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307B1 - 교정 정보를 구비한 교정 장치 및 인공 청각 기관 - Google Patents

교정 정보를 구비한 교정 장치 및 인공 청각 기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307B1
KR0127307B1 KR1019890006179A KR890006179A KR0127307B1 KR 0127307 B1 KR0127307 B1 KR 0127307B1 KR 1019890006179 A KR1019890006179 A KR 1019890006179A KR 890006179 A KR890006179 A KR 890006179A KR 0127307 B1 KR0127307 B1 KR 0127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alibration
signal
artificial
org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995A (ko
Inventor
피터 위딘 그레고리
에버하드 만골드 스테판
베르틸 도테발 마츠
Original Assignee
쇠렌 에릭 베스터만
케이/에스 힘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270871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273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쇠렌 에릭 베스터만, 케이/에스 힘프 filed Critical 쇠렌 에릭 베스터만
Publication of KR89001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Landscapes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sthese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교정 정보를 구비한 교정 장치 및 인공 청각 기관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교정 장치를 구체화하는 본 발명의 인공 청각 기관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은 인공 청각 기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의하여 조정 가능한 인공 청각 기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공 청각 기관은 그 인공 청각 기관 사용자에 의하여 수신되는 음성의 청각 특성을 수정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인공 청각 기관의 목적은 사용자 또는 착용자의 청각 장애를 보상하는데 있다. 착용자에게 가청 범위의 음향 신호를 제공하는 보청기는 잘 알려져 있으며 그 한 예가 인공 청각 기관이다. 최근에는, 착용자의 청각을 개선하기 위하여 전기적 자극 신호로 청각 신경을 자극하는 와우각 이식 조직편(cochlear implant)이 사용되고 있다. 인공 청각 기관의 다른 예로서는 중이의 기계적 자극에 의하여 착용자의 가청 응답을 자극하는 이식 보청기 또는 사용자를 전자 역학적으로 자극하는 인공 청각 기관이 있다.
한편, 청각 장애는 개인별로 많은 차이가 있다. 일 개인의 청각 장애를 보상하는 인공 청각 기관이 다른 사람에게는 도움이 안되거나 오히려 방해가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인공 청각 기관은 각각의 사용자 또는 환자의 필요에 부합되도록 조정 가능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또는 환자에게 최적의 도움을 제공하도록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을 조정하는 과정을 대패 피팅이라 부른다. 인공 청각 기관은 사용자 또는 환자에게 최고의 이익을 제공하도록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 사용자에게 적합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인공 청각 기관의 피팅은 사용자에게 이익이 되도록 하는 적합한 청취 특성을 인공 청각 기관에 제공한다.
이 피팅 과정은 개인별 청각의 청취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와, 측정된 특수 청취 결함을 보상하는데 필요한 음향 특성의 성질, 예를 들면 특정 주파수 대로의 음향 증폭률을 전송하기 위해 인공 기관을 인에이블시키도록 보청기의 청취 특성을 조정하는 단계와, 개인별로 인공 청각 기관을 동작시킴으로서 발견되는 청취 결함을 보상하는 상기 특수 청취 특성을 변경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보청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청각 특성의 조정은 제조 공정중에 소위 일반 보청기 등의 구성 요소의 선택에 의하여, 또는 조정자(fitter), 전형적으로는 청각 학자, 보청기 분배자, 이과의(otologist), 이인후학의(otolaryngodogist)또는 다른 의사 또는 의료 전문가가 사용할 수 있는 전위차계를 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하자만, 이와는 달리 일부 보청기는 조정 가능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보청기는 특수 청취 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청기가 이용할 수 있는 조정 파라메터를 메모리에 저장한다. 전형적으로 메모리는 레지스터 또는 랜덤하게 어드레싱할 수 있는 기억 장치 등의 전자 메모리를 사용하며 또한 프로그램 카드, 스위치 세팅 또는 기억 능력이 있는 다른 메카니즘 등의 다른 형태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자 메모리, 실제로는 다수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보청기의 일예로서는 만골드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4,425,481호에 개시된 것이 있다. 전자 기억 장치를 이용하는 프로그램 가능한 보청기를 사용함으로서, 프로그램되는 보청기와 통신시키는 메카니즘을 포함한 호스트 프로그램 장치에 의하여 새로운 청취 특성, 또는 새로운 세트의 조정 파라메터를 보청기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보청기는, 소망하는 대로 측정된 사용자가 청각 장애를 보상하는 청취 특성을 제공 하도록 정확히 프로그램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보청기의 프로그래밍이 디지탈 방식이기 때문에 매우 정확하지만 보청기의 실제 신호 처리 회로는 아날로그식이다. 따라서, 반도체 처리 변동에 의하여 개별적인 아날로그 부품간에 편차가 존재하면, 주어진 개개의 보청기에 의하여 제공된 실제 청취 특성은 프로그램밍 시스템에 의하여 실제 규정된 것과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보청기에 실제 내장된 모델 번호, 개정 번호, 제조일자 코드, 일련 번호 및 임의 특성 등 각 보청기의 다른 특성들은 보청기의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중요한 요소이며,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의하여 피팅 공정으로 수동 입력될 필요가 있다. 상기 수동 입력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소망하는 최적의 피팅을 방해하는 에러원이 된다.
엥게브렛슨(Engebretson)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4,548,082호 청각 결함 보상을 위한 보청기, 신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디지탈 보청기의 프로그래밍에 있어서 보청기의 기억 장치에 저장된 교정(calibration)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16칼럼 13-22라인). 엥게브렛슨 등에 의하여 제기된 교정 정보는 이어 볼륨(ear volume)의 란(14칼럼 28라인 내지 16칼럼 12라인)에서 설명하는 보청/프로브마이크로폰/이관 인터페이트(ear canal interface)의 공장 견적서를 제공하는 전달 함수(24칼럼 57라인 내지 25칼럼 6라인)이다. 이 데이타를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표준 커플러(16칼럼 23-36라인)를 사용하는 공장 데이타 대신 실제 보청기/환자 인터페이스 데이타를 고려하도록 조정되어야만 한다. 엥게브렛슨 등은 4개의 다른 주파수에서 취해진 충분한 전달 함수, 즉, 보청기의 입력으로부터 출력가지의 음향 관계에 대한 충분한 세트를 저장한다. 충분한 전달 함수 데이타는 대량의 데이타를 포함하므로 단지 4개의 다른 주파수에 대한 데이타만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그 다음에는 입력 및 출력의 음향관계가 이 데이타로부터 개찬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보청기 등의 인공 청각 기관을 제공하되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마다 유일하고 고유의 정보를 사용하는 교정 장치를 갖는 인공 청각 기관을 제공한다. 교정 장치는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마다 고유 특성의 정보가 저장된 기억 장치와, 인공 청각 기관 또는 상기 인공 청각 기관마다 고유 특성의 정보가 저장된 기억 장치와 인공 청각 기관 또는 상기 인공 청각 기관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의하여 상기 정보를 활용하는 메카니즘을 구비한다. 저장된 정보는 가청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와의 관계를 연산하기 위하여 충분한 조정 파라메터 세트를 나타내거나 인공 청각 기관의 제조 정보를 나타낸 것이어야 한다.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마다 고유의 것이며 입력과 출력과의 관계를 연산하는데 충분한 조정 파라메터의 세트 즉, 전달 함수를 나타내거나 제조 정보를 나타내는 교정 정보 장치는 엥게브렛슨 등에 의하여 얻어진 것보다 크게 다른 장점들을 가진다. 즉, 엥게브렛슨 등은 4가지 다른 주파수에서 취해진 보청기의 전달 함수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저장한다. 모든 주파수의 전달 함수를 나타내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것은 많은 기억장치를 요구하므로 단지 4개의 주파수점으로 제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체의 전달 함수 그 자체보다는 전달 함수를 연산하는데 필요한 조정 파라메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교정 정보는 주파수간의 개찬 또는 견적이 없이, 인공 청각 기관의 청취 특성에 대한 각각의 고유 정보 또는 대량의 메모리 스페이스를 소모함이 없이,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에 대한 제조 정보의 충분한 정보 세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교정 정보는 각 인공 청각 기관의 유일 특성에 대하여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위치적으로 고위 변수인 충분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 다음 프로그래밍 시스템은 음향 파라메터의 조정을 완벽하게 활용하는데 있어 인공 청각 기관의 추가 사용없이 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각 아날로그 부품의 충분하면서 실제적인 수행 또는 아날로그 회로의 실제 수행을 나타내는 정보는 인공 청각 기관 자체에 저장될 수 있고 그 정보는 프로그래밍 시스템이 이용할 수 있으므로 프로그래밍 시스템은 일반적인 형태의 인공 청각 기관에 대한 조정 파라메터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그 각각의 인공 청각 기관에 정확히 맞추어진 특정의 조정 파라메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인공 청각 기관은 아날로그 회로의 통상 허용치이내가 아닌 정확한 프로그래밍이 구현될 수 있다.
각 인공 청각 기관의 실제 개개의 제조 특성을 나타내는 정보, 이를테면, 모델 번호, 개정 번호, 제조일자 코드, 일련 번호 및 임의 특성은 실제로 보청기에 포함되므로 이 정보는 인공 청각 기관의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읽어내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이 정보를 수동 입력할 필요가 없고 에러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따라서 프로그램되는 인공 청각 기관의 실제 형상 및 그 특질은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대하여 명료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청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에 관계를 가지며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의하여 조정 가능하고, 전기 입력 신호를 공급하기 위하여 가청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 입력 메카니즘과, 프로그램밍 시스템에 의하여 조정 가능한 조정 파라메터에 따라 전기 입력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전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전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 처리 메카니즘을 가지며, 또한 처리된 전기 신호를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개작된 출력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처리된 전기 신호에 응답하는 변환기 메카니즘을 가진 인공 청각 기관을 제공한다. 인공 청각 기관은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에 대하여 고유한 특수 정보의 교정 정보를 저장하는 교정 메카니즘을 아울러 가지며, 교정 정보는 입/출력 관계의 계산에 필요한 조정 파라메터의 충분한 세트를 나타내거나 제조 정보를 나타내며, 교정 메카니즘은 조정 파라메터의 조정시에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의하여 읽어내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가청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 사이에 관계를 가지며 디지탈 조정 파라메터를 사용함으로서 프로그램 시스템에 의하여 프로그램적으로 조정 가능하고, 또한 가청 입력 신호를 전기 입력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가청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 마이크로폰과 디지탈 조정 파라메터에 따라 전기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전기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상기 전기 입력 신호에 응답하는 신호 처리 장치 및 상기 처리된 전기 신호를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개작된 출력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된 전기 신호에 응답하는 수신기를 가진 프로그램 가능한 보청기를 제공한다. 프로그램 가능한 보청기는 또한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마다 고유한 정보인 교정 정보를 디지탈식으로 저장하는 교정 메카니즘을 가지며, 상기 교정 정보는 입출력 관계의 계산에 필요한 조정 파라메터의 충분한 세트를 나타내거나 제조 정보를 나타내며, 상기 교정 메카니즘은 디지탈 조정 파라메터의 조정시에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의하여 읽어내어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장점, 구성 및 동작은 첨부 도면에 따른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다.
만골드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4,425,481호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인공 청각 기관 또는 보청기용의 신호 처리 메카니즘을 설명하고 있다. 만골드 등에 의한 특허의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 처리 장치 자체내에 저장된 조정 파라메터의 선택된 세트에 의하여 제어된다. 선택 공정은 사용자에 의하여 제어되거나 자동 공정으로 행하여진다. 상기 조정 파라메터들은 신호 처리 장치내 디지탈식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개인 청각 장애와 관련하여 사용되도록 신호 처리 장치를 사용하는 인공 청각 기관의 적합한 피팅을 결정하는 피팅 처리에 기초하여 이들 조정 파라메터에 대해 매우 정확한 명세서를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나, 신호 처리 장치의 프로그래밍이 디지탈 방식이고 따라서 매우 정확하지만 신호 처리 장치의 실제 신호 처리 회로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반도체 처리 변동으로 인하여 각각의 아날로그 부품에는 편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주어진 개별적인 신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제공된 실제 청각 특성은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의하여 실제로 규정된 것과는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개별적인 신호 처리 장치의 다른 특성, 이를테면 신호 처리 장치에 실질적으로 내장된 모델 번호, 개정 번호, 제조일자 코드, 일련 번호 및 임의 특성 등은 신호 처리 장치의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대해서는 중요한 것이며 프로그래밍 시스템에 의하여 피팅 공정으로 수동 입력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수동 입력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소망하는 최적의 피팅에도 못미치게 하는 에러원이 될 수 있다. 인공 청각 기관의 신호 처리부가 디지탈인 경우에도, 필요하다면, 가변성 청각 특성을 갖는 변환기 수단,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 및 수신기 등의 일부 아날로그 부품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교정 장치(8)는 도면에서 블록도로 표시된 인공 청각 기관(10)과 함께 동작한다. 마이크로폰(14)은 음향 입력(16)을 수신하여 전기 입력 신호(18)로 전송하고 전기 입력 신호(18)는 신호 처리 장치(20)에 공급된다. 본 발명에서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 장치(20)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 처리 장치(20)에도 응용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20)는 조정 파라메터(22)에 의하여 결정된 청각 특성에 따라 전기 입력 신호를 처리하며, 처리된 전기 신호(24)를 인공 청각 기관 용어에서는 전기-음향 변환기라 하는 스피커 등의 수신기(26)에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이 설명은 보청기 및 수신기에 관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와우각 이식편 등 다른 형태의 인공 청각 기관에도 또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변환기는 하나의 전극 또는 한쌍의 전극이 되고, 또한 본 발명을 이식 보청기에 사용할 경우에는 변환기는 전기-역학 변환기가 되며, 촉각 보조기에 사용할 경우에는 변환기는 진동 촉각 장치(vibrotactile device)가 된다. 조정 파라메터(22)는 도면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들 조정 파라메터는 디지탈인 것이 좋으나 아날로그일 수도 있으며 단일 청각 특성을 지정하는 단일 조정 파라메터 세트를 나타낼 수도 있고 또는 개별적으로 또는 결합하여 신호 처리 장치(20)에 의해 선택되고 사용되어지는 조정 파라메터 세트의 변화하는 범위를 나타낼 수도 있다.
교정 장치(8)는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마다 고유한 특수 정보인 교정 정보를 저장함으로서 나머지의 인공 청각 기관(10)과 함께 동작한다. 이 정보는 교정 정보 메모리(28)에 저장된다. 교정 정보 메모리에 저장된 교정 정보는 입력/출력 기구(30)를 통하여 공급되는 프로그래밍 시스템(32)에 의하여 읽어내어질 수 있다. 입력/출력 기구(30)는 표준적인 입력/출력 포트를 나타내며 이는 공지의 것이다. 교정 정보 메모리(28)는 디지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RAM 또는 레지스터 등의 디지탈 메모리이며 역시 공지된 것이다. 프로그래밍 시스템(32)은 공지의 것으로서 디지탈식 인공 청각 기관을 프로그램하는데 사용되는 호스트 컴퓨터와 함께 수동 동작 또는 자동 동작하는 컴퓨터 시스템인 프로그래밍 시스템을 나타낸다. 피팅 시스템(32)에 사용되는 피팅 시스템의 일예로는 코로라도주의 코클리어 코포레이션 제품인 SPI(Speech Programming Interface) 프로그래머를 사용하는 DPS(Digital Programming System)가 있다. 이 시스템은 역시 코클리어 코포레이션 제품인 WSP(Wearable Speech Processor)와 함께 작용하도록 설계된다.
교정 장치(8)의 교정 메모리(28)에 저장되는 정보는 인공 청각 기관이 동작하고 있는 동안 어느 때라도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대체로 교정 메모리(28)의 교정 정보는 인공 청각 기관의 제조, 판매 및/또는 수리시에 결정하여 저장하는 것이 좋다. 인공 청각 기관(10)은 신호 처리 장치(20)의 아날로그 부품 또는 인공 청각 기관의 청각 성능에 기여하는 인공 청각 기관의 다른 부품들의 특수한 청각 특성을 결정하기 위하여 제조 완료시에 시험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상기 회로 특성의 값들은 교정 메모리(28)에 교정 정보로서 저장된다. 교정 메모리(28)에 상기 교정 정보를 저장하는 것은 프로그래밍 시스템(32)이 인공 청각 기관(10)의 음향 파라메터를 인공 청각 기관(10)의 비트 패턴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 인공 청각 기관(10)의 전기적 특성을 디지탈식으로 변환하는 또 하나의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소망하는 음압 레벨은 마이크로폰(14), 신호 처리 장치(20) 또는 수신기(26)의 감도 편차에 관계없이 달성될 수 있다.
교정 메모리(28)에 저장된 교정 정보의 또 하나의 목표는 인공 청각 기관(10)의 제조 구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귀의 후방 또는 귀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공 청각 기관, 특히 보청기에는 일반 용도의 전자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장치들은 텔리코일을 갖고 있거나 갖고 있지 않으며, 볼륨 콘트롤을 갖고 있거나 갖고 있지 않다.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10)의 교정 메모리(20)에 교정 정보를 저장함으로서, 인공 청각 기관에 실질적으로 내장된 모델 번호, 개정 번호, 제조일자 번호, 일련 번호 및 임의 특성을 프로그래밍 시스템(32)이 확인할 필요없이 프로그래밍 시스템(32)이 인공 청각 기관(10)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조중에 또는 제조된 다음에 만들어진 회로 구성의 개선 등의 내적 변화는 보정 메모리(28)의 교정 정보에서 확인될 수 있으며, 인공 청각 기관(10)은 프로그래밍 시스템(32)에 대하여 명백한 방식으로 프로그래밍 시스템(32)에 의하여 적절히 프로그램될 수 있다.
교정 정보(28)는 또한 에러 체킹에 사용되거나 또는 프로그래밍 시스템(32)에 의하여 에러를 검출하도록 하는 에러 보정 코드로서 사용되며 에러가 발생할 경우에 보정 코드는 그 에러를 보정하여 인공 청각 기관(10)의 잘못된 프로그래밍을 방지한다.
특수한 보청기에 대한 교정 정보 메모리(28)에 저장된 특수 정보의 특정예는 다음과 같이 각각의 정보 아이템에 대해 할당된 적정수의 2진 비트를 갖는다.
Figure kpo00001
하기의 절차는 특수 인공 청각 기관(10) 또는 보청기와 함께 사용되는 교정 정보(28)를 얻기 위한 교정 절차의 일예이다.
[단계 1]
보청기의 입력을 2.5K㎐에서 90dB SPL에 설정한다. 저역 통과 자동 이득 제어를 가장 긴 값으로 설정된 저역 통과 자동 이득 제어 해제 시간을 가진 선형으로 설정한다. 고역 통과 저역 통과 감쇠(attenuation)는 10dB로 설정된다. 필터 크로스오버는 1000㎐ 노미널로 설정된다. 보청기의 출력은 수신기로부터 음향적으로 측정된다. 마이크로폰 이득은 출력에서 3% THD가 달성되는 값으로 조정된다. 이 값은 마이크로폰 감쇠에 대한 조정값이다.
[단계 2]
상기와 같이 설정된 보청기의 입력으로, 출력에서 128dB SPL의 레벨을 얻기 위하여 고역통과 감쇠가 조정된다 따라서 고역 통과 감쇠의 값은 고역 통과 채널에 대하여 설정한 기준 감쇠와 같다. 특수 보청기에 있어서는, 설계치는 약 10dB이다.
[단계 3]
상기 보정된 보청기로서, 즉, 입력 신호를 2.5K㎐, 60dB SPL로 설정된 보청기로서 출력 레벨이 출력된다. 그 다음 입력 렐벨은 90dB SPL로 증가되고 60dB SPL 입력과 같은 출력 레벨을 얻기 위하여 자동 이득 제어 드레쉬홀드가 조정된다. 얻어진 값은 고역 통과 채널에 대한 기준 자동 이득 제어 감쇠가 된다.
[단계 4]
단계 2에서 설명한 과정을 90dB SPL에서 250㎐ 입력 신호를 가지고 반복하고 20dB SPL의 레벨에 대하여 저역 통과 감쇠를 조정한다. 이것은 저역 통과 채널에 대해 설정한 기준 감쇄가 된다. 특수 보청기에 있어서 설정치는 약 10dB이다.
[단계 5]
단계 4의 종단에 있는 조건으로 보청기를 설정한다. 입력 신호는 250㎐, 60dB SPL 입력에서 설정된다. 출력 레벨이 측정된다. 이제 입력 레벨이 90dB SPL 증가되고 6dB SPL과 같은 출력 레벨을 얻기 위하여 자동 이득 제어 드레쉬드를 조정한다. 이것은 저역 통과 채널에 대하여 설정한 기준 자동 이득 제어 감쇠가 된다.
[단계 6]
이제 저역 통과 감쇠를 기준치로 설정하고 고역 통과 감쇠를 최대로 설정한다. 신호원은 90dB SPL에서 250㎐로 설정된다. 출력 레벨은 250㎐에서 측정되고 신호 입력 주파수는 출력이 250㎐ 레벨에서 3dB로 강화할 때까지 증가된다.
[단계 7]
이제 고역 통과 감쇠를 기준치로 설정하고 저역 통과 감쇠를 최대치로 설정한다. 신호원은 90dB SPL에서 2.5K㎐로 설정한다. 출력 레벨은 2.5K㎐에서 측정한다. 입력 신호 주파수는 출력이 2.5K㎐ 레벨로부터 3dB로 강하할 때까지 감소된다. 단계 6 및 단계 7에서 얻어진 3dB 강하점이 저역 통과 및 고역 통과 필터와 각각 같으면 측정은 충분하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각 채널에 대한 출력 레벨이 동일해지는 주파수가 될때까지 반복한다. 이것은 저역 통과 채널과 고역 통과 채널 사이의 크로스오버 주파수에 대한 교정 주파수값이 된다.
교정 정보 메모리(28)에 저장되는 크로스오버 주파수 교정 인자는 단계 7에서 측정된 10으로 나눈 주파수 값으로서 연산된다.
교정 정보 메모리(28)에 저장된 교정 상수는 상기 결정된 값들이 되며, 각각 특정의 교정 조건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비트 코드에 대응한다. 상기 설명한 절차는 보청기를 귀의 후방에 설치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드레쉬홀드 전압치는 제조시에 측정되고 음향 교정 과정의 어디에서도 변화되지 않는다. 이 값은 교정 정보 메모리(28)에 간단히 저장된다.
기준 테스트 이득 위치는 출력 17dB을 HFA-SSPL90 이하로 떨어 뜨리는 청기의 조정이 된다. 즉, 1.0, 1.6 및 2.5K㎐ 17dB에서 평균 출력을 제공하는 위치는 60dB SPL 입력 신호를 사용하여 측정된 풀,온/이득을 가진 값으로 떨어뜨린다. 기준 테스트 위치에 있어서, 자동 이득 제어 보조물에 대한 기준 테스트 이득이 풀온 이득과 같기 때문에 보청기는 비자동 이득 제어 모드로 설정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교정 장치를 포함한, 보청기 등의 새로운 인공 청각 기관을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기술에 숙련된 사람이라면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발명의 형상 및 구체사상을 여러 가지로 변화, 수정 및 대체시킬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Claims (9)

  1. 가청입력신호(16)에 응답하여 전기입력신호(18)을 공급하는 신호입력수단(14)과, 상기 전기입력신호(18)에 응답하여 프로그래밍 시스템(32)에 의해 조정가능한 세트의 조정 파라메터(22)에 따라 상기 전기입력신호(18)를 처리하고 처리된 전기신호(24)를 공급하는 신호처리수단(20)과, 상기 처리된 전기신호(24)에 응답하여 상기 처리된 전기신호를 사람이 인지할 수 있도록 개작된 출력신호로 변환하는 변환기수단(26)을 포함하고 상기 가청입력신호(16)와 상기 출력신호 사이에 미리 설정된 관계를 갖는 인공 청각 기관(10)에 있어서,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10)마다 고유한 특수정보인 교정정보를 저장하는 교정수단(8)을 아울러 포함하며, 상기 교정정보는 개찬없이 상기 관계를 연산하는데 충분한 조정 파라메터 세트를 나타내고, 상기 교정정보는 상기 프로그래밍 시스템(32)에 의해 프로그래밍되기 이전에 상기 교정수단(8)내에 저장되며, 그리고 상기 조정 파라메터(22)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프로그래밍 시스템(32)에 의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정보는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의 가변 전기 파라메터(22)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청각 기관(10)은 프로그램 가능한 보청기(10)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보청기(10)은 상기 프로그램 시스템(32)에 의해 한 세트의 디지탈 조정 파라메터(22)의 이용으로 프로그램적으로 조정가능하고, 상기 신호입력수단(14)은 마이크로폰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기수단(26)은 수신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정보는 상기 프로그램 가능한 보청기(10)를 구비하는 여러가지 다른 세트의 프로그램 가능한 보청기로서의 전기적 파라메터(22)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잇어서, 상기 교정수단(8)은 상기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10)의 제조정보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함을 측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정보는 상기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10)의 일련의 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정보는 상기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10)의 개정 레벨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정보는 상기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10)의 데이타 코드에 관한 정보를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정보는 상기 개개의 인공 청각 기관(10)내에 구비된 임의 파라메타(22)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90006179A 1988-05-10 1989-05-09 교정 정보를 구비한 교정 장치 및 인공 청각 기관 KR0127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92,213 1988-05-10
US07/192,213 US4992966A (en) 1988-05-10 1988-05-10 Calibration device and auditory prosthesis having calibration information
US192213 1994-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995A KR890017995A (ko) 1989-12-18
KR0127307B1 true KR0127307B1 (ko) 1998-04-01

Family

ID=22708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179A KR0127307B1 (ko) 1988-05-10 1989-05-09 교정 정보를 구비한 교정 장치 및 인공 청각 기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992966A (ko)
EP (1) EP0341995B1 (ko)
JP (1) JP3113661B2 (ko)
KR (1) KR0127307B1 (ko)
AT (1) ATE127308T1 (ko)
AU (1) AU614825B2 (ko)
CA (1) CA1321260C (ko)
DE (2) DE68923991T2 (ko)
DK (1) DK175289B1 (ko)
MY (1) MY1037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4962A1 (de) * 1988-10-13 1990-04-19 Siemens Ag Digitales programmiergeraet fuer hoergeraete
DE3900588A1 (de) * 1989-01-11 1990-07-19 Toepholm & Westermann Fernsteuerbares, programmierbares hoergeraetesystem
CH679966A5 (ko) * 1989-11-29 1992-05-15 Ascom Audiosys Ag
ATE106651T1 (de) * 1990-03-30 1994-06-15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Programmierbares elektrisches hörgerät.
US5226086A (en) * 1990-05-18 1993-07-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pparatus, system and interface unit for programming a hearing aid
DE4020154A1 (de) * 1990-06-25 1992-01-02 Bosch Gmbh Robert Speicherelement
DE59008091D1 (de) * 1990-10-12 1995-02-02 Siemens Ag Hörgerät mit einem Datenspeicher.
US5386475A (en) * 1992-11-24 1995-01-31 Virtual Corporation Real-time hearing aid simulation
EP0676909A1 (de) * 1994-03-31 1995-10-11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Programmierbares Hörgerät
US8085959B2 (en) * 1994-07-08 2011-12-27 Brigham Young University Hearing compensation system incorporating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US5500902A (en) * 1994-07-08 1996-03-19 Stockham, Jr.; Thomas G. Hearing aid device incorporating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AUPN533195A0 (en) * 1995-09-07 1995-10-05 Cochlear Pty. Limited Derived threshold and comfort level for auditory prostheses
JP2970498B2 (ja) * 1995-10-26 1999-11-02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補聴器
US6134329A (en) * 1997-09-05 2000-10-17 House Ear Institute Method of measuring and preventing unstable feedback in hearing aids
US6023514A (en) * 1997-12-22 2000-02-08 Strandberg; Malcolm W. P. System and method for factoring a merged wave field into independent components
US6201875B1 (en) 1998-03-17 2001-03-13 Sonic Innovations, Inc. Hearing aid fitting system
US6240193B1 (en) 1998-09-17 2001-05-29 Sonic Innovations, Inc. Two line variable word length serial interface
DE59814095D1 (de) * 1998-11-24 2007-10-25 Phonak Ag Hörgerät
WO1999013699A2 (de) * 1999-01-11 1999-03-25 Phonak Ag Verfahren zur digitalen kommunikation sowie digital kommunizierendes system
US7283635B1 (en) * 1999-12-09 2007-10-16 Plantronics, Inc. Headset with memory
ATE244979T1 (de) * 2000-01-25 2003-07-15 Widex As Eine methode und ein system zur erzeugung eines kalibrierten schallfeldes
AU6814201A (en) * 2000-06-01 2001-12-11 Otologic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an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aid, and the response of patient wearing such a hearing aid
DE10046098C5 (de) * 2000-09-18 2005-01-05 Siemens Audiologische Technik Gmbh Verfahren zum Prüfen eines Hörhilfegerätes sowie Hörhilfegerät
AUPS043402A0 (en) * 2002-02-08 2002-03-07 Cochlear Limited Technical service diagnostic tool for a sound processor
AU2003275232A1 (en) * 2003-09-25 2005-05-11 Everest Biomedical Instruments Human bioelectric signal simulator
US7903827B1 (en) 2004-04-13 2011-03-08 Sonic Innovations, Inc. Hearing aid programming interface with configuration on demand
AU2004324310B2 (en) * 2004-10-19 2008-10-02 Widex A/S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microphone matching in a hearing aid
US20060233411A1 (en) * 2005-02-14 2006-10-19 Shawn Utigard Hearing enhancement and protection device
US7582052B2 (en) * 2005-04-27 2009-09-01 Otologics, Llc Implantable hearing aid actuator positioning
WO2011109790A1 (en) * 2010-03-04 2011-09-09 Thx Ltd. Electronic adapter unit for selectively modifying audio or video data for use with an output device
US9055382B2 (en) 2011-06-29 2015-06-09 Richard Lane Calibration of headphones to improve accuracy of recorded audio content
US11240608B2 (en) * 2014-08-29 2022-02-01 Gn Hearing A/S Device for providing a hearing aid user guide and related method
US9883294B2 (en) * 2015-10-01 2018-01-30 Bernafon A/G Configurable hearing system
US10602284B2 (en) 2016-07-18 2020-03-24 Cochlear Limited Transducer management
WO2021069063A1 (en) * 2019-10-08 2021-04-15 Sonova Ag Fitting two hearing devices simultaneousl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8167B (sv) * 1981-04-16 1983-06-06 Mangold Stephan Programmerbar signalbehandlingsanordning, huvudsakligen avsedd for personer med nedsatt horsel
US4577641A (en) * 1983-06-29 1986-03-25 Hochmair Ingeborg Method of fitting hearing prosthesis to a patient having impaired hearing
US4611304A (en) * 1983-07-27 1986-09-09 Sundstrand Data Control, Inc. Transducer memory circuit
US4622440A (en) * 1984-04-11 1986-11-11 In Tech Systems Corp. Differential hearing aid with programmable frequency response
US4548082A (en) * 1984-08-28 1985-10-22 Central Institute For The Deaf Hearing aids, signal supplying apparatus, systems for compensating hearing deficiencies, and methods
US4791672A (en) * 1984-10-05 1988-12-13 Audiotone, Inc. Wearable digital hearing aid and method for improving hearing ability
US4677581A (en) * 1985-05-30 1987-06-30 Allied Corporation Multichannel, self-calibrating, analog input/output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measuring DC stimuli
GB2184629B (en) * 1985-12-10 1989-11-08 Colin David Rickson Compensation of hearing
CH671131A5 (en) * 1986-05-15 1989-07-31 Ascom Audiosys Ag Hearing aid programmable device - uses plug in programming modules relating to different types of hearing aid
US4759070A (en) * 1986-05-27 1988-07-19 Voroba Technologies Associates Patient controlled master hearing aid
US4731850A (en) * 1986-06-26 1988-03-15 Audimax, Inc. Programmable digital hearing aid system
US4852175A (en) * 1988-02-03 1989-07-25 Siemens Hearing Instr Inc Hearing aid signal-processing system
AU610705B2 (en) * 1988-03-30 1991-05-23 Diaphon Development A.B. Auditory prosthesis with datalogging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3710A (en) 1993-08-28
DE68923991T2 (de) 1996-05-02
DK175289B1 (da) 2004-08-09
DK176489A (da) 1989-11-11
JPH01319398A (ja) 1989-12-25
DE68923991D1 (de) 1995-10-05
DK176489D0 (da) 1989-04-12
US4992966A (en) 1991-02-12
KR890017995A (ko) 1989-12-18
AU614825B2 (en) 1991-09-12
EP0341995A3 (en) 1991-05-22
JP3113661B2 (ja) 2000-12-04
EP0341995B1 (en) 1995-08-30
CA1321260C (en) 1993-08-10
EP0341995A2 (en) 1989-11-15
AU3267489A (en) 1989-11-16
DE341995T1 (de) 1994-02-03
ATE127308T1 (de)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307B1 (ko) 교정 정보를 구비한 교정 장치 및 인공 청각 기관
USRE34961E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coustic parameters of an auditory prosthesis using software model
DK175586B1 (da) Auditiv protesetilpasning ved brug af vektorer
AU2008229850B2 (en) Method for fitting a bone anchored hearing aid to a user and bone anchored bone conduction hearing aid system
US7715571B2 (en) Method for individually fitting a hearing instrument
US5303306A (en) Hearing aid with programmable remote and method of deriving settings for configuring the hearing aid
US39899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n aural prosthesis to provide specific auditory deficiency corrections
US5710819A (en) Remotely controlled, especially remotely programmable hearing aid system
US7068793B2 (en) Method of automatically fitting hearing aid
EP1705950B1 (en) Method for individually fitting a hearing instrument
US7349549B2 (en) Method to log data in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 hearing device
US20080107296A1 (en) Method to log data in a hearing device as well as a hearing device
JPH0362080B2 (ko)
CA2396873C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generation of a calibrated sound field
AU755661B2 (en) Method for in-situ measuring and correcting or adjusting the output signal of a hearing aid with a model processor and hearing aid employing such a method
EP3491845B1 (en) Fitting method for a binaural hea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5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