 계속 체크하여 제1, 제2비교기(24,28)의 출력이 모드 로우로 될 때까지 반복한다. 즉, 모드 스위칭 선택후 전자 가변기(18)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상한 기준레벨(Ref1)과 하한 기준레벨(Ref2)의 범위 내에 존재할 때 까지 전술한 동작을 반복한다.
이때 전자 가변기(18)의 출력 레벨이 미리 설정된 상한 기준레벨(Ref1)과 하한 기준레벨(Ref2)의 범위내로 제어하는 동작은 수초 내에 이루어 지도록 마이컴(30)이 위와 같은 동작을 제어한다.
따라서 음원을 선택하는 모드 스위칭이 발생되면 마이컴이 상기 모드 스위칭의 상태를 인식하고, 출력 레벨을 검출하여 미리 설정된 출력 레벨의 범위로 신속하게 조절함으로써 모드 선택시 마다 발생되는 디스토션등의 현상을 제거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마이컴을 사용하여 전자 가변기(18)을 제어하는 일예를 설명하였으나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게이트와 타이머 그리고 멀티플렉서와 같은 로직회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에 유의 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원을 선택하는 모드 스위칭시 해당 음원 출력레벨이 미리설정된 출력레벨의 범위로 신속하게 조절하므로써 모드 선택시 발생되는 디스토션을 방지할 수 있고, 모드 선택시 마다 일일이 볼륨을 조절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를 증대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음원중 소망하는 음원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이의 선택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출력 레벨 제어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가변 출력하는 레벨 가변 수단과, 상기 레벨 가변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 출력하는 증폭수단과, 상한 기준 레벨과 하한 기준 레벨이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증폭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레벨을 상기 미리 설정된 레벨과 비교하여 출력 레벨 판별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레벨 검출수단과, 상기 모드 선택 상태 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레벨 검출수단의 출력 레벨 판별신호에 대응한 출력 레벨 제어 신호를 상기 레벨 가변 수단으로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 선택 레벨 제어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레벨 검출수단은, 상기 증폭수단의 출력을 정류하여 직류 신호로 출력하는 정류수단과, 상기 정류수단의 출력을 극성 반전하여 출력하는 반전수단와, 미리 설정된 상한 기준레벨(Ref1)과 상기 정류수단의 출력 레벨을 비교하여 정류수단의 출력이 상기 상한 기준레벨(Ref1) 보다 더 클때 응답하여 하강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상반될 때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산한 레벨 검출수단와, 미리 설정된 하한 기준레벨(Ref2)와 상기 반전수단의 출력을 비교하여 반전 수단의 출력이 상기 하한 기준레벨(Ref2)보다 더 클때 응답하여 상승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상반될 때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하한레벨 검출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자동조절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수단과 상기 레벨 가변 수단의 사이에는 상기 선택된 음원을 저역필터링하여 출력하는 필터링수단과, 상기 필터링된 음원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상기 레벨 가변수단으로 입력시키는 전치 증폭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가변 수단은, 전자 가변기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음원중 소망하는 음원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이의 선택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 스위치(12)를 구비하고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에 있어서, 상기 선택 스위치(12)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저역필터링하여 출력하는 저역필터(14)와, 상기 저역필터(14)의 출력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출력하는 연산 증폭기(16)와, 상기 연산 증폭기(16)의 출력 레벨을 제어신호의 입력에 대응하여 가변 출력하는 전자 가변기(18)와, 상기 전자 가변기(18)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소정의 레벨로 증폭 출력하는 연산증폭기(20)와, 상기 연산 증폭기(20)의 출력을 정류하여 직류 신호로 출력하는 정류기(22)와, 상기 정류기(22)의 출력을 극성 반전하여 출력하는 반전버퍼(26)와, 미리 설정된 상한 기준레벨(Ref1)과 상기 정류기(22)의 출력 레벨을 비교하여 정류기(22)의 출력이 상기 상한 기준레벨(Ref1)보다 더 클때 응답하여 하강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상반될때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24)와, 미리 설정된 하한 기준레벨(Ref2)와 상기 반전 버퍼(26)의 출력을 비교하여 반전버퍼(26)의 출력이 상기 하한 기준레벨(Ref2)보다 더 클 때 응답하여 상승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와 상반될때 정상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28)와, 상기 제1, 제2비교기(24)(28)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신호에 적응하는 출력 레벨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가변기(18)로 출력하는 마이컴(3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KR2019930016495U 1993-08-25 1993-08-25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KR01277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495U KR0127786Y1 (ko) 1993-08-25 1993-08-25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495U KR0127786Y1 (ko) 1993-08-25 1993-08-25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80U KR950007480U (ko) 1995-03-21
KR0127786Y1 true KR0127786Y1 (ko) 1999-03-20

Family

ID=19361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495U KR0127786Y1 (ko) 1993-08-25 1993-08-25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7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80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5443B2 (ja) オーディオ装置における信号処理回路
US4983927A (en) Integrated audio amplifier with combined regulation of the "mute" and "standby" functions and the switching transients
US7876911B2 (en) Headphone driv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4884141A (en)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
US9154098B2 (en) Amplifier circuit and amplification method
JP2019193265A (ja) 高性能オーディオアンプの安定化
EP236837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bass frequency control
US5323457A (en) Circuit for suppressing white noise in received voice
KR100331369B1 (ko) 오디오증폭기장치
US4752960A (en) Audio processing circuit
KR0127786Y1 (ko) 모드선택에 따른 자동입력 레벨 조절회로
US6115589A (en) Speech-operated noise attenuation device (SONAD) control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5220287A (en) Voice processing apparatus
US5493617A (en) Frequency bandwidth dependent exponential release for dynamic filter
KR930008653B1 (ko) 시간 지연 비교 노이즈 검출회로
KR940003350B1 (ko) 볼륨 자동 제어장치
JPH0545089B2 (ko)
KR200241480Y1 (ko) 영상신호잡음제거회로
KR100457840B1 (ko) 오디오증폭기
KR20010028940A (ko) 진동레벨 자동 조절 장치 및 방법
JP3278864B2 (ja) デジタルオートゲインコントローラ
KR940003767B1 (ko) 오디오 출력회로 및 출력클립핑 제거방법
KR100188919B1 (ko) 오디오레벨 자동제어장치
KR920004814Y1 (ko) Rf자동이득제어회로
KR910003212Y1 (ko) 초저음 제거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