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395Y1 -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395Y1
KR0127395Y1 KR2019950024462U KR19950024462U KR0127395Y1 KR 0127395 Y1 KR0127395 Y1 KR 0127395Y1 KR 2019950024462 U KR2019950024462 U KR 2019950024462U KR 19950024462 U KR19950024462 U KR 19950024462U KR 0127395 Y1 KR0127395 Y1 KR 0127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upport
segment
connection termina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44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415U (ko
Inventor
김창성
Original Assignee
현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종원 filed Critical 현종원
Priority to KR20199500244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395Y1/ko
Publication of KR9700154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4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지지구 세그먼트의 접속부를 지지구 본체 내부에 내장하여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부가 동일한 구조로 반복되게 함으로써, 자동화 공정시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외형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220V 플러그의 내부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접속되는 접속단자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하여 접속된 접속단자 지지구 세그먼트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접속단자 2 : 지지구
3 : 본체 4 : 연결부
5 : 지지구 세그먼트 6 : 접속부
7 : 인서트 위치 결정핀
본 고안은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 지지구 세그먼트의 접속부를 지지구 본체 내부에 내장하여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부가 동일한 구조로 반복되게 함으로써, 자동화 공정시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20V 플러그의 접속단자 지지구에 전원코드를 접속하기 위한 자동화 공정시, 수개의 접속단자 지지구가 구비된 접속단자 지지구 세그먼트를 연속 접속하여 자동 플러그 전선 접속기에 연속 공급하는 기술이 공지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접속단자 지지구의 경우, 각각의 지지구와 지지구 사이의 연결부 구조와, 접속단자 지지구 세그먼트와 세그먼트 사이의 접속부의 구조가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 플러그 전선 접속기에 연속적으로 접속된 지지구 세그먼트를 공급시, 지지구 연결부와 상이하게 형성된 세그먼트 접속부의 커팅을 위하여 별도의 커팅수단이 강구되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자동 플러그전선 접속기의 연결부 커팅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따라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가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부를 동일한 구조로 반복하게 함으로써, 자동화 공정시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세그먼트 접속부를 종래와 같이 지지구와 지지구 사이의 연결부에 형성시키지 않고 1개의 지지구내에서 접속단자와 접속단자 사이의 지지구 본체 내부에 은폐시켜 접속부가 외형적으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한 형태와 구조의 지지구가 역시 동일한 형태와 구조의 연결부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반복 접속되도록 사출 성형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달성 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속단자 (1)(1')가 지지구(2)의 본체(3)내에 매설되어 연결부(4)에 의하여 연결되어 하나의 지지구 세그먼트(5)를 구성하고 있는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5)의 단부를 접속단자(1)와 접속단자(1')사이의 지지구(2)의 본체(3)에 돌출되게 형성하여 세그먼트 접속부(6)를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세그먼트(5)의 사출성형시, 상기 접속부(6)를 지지구(2)의 본체(3)내부에 매입하여 사출시킨 구조이다.
미 설명부호 7은 사출성형시의 인서트 위치 결정 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는 수개의 접속단자 지지구가 구비된 접속단자 지지구 세그먼트(5)의 접속부(6)가 지지구(2)의 본체(3)내부에 매입되는 구조로 사출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형태와 구조를 갖는 연결부로 인하여 자동 플러그전선 접속기의 연결부커팅 수단을 별도로 강구할 필요없이, 자동 플러그전선 접속기의 연결부 커팅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에 의하면,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부의 구조를 일률적인 형태로 연속 반복되게 형성함으로써, 자동화 기기의 구조와 공정을 단순화시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접속단자(1)(1')가 지지구(2)의 본체(3)내에 매설되어 연결부(4)에 의하여 연결되어 하나의 지지구 세그먼트(5)를 구성하고 있는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5)의 단부를 접속단자(1)와 접속단자(1') 사이의 지지구(2)의 본체(3)에 돌출되게 형성하여 세그먼트 접속부(6)를 형성하고,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세그먼트(5)의 사출성형시 상기 접속부(6)를 지지구(2)의 본체(3)내부에 매입하여 사출시킨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
KR2019950024462U 1995-09-12 1995-09-12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 KR0127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462U KR0127395Y1 (ko) 1995-09-12 1995-09-12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462U KR0127395Y1 (ko) 1995-09-12 1995-09-12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15U KR970015415U (ko) 1997-04-28
KR0127395Y1 true KR0127395Y1 (ko) 1998-10-15

Family

ID=1942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4462U KR0127395Y1 (ko) 1995-09-12 1995-09-12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3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15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36087D1 (de)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mit verbessertem Haltemittel
DE3782817D1 (de) Elektrische spritzgiessmaschine.
DE69019905D1 (de) Mehrpolige elektrische Verbinderanordnung.
US4228486A (en) Miniature electric light bulb sets for decorative illumination
MX173507B (es) Empalmador de enchufe
KR970004161A (ko) 개선된 컨덕터 보유 수단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DE59105070D1 (de) Mehrpolige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DE69106288D1 (de) Isolierter Stecker für elektrische Verbinder und Verbinder mit so einem Stecker.
GB1210681A (en) Electrical connector units
KR0127395Y1 (ko) 220v 플러그 접속단자 지지구의 연결구조
DK0666615T3 (da) Kabelafgreningsmuffe for stikledninger
DE59503317D1 (d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TW387640U (en) A mosture-proof connection-structure between a conducting line and a thermistor in a temperature sensor
ATE8088T1 (de) Koaxiale buchsensteckverbindung.
FI890843A0 (fi) Useampinapainen sähköpistoliitin
DE3679590D1 (de) Elektrische steckeranordnung.
KR910008180Y1 (ko) 접속단자용 절연캡
JPS6484580A (en) Water-proof connector
DE9408661U1 (de) Stecker für eine mehrpolige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JPS56557A (en) Ignition distributor
ES2166714A1 (es) Cable de color y su metodo de fabricacion.
DE59007869D1 (de) Anschlusselement für mehrpolige elektrische Steckverbinder.
FR2331894A1 (fr) Fiche multibroche pour appareil de controle de vehicules automobiles
JPS56112613A (en) Manufacture of detecting device for liquid level
ES427321A1 (es) Perfeccionamientos en la formacion de un encapsulado ais- lan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