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608Y1 - 공기조화기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608Y1
KR0127608Y1 KR2019950038611U KR19950038611U KR0127608Y1 KR 0127608 Y1 KR0127608 Y1 KR 0127608Y1 KR 2019950038611 U KR2019950038611 U KR 2019950038611U KR 19950038611 U KR19950038611 U KR 19950038611U KR 0127608 Y1 KR0127608 Y1 KR 0127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panel
outdoor unit
plat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347U (ko
Inventor
김대동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38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608Y1/ko
Publication of KR9700443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3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에 있어서, 측면판넬(300)의 우측면판(310)과 좌측면판(320)의 하부에 체결수단(120)에 의해 상기 하부판넬(40)을 결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홀(310a)(320a)과, 상기 우측면판(310) 및 좌측면판(320)과 뒷면판(330)의 하단에 상기 측면판넬(300)의 취약점을 보완하도록 형성된 절곡부(310b)(320a)(330a)와, 상기 우측면판(310)의 전측 하단에 배관커버부재(60)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형성된 개구부(310c)와, 상기 우측면판(310)의 개구부(310c)의 상부에 콘트롤부(60)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관통된 연결구(310d)와 상기 콘트롤부(60)를 체결수단(130)에 의해서 체결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310e)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실외기의 하중 및 충격에 의한 상기 측면판넬의 뒷면판이 굽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실외기의 고장으로 인하여 해체해야 할 경우에 쉽게 해체할 수 있으며, 누수 및 침수로 인한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및 실외기의 전원을 용이하게 연결 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고안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외기
제1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측면판넬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응력집중으로 인한 굽힘현상을 나타내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측면판넬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측면판넬과 하부판넬이 결합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외기 본체 20 : 전면판넬
300 : 측면판넬 310 : 우측면판
320 : 좌측면판 330 : 뒷면판
310b,320b,330a : 절곡부 310a, 320a : 관통홀
310c : 개구부 310d : 연결구
40 : 하부판넬 40a,40b : 관통홀
50 : 냉매배관접속부 60 : 콘트롤부
80 : 배관커버부재 90 : 전장커버부재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측변판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의 전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21)를 구비한 전면판넬(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20)의 토출구(21)의 전면에는 흡입그릴부재(22)가 상기 전면판넬(20)에 결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측면과 뒷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다수개의 흡입구(30a)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판넬(30)이 상기 본체(10)의 측면과 뒷면에 걸쳐 일체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 실외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등의 내장부품들을 배설할 수 있도록 하부판넬(40)이 상기 측면판넬(30)의 하단 안쪽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넬(30)은 상기 본체(10)의 우측에 배설되어 후술하는 커버부재가 조립되도록 개구부(31a)가 형성된 우측면판(31)과 좌측에 배설된 좌측면판(32)과 뒷면에 배설된 뒷면판(3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뒷면판(33)의 하단에는 체결수단(120)에 의해 상기 하부판넬(40)을 결착할 수 있도록 관통홀(33a)(33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뒷면판(33)의 하단 측면에는 냉매배관(51)(52)들이 외부로 연결되도록 개구부(3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넬(40)의 뒷면부(40c)에는 상기 뒷면판(33)의 관통홀(33a)(33b)과 상기 체결수단(120)에 의해 결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40a)(4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넬(40) 바닥부(40d)의 좌측에는 냉매배관접속부(50)와 콘트롤부(60)를 지지 결착하는 브라켓(41)이 수직방향으로 결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넬(40)의 하단에는 상기 실외기 본체(10)을 설치 및 지지하도록 지지수단(42)이 결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우측면판(31)의 개구부(31a)에는 내부에 있는 냉매배관접속부(50)와 콘트롤부(60)를 커버하도록 커버부재(70)가 조립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측면판넬(30)에는 뒷면판(33)의 개구부(33c)와 우측면판(31)의 개구부(31a)가 형성되어 있어 실외기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33c)(31a)쪽으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나 실외기의 강도가 취약해지고, 상기 개구부(33c)(31a)의 응력집중현상으로 상기 뒷면판(33)이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둥글게 굽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측면판넬(30)의 뒷면판(33)과 상기 하부판넬(40)과 상기 실외기 본체 뒤에서 결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제품 고장시 측면판넬(30)을 해체해야할 경우에 어려움이 있고, 콘트롤부(60)가 측면하단에 배설되어 있어서 누수 및 침수로 인한 전기 사고의 위험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실외기의 응력집중현상으로 인한 취약점을 개선함과 동시에 제품 고장시 해체가 용이하도록 하며, 누수나 침수로 인한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실외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측면판넬의 우측면판과 좌측면판의 하부에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판넬을 결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우측면판 및 좌측면판과 뒷면판의 하단에 상기 측면판넬의 취약점을 보완하도록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우측면판의 전측 하단에 배관커버부재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우측면판의 개구부의 상부에 콘트롤부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관통된 연결구와, 상기 콘트롤부를 체결수단에 의해서 체결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 측면판넬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측면판넬과 하부판넬이 결합된 상태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 내지 제3도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의 전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구(21)를 구비한 전면판넬(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넬(20)의 토출구(21)의 전면에는 토출그릴부재(22)가 상기 전면판넬(20)에 결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측면과 뒷면에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다수개의 흡입구(300a)가 형서되어 있는 측면판넬(300)이 상기 본체(10)의 측면과 뒷면에 걸쳐 일체로 배설되어 있고, 상기 실외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압축기등의 내부부품들을 배설할 수 있도록 하부판넬(40)이 상기 측면판넬(300)의 하단 내측에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넬(300)의 우측면판(310) 하부에는 그 내부에 배설된 냉매배관접속부(50)를 커버하도록 배관커버부재(80)가 결착되어 있고, 상기 냉매배관접속부(50)에는 냉매배관(51)(52)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판넬(300)의 우측면판(310) 상부에는 그내부에 배설된 콘트롤부(60)를 보호하도록 전장커버부재(90)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측면판넬(300)은 상기 본체(10)의 우측에 배설된 우측면판(310)과 좌측에 배설된 좌측면판(320)과 뒷면에 배설된 뒷면판(3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면판(310)과 좌측면판(320)의 하부에는 체결수단(120)에 의해 상기 하부판넬(40)을 결착할 수 있도록 관통홀(310a)(320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우측면판(310) 및 좌측면판(320)과 뒷면판(330)의 하단에는 상기 측면판넬(300)의 취약점을 보완하도록 절곡부(310b)(320b)(330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우측면판(310)의 전측 하단에는 상기 배관커버부재(60)에 의해서 커버되는 개구부(310c)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310c)의 상측에는 콘트롤부(60)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연결구(310d)와 상기콘트롤부(60)를 체결수단(130)에 의해서 체결하도록 복수개의 관통홀(310e)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넬(40)의 측면부(40e)에는 상기 우측면판(310)과 좌측면판(320)의 관통홀(310a)(320a)과 상기 체결수단(120)에 의해 결착될 수 있도록 관통홀(40a)(4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판넬(40)의 바닥부(40d)의 전측 측면에는 냉매배관접속부(50)를 지지 결착하는 브라켓(41)이 수직방향으로 결착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판넬(40)의 하단에는 상기 실외기 본체(10)을 설치 및 지지하도록 지지수단(42)이 결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외기의 본체의 설치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측면판넬(300)을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하고 상기 측면판넬(300)의 우측면판(310) 및 좌측면판(320)과 뒷면판(330)의 하단에 각각 형성된 절곡부(31b)(320b)(330a)에 하부판넬(40)이 제6도와 같이 안착된 상태에서 측면판넬(300)의 우측면판(310)과 좌측면판(320)에 형성된 관통홀(310a)(320a)과 하부판넬(40)의 측면부(40e)에 형성된 관통홀(40a)(40b)이 각각 체결수단(120)에 의해 체결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넬(40)에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등의 내부부품들을 배설한 후 상기하부판넬(40)에 결착되어 있는 브라켓(41)에 냉매배관(51)(52)을 결착한후 상기 측면판넬(300)의 우측면판(310)에 상기 냉매배관(51)(52)을 커버하도록 배설된 배관커버부재(60)를 결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측면판넬(300)의 우측면판(310) 상단에 형성된 관통홀(310e)에 콘트롤부(60)를 체결수단(130)에 의해 결착하고 상기 콘트롤부(60)를 보호하기 위한 전장커버부재(70)를 조립함으로써 실외기의 조립이 완성된다.
앞에서 실명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실외기에 의하면, 측면판넬의 우측면판 및 좌측면판과 뒷면판의 하단에 각각 절곡부와 상기 우측면판의 하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실외기의 하중 및 충격에 의한 상기 측면판넬의 뒷면판이 굽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측면판넬의 우측면판과 좌측면판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하부판넬을 상기 측면판넬에 조립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실외기의 고장으로 인하여 해체해야 할 경우에 쉽게 해체할 수 있으며, 상기 우측면판의 상부에 콘트롤부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누수 및 침수로 인한 전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내 및 실외기의 전원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있어서, 측면판넬(300)의 우측면판(310)과 좌측면판(320)의 하부에 체결수단(120)에 의해 상기 하부판넬(40)을 결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홀(310a)(320a)과, 상기 우측면판(310) 및 좌측면판(320)과 뒷면판(330)의 하단에 상기 측면판넬(300)의 취약점을 보완하도록 형성된 절곡부(310b)(320a)(330a)와, 상기 우측면판(310)의 전측 하단에 배관커버부재(60)에 의해서 커버되도록 형성된 개구부(310c)와, 상기 우측면판(310)의 개구부(310c)의 상부에 콘트롤부(60)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관통된 연결구(310d)와, 상기 콘트롤부(60)를 체결수단(130)에 의해서 체결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관통홀(310e)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9950038611U 1995-12-06 1995-12-06 공기조화기 실외기 KR0127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611U KR0127608Y1 (ko) 1995-12-06 1995-12-06 공기조화기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611U KR0127608Y1 (ko) 1995-12-06 1995-12-06 공기조화기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347U KR970044347U (ko) 1997-07-31
KR0127608Y1 true KR0127608Y1 (ko) 1999-01-15

Family

ID=19432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611U KR0127608Y1 (ko) 1995-12-06 1995-12-06 공기조화기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60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347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608Y1 (ko) 공기조화기 실외기
EP1865277A2 (en) Refrigerator with an electronic panel support
JP495751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CN210463251U (zh) 空调室内机的机壳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JP3935598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H0875183A (ja) 空気調和機
JP421555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CN219473749U (zh) 围板结构及集成灶
JPH0332896Y2 (ko)
CN210439889U (zh) 一种方便安装的防火玻璃
CN212869946U (zh) 一种风管机
KR20100010888U (ko) 공기조화기의 진동방지용 후드 조립체
CN221076625U (zh) 一种天花机的挂耳装置
CN220981422U (zh) 油烟机
CN212157575U (zh) 连接组件和空调器
CN214117642U (zh) 一种便于拆装的板房式公厕
CN220648457U (zh) 一种安装结构及空调室外机
CN211854218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H0141068Y2 (ko)
KR200144139Y1 (ko) 공조기 하우징의 고정구조
KR100745583B1 (ko) 공기조화기
JPH0213868Y2 (ko)
KR20040057904A (ko) 실외 유닛
KR200141478Y1 (ko) 일체형의 모터홀더가 형성된 팬히터
JPS63309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