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910B1 - 튜브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튜브 제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910B1
KR0126910B1 KR1019910021225A KR910021225A KR0126910B1 KR 0126910 B1 KR0126910 B1 KR 0126910B1 KR 1019910021225 A KR1019910021225 A KR 1019910021225A KR 910021225 A KR910021225 A KR 910021225A KR 0126910 B1 KR0126910 B1 KR 0126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mandrel
tube
tube manufacturing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750A (ko
Inventor
켈러 게르하르트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아이사 오토마티온 인두스트리엘레 엣스 애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아이사 오토마티온 인두스트리엘레 엣스 애이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riority to KR10199100212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910B1/ko
Publication of KR930009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9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리 완성한 관체로부터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라스틱의 가열된 블랭크(24)로부터 튜브헤드를 압축하고, 동시에 튜브관(13)에 후자를 부착 결합케하고, 상호 동일한 거리에서 배치되는 여러개의 작업 스테이션(Ⅱ∼Ⅶ)에서 정지하는 표시된 이송기수를 가지며, 또한 만드렐(7)에 동축정렬되는 다이(5)와 관체(13)를 지지하기 위하여 습동하는 만드렐(7)을 가지며, 상기 만드렐(7)은 중앙 천공용펀치(12)를 가지면서 필요할 때에는 상적 및 하적 스테이션(Ⅰ,Ⅶ)은 물론 튜브헤드를 압축하기 위해 다이(5)속으로 삽입되도록 프레스(8)와 같이 축상으로 움직이고 작업배치되며, 또한 사출기(12)와 계측장치(11)를 가지며, 상기 만드렐(7)은 다이(5)에 관하여 동축위치로도 배치되도록 하므로써 그 위치에 관하여 평행한 위치속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이곳에서 특히 만드렐(7)은 다이(5)의 궤도(B)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내부 및/또는 외부 추가적인 궤도(A,C)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이송기수의 밖에서 위치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튜브 제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상의 장치의 작업싸이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a 방향으로 본 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화살표 b방향으로 본 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 본 횡단면도.
제5도는 튜브헤드의 첫번째 내층의 제조를 위한 출발위치에서의 만드렐을 가진 추가적인 다이의 개략단면에 의한 설명도.
제6도는 제5도와 같은 요령으로 압축위치에서의 또 다른 설명도.
제7도는 관체를 가진 튜브헤드의 첫번째 층의 연결점을 상세히 나타낸 확대 상세도.
제8도는 출발위치에서, 튜브헤드의 제2중간층의 제조를 위한 만드렐을 가진 두번째 다이의 개략단면을 나타낸 설명도.
제9도는 제8도와 같은 요령으로 압축위치에서의 설명도.
제10도는 관체를 가진 두 개의 튜브헤드의 연결점의 확대 상세도.
제11도는 출발위치에서, 튜브헤드의 제3층의 제조를 위한 만드렐을 가진 표시태이블의 개략단면을 나타낸 설명도.
제12도는 제11도와 같은 요령으로, 압축위치에서의 설명도.
제13도는 튜브관체를 가진 3층의 튜브헤드의 연결점의 확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지태이블(Indexing table) 2 : 원통형 드럼
3 : 강고한 하판 4 : 강고한 상판
5 : 다이 6 : 홀더(지지구)
7 : 만드렐 8 : 프레스
9,9' : 추가적 다이 10 : 중앙축
13 : 관체 14 : 오목 실린더
15 : 저판 17 : 삽입재
18 : 링갭 19,19' : 스톱퍼
20 : 중간이송체 A,B,C : 궤도(포지션)
Ⅰ∼Ⅷ : 스테이션 21 : 천공용펀치
23 : 스프링 24 : 링형의 블랭크
25 : 베벨(bevel) 25' : 둥근부위
26 : 확대된 발부위 27 : 첫번째 층(제1층)
28 : 뾰족부분이 잘린 원추형단부
29 : 두번째 층(제2층) 30 : 둥근부위
31 : 외부 나사부 32 : 제3회충
34 : 스프링 35 : 슬리브
본 발명은 가열된 플라스틱 블랭크(plastic blank)로부터 튜브헤드(tube head)를 압축하므로써 미리 완성한 관체(prefinished pipe elements)로 만들어지는 튜브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장치는 동시에 튜브관에 결합되고, 상호 동일한 거리에서 정렬되는 여러개의 작업 스테이션(work station)에서 표시되고 정지가능한 이송기구를 가지며, 또한 중앙천공용펀치(central hole punch)를 가지고 그를 따라 가는 만드렐(mandrel)에 대하여 동축정렬된 다이(dies)와 관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습동하는 만드렐을 가지며, 필요한 경우에는, 만드렐이 축상으로 움직이고 정렬되어 프레스펀치(press punch)와 같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들 만드렐은 튜브헤드(tube head)를 압축하기 위하여 다이속으로 삽입되는데, 상적 및 하적 스테이션과 사출기(extruder) 및 계량장치(metering device)와 같이 작동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종래의 알려진 대비되는 장치로는 유럽특허 EP-175642-A1이 있는데, 여기에서는 만드렐과 다이 양쪽이 동축정렬되고 상호 서로에 관하여 표시태이블(indexing table)의 안내가이드 상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관체는 원추형 흡입드럼에 의해 만들렐과 다이사이에 있는 자유공간 속으로 통과해서 만드렐 위로 밀려진다. 따라서 만드렐과 다이사이에는 공간이 있어야 하고 관체의 길이보다도 최소한 어느정도 길어야 한다. 튜브체가 일정크기의 길이를 가져야 하는 이상, 이는 큰 거리를 만들게 되고, 결국 압축모울드를 닫는데 필요한 시간을 증가시키게 되는데, 압축력 또한 가이드에 전달되어야 하므로, 이는 더욱 큰 스트레스에 견디지 않으면 안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따라서 구조적으로 특히 견고하게 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는 큰 닫힘통로 때문에 장치를 복잡하게 하고 싸이클타임에 관해 제한을 가하게 된다. 이와같이 되면 층을 가진 튜브헤드를 제조하기란 불가능하다.
DE-381681-A1 특허에서는 미리 완성된 관체의 제조시스템과 유사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고 또한 열가소성재로 된 헤드편(head piece)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기에 있는 만드렐도 다이에 관하여 동축 수직위치 밖에서 수평위치 속으로 피봇팅 가능한데, 예컨대 상적 및 하적을 위해 하고 저할 때 그러하므로, 다이에 블랭크를 채울 수 있다. 이 시스템으로, 필요하다면 스트로크 운동이 앞서 설명한 장치에서 만큼은 크지 않더라도 피봇운동이 추가적으로 인정되는데, 이는 장치의 운동기구를 복잡하게 하므로써 작동상 마모때문에 필요한 정확한 정렬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결국 폐기물이 되어버린다. 만드렐의 축상 움직임 외에도, 다이도 또한 축상으로 움직이는데, 이는 장치를 더욱 복잡하게 되고 더욱 마모와 파손을 일으키게 한다. 이들 모든 움직임을 제대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을 극도로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순화하고 가벼우면서도 부피가 작은, 그러면서도 안정된 구조를 가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또한 피봇움직임을 피할 수 있도록 짧은 가동스트로크를 보증케하여 높은 작업속도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다른 본 발명상의 목적은 다층의 튜브헤드구조를 가진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며, 튜브헤드의 각층의 재활용 가능한 소정의 형태를 가진 구조를 가지는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 목적들은 기본적으로 특허청구범위 제1항상의 특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만드렐을 다이의 동축작업위치 밖으로 다이범위 밖에서 움직이도록 하므로써 플라스틱 재료부가 다이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으로 한편으로는 만드렐에 의해 숨겨지지 않도록 하고 또 한편으로는 만드렐이 아래로부터 자유롭게 조립되도록 하므로써, 회전축 주위로 전혀 움직이지 않게 하고도 관재가 밀려나거나 완성된 튜브가 잡아떼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상의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의한 특성과 특허청구범위 제4항의 특성이 결합된 장치에 의하여 상기 추가적인 목적들이 달성 가능하다. 튜브의 바람직한 형태는 특허청구범위의 제반 종속항에 의해 보다 명확하다.
다음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에 의해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상의 튜브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보면 표시태이블 또는 색인 태이블(indexing table) 1이 있고(제2도 내지 제4도). 여기에 원통형드럼 2이 있으며 이들은 모든 측면상에서 돌출되어 나오는 견고한 하판 3과, 또한 모든 측면상에서 돌출되어 나오는 견고한 상판 4에 의하여 제한된다. 실시예에서는 8개의 다이 5가 정렬되고 이는 하판의 3의 돌출단부의 주변에 고정되고 균일히 분포된다.
다이 5의 숫자에 맞춰 여덟개의 작업 스테이션 Ⅰ∼Ⅷ이 구비되어 있다. 필요성과 크기에 따라 여덟개보다 많거나 적은 작업 스테이션이 구비되기도 하며, 또한 서로 다른 표시이송기구를 사용할 수 있고 표시태이블 대신 커브진 세그먼트는 물론 직선으로 된 세그먼트도 가질 수도 있다.
모든 다이 5의 중앙측은 표시태이블 1의 중앙측 10주위로 주변통로 또는 궤도 B 위에 놓여있는 원위에 정렬되어 있다.
원통형드럼 2 안에는 홀더 6가 배치되어 반경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각 홀더 6의 자유단에는 수직만드렐 7이 축상으로 움직이도록 정렬된다. 이 홀더 6에 의하여 각 만드렐 7은 3개의 소정위치(position)속으로 움직일 수 있는데 내부궤도 C와 궤도 B 및 외부궤도 A로 움직임이 그것이다. 만일 만드렐 7이 내부궤도 C상에 있으면, 다이 5에의 접근은 분명해진다. 만드렐 7이 외부궤도 A상에 있으면, 하판 3의 외측단부를 건너 돌출하므로써 아래로부터 자유로이 근접가능하게 된다. 각 다이 5에 대하여 동축이 되면 프레스 8는 축상으로 움직이도록 표시태이블 1의 상판 4에 정렬 배치되므로써, 만드렐 7이 궤도 B에서 위치한 후 다이 5속으로 삽입가능하게 된다(제4도). 프레스 8는 공지의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겠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러나 표시태이블 1의 바깥쪽에 인접된 곳에 두 개의 다이 9,9'가 추가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추가적인 다이 9,9'는 표시 태이블 바깥쪽 외부궤도 A상에서 다이 5의 중앙축을 통해 표시태이블 1의 중앙축 10으로부터 나아가는 연장선상에 배치가능하다. 이 추가적인 다이 9,9'는 그 중앙축이 한 끝위치에서 외부궤도 A상에 위치하는 만드렐에 동축위치되도록 움직여 정렬 배치된다. 그리고 이들 다이의 두번째 위치에서 이들 다이는 계측장치 11의 분산노즐 아래에 놓이며, 열가소성재료공급용 사출기 12와 연결된다. 제2도는 추가적인 다이 9가 계측장치 11 아래의 위치속으로 움직여 들어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상의 장치의 작업순서를 나타낸 것이다. 스테이션 I에서 정지하는 동안 만드렐 I은 외부궤도 A 밖으로 움직여 나가고, 미리 완성한 관체 13는 그 위로 밀려나간다(제5도 내지 제13도 참조). 표시태이블 1이 나아가면, 관체 13를 가진 만드렐 7은 궤도 A를 따라 움직여서 스테이션 Ⅱ에 이르게 되고, 여기에서 정지하게 될 때에는 추가적인 다이 9에 대하여 동축위치 된다.
추가적인 다이 9(제5도 및 제6도)에는 기판 15에 의해 저부에서 닫혀지는 중공의 실린더 14가 있다. 이 중공의 실린더 14는 그 상부 내측단에 원추형 확장부 16를 갖고 있다. 이 원추형 확장부는 절대적으로 둥글지 않더라고 만드렐 7로 낮아질때 중공의 실린더 14속으로 관체 13를 비교적 정확히 중앙 가운데로 맞추어 삽입하게 해준다. 중공의 실린더 14안에는 원통형 삽입체 17가 배치된다. 상단에서는 링갭(ring gap)18이 중공의 실린더 14와 삽입체 17 사이에 주어지고, 만드렐 7을 넘어 돌출하는 관체 13의 단부를 지지한다. 관체 13를 링갭 18속으로 삽입함을 촉진하기 위해 링갭 18을 제한하는 삽입체 17의 단부가 둥근부위 25'로 주어지므로써, 이하에 지적하는 바와 같이 큰 이점을 갖게 된다. 즉, 중공의 실린더 14에 또한 삽입체 17에 대하여 동심으로, 중간이송체 20는 삽입체 17에서 두개의 스톱퍼 19,19'사이에 축상으로 움직이기 위해 배치된다. 중간이송체 20에서 중앙으로 천공용펀치 21는 그 안에서 축상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된다. 천공용펀지 21는 그 저면단에서 링모양의 돌출부 22를 갖는데 중간이송체 20의 링모양의 저면과 접촉 가능하게 들어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제5도의 위치 참조). 스프링 23은 돌출부 22와 저판 15 사이에서 배치되고, 팽팽히 조여지며, 천공용펀치 21를 지지하므로 따라서 그 상단위치(제5도)에서 중간이 송체 20를 지지해주게 된다.
계측장치 11로부터 링모양의 블랭크 24(제5도)는 제2도에서 파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적인 다이 9의 위치로 통과되고, 중간이송체 20위로 놓여지며, 여기에서 블랭크 24는 천공용펀치 21에 의하여 중심을 잡게 된다.
스테이션 Ⅱ에서 만드렐 7이 궤도 A상에서 블랭크 24로 추가적인 다이 9에 관하여 동축위치에 있게 되면, 이 위치에서 이동되고(제5도 참조), 프레스가 활동하게 되며, 만드렐 7을 낮추어 추가적인 다이 9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 만드렐 7의 자유단은 제조할 튜브헤드의 소정의 내측형상에 맞추어 조형된다. 이 만드렐 7의 돌기부는 하향하여 움직이는 동안 천공용 펀치 21와 접촉하게 되는 목부를 형성하고, 스프링 23의 힘에 대항하면서 아래로 움직이게 한다. 하향운동이 진행되면서 중간이송체 20도 또한 저부스톱퍼 19'에 대향하여 이를 건드리게 될 때까지 하강한다. 이 위치에서(제6도), 블랭크 24는 제조해야 할 튜브헤드의 제1층 27을 형성하기 위하여 압축되며, 만드렐 7의 베벨 25(제7도)에 의해 형성되는 넓어진 발부위 26와 삽입체 17의 상단에 둥근부위 25'를 가지고, 그 발은 관체 13에서 견고한 부착성을 만들어준다. 중간이송체 20과 만드렐 7을 향해 방향을 잡은 삽입체 17의 자유단의 구조 때문에, 제조하고자 하는 튜브헤드의 제1내층 27의 형상과 두께는 만드렐 7의 형상에 맞추어 결정된다. 중간이송체 20와 삽입체 17에 대치하여 각 케이스별로 제조해야 할 층의 형상은 간단한 방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첫번째층 또는 제1층 27의 형상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충분한 시간이 흐른 다음 만드렐 7은 프레스나 다른 구동장치(도시안됨)에 의해 출발점으로 복귀하고, 표시태이블 7은 한번더 사이클 순환하므로써 관체 13과 같이 만드렐 7과 첫번째층 27은 스테이션 Ⅲ에 이르게 된다. 이 스테이션 Ⅲ에서, 다른 추가적 다이 9'가 배치되고, 여기에서 그 구조와 기능의 일련성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다. 그러나, 다이 9'의 천공용펀치 21'는 스테이션 Ⅲ에 있는 다이 9의 천공용펀치 21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또한 이 펀치에는 원추형으로 뾰족부분이 잘린 원추형단 28이 있고, 아니면 계단식 단부(도시안됨)도 있는데, 첫번째층 27이 작은 직경을 가진 천공용펀치 21로 작은 분배구를 가지도록 고려한다. 단부 28는 이와같은 방법으로 상기 첫번째층 27의 분배구속을 꼭맞게 한 구조를 갖게되기 때문에 첫번째층 27의 분배구는 두번째층 29의 프라스틱재의 침투로부터 보호된다. 중간이송체 20'와 삽입체 17'의 표면은 저부단 위치에서 첫번째층 27을 가진 만드렐 7사이에서 두번째층 또는 제2층 29를 형성하기 위한 압축스페이스를 확보하기에 충분한 구조를 갖는다. 천공용펀치 21'의 확대된 직경때문에 두번째층 29은 큰 중앙개구부를 갖는다. 즉, 첫번째층 27은 제10도에 의하여 두번째층 29을 약간 넘어 돌출된다.
형상안정에 필요한 압축시간이 끝나면, 만드렐 7은 2개층, 27, 29를 가지고 출발점으로 되돌아오게 되고, 여기에서 만드렐 7의 홀더 6는 표시태이블 1의 다음 단계중으로 움직이게 되고, 따라서 그 만드렐 7은 다음 스테이션 IV에서 내부궤도 C에 위치된다. 스테이션 IV에서, 사출기 12의 계측장치 11이 배치되고, 표시태이블 1의 다이 5위에서 정지된 상태를 되는데 이 태이블 1은 실시예에서 어떤 특정시간에서 스테이션 IV에 있다. 표시태이블 1에서의 이 다이 5는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되어 있고 추가적인 다이 9,9'에 대응된다. 그러나, 다이 5는 더이상 링갭 18을 가지게 되지 않고, 오히려 둥근부위 30를 갖게 되며, 이는 제13도로부터 결국, 그 자체로 자명하게 밝혀지는 바이지만, 내측으로 향하여 관체 13의 자유단을 만곡케 하거나 커브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다이 5는 튜브헤드의 세번째층 32의 제조과정에서 튜브넥크상에 외측나사부 31를 조형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모울드부재를 갖는다. 이로 인해, 다이 5는 추가적 다이 9(제12도)와 견줄 수 있는 두 개의 반경방향으로 조정가능한 나사가공된 안면 33을 갖게 된다. 이 나사가공된 안면(threaded cheek)33은 축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슬리브(sleeve) 35에 의해 스프링 34의 작용으로 닫혀진 위치애 놓이게 된다. 특히 이 슬리브 35와 나사가공된 안면은 원추형의 슬라이드면을 갖는다. 이 슬리브 35는 긴 구멍에서 다이 5밖으로 나오는 볼트 36와 연결된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슬리브 35는 그 메카니즘상 볼트 36에 의하여 스프링 34의 힘에 대항하여 축상으로 아래로 향해 움직일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나사가공된 안면이 풀어지게 되어 미리 조여진 탄발스트링 37 때문에 반경방향으로 외향하여 움직이게 되므로 따라서 나사부 31를 완전히 풀게 된다.
스테이션 IV(제3도)에서, 블랭크 24는 단순히 다이 5의 중간이송체 20에 놓인다. 다음 단계에서, 이 채워진 다이 5는 스테이션 V로 통과되는데(제4도 및 제11도) 그동안 블랭크는 궤도 C로부터 궤도 B로 안내되어 간다. 이 위치에서 프레스 8에 의해 만드렐 7을 내려가게 해서 세번째층 32을 형성하는 데, 이것으로 관재의 만곡된 단부로 균일하게 옮아가도록 하는 튜브헤드의 바깥궤적이 생긴다. 다이 5의 천공용펀치 21는 가장 작은 직경을 나타내고, 세번째층의 재료는 만드렐 7까지 천공용펀지 21'의 측에서 침투가능하며 따라서 첫번째층은 물론 분배구와 두번째층 모두를 피복가능하게 된다. 이 세번째 층 32은 또한 나사부 31를 가지는데, 통상 두꺼운 것으로 만들므로 스테이션 VI이나, 또는 필요할 경우 스테이션 Ⅷ도 냉각스테이션 Ⅷ으로 제공된다. 스테이션 Ⅷ로부터 스테이션 Ⅷ까지 표시하는 동안, 만드렐 7은 중앙궤도 B로부터 바깥궤도 A로 되돌아가게 되므로써 가공완료된 튜브가 스테이션 Ⅷ에서 표시태이블 1의 바깥에서 하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상의 변경이 있더라도 이것은 단지 2개의 궤도를 가질 뿐으로, 만일 예컨데 상적 및 하적이 표시태이블을 통해 있게 되면, 단지 하나의 충만이 튜브헤드로 제공되게 된다. 대응위치에서는 고정계측장치 대신 상기 고정다이 위치속으로 들어가는 가동가능한 계측장치(movable metering device)가 사용된다. 또한 스테이션 Ⅶ 다음이 아닌 그 훨씬 전에 바깥궤도 B로 만드렐은 갖다놓을 수 있으므로 캡(cap)을 예컨대 스테이션 Ⅶ에서 스크류로 가동케 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또한 3개층보다 많거나 적은 튜브헤드를 제조할 수 있게하고(보다 많은 추가적 다이를 사용하여) 따라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라 3개층으로 된 구조는 소위 차폐층 또는 절연층(barrier layer)이라는 층을 중간층으로 구비할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고, 이 중간층은 튜브몸체에 접촉하거나 닿지않도록 피복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의 여러가지 천공용펀치로 간단한 방법으로 둘러싸여서 피복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둥근 부위 25'에 의하여 삽입체 17의 돌출단에서, 그리고 만드렐 7에 있는 베벨 25에 의하여 발부위 26에서 재료확대가 일어나게 되고, 이는 또한 두번째층 29의 단부가 관체 13(제10도 및 제13도 참조)에 관하여 거의 직각에서 만곡된 구조로 되게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 다이 5와 추가적인 다이 9,9'는 또한 서로 다른 구조로 되어 있고, 추가적인 다이 9,9'는 모두 링갭 18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중간이송체 20는 모든 아이에서 제괘되고, 천공용펀치 21도 하나만 제외한 모든 다이에서 제거되는데, 후자는 하나이상의 층이 분배구를 봉함하기 위한 막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표시태이블 1을 구동하고 프레스 8의 움직임은 물론 만드렐의 운동도 제어하기 위하여, 예컨데 캠제어동 알려진 구동 및 제어방식이 이용되고 있으므로 여기에서 상세히 그 설명을 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상의 스테이션 Ⅱ, Ⅲ에서의 위치에 대응할 때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제3도도 본 발명상의 스테이션 Ⅳ, 제4도는 스테이션 V,VI, VII에서의 위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상의 장치는 간단한 구조를 보여주고, 여러가지로 변경가능하므로 다른 공정시퀘스나 튜브구조를 쉽게 변형 또는 변경가능하며, 만드렐은 짧은 선형의 내려오는 움직임을 수행하므로써 높은 작업속도로 얻을 수 있다.
표현을 복잡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 만드렐은 표시태이블의 스테이션에 도시되어 있고, 그 대응되는 각 다이와 펀치도 나열되어 있다. 시간당 회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둘 또는 그 이상의 만드렐도 공급가능하고, 다수의 대응되는 수의 펀치와 다이가 주어지며, 그와같이 하여 두세개 또는 그 이상의 유닛트들이 각 스테이션에서 진행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2)

  1. 플라스틱의 가열된 블랭크(24)로부터 튜브를 압축하여서 미리 가공한 관재부(prefinished pipe elements)로부터 튜브를 제조하는 장치는 상호 동일 거리로 정렬된 다수의 가공스테이션(work station)(Ⅱ∼Ⅶ)에서 정지하도록 한 계측용 이송가구와, 관부재(13)와 만드렐(7)에 대하여 동축정렬된 다이(5)와 보지하기 위한 만드렐(7)을 가지고, 상기 만드렐은 중앙천공용펀치(21)를 구비하고 필요한 때에는 상적 및 하적스테이션(Ⅰ,Ⅶ)에, 또한 사출기(12)와 계측기(11)로는 물론 튜브프레스를 압축하기 위하여 다이(5)속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만드렐(7)이 프레스(8)와 같이 축상으로 움직이고 정렬되게 하므로써 상기 만드렐(7)은 다이(5)에 관한 동축위치 외에도 그 위치에 관하여 평행위치 속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드렐(7)은 이송기구의 밖에 위치한 다이(5)의 원형궤도(B)에 평행한 하나의 내부 또는 하나의 외부의 추가적 궤도(A,C)상으로 움직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적 및 하적 스테이션(Ⅰ,Ⅷ)은 각기 만드렐(7)의 외부 추가적궤도(A)로 넘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둘 이상의 층의 튜브헤드를 가진 튜브의 제조를 위해 이들의 외부원형통로(A)상에서 만드렐(7)과 연설된 장치는 원형궤도(A)상에서 만드렐(7)로 넘어가는 다수의 추가적인 다이(9,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5) 자체는 이송기구에 부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 다이(9,9')는 사출기(12')의 추가적 계측기(11')아래에서 만드렐(7)의 외부궤도(A)로부터 움직여 나가도록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적 다이(9,9')는 관부재(13)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링갭(ring gap)(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갭(18)의 내부 정상단은 둥근부위(2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링갭(18)의 외부 정상단은 원추형 확대부(1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천공용펀치(21,21',21)가 축 중앙으로 움직이고 또한 스프링지지체와 정렬되는 축상으로 움직이는 중간이송체(20,20',20)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이송체(20,20',20)의 축상 움직임은 정지구(19,19')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의 다이(5)의 천공용펀치(21)는 작업계통에 있어 다른 모든 천공용 펀치(21,21')보다도 작은 직경을 가지고 작업계통에서 작업전에 정렬된 다이(9,9')에 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브제조장치.
KR1019910021225A 1991-11-26 1991-11-26 튜브 제조장치 KR0126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225A KR0126910B1 (ko) 1991-11-26 1991-11-26 튜브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1225A KR0126910B1 (ko) 1991-11-26 1991-11-26 튜브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50A KR930009750A (ko) 1993-06-21
KR0126910B1 true KR0126910B1 (ko) 1998-04-01

Family

ID=19323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225A KR0126910B1 (ko) 1991-11-26 1991-11-26 튜브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9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750A (ko) 199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1798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tubes
CA1114579A (en) Multiple punch tool set for powder compacting press
US4758144A (en) Accumulating heads for production of laminated plastic cylindrically configured blanks
EP1761376A1 (de) Herstellverfahren und extrusionsblasmaschine für kunststoffbehälter
US3865530A (en) Pressure control during blow-moulding
US8231376B2 (en) Metal mold for compression forming
KR0126910B1 (ko) 튜브 제조장치
DE19935866C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Pressen eines Külbels
DE1461848C2 (de) Maschine zum selbsttätigen Herstel len, Füllen und Verschließen von Behal tern aus thermoplasstischem Material
EP1884342A2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hlkörpern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im Blasverfahren
US3825389A (en) Molding hollow articles
DE3815193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lasformen eines hohlkoerper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E102008025775A1 (de) Vorrichtung zum Expandieren von Behältnissen mit radial zustellbarer Dichtung
EP0042132A1 (de) Vorformling und Formwerkzeug zum Streckblasen
GB9745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hollow bodies from thermoplastic materials
EP1610939B1 (de) Verfahren zum blasformen von hohlkorper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200901277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quantity of plastic in the molten state
KR890005026B1 (ko) 라이터용 가스유출 밸브노즐의 제조방법
DE2342789C2 (de) Vorrichtung zur dis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Mehrschicht-Formkörpern
RU24377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компрессионного формования пластмассовых изделий
DE3025333A1 (de) Vorrichtung zum formen von kuelbeln zur herstellung von enghalsigen glaswaren nach dem press-blas-verfahren
EP1388406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blasgeformter Hohlkörper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DE3727990C2 (ko)
DE1109353B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Flaschen u. dgl. aus thermoplastischemKunststoff
DE4239809C2 (de) Verfahren und Blasformstation zur Herstellung eines Hohlkörpers mit einer Öffnung im Bodenberei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