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147Y1 -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147Y1
KR0127147Y1 KR2019940022617U KR19940022617U KR0127147Y1 KR 0127147 Y1 KR0127147 Y1 KR 0127147Y1 KR 2019940022617 U KR2019940022617 U KR 2019940022617U KR 19940022617 U KR19940022617 U KR 19940022617U KR 0127147 Y1 KR0127147 Y1 KR 01271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heat
unit
negative potential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936U (ko
Inventor
이공범
Original Assignee
이공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공범 filed Critical 이공범
Priority to KR2019940022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147Y1/ko
Publication of KR9600129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9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1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1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히팅선(HW)에 공급함으로써 온열을 발생하는 전원 및 온열발생부와; 상기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정류하여 각 회로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부와; 상기 직류전원공급부의 출력 직류전압을 소정크기의 마이너스전압(-400V∼-750V)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전위발생부와; 상기 직류전원공급부의 출력 직류전압을 소정크기의 마이너스전압(-6KV)으로 변환한 후, 고압방전을 통해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부와; 상기 전원 및 온열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온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설정된 온열온도, 예약시간, 음이온출력상태 및 음전위발생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온열제어, 음이온발생제어 및 음전위발생제어 등 시스템 각부를 총괄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콘덴서의 충전시간을 체크하여 이에따라 온열제어를 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온도제어를 할 수 있고, 원적외선 온열발생부와 음전위발생부 그리고 음이온발생부를 복합적으로 구비하여 이를 원칩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종합적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복합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질병예방으로 인한 건강한 생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
본 고안은 온열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열과 음전위 그리고 음이온을 복합적으로 발생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판 등에 설치된 온도조절장치는 연산증폭회로를 이용한 것과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 등의 신호변환회로를 이용하여 전열온도를 조절토록 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 중 연산증폭회로를 이용한 경우에는 비교오차가 심하여 높은 신뢰도를 보장할 수 없었으며, 또한 신호변환회로를 이용할 경우에는 원가가 상승되는 등의 상품경쟁력 저하를 가져오는 일 요인이 되어 왔었다.
또한 종래의 제품은 온열 또는 음이온 중 어느 한가지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복합적인 기능을 위해서는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콘덴서의 충방전회로를 이용하여 온열온도의 정확한 온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원칩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를 받는 원적외선 온열발생회로와 음전위 및 음이온발생회로를 복합 구성하여 온열, 음전위 및 음이온의 발생으로 인한 신체혈액순환 촉진작용으로 질병예방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한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제어부의 상세 회로도.
제3도는 제1도에 있어서, 전원 및 온열발생부의 상세 회로도.
제4도는 제1도에 있어서, 온도감지부의 상세 회로도.
제5도는 제1도에 있어서, 음전위발생부의 상세 회로도.
제6도는 제1도에 있어서, 음이온발생부의 상세 회로도.
제7도는 제1도에 있어서, 표시부의 상세 회로도.
제8도는 제1도에 있어서, 직류전원공급부의 상세 회로도.
제9도는 제1도에 있어서, 표시부 및 스위치 배치도.
제10도는 제1도에 있어서, 제어부의 동작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어부 2 : 전원 및 온열발생부
3 : 온도감지부 4 : 음전위발생부
5 : 음이온발생부 6 : 표시부
7 : 직류전원공급부 HW : 히팅선
T1-T3 : 트랜스 BD : 전파정류기
RGE : 정전압회로 MICOM : 마이크로컴퓨터
RY1 : 릴레이 Q1-Q4 : 트랜지스터
PC1-PC2 : 포토커플러 LED1-LED4 : 발광다이오드
C1-C13 : 콘덴서 D1-D9 : 다이오드
R1-R20 : 저항 VR1 : 가변저항
SW1 : 온열/음전위스위치 SW2 : 타임스위치
SW3 : 온도스위치 SW4 : 음이온스위치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 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온열제어, 음이온발생제어 및 음전위발생제어 등 시스템 각부를 총괄제어하는 제어부(1)와; 220V의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히팅선(HW)에 공급함으로써 온열을 발생하는 전원 및 온열발생부(2)와; 상기전원 및 온열발생부(2)에 의해 발생한 온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3)와; 상기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정류하여 각 회로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부(7)와; 상기 직류전원공급부(7)에서 출력되는 8V의 직류전압을 -400V∼-750V의 마이너스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전위발생부(4)와; 상기 직류전원공급부(7)에서 출력되는 8V의 직류전압을 -6KV의 마이너스전압으로 변환하고 이를 서로 소정간격 떨어져 있는 탐침봉(PROBE:PR)과 방전판(BOARD:BO)에 인가함으로써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부(5)와; 설정된 온열온도 및 예약시간, 온열, 음이온 및 음전위발생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6)로 구성한다.
이때, 온열 또는 음전위발생을 선택하기 위한 온열/음전위스위치(SW1)와, 시간설정을 위한 타임스위치(SW2)와, 온도조절을 위한 온도스위치(SW3) 그리고 음이온발생을 위한 음이온스위치(SW4)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및 온열발생부(2)의 전원단자(J)를 통해 220V의 상용교류전원이 유입되면 이는 단자(AC1,AC2)를 거쳐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직류전원공급부(7)에 인가된다.
상기 인가된 전원은 감압트랜스(T1)에서 감압되고, 전파정류기(BD)에 의해 직류전원으로 정류되며, 정전압회로(REG)에 의해 일정전압으로 되어 시스템 각부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온열난방을 위해 온열/음전위스위치(SW1)를 누르면 제어부(마이컴)에서 온열신호(HOUT)를 '하이'신호로 출력하는데, 이로인해 포토커플러(PC1)와 트라이악(TRIAC)이 구동하여 온열시트에 배선된 히팅선(HW)에 전원이 공급되어 설정된 온도로 설정된 시간동안 원적외선 온열을 발생한다.
이에따라 온열난방이 수행되는데 타임스위치(SW2)를 이용하여 동작시간을 연속, 1시간, 3시간, 5시간 등으로 선택할 수 있고, 온도스위치(SW3)를 조작하여 온열난방온도를 30℃∼80℃까지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에서는 제어부(1)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든 동작상태를 표시해 주는데, 온열난방 동작시에는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램프(LP1; 적색)가 점등되고, 시간 및 온도를 설정하면 그 설정된 시간이 표시되는데, 시간은 시간표시용 7-세그먼트(DIS2)에 의해 표시되고, 온도는 온도표시용 7-세그먼트(DIS1)에 의해 표시된다.
상기와 같이 온열동작 상태가 되면 상기 제어부(1)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온도감지부(3)에 의해 온열온도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온도로 조절한다.
이때, 온도 감지동작은 콘덴서(C8)를 이용하는데, 상기 온도감지부(3)내의 온도센서(THS)에 연결된 충전콘덴서(C8)의 충전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정확한 온도감지가 가능하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이온스위치(SW4)를 누르면 직류전원공급부(7)의 전파정류기(BD)를 통해 정류된 8V의 전압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음이온발생부(5)에 인가된다.
상기 인가된 전압은 승압트랜스(T3)에 의해 고전압(2KV)으로 승압된 후, 콘덴서(C4-C7)와 다이오드(D2-D5)로 이루어진 배전압회로를 통해 다시 더 높은 전압(-6KV)으로 승압되는데 다이오드(D2-D5)에 의해 마이너스전압(-6KV)만이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마이너스전압(-6KV)은 다수의 탐침봉과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방전판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고압방전부에 인가되어 방전동작을 통해 음이온이 발생한다.
이때, 탐침봉에는 고압의 마이너스전압(-6KV)을 인가하고 방전판에는 접지전원(GND)을 인가하면 방전현상이 일어나면서 음이온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고압방전에 의해 음이온이 발생하게 되면 주위에 있던 나쁜공기의 원인이 되는 양이온들이 연소되거나 음이온과 혼합되는데, 이로인해 주변의 공기가 맑아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음이온스위치(SW4)를 선택하면 제3램프(P3)가 점등되어 음이온동작상태를 표시해 주고, 또한 표시부(6)의 발광다이오드(LED1-LED14)가 동작하여 음이온의 출력상태가 물결파형의 동적상태로 표시된다.
한편, 온열기능이 아닌 음전위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온열/음전위스위치(SW1)를 다시 한번 누르면 되는데, 이로인해 신호(HOUT)는 '로우'레벨이 되고 이에따라 포토커플러(PC1)와 트라이악(TRIAC)이 오프된다.
따라서 히팅선(HW)에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어 온열동작을 멈추게 된다.
반면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음전위발생부(4)에 음전위신호(ION LINE)가 인가되어 음전위가 발생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음전위신호(ION LINE)에 의해 트랜지스터(Q2)가 턴온되고, 릴레이(RY1)가 온되어 승압트랜스(T2)의 1차측에 상기 직류전원공급부(7)로부터의 전원(+8V)이 인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3)의 스위칭작용에 의해 상기 승압트랜스(T2)의 1차측에 인가된 전원은 2차측에 유기전압으로 발생한다.
상기 승압트랜스(T2)의 2차측에 발생한 유기전압은 400V∼750V의 고전압으로서, 이는 콘덴서(C13)와 다이오드(D7) 및 저항(R8)을 통하면서 마이너스전압(-400V∼-750V)만이 출력된다.
이때, 타임스위치(SW2)를 이용하여 가동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데, 시간이 설정되면 표시부(6)의 7-세그먼트(DIS2)를 통해 표시되고, 제2램프(LP2)가 점등되어 음전위동작상태임을 표시해 준다.
상기 표시부(6)의 동작상태와 각 스위치(SW1-SW4)와의 관계를 전체적으로 표시하면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와같이 히팅선(HW)에 음전위만이 인가되면 그 음전위가 피부와 접촉하면서 피부내에 존재하는 해로운 양이온과 중화작용이 일어난다. 그 중화된 이온들은 방뇨작용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자율신경의 조정기능을 강화시키고 동시에 해독작용을 촉진시켜 질병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상기 음전위발생부(4)에 승압트랜스를 다단으로 설치하면 승압범위를 더욱 크게 높일 수 있고 이에따라 그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질병에방에서 치료효과까지 볼 수 있다.
그리고 음전위발생부(4)와 음이온발생부(5)를 동시에 동작시켜 음전위와 음이온을 동시에 발생되도록 하면 음이온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콘덴서의 충전시간을 체크하여 이에따라 온열제어를 하도록 함으로써 정확한 온도제어를 할 수 있고, 원적외선 온열발생부와 음전위발생부 그리고 음이온발생부를 복합적으로 구비하여이를 원칩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종합적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복합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질병예방으로 인한 건강한 생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히팅선(HW)에 공급함으로써 온열을 발생하는 전원 및 온열발생부와; 상기 상용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정류하여 각 회로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직류전원공급부와; 상기 직류전원공급부의 출력 직류전압을 소정크기의 마이너스전압(-400V∼-750V)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전위발생부와; 상기 직류전원공급부의 출력 직류전압을 소정크기의 마이너스전압(-6KV)으로 변환한 후, 고압방전을 통해 음이온을 발생하는 음이온발생부와; 상기 전원 및 온열발생부에 의해 발생한 온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와; 설정된 온열온도, 예약시간, 음이온출력상태 및 음전위발생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온열제어, 음이온발생제어 및 음전위발생제어 등 시스템 각부를 총괄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
KR2019940022617U 1994-09-02 1994-09-02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 KR01271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617U KR0127147Y1 (ko) 1994-09-02 1994-09-02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617U KR0127147Y1 (ko) 1994-09-02 1994-09-02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936U KR960012936U (ko) 1996-04-17
KR0127147Y1 true KR0127147Y1 (ko) 1998-12-15

Family

ID=1939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617U KR0127147Y1 (ko) 1994-09-02 1994-09-02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1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83B1 (ko) * 2007-01-23 2007-09-28 주식회사 내가웰빙 4난방을 이용한 온열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149A (ko) * 2002-11-29 2004-06-05 안민태 음전위 및 초장파 발생장치용 조절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783B1 (ko) * 2007-01-23 2007-09-28 주식회사 내가웰빙 4난방을 이용한 온열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936U (ko)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2496A (en) Neuromuscular stimulator
USRE32091E (en) Neuromuscular stimulator
US3670737A (en) Ultra-short wave athermapeutic apparatus
KR0127147Y1 (ko) 온열, 음전위, 음이온 복합발생장치
KR100505212B1 (ko) 인체 전위조절 전기치료기
US2477084A (en) Therapeutic and diagnostic machine
KR940003282B1 (ko)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KR100483970B1 (ko) 비합선 양극 전기치료기
JP4508744B2 (ja) 電位治療器
KR20090026455A (ko) 온열치료기
CN109499003A (zh) 一种防治阿尔兹海默症的光疗仪及其控制方法
KR200275618Y1 (ko) 매트용 온도 조절기
KR940006486B1 (ko)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KR200306142Y1 (ko) 음전위 및 초장파 발생장치용 조절기
KR200377709Y1 (ko) 저주파자극기와 온열매트, 전위침이 조합된 개인용다기능조절기
KR940006526B1 (ko)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KR940006485B1 (ko)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KR0181222B1 (ko) 랜덤 엑세스 주파수를 이용한 생체 자극 장치
US5748094A (en) Switch with current flow detector
KR200236432Y1 (ko) 전자기 치료기의 제어장치
KR960013396A (ko) 원적외선 온열치료기의 제어회로
CN117959608A (zh) 美容面罩
KR20040047149A (ko) 음전위 및 초장파 발생장치용 조절기
RU2931U1 (ru) Аппарат для электрофизиотерапии
RU2043759C1 (ru) Аппарат для биоэнерготерапии "дата-с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