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154Y1 -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 절환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 절환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154Y1
KR0127154Y1 KR2019950031050U KR19950031050U KR0127154Y1 KR 0127154 Y1 KR0127154 Y1 KR 0127154Y1 KR 2019950031050 U KR2019950031050 U KR 2019950031050U KR 19950031050 U KR19950031050 U KR 19950031050U KR 0127154 Y1 KR0127154 Y1 KR 01271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ound
computer
transis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10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254U (ko
Inventor
송문종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310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154Y1/ko
Publication of KR9700192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2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1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1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의 라인(LINE)출력과 사운드카드(SOUND CARD)출력을 자동으로 절환하여 주어 최상의 음질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로서의 기능이 가진 컴퓨터내에 장착된 사운드카드를 통해 출력되는 스피커출력시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앰프수단을 거치지 않고 스피커로 직접출력됨으로서 종래에 발생되던 음의 찌그러짐 또는 불안정한 음질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컴퓨터의 사운드(SOUND)출력 절환장치
제1도는 종래의 컴퓨터의 사운드출력을 나타내는 회로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의 일실시예,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사운드카드 S-OUT : 스피커출력
L-OUT : 사운드라인출력 20 : 프리앰프
30 : 메인앰프 R1~R10 : 저항
C1~C8 : 캐패시터 D1~D3 : 다이오드
RY1~RY3 : 릴레이코일 SW1~SW6 : 릴레이스위치
Q1~Q3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은 컴퓨터의 사운드(SOUND)출력을 절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의 라인(LINE)출력과 사운드카드(SOUND CARD)출력을 자동으로 절환하여 주어 최상의 음질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퍼스널컴퓨터에는 보다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로(MULTI MEDIA)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러한 기능은 일례로, CD-ROM을 이용한 그래픽 감상, 또는 TV시청 및 음악청취등이 있으며, 이는 컴퓨터에 소정의 카드(CARD)를 장착하고, 외부에 마련된 모니터 또는 별도의 스피커를 통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멀티미디어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스피커를 구비된 컴퓨터의 사운드출력을 첨부된 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사운드라인출력(L-OUT)이 우측사운드입력단(R-IN)과 좌측사운드입력단(L-IN)을 통해 프리앰프(20)로 입력되고, 상기 프리앰프(20)의 출력단이 메인앰프(30)를 통해 우측스피커(RSP)와 좌측스피커(LSP)에 출력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컴퓨터를 통해 입력되는 0.5~1.4Vp-p,max(피그치 최대값)의 좌ㆍ우사운드신호입력(R-IN)(L-IN)은 밸런스.베이스, 트라블.볼륨이 내장된 상기 프리앰프(20)를 통해 증폭되고, 상기 프리앰프(20)의 출력은 메인앰프(30)로 출력되어, 상기 메인앰프(30)에서는 상기 사운드신호를 약 8~12Vp-p, max로 증폭하여 그 출력단에 연결된 우측스피커(RSP)와 좌측스피커(LSP)에 각각 출력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회로는 상기 프리앰프(20)의 입력단에 특정의 사운드카드(10)를 통해 출력되는 스피커출력(S-OUT)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사운드카드(10)를 통해 출력되는 큰출력(S-OUT)이 역시 프리앰프(20) 및 메인앰프(30)를 거쳐 스피커(RSP)(LSP)로 출력되는 관계로, 그 음이 찌그러지고 정상적인 음질이 출력되지 않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컴퓨터의 일반사운드 라인 출력시와 사운드카드 출력시를 자동으로 절환하여 주어 사운드카드를 통한 출력시 최상의 음질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컴퓨터의 일반 라인 또는 사운드카드의 출력라인으로 부터 입력되는 우ㆍ좌측사운드신호입력이 프리앰프 및 메인앰프를 통해서 증폭되고, 상기 증폭된 사운드신호가 각 우ㆍ좌측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ㆍ좌측사운드신호입력단과 프리앰프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동시에 연동되는 제1릴레이스위치와, 상기 메인앰프의 출력단과 우ㆍ좌측스피커에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동시에 연동하되, 상기 우ㆍ좌측사운드신호 또는 메인앰프의 출력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 절환하는 제2릴레이스위치와, 일단에 전원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제어단이 분배저항을 통해 에미터단이 접지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1스위치를 스위칭 동작시켜 주는 제1릴레이코일과, 일단에 전원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제어단이 분배저항을 통해 에미터단이 접지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제2스위치를 스위칭 동작시켜 주는 제2릴레이코일을 더 포함하여 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컴퓨터의 일반 라인 또는 사운드카드의 출력라인으로 부터 입력되는 우ㆍ좌측사운드신호입력이 프리앰프 및 메인앰프를 통해서 증폭되고, 상기 증폭된 사운드신호가 각 우ㆍ좌측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ㆍ좌측사운드신호입력단과 프리앰프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동시에 연동하되 상기 우ㆍ좌측사운드신호가 스위치절환에 의해 병렬연결된 각각의 캐패시터 및 저항을 통해 일정레벨 감쇄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릴레이스위치와, 일단에 전원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제어단이 분배저항을 통해 에미터단이 접지된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의 컬렉터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를 스위칭 동작시켜 주는 릴레이코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참조된 도면들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의 일실시예로서, 우측사운드신호입력(R-IN)이 릴레이스위치(SW1)와 저항(R1) 및 캐패시터(C1)를 통해 프리앰프(20)의 일입력단에 인가됨과 동시에 다른 릴레이스위치(SW3)를 통해서 우측스위치(RSP)에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좌측사운드신호입력(L-IN)이 릴레이스위치(SW2)와 저항(R2) 및 캐패시터(C2)를 통해 프리앰프(20)의 다른 입력단에 인가됨과 동시에 다른 릴레이스위치(SW4)를 통해서 좌측스위치(LSP)에 인가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프리앰프(20)의 출력단에 연결된 메인앰프(30)의 출력단이 상기 릴레이스위치(SW3,SW4)의 타단에 각각 연결되고, 전원단(Vcc)이 상기 스위치(SW1)(SW2)를 연동시켜 스위칭하는 릴레이코일(RY1)의 일단과 상기 스위치(SW3)(SW4)를 연동시켜 스위칭하는 릴레이코일(RY2)의 일단에 동작 전압을 인가하도록 연결되고, 제어단(C)이 분배저항(R3,R4)을 통해 에미터단이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됨과 동시에 분배저항(R5,R6)을 통해 에미터단이 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Q2)의 컬렉터가 상기 릴레이(RY1,RY2)의 타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1,Q2)의 동작으로 상기 릴레이(RY1,RY2)가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상 미설명 부호 C3,C4는 전원전압(Vcc) 평활용 캐패시터이고, D1은 다이오드이다.
따라서 그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사운드신호입력(R-IN)(L-IN)이 컴퓨터의 라인출력인 경우에는 제어단(C)에서 하이레벨신호(예:Vcc)가 출력된다. 이 출력된 신호는 저항(R3)(R4)을 통해 분압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은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에 연결된 릴레이코일(RY1)에 전원(Vcc)이 인가되어 상기 릴레이코일(RY1)은 통전된다. 상기 릴레이코일(RY1)의 통전으로 그 스위치(SW1,SW2)가 온된다.
동시에 상기 제어단(C)에서 출력된 하이레벨신호는 저항(R5)(R6)을 통해 분압되어 트랜지스터(Q1)를 턴온시켜 그 컬렉터에 연결된 릴레이코일(RY2)에 전원(Vcc)을 인가하여 상기 릴레이코일(RY2)도 통전된다. 상기 릴레이코일(RY2)의 통전으로 그 스위치(SW3,SW4)가 온되어 메인앰프(30)의 출력이 우ㆍ좌스피커(RSP,LSP)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우ㆍ좌사운드신호입력(R-IN)(L-IN)은 각 스위치(SW1,SW2)를 통하고 저항(R1,R2) 및 캐패시터(C1,C2)를 각각 통하여 프리앰프(20)에 입력되고, 상기 프리앰프(20)의 출력은 메인앰프(30)를 통해 증폭되며, 상기 메인앰프(30)의 사운드 우ㆍ좌출력은 스위치(SW3,SW4) 및 스피커(RSP,LSP)를 각각 통해서 각각 출력된다.
한편, 사운드신호입력(R-IN)(L-IN)이 컴퓨터에 별도로 삽입된 사운드카드(10)로 부터 출력되는 스피커출력인 경우에는 제어단(C)이 로우레벨이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Q2)는 턴오프되고, 이로 인해 그 릴레이코일(RY1,RY2)이 비통전되어 상기 릴레이스위치(SW1,SW2)(SW3,SW4)는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결국, 상기 우ㆍ좌사운드신호입력(R-IN)(L-IN)은 스위치(SW3,SW4) 및 스피커(RSP,LSP)를 각각 통해서 각각 출력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자면, 제어단(C)을 없애고 전원단(Vcc)과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단을 제2도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서, 상기 전원단(Vcc)의 전원신호에 의해서만 상기 릴레이코일(RY1,RY2)이 동작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치(SW1,SW2)(SW3,SW4)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우측사운드신호입력(R-IN)이 저항(R1) 및 캐패시터(C1)를 거쳐 프리앰프(20)의 일입력단에 연결되고, 좌측사운드신호입력(L-IN)이 저항(R2) 및 캐패시터(C2)를 거쳐 프리앰프(20)의 다른 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프리앰프(20)의 출력이 메인앰프(30)의 입력단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앰프(20)의 출력단이 우측스피커(RSP) 및 좌측스피커(LSP)에 연결되는 컴퓨터의 사운드출력회로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우ㆍ좌측사운드신호입력단(R-IN)(L-IN)에 릴레이스위치(SW5)(SW6)를 각각 개재하여 상기 스위치(SW5)의 일고정단(b)이 병렬연결된 캐패시터(C5) 및 저항(R7)을 통하여 캐패시터(C1)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스위치(SW6)의 일고정단(c)이 병렬연결된 캐패시터(C6) 및 저항(R8)을 통하여 캐패시터(C2)의 입력단에 연결되도록 하며, 전원단(Vcc)이 상기 스위치(SW5,SW6)를 연동시켜 스위칭하는 릴레이코일(RY3)의 일단에 동작전압을 인가하도록 연결되고, 제어단(C)이 분배저항(R9,R10)을 통해 에미터단이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가 상기 릴레이(RY3)의 타단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동작으로 상기 릴레이(RY3)가 동작되도록 구성된다.
도면상 미설명 부호 C7, C8는 전원전압(Vcc) 평활용 캐패시터이고, D3은 다이오드이다.
따라서 그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사운드신호입력(R-IN)(L-IN)이 컴퓨터의 라인출력인 경우에는 제어단(C)에서 하이레벨신호(예:Vcc)가 출력된다. 이 출력된 신호는 저항(R9)(R10)을 통해 분압되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3)은 턴온된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에 연결된 릴레이코일(RY3)에 전원(Vcc)이 인가되어 상기 릴레이코일(RY3)은 통전된다. 상기 릴레이코일(RY3)의 통전으로 그 스위치(SW5,SW6)의 가동단(a)이 고정단(c)에 각각 스위칭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우ㆍ좌사운드신호입력(R-IN)(L-IN)은 각 스위치(SW5,SW6)를 통하고 저항(R1,R2) 및 캐패시터(C1,C2)를 각각 통하여 프리앰프(20)에 입력되고, 상기 프리앰프(20)의 출력은 메인앰프(30)를 통해 증폭되며, 상기 메인앰프(30)의 사운드 우ㆍ좌출력은 각각의 스피커(RSP,LSP)를 통해서 출력된다.
한편, 사운드신호입력(R-IN)(L-IN)이 컴퓨터에 별도로 삽입된 사운드카드(10)로 부터 출력되는 스피커출력인 경우에는 제어단(C)이 로우레벨이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되고, 이로 인해 그 릴레이코일(RY3)이 비통전 되어 상기 릴레이스위치(SW5,SW6)는 초기상태인 가동단(a)과 고정단(b)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우ㆍ좌사운드신호입력(R-IN)(L-IN)은 스위치(SW5,SW6)의 가동단(a)과 고정단(b)을 통해서 병렬연결된 저항(R7,R8)과 캐패시터(C5,C6)를 거치면서 입력레벨이 감쇄되어 각각의 캐패시터(C1,C2)를 통해 프리앰프(20)로 입력된다. 이때 입력되는 감쇄된 사운드신호 는 프리앰프(20) 및 메인앰프(30)를 통해 적정하게 증폭되어 스피커(RSP,LSP)를 통해서 각각 최적의 음질로 출력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자면, 제어단(C)을 없애고 전원단(Vcc)과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을 제3도의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서, 상기 전원단(Vcc)의 전원신호에 의해서만 상기 릴레이코일(RY3)이 동작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치(SW5,SW6)를 제어할 수도 있게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멀티미디어로서의 기능이 가진 컴퓨터내에 장착된 사운드카드를 통해 출력되는 스피커출력시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앰프수단을 거치지 않고 스피커로 직접출력됨으로서 종래에 발생되던 음의 찌그러짐 또는 불안정한 음질을 개선한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그 구성요지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4)

  1. 컴퓨터의 일반 라인 또는 사운드카드의 출력라인으로 부터 입력되는 우·좌측사운드신호입력이 프리앰프 및 메인앰프를 통해서 증폭되고, 상기 증폭된 사운드신호가 각 우ㆍ좌측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ㆍ좌측사운드신호입력단과 프리앰프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동시에 연동되는 릴레이스위치(SW1)(SW2); 상기 메인앰프의 출력단과 우ㆍ좌측스피커에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동시에 연동하되, 상기 우ㆍ좌측사운드신호 또는 메인앰프의 출력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선택 절환하는 릴레이스위치(SW3)(SW4); 일단에 전원단(Vcc)이 연결되고, 타단에 제어단(C)이 분배저항(R3,R4)을 통해 에미터단이 접지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컬렉터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C)의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SW1,SW2)를 스위칭 동작시켜 주는 릴레이코일(RY1); 및 일단에 전원단(Vcc)이 연결되고, 타단에 제어단(C)이 분배저항(R5,R6)을 통해 에미터단이 접지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컬렉터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C)의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SW3,SW4)를 스위칭 동작시켜 주는 릴레이코일(RY2)을 더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Vcc)과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단을 연결하여, 상기 전원단(Vcc)의 전원신호에 의해서만 상기 릴레이코일(RY1,RY2)이 동작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치(SW1,SW2)(SW3,SW4)를 제어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사운드출력절환장치.
  3. 컴퓨터의 일반 라인 또는 사운드카드의 출력라인으로 부터 입력되는 우ㆍ좌측사운드신호입력이 프리앰프 및 메인앰프를 통해서 증폭되고, 상기 증폭된 사운드신호가 각 우ㆍ좌측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ㆍ좌측사운드신호입력단과 프리앰프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동시에 연동하되 상기 우ㆍ좌측사운드신호가 스위치절환에 의해 병렬 연결된 각각의 캐패시터 및 저항(C5,R7)(C6,R8)을 통해 일정레벨 감쇄될 수 있도록 하여주는 릴레이스위치(SW5)(SW6); 및 일단에 전원단(Vcc)이 연결되고, 타단에 제어단(C)이 분배저항(R9,R10)을 통해 에미터단이 접지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된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가 연결되어 상기 제어단(C)의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치(SW5,SW6)를 스위칭 동작시켜 주는 릴레이코일(RY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Vcc)과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을 연결하여, 상기 전원단(Vcc)의 전원신호에 의해서만 상기 릴레이 코일(RY3)이 동작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치(SW5,SW6)를 제어할 수도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의 사운드출력 절환장치.
KR2019950031050U 1995-10-30 1995-10-30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 절환 장치 KR01271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050U KR0127154Y1 (ko) 1995-10-30 1995-10-30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 절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1050U KR0127154Y1 (ko) 1995-10-30 1995-10-30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 절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54U KR970019254U (ko) 1997-05-26
KR0127154Y1 true KR0127154Y1 (ko) 1998-10-15

Family

ID=1942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1050U KR0127154Y1 (ko) 1995-10-30 1995-10-30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 절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15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254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9005A (en) Apparatus for the muting of an audio power amplifier in a standby mode
KR100283639B1 (ko) 오디오 처리 방법 및 시스템
JP3519167B2 (ja) モノ/ステレオオーディオ信号自動認識受信回路
US6240191B1 (en) Audio volume control circuit using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US68858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ound function of a computer system
KR0127154Y1 (ko) 컴퓨터의 사운드 출력 절환 장치
US5953004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muting using a microcomputer
GB2276519A (en) Monitor matrix for audio mixer
JPH0879877A (ja) 音声処理出力装置
US20020120377A1 (en) Vehicle audio interface adapter
US2600046A (en) Device utilizing erase head impedance to vary amplifier gain
JP2548157B2 (ja) 利得制御回路
KR0175434B1 (ko) 컴퓨터 제어 가능한 마이크로 오디오 콤포넌트 시스템
EP1341394B1 (en) Electronic audio signal processing device
JP2681838B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100220597B1 (ko) 고품위 텔레비젼(hdtv)의 오디오 출력 자동 절환장치
US10879855B1 (en) Configurable dual vacuum tube triode amplifier
JPH0879032A (ja) セレクタ回路
KR960000277B1 (ko) 씨디지 내장 티브이의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KR0124428Y1 (ko) 오디오 재생 모니터
KR0157587B1 (ko) 음장 재생 장치의 라인 아웃 제어회로
KR20000060759A (ko) 영상신호 혼합/스위칭 회로
KR100941792B1 (ko) 모니터의 오디오 신호 처리장치
JP2932089B2 (ja) 映像音声消去回路
KR200158593Y1 (ko) 모니터의 내장형 마이크 신호 출력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