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470Y1 -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 Google Patents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470Y1
KR0127470Y1 KR2019950014242U KR19950014242U KR0127470Y1 KR 0127470 Y1 KR0127470 Y1 KR 0127470Y1 KR 2019950014242 U KR2019950014242 U KR 2019950014242U KR 19950014242 U KR19950014242 U KR 19950014242U KR 0127470 Y1 KR0127470 Y1 KR 0127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tchet
plate
gear
shaf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42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282U (ko
Inventor
김태숙
Original Assignee
김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숙 filed Critical 김태숙
Priority to KR20199500142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470Y1/ko
Publication of KR9700002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4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태엽의 힘에 의거 최초 한번만 흔들어주면 태엽이 모두 풀릴때까지 계속적으로 요람이 왕복운동을 하므로서 유아를 재울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에 있어 유아를 태운 요람이 유아의 움직임등에 의해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힘을 가할때에도 정확하게 기어가 1피치씩 풀리도록 하므로서, 요람이 태엽이 풀리는 중간에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태엽을 감을때 안정장치 레바에 의한 소음을 해소하며 요람이 필요이상 회동되지 않게 하므로서 요람의 도복을 방지코자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가-가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전개사시도.
제4도는 래칫과 안정장치의 작동 구조단면도.
제5도는 요동판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대 2 : 지지대
3 : 기어박스 3' : 내측판
4 : 침대 5 : 판스프링 태엽
6, 6' : 보빈 7 : 스프링
8 : 래칫 8' : 탄편
9 : 래칫기어 10 : 축
11 :회전판 12 : 보조래칫
13 : 스토퍼 14 : 작동판
15 : 호형장공 16 : 돌봉
17 : 괘지레바 18 : 회전축
19 : 삽지공 20 : 레바
21 : 콕크 22 : 흡음판
본 고안은 태엽의 힘에 의거 최초 한번만 흔들어주면 태엽이 모두 풀릴때까지 계속적으로 요람이 왕복운동을 하므로서 유아를 재울 수 있도록 한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에 있어 유아를 태운 요람이 유아의 움직임등에 의해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힘을 가할때에도 정확하게 기어가 1피치씩 풀리도록 하므로서, 요람이 태엽이 풀리는 중간에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태엽을 감을때 안정장치 레바에 의한 소음을 해소하며 요람이 필요이상 회동되지 않게 하므로서 요람의 도복을 방지코자한데 그 목적이 있다.
종래에 안출된 태엽을 이용한 그네의 요동장치는 태엽을 감은 상측 보빈에 래칫 기어를 축설하여 태엽을 감은 래칫기어를 래칫에 의거 회전되는 것을 제어하고 그네를 매달은 회전판이 좌우 요동되면서, 이에 부착시킨 보조래칫이 래칫을 밀어 기어로 부터 일탈시킴과 동시에 래칫기어가 한피치 회전되면 보조래칫이 기어에 괘지되어 회전을 제어하고 요람이 다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이 스프링의 복귀력에 의거 기어의 회전을 제어하므로서 요람을 좌우로 연속 반복되게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그네가 보조래칫이 부착된 회전판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네에 탄 유아가 그네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여 힘을 가하게 되면 그네를 매달은 회전판의 원할한 회전을 방해하여 회전판의 보조래칫이 래칫을 밀 수 있는 제위치에 정확하게 도달하지 못하므로서 얼마안가 그네를 정지시키게 되는 오동작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고, 기어가 태엽의 힘에 의거 순식간에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레바가 기어에 시소식으로 괘지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태엽을 감을때마다 소음이 크게 발생되어 유아를 놀라게 하고 잠에서 깨어나게 하는등 여러가지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한면 다음과 같다.
기대(1)의 양측 지지대(2) 상단에 설치한 기어박스(3)(3')에 침대(4)를 매달고 일측 기억박스(3)의 내부에 판스프링 태엽(5)을 감은 상하보빈(6)(6')을 설치하여 상측보빈(6)에 스프링(7)으로 탄설한 래칫(8)에 의거 괘지자재되는 래칫기어(9)를 축(10)에 일체로 축착하고, 침대(4)를 매달아 축(10)에 유삽한 회전판(11)에 보조래칫(12)를 설치하여 침대(4)의 요동시 회전판(11)의 보조래칫(12)이 래칫(8)의 탄편(8')을 밀어 래칫기어(9)를 판스프링 태엽(5)에 의거 1피치 회전시킴과 동시에 보조래칫(12)이 래칫기어(9)에 괘지되게 한 것에 있어서 래칫기어(9)와 회전판(11)의 사이에 스토퍼(13)를 저부에 연설하고, 보조래칫(12)를 유설한 단면형상의 작동판(14)을 축(10)에 유삽하되 스프링(7)에 의해 래칫기어(9)의 풀리는 방향으로는 회전되려는 힘을 가지도록 삽설하고 회전판(11)의 내면에 돌설치킨 돌봉(16)을 작동판(14)에 뚫은 호형장공(15)에 끼워 작동판(14)의 회전으로 회전판(11)이 동시에 회전되게 하며, 래칫기어(9)의 기어치에 괘지되는 래칫(8)의 접면부에 고무등의 흡음판(22)을 부착하고 래칫기어(9)의 상측에 시소식으로 설치된 통상의 안전용 괘지레바(17)이 회전축(18)을형상으로 편심되게 구성하며 작동판(14)이 끼워지는 기억박스(3)의 내측판(3')에는 스토퍼(13)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삽지공(19)을 뚤어서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0은 판스프링 태엽(5)을 감는 레바이고, 21은 안전용 괘지레바(17)의 회전축(18)에 부착한 조절용 콕크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침대(4)에 유아를 눕힌 후 판스르프링 태엽(5)을 레바(20)에 의해 감게되면 상측보빈(6)의 회전에 의해 래칫기어(9)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판스프링 태엽(5)이 상측보빈(6)에 모두 감겨져 레바(20)를 놓게 되면 래칫기어(9)는 제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풀리려는 힘이 래칫(8)에 의해 걸려 정지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유아가 탄 침대(4)를 옆으로 한번 밀어주면 침대(4)가 매달린 회전판(11)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동시에 래칫기어(9)와 접면된 작동판(14)도 호형장공(15)에 삽설된 돌봉(16)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판(14)은 스프링(7)에 의해 래칫기어(9)의 풀리려는 방향인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회전판(11)에 돌설된 돌봉(16)은 항상 호형장공(15)의 상단에 위치되어 작동판(14)의 회전시 침대(4)가 매달린 회전판(11)도 동시에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와같이 그네의 좌우요동에 의해 회전판(11)이 회전되면서 작동판(14)을 회전시키면 이에 유착된 보조래칫(12)이 래칫(8)의 타편(8')을 밀어 래칫기어(9)의 기어치로부터 벗어나게 함과 동시에 래칫기어(9)의 기어치에 걸리게 되면 래칫기어(9)의 회전력에 의해 작동판(14)이 강제로 밀려나게되고, 이와동시에 래칫(8)이 스프링(7)의 복귀력으로 복귀되어 래칫기어(9)의 기어치에 다시 괘지되므로서 래칫기어(9)가 계속 풀리는 것을 제어하게 되며 작동판(14)이 반대쪽으로 회전되었다가 다시오면 전술한 바와같은 작동이 연속 반복되어 침대(4)를 자동으로 좌우요동시킴은 공지한 바와같다.
여기서, 본 고안은 그네를 매달은 회전판(11)을 돌봉(16)을 매개로 래칫기어(9)와의 사이에 유삽한 작동판(14)의 호형장공(15)에 삽설하였으므로 작동판(14)이 래칫기어(9)의 회전력에 의해 밀려났다가 되돌아올때 회전판(11)에 매달은 침대(4)의 유아가 움직여 되돌아오는 진행방향과 역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회전판(11)의 돌봉(16)이 호형장공(15)의 길이에 의해 호형장공의 길이범위내에서 침대(4)가 매달린 회전판(11)만이 요동하게 되므로, 작동판(14)에는 아무런 부하를 주지않아 작동판(14)이 제위치에 되돌아오는데 지장을 주지아니함에 따라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가 침대의 내부에서 움직여도 보조래칫(12)이 부착된 작동판(14)은 부하를 받지않고 정상적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판스프링 태엽(5)이 완전히 풀릴때까지 정지하는 일이 없이 계속 요동하게 된다.
그리고, 래칫기어(9)의 기어치에 괘지되는 래칫(8)은 기어치의 한칸 한칸에 계속하여 접탈되므로 소음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고안은 이의 접면부에 고무등의 흡음판(22)을 부착하였으므로 작동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되며 래칫기어(9)의 상측에 시소식으로 설치된 괘지되게 설치된 안전용 괘지레바(17)는 그 회전축(18)을형상으로 편심되게 설치하였으므로, 판스프링 태엽(5)을 감을 때 그 조절콕크(21)를 회동시켜 괘지레바(17)가 래칫기어(9)에 물리지 않도록 한후 판스프링 태엽(5)을 감게되면 역시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게 되므로 유아를 놀라지 않게 한다.
또한 작동판(14)의 하단에는 스토퍼(13)가 설치되어 있고 작동판(14)이 설치된 기어박스(3)의 내측판(3')에는 스토퍼(13)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삽지공(19)이 뚫려 있으므로 작동판(14)이 필요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침대(4)의 도복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침대가 유아의 움직임에 의해 요동되어도 항상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져 판스프링 태엽(5)이 풀릴때까지 정지되지 않고 요동되므로 종래와 같은 오동작을 해소하고 소음을 최대한 해소하였으며 침대의 도복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기대(1)의 양측 지지대(2) 상단에 설치한 기어박스(3)(3')에 침대(4)를 매달고 일측 기억박스(3)의 내부에 판스프링 태엽(5)을 감은 상하보빈(6)(6')을 설치하여 상측보빈(6)에 스프링(7)으로 탄설한 래칫(8)에 의거 괘지자재되는 래칫기어(9)를 축(10)에 일체로 축착하고, 침대(4)를 매달아 축(10)에 유삽한 회전판(11)에 보조래칫(12)를 설치하여 침대(4)의 요동시 회전판(11)의 보조래칫(12)이 래칫(8)의 탄편(8')을 밀어 래칫기어(9)를 판스프링 태엽(5)에 의거 1피치 회전시킴과 동시에 보조래칫(12)이 래칫기어(9)에 괘지되게 한 것에 있어서 래칫기어(9)와 회전판(11)의 사이에 스토퍼(13)를 저부에 연설하고, 보조래칫(12)를 유설한 단면형상의 작동판(14)을 축(10)에 유삽하되 스프링(7)에 의해 래칫기어(9)의 풀리는 방향으로는 회전되려는 힘을 가지도록 삽설하고 회전판(11)의 내면에 돌설치킨 돌봉(16)을 작동판(14)에 뚫은 호형장공(15)에 끼워 작동판(14)의 회전으로 회전판(11)이 동시에 회전되게 한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래칫기어(9)에 괘지되는 래칫(8)의 접면부에 흡음판(22)을 부착하여서 되는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안전용 괘지레바(17)의 회전축(18)을 편심되게 구성하여서 되는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작동판(14)이 끼워지는 기어박스(3)의 내측판(3')에 스토퍼(13)의 회전반경에 대응하는 삽지공(19)을 뚫어서 되는 유아용 요람의 자동 요동장치.
KR2019950014242U 1995-06-19 1995-06-19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KR0127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242U KR0127470Y1 (ko) 1995-06-19 1995-06-19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4242U KR0127470Y1 (ko) 1995-06-19 1995-06-19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282U KR970000282U (ko) 1997-01-21
KR0127470Y1 true KR0127470Y1 (ko) 1998-11-02

Family

ID=1941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4242U KR0127470Y1 (ko) 1995-06-19 1995-06-19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47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08130A1 (it) * 2017-01-25 2018-07-25 Artsana Spa Cul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282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4142C (en) Automatic pendulum-drive system
US3886608A (en) Rocking chair or cradle with rocking mechanism
JP2880510B2 (ja) 自動安全ベルトウエブ巻取機構
KR20090012266A (ko) 텐셔너
KR0127470Y1 (ko) 유아용 요람의 자동요동장치
US3412617A (en) Drive device
BR102012010942B1 (pt) Dispositivo de fechamento para portas de correr
KR960004165B1 (ko) 안전벨트용 와인더
US3420523A (en) Spring powered swing
US2414960A (en) Friction responsive mechanism
JP2916785B2 (ja) 緩動装置
US3073416A (en) Spring motor for swings
US5163535A (en) Timing mechanism
JPH032042Y2 (ko)
JPH05238Y2 (ko)
JPH0615153Y2 (ja) プ−リ付調速器
US4629439A (en) Music box toy
JPS5828613Y2 (ja) シ−トベルト巻取装置
JPS6243366Y2 (ko)
JPH036342Y2 (ko)
SU1137270A1 (ru) Храповой механизм
JPH0346793Y2 (ko)
JP3010400U (ja) 魚釣用リ−ルの逆転防止装置
JP2759605B2 (ja) 独楽玩具の附勢装置
JPH061898U (ja) 押し込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