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507Y1 - 전화선 단자함 - Google Patents

전화선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507Y1
KR0127507Y1 KR2019950003813U KR19950003813U KR0127507Y1 KR 0127507 Y1 KR0127507 Y1 KR 0127507Y1 KR 2019950003813 U KR2019950003813 U KR 2019950003813U KR 19950003813 U KR19950003813 U KR 19950003813U KR 0127507 Y1 KR0127507 Y1 KR 0127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box
telephone line
hinge
li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38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829U (ko
Inventor
이처술
Original Assignee
이처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처술 filed Critical 이처술
Priority to KR20199500038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507Y1/ko
Publication of KR9600328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8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5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선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선 단자함의 케이스를 변형시켜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국선 및 가입자선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입.출력 접속핀에 간편 용이한 배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선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국선 및 가입자선의 양호한 접속이 보장되며 부품 교체시 용이한 교체작업이 가능한 전화선 단자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함은 내부에 입.출력 단자핀이 구비된 접속단자판이 복수개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힌지연결되어 힌지를 축으로 개폐가능한 덮게로 구성된 전화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힌지의 타측단이 일장범위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 외측면이 보스되어 보스상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덮게는 힌지의 타측단이 케이스의 개방부에 형상 맞춤되도록 수직돌기가 형성되어 수직돌기의 외측면에 케이스의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가 구비된 것을 본 고안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전화선 단자함
제1도는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내에 장착된 입·출력 접속핀에 입·출력 케이블의 심선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 확대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볼트 21 : 접속단자판
22 : 입력접속핀 23 : 출력접속핀
24 : 국선 25 : 가입자선
26 : 힌지 27 : 나사공
40 : 케이스 41 : 개방부
50 : 덮게 51 : 수직돌기
100 : 전화선 단자함
본 고안은 전화선 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선 단자함의 케이스를 변형시켜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국선 및 가입자선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입.출력 접속핀에 간편 용이한 배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선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국선 및 가입자선의 양호한 접속이 보장되며 부품 교체시 용이한 교체 작업이 가능한 전화선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선 단자함은 내부에 한쌍의 입·출력 접속핀이 구비된 접속단자판이 복수개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전화선 단자함은 전신주등에 부착하여 전기통신공사의 교환기와 연결되는 국선(입력선)과 가입자의 전화기 단자와 연결되는 가입자선(출력선)을 인입시켜 입·출력 접속핀에 연결함으로써 신호를 중계하게 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내에 장착된 입·출력 접속핀에 입·출력케이블의 심선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A부 확대 사시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50)은 입·출력 접속핀(22)(23)이 구비된 접속단자판(21)이 내부에 복수개 장착되어 전화선 단자함(50)의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에 힌지(26) 연결되어 힌지(26)를 축으로 개폐 가능한 덮게(1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에서 케이스(20)는 힌지(26)의 타측단이 보스되어 보스상에 나사공(27)이 형성되고, 힌지(26)와 나사공(27)의 직교되는 양측단 중 어느한 단에는 제2도에 도시된 국선(입력선)(24)과 가입자선(출력선)(25)이 케이스(20) 내부로 인입되도록 복수개의 요입구(28)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덮게(10)는 힌지(26)의 타측면이 보스되어 보스상에 케이스(20)의 나사공(27)과 대향되는 위치에 볼트(11)가 장착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한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의 배선 작업을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를 참조하면, 케이스(20)의 요입구(28)를 통해 인입된 국선(24)과 가입자선(25)은 접속단자판(21)에 구비된 입·출력 접속핀(22)(23)에 각각 접속되어 배선공정이 완료되며, 이후 덮게(10)를 힌지(26)를 축으로 케이스(20)에 덮은 상태에서 덮게(10)의 볼트(11)를 케이스(20)의 나사공(27)에 체결하는 것이다.
제3도를 참조하여 입·출력 접속핀(22)(23)에 국선(24) 및 가입자선(25)의 접속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출력 접속핀(23)은 선단부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선단부에 하부와셔(29) 상부와셔(30)가 순차 삽입된 후 그 상면에 너트(31)가 체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와셔(29)와 상부와셔(30) 사이에 가입자선(25)을 권회한 후 일정도구를 사용하여 너트(31)를 조여 가입자선(25)의 접속을 완료하는 것이다.
그리고, 국선(24)은 입력 접속핀(22)에 래핑(wrapping) 기구에 의해 권회되어 접속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전화선 단자함은 접속단자판(21)이 내부에 장착된 케이스(20)가 소형·경량화에 따라 축소되어 케이스(20)의 내부가 상대적으로 협소하여 배선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입·출력 접속핀(22)(23)에 접속되는 국선(24) 및 가입자선(25)의 접속위치가 케이스(20)의 테두리 상측면 보다 낮게 위치 함으로써 케이스(20) 테두리가 장애물로 작용하여 제한된 협소한 공간에 부가하여 배선작업이 더 한층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배선 작업이 오래 걸리며 접속상태가 불량하여 통화 장애가 발생하였으며 따라서 잦은 보수 작업이 요구되어 인력이 소요되는등 유지·보수에 또한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특히, 접속단자판(21)에 구비된 입·출력 접속핀(22)(23)과 국선(24) 및 가입자선(25) 등 전화선 단자함(50)의 내부 부품이 부식등에 의하여 부분 교체시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화선 단자함의 케이스를 변형시켜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국선 및 가입자선이 케이스 내부에 장착된 입·출력 접속핀에 간편 용이한 배선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선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국선 및 가입자선의 양호한 접속이 보장되며 부품 교체시 용이한 교체작업이 가능한 전화선 단자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함은 내부에 입·출력 단자핀이 구비된 접속단자판이 복수개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힌지연결되어 힌지를 축으로 개폐가능한 덮게로 구성된 전화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힌지의 타측단이 일정범위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 외측면이 보스되어 보스상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덮게는 힌지의 타측단이 케이스의 개방부에 형상맞춤되도록 수직돌기가 형성되어 수직돌기의 외측면에 케이스의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 제4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중 종래 구성과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의 부호 및 명칭을 병기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중 부호 100은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함으로서, 상기 전화선 단자함(100)은 내부에 인입된 국선(24) 및 가입자선(25)이 접속되는 입·출력 접속핀(22)(23)이 구비된 접속단자판(21)이 복수개 장착된 케이스(40)와, 상기 케이스(40)에 힌지(26) 연결되어 힌지(26)를 축으로 개폐가능하도록 된 덮게(5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에 있어서, 케이스(40)는 힌지(26)의 타측단이 일정범위 절개되어 개방부(41)가 형성된 것으로서 개방부(41)의 절개 정도는 국선(24) 및 가입자선(25)이 입·출력 접속핀(22)(23)의 접속 위치에 대해 낮게 위치하거나 적어도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개방부(41) 외측면 대략 중앙의 위치에는 보스되어 보스상에 나사공(27)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덮게(50)는 힌지(26)의 타측단이 케이스(40)의 개방부(41)에 형상 맞춤되도록 수직돌기(51)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수직돌기(51)의 외측면에는 케이스(40)의 나사공(27)에 체결되도록 볼트(11)가 정착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개방부 및 수직돌기는 사각형상을 갖는 것이나, 곡률 또는 다면체로 형성되어도 본 고안의 실시예와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하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인 전화선 단자함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를 참조하면, 케이스(40) 내부로 인입된 국선(24)은 입력접속핀(22)에 접속되고, 가입자선(25)은 출력접속핀(23)에 접속되어 배선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배선 작업시 케이스(40)의 일측면이 절개되어 개방부(41)가 형성되어 작업 공간이 확장되고, 개방부(41)의 절개정도가 국선(24) 및 가입자선(25)이 입.출력 접속핀(22)(23)에 접속되는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장애물이 제거되어 배선작업시 작업수행이 용이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전화선 단자함은 배선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완전한 접속이 보장되며, 부식등에 의한 부품의 부분 교체시 용이한 교체작업이 가능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내부에 입·출력 단자핀이 구비된 접속단자판이 복수개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힌지연결되어 힌지를 축으로 개폐가능한 덮게로 구성된 전화선 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힌지의 타측단이 일정범위 절개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개방부 외측면이 보스되어 보스상에 나사공이 형성되며, 상기 덮게는 힌지의 타측단이 케이스의 개방부에 형상 맞춤되도록 수직돌기가 형성되어 수직돌기의 외측면에 케이스의 나사공에 체결되는 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단자함.
KR2019950003813U 1995-03-06 1995-03-06 전화선 단자함 KR0127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813U KR0127507Y1 (ko) 1995-03-06 1995-03-06 전화선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3813U KR0127507Y1 (ko) 1995-03-06 1995-03-06 전화선 단자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829U KR960032829U (ko) 1996-10-24
KR0127507Y1 true KR0127507Y1 (ko) 1998-12-15

Family

ID=1940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3813U KR0127507Y1 (ko) 1995-03-06 1995-03-06 전화선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5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829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4365A (en) Wall plate
KR100311100B1 (ko) 리졸버의고정자구조체
US4789348A (en) Modular connector with unitary dust cover
US5748068A (en) Fuse box
KR0127507Y1 (ko) 전화선 단자함
US5389462A (en) Storage battery
US6023893A (en) Movable partition wall
WO2002099944A3 (en) Communications distribution box having improved access
JPH0329935Y2 (ko)
JP3240931B2 (ja) 遊技機
KR970073350A (ko) 김치저장고의 배선구조
JPH0316300Y2 (ko)
JPS6312322Y2 (ko)
JP2596552Y2 (ja) Catv機器用筐体
JP2531363B2 (ja) 防水型接続フランジ
JP3482906B2 (ja) 電気接続箱
US5066251A (en) Device connectable to the rear cover of a connector
JPS5927629Y2 (ja) 制御機器筐体の開閉装置
KR19980042892U (ko) 배선용 차단기의 케이스
KR200174786Y1 (ko) 전화기 모듈러 잭 구조
KR100268230B1 (ko) 통신장비용 랙의 배선 장치
JPH0115091Y2 (ko)
KR950010649Y1 (ko) 전화용 구내 단자함
JPS5929347Y2 (ja) コネクタカバ−
JPS63334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