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021Y1 - 전기 콘트롤 박스 - Google Patents

전기 콘트롤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021Y1
KR0127021Y1 KR2019950028894U KR19950028894U KR0127021Y1 KR 0127021 Y1 KR0127021 Y1 KR 0127021Y1 KR 2019950028894 U KR2019950028894 U KR 2019950028894U KR 19950028894 U KR19950028894 U KR 19950028894U KR 0127021 Y1 KR0127021 Y1 KR 0127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coupling
hole
assembling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8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9897U (ko
Inventor
허인구
Original Assignee
허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인구 filed Critical 허인구
Priority to KR20199500288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021Y1/ko
Publication of KR970019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98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40Wall-mounted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각종의 콘트롤박스 분야.
나.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고안은 각종의 기계장비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전기 콘트롤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전기 콘트롤박스의 내부에 결합되는 부품을 홀딩하기 위한 수단으로 결합하는 금속의 판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합성수지로서 일체적 또는 분리 결합식으로 구성하므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양산성을 일층 높일수 있게 한 것임.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대략 입방체로 된 합성수지의 전기 콘트롤박스(1)의 구성에 있어서, 내부의 바닥면에는 일정두께의 후육부(3)를 형성하되, 망사의 형태로서 다수의 결합공(8)을 형성하고, 후육부(3)의 외측 사방 모서리에는 단턱부(7)가 내향으로 형성된 조립공(5)을 수개 천설하며, 조립공(5)을 제외한 후육부(3)의 가장자리 중앙에는 일정간격으로 끼움공(6)을 각각 형성하되, 끼움공(6)과 조립공(5)는 후육부(3)보다 일정 높이(H)만큼 높게 형성하여 별도의 조립판넬(4)을 결합한 후 부품(9)을 조립할 시 위치선정을 용이하게 하며, 후육부(3)의 상측의 판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표시선(30)을 형성하여 부품(9)의 결합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한 것임.
라. 고안의 주용한 용도
각종의 콘트롤박스 용도.

Description

전기 콘트롤박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 결합공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내부에 결합되는 결합판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단면 구성도.
제6도는 제3도 및 제4도의 단면 구성도.
제7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3도 및 제4도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제9도는 본 고안의 평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트롤박스 2 : 통체
3 : 후육부 4 : 조립판넬
5 : 조립공 6 : 끼움공
7 : 단턱부 8 : 결합공
9 : 부품 30 : 표시선
40 : 결합판 50 : 받침턱
60 : 끼움돌기 80 : 결합공
H : 높이
본 고안은 각종의 기계장비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전기 콘트롤박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특징은 전기 콘트롤박스의 내부에 결합되는 부품을 홀딩하기 위한 수단으로 결합하는 금속의 판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합성수지로서 일체적 또는 분리 결합식으로 구성하므로서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고, 양산성을 일층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통상 각종의 산업현장에서 전기로 인해 작동되는 기계나 장비들은 전기를 제어 할 수 있는 콘트롤박스를 사용하여 모든 전원의 공급이나 제어를 하고 있는 바, 이러한 기존의 전기 콘트롤박스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기존의 전기 콘트롤박스는 주로 판상의 금속을 이용하여 판금 가공하므로서 주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합성수지로서 사출 성형하여 사용하는 경우로서 대략 2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판상의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는 임의 형상의 금속판넬을 일일이 전개도 상에서 마킹(marking)가공이나 펀칭 가공하여 재단을 한 후 이를 다시 절곡 가공하여 용접의 공정을 행하므로서 콘트롤박스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작이 매우 복잡하여 양산성이 저조할 뿐만 아니라 금속으로 되어 있으므로 사용도중 누전의 위험성이 매우 높아서 각종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도 부가되어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으며, 또한 중량이 무거워 이동이나 운반 및 취급이 매우 어려웠고, 특히 장기 사용시 콘트롤박스의 표면에 부식이 발생하여 사용 수명이 매우 저조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합성수지로서 구성하는 경우는 단순히 입방체의 통체를 구성하여 내부의 부품을 홀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별도의 금속으로 된 판넬을 가공하여 별도의 결합수단으로서 고정을 한 후 금속의 판넬에 부품의 결합위치를 마킹(marking)하거나 펀칭을 하여 별도로 가공을 한 다음 필요한 부품을 결합하는 수단을 취하고 있는바, 이러한 경우는 마킹을 한 위치와 실제 부품의 결합위치가 상호 일치하거나 매우 어려워 일단 가공된 결합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시에는 인접한 위치에 결합공을 가공하여야 하므로 결합공의 가공이 매우 어려우며, 또한 상기한 문제점 이외에도 부품을 결합하기가 매우 어려워 작업의 능률성이 매우 저조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앙등되어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없었고, 특히 단순한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결합되는 부품이 무거울 경우는 콘트롤박스 자체가 변형이 발생하여 전기 콘트롤박스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등 이의 개선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기 콘트롤박스가 갖는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통상의 합성수지로 된 전기 콘트롤박스의 내부에 일체적이나 분해 조립식으로 각종의 부품을 필요한 위치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합성수지의 결합판을 형성하므로서 부품을 결합할 시에는 임의의 위치에 필요한 부품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볼트등의 수단으로서 결합을 하게 되면 다수의 결합공에 의해 결합의 위치가 항상 정확하게 일치할 수 있게 하여 부품의 결합을 매우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바닥면에 형성된 후육부와 결합판의 두께에 의해 견고성을 최대한 보장하여 사용도중 임의로 변형되는 폐단을 방지하므로서 각종 용도의 전기 콘트롤박스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대략 입방체로 된 합성수지의 전기 콘트롤박스(1)의 구성에 있어서, 내부의 바닥면에는 일정두께의 후육부(3)를 형성하되, 망사의 형태로서 대략 □형이나 ○형 등의 임의의 형태로 된 다수의 결합공(8)을 형성하고, 후육부(3)의 외측 사방 모서리에는 단턱부(7)가 내향으로 형성된 조립공(5)을 수개 천설한다.
그리고 조립공(5)을 제외한 후육부(3)의 가장자리 중앙에는 일정간격으로 끼움공(6)을 각각 형성하되, 끼움공(6)과 조립공(5)은 후육부(3)보다 일정 높이(H)만큼 높게 형성하여 별도의 조립판넬(4)을 결합한 후 부품(9)을 조립할 시 위치선정을 용이하게 하며, 후육부(3)의 상측의 판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표시선(30)을 형성하여 부품(9)의 결합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면 중 제4도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콘트롤박스(1)의 통체(2)는 기존의 것으로 하되, 별도로 다수의 결합공(80)이 천공된 결합판(40)을 일정 규격으로 구성하고, 하부에는 끼움공(6)에 결합될 수 있는 끼움돌기(60)을 형성하며, 이의 측방에는 임의의 규격으로 받침턱(50)을 형성하여 바닥면에 접지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콘트롤박스(1)의 규격에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판(40)을 복수로 결합할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이다.
물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결합공(8) 은 대략 원형이나 사각의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육각이나 팔각등 다각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내부의 후육부(3)나 결합판(40)에 천공된 결합공(8,80)의 수량을 가감하는 수단과 각각의 결합공(8, 80)은 볼트등의 조립되는 수단의 규격에 부합되게 적의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주로 각종의 산업현장의 장비 등에 있어서 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기 콘트롤박스(1)로 사용하는 것인 바, 이의 사용방법과 작용상의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콘트롤박스(1)를 이용하여 내부에 각종의 부품(9)을 결합할 경우는 통체(2) 내부의 바닥면에 일정 높이의 후육부(3)가 형성되어 이의 표면에는 다수의 결합공(8)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종의 부품(9)을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일단 부품(9)을 결합하고자 하는 위치에 대고서 양측의 통공에다 별도의 볼트등의 조립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을 하게 되면 결합공(8)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아무런 위치의 결합공(8)에 결합이 이루어져 결합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잇점이 부가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여 전기 콘트롤박스(1)를 조립할 경우는 내부의 후육부(3)가 통체(2)와 합성수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도중 외력에 의해 변형이 되거나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도 동시에 해결되며, 특히 각종의 부품(9)을 조립할 경우는 조립의 위치 변화에 따라 일일이 결합을 할 수 있는 통공을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도 매우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조립의 용이성이 부가될 뿐만 아니라 별도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양산성이 매우 우수하고, 또한 금속의 판넬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사용도중 전기로 인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후육부(3)의 상측 표면에 일정간격으로 표시된 표시선(30)은 각종 전기부품(9)을 결합할 시에 결합의 위치를 구획하거나 위치설정을 할 경우에 별도로 자(尺)등의 수단으로서 측정을 하지 않고서도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이 되어 부품의 결합 위치를 선정하는 기준이 되어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필요에 따라 기존의 방법과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후육부(3)의 상측에 별도의 조립판넬(4)을 위치시키고 사방 모서리부의 조립공(5)에 볼트 등의 수단으로서 결합할 수 있는 바, 본 고안의 조립공(5)의 내측에는 미세한 단턱부(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볼트로서 결합을 하게 되면 조립공(5)의 내측 단턱부(7)에는 자동적으로 나사가 형성되면서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매우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가 되며, 조립판넬(4)의 상부에는 기존에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별도의 부품(9)을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의 콘트롤박스(1)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 경우는 내부에 형성되는 후육부(3) 대신에 별도로 결합판(40)을 구성하여 끼움돌기(60)을 끼움공(6)에 결합할 수 있게 하되, 결합판(40)의 판면에는 다수의 결합공(80)을 천공하고, 하측에는 일정위치에 받침턱(50)을 형성하여 통체(2)가 내부의 바닥면과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사용방법과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본 고안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일단 각각 분할 형식으로 된 결합판(40)을 통체(2) 내부의 규격에 부합되게 결합하여 끼움공(6)에 위치시킨 후 하부의 끼움돌기(60)를 상기한 끼움공(6)에 결합하므로서 조립이 이루어지고, 이때 결합판(40)의 하부에 형성된 받침턱(50)은 통체(2)의 바닥면에 긴밀히 접지되어 유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방 가장자리의 조립공(5)에는 단턱부(7)가 내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나사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볼트 등의 수단으로서 결합을 하게 되면 자체적으로 나사가 형성되면서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결합판(40)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보다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변형 실시를 할 경우에도 기본적인 사항과 동일한 작용상의 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특히 기존의 경우과 같이 금속의 판넬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사용중 전기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 사용시에도 부식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해결되어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의 산업현장에서 각종의 장비를 제어하는 전기 콘트롤박스로 사용하는 것인 바, 본 고안에 의하면 콘트롤박스 자체 뿐만 아니라 내부의 결합공을 형성하는 판넬을 일체적 또는 분리 결합식으로 구성하되, 이를 합성수지로서 성형하므로서 각종의 전기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각종의 전기 부품을 결합할 시 종래와 같이 일일이 표면에 통공을 가공하여 결합을 하지 않고, 아무런 위치의 결합공에 결합을 하여 별도의 결합수단으로서 결합하면 매우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일층 개선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표시선에 의해 각종의 부품을 결합하는 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어서 항상 정확하고 규칙적으로 부품을 결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부가되어 각종의 전기 콘트롤박스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실용적인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2)

  1. 대약 입방체로 된 합성수지의 전기 콘트롤박스(1)의 구성에 있어서, 내부의 바닥면에는 일정두께의 후육부(3)를 형성하되, 망사의 형태로서 다수의 결합공(8)을 형성하고, 후육부(3)의 외측 사방 모서리에는 단턱부(7)가 내향으로 형성된 조립공(5)을 수개 천설하며, 조립공(5)을 제외한 후육부(3)의 가장자리 중앙에는 일정간격으로 끼움공(6)을 각각 형성하되, 끼움공(6)과 조립공(5)은 후육부(3)보다 일정 높이(H)만큼 높게 형성하여 별도의 조립판넬(4)을 결합한 후 부품(9)을 조립할 시 위치선정을 용이하게 하며, 후육부(3)의 상측의 판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표시선(30)을 형성하여 부품(9)의 결합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트롤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통체(2)는 기존의 것으로 하되, 별도로 다수의 결합공(80)이 천공된 결합판(40)을 일정규격으로 구성하고, 하부에는 끼움공(6)에 결합될 수 있는 끼움돌기(60)를 형성하며, 이의 측방에는 임의의 규격으로 받침턱(50)을 형성하여 바닥면에 접지될 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콘트롤박스(1)의 규격에 따라 1개 또는 그 이상의 결합판(40)을 복수로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트롤박스.
KR2019950028894U 1995-10-11 1995-10-11 전기 콘트롤 박스 KR0127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894U KR0127021Y1 (ko) 1995-10-11 1995-10-11 전기 콘트롤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894U KR0127021Y1 (ko) 1995-10-11 1995-10-11 전기 콘트롤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897U KR970019897U (ko) 1997-05-26
KR0127021Y1 true KR0127021Y1 (ko) 1998-12-15

Family

ID=1942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894U KR0127021Y1 (ko) 1995-10-11 1995-10-11 전기 콘트롤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0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223B1 (ko) * 2021-05-20 2021-06-23 이관희 이동통신용 소형 분전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8223B1 (ko) * 2021-05-20 2021-06-23 이관희 이동통신용 소형 분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9897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0561A (en) Sectional structure for carpentry, particularly to realize cubicles
AT502834A4 (de) Elektrisches gerät mit einem auf einem schaltungsträger angeordneten kunststoffsteckerteil
JPS62114842A (ja) 工作物を工作機械のテーブルに固定する装置
US3968882A (en) Complete set of elements fitting in unit-composed supporting systems
KR101396229B1 (ko)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장치
US3603625A (en) Trenchduct connector units
KR0127021Y1 (ko) 전기 콘트롤 박스
EP0228407B1 (en) Cabinet of a particularly light and stiff construction
KR960002987B1 (ko) 재사용이 가능한 패스너 조립체와 보스 및 그 패스너 조립체를 갖는 부재의 재고정방법
WO2013060760A1 (de) Elektronische schaltung
US4669173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interchangeably mounting for immediate use any one of a plurality of bench tools at a work station
US5347088A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781804B1 (ko) 조립식 하우징 모듈
CN217158944U (zh) 一种安装套件和电容柜
KR100692188B1 (ko) 정션박스 교체용 공용지그
CN215956730U (zh) 一种正反拼版加工的电路板
GB2300432A (en) Lifting or connecting portable units,e.g. cabins
KR200481629Y1 (ko) 터빈축 인양장치
KR200477690Y1 (ko) 단자함
US2526255A (en) Electrical test block
CN217942604U (zh) 用于塔机标准节的镗模
US3634988A (en) Composite panel arrangement
EP3434915A1 (en) Electrical device with nut retention slot
CA2352652C (en) Connection element for two components, one of which is tubular
CN110632560B (en) Welding-free assembly rad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