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673B1 - 차량 현가 링크 - Google Patents

차량 현가 링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673B1
KR0126673B1 KR1019890015437A KR890015437A KR0126673B1 KR 0126673 B1 KR0126673 B1 KR 0126673B1 KR 1019890015437 A KR1019890015437 A KR 1019890015437A KR 890015437 A KR890015437 A KR 890015437A KR 0126673 B1 KR0126673 B1 KR 0126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bolt
washer
space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6160A (ko
Inventor
머레이 피어리씨.
쉬와르츠 앤드류 더블유
케이. 헤이즈 윌리암
Original Assignee
피어리 씨.머레이
맥클린-포그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어리 씨.머레이, 맥클린-포그 캄파니 filed Critical 피어리 씨.머레이
Publication of KR900006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량 현가 링크
제1도는 본 발명의 보울트 타입 부속품의 보울트 부품의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보울트 타입 부속품의 스페이서 부품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조립된 보울트 타입 안정장치의 리테이너 부품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조립된 보울트 타입 부속품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부속품의 스페이서 부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부속품의 스페이서 부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너트 부품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조립된 스터드 타입 부속품의 측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스터드 타입 부속품의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스터드 타입 부속품용 리테이너 부품의 측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부속품의 리테이너 부품의 끝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30,80,94 : 부싱 24 : 워셔
26,36,46,92 : 그루우브 42 : 돌출부
56,88 : 너트 64,66 : 스터드
66 : 나사 54,72 : 리테이너 부품
76,78 : 플랜지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차량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히는 안정장치 바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여러해동안, 자동차 및 다른 차량은 차량의 승객에게 보다 부드럽고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도로의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독립적인 현가장치로 구비되어 있었다.
이러한 타입의 현가장치에서, 안정장치는 차량의 구름강성을 증가시키고 조종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안정장치는 차량의 측면으로 향하여 있는 중앙토오션 바아부분과 실제로 다각형의 3면의 형상을 형성한 중앙로드부분의 각각의 단부에 구비된 2개의 일체형 아암부분을 갖춘 로드형 탄성부재이다.
각각의 아암부분에 대략 인접한 중앙로드부분은 차체로 부터 길이방향의 측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아암의 각각의 단부는 커넥터 링크에 의해 현가아암에 연결된다.
차량이 예를 들면 원심력에 의해 굴러갈때, 아암부분은 아암을 통하여 차량의 현가아암을 정상적인 위치로 가압시키는 비틀림력을 야기시키는 중앙로드부분의 중앙로드부분의 길이방향의 측선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선회시킨다.
비틀림 안정장치바아의 이러한 타입은 여러해동안 차량에서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유사한 형상을 가진 안정장치 바아의 예시가 미합중국 특허 제2,660,449호, 제3,181,885호, 제3,733,087호, 제4,066,278, 및 제4,143,887호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안정장치는 한쌍의 좌우측 휘일이 코너링 기동으로 인하여 서로 레벨이 다를 때, 차체가 안정장치 바아에서 만들어진 비틀림 저항에 의해 한쪽으로 과도한 틀링이나 기울어짐이 방지되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더욱 경쾌한코너능력을 원하는 운전자의 욕구에 응하여, 자동차 설계자는 종래의 안정장치 바아의 직경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수정이 유리하게 구름강성을 증가시켰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많은 경우에 있어서 승차감을 또한 저하시켰다. 설계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미합중국 특허 제4,648,620호에 도시된 조정가능한 현가안정장치 바아와 같은 안정장치 바아의 기능을 고양시키기 위하여 생각해 온 반면에, 현가장치의 다른 요소에 대해서는 관심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예를 들면, 많은 개량책이 다양한 독립적인 현가아암 및 새로운 설계에서 뿐만 아니라 완충기 및 타이어 구조에서 이루어졌다. 과거 20년동안 현가장치의 여러가지 요소용 부착링크 또는 커넥터에서 실질적으로 개선 또는 변화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안정장치바아 부속품과 같은 차량현가장치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여러해동안 변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많은 다른 현가장치 부속품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속품은 차량의 유효 수명동안 부식 및 고장을 초래하는 다양한 환경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부속품의 수명은 본래의 크기 및 재료의 특성을 유지하는 부품의 성능에 좌우될 것이다. 이러한 차량 부품은 차량의 운송중에 주로 이용되기 때문에, 비, 염분 및 진눈깨비 등의 가혹한 영향을 받게 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부속품은 차량의 생산시 수동으로 조립되어야만 하는 많은 다른 부품들의 조립체이다. 안정장치 링크 바아 부속품은 보울트 타입 구조체 또는 스터드 타입 구조체의 2가지 광의의 범주중의 하나이다. 보울트 타입 구조체에서, 적당한 치수의 보울트가 차량 현가아암에 안정장치 바아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는 보울트 타입 구조체는 환경의 부식 영향, 주로 도로염분 및 습기의 영향을 받는 7개의 강철제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부속품은 같은 환경위험에 의해 덜 영향을 받는 몇가지 고무부싱 또는 그로밋(grommet)을 포함하고 있다. 조립되었을 때, 보울트 타입 링크는 안정장치 바아아암 및 차량 현가아암의 외부표면과 맞물리는 유연성 부싱 또는 그로밋에 의해 완충되는 한쌍의 외부 워셔와 맞물린 보울트타입 헤드부 및 지지너트를 갖추고 있다. 한쌍의 유사한 형상의 그로밋은 각각의 차량 요소의 내부표면과 맞물리며 보울트 축상에 장착된 원통형 슬리이브에 의해 소정의 일정한 거리로 유지된 한쌍의 내부 워셔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전형적으로 이러한 타입의 구조체는 강철제로 된 7가지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전형적으로 강철은 부식방지를 막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도금 처리가 된다. 그러나 모든 맞닿은 점은 주로 보울트 헤드 또는 리테이너 너트와 각각의 인접워셔사이 그리고 스페이서 슬리이브의 단부와 워셔의 인접내부쌍사이이다. 이러한 요소 사이의 공간은 부식 및 부품의 질을 저하시키는 도로염분 및 습기의 유입을 허용한다. 자주발생하는 보울트 부재의 극심한 녹발생은 사용 도중에 차량에서 발견된다. 차량이 사용되는 지역에서의 독특한 기후에 좌우되기 때문에, 금속부재에서 다소의 부식은 주목되야만 한다.
부식이 정상적인 사용동안 부속품 조립체의 조기의 결함을 야기시키는 한편, 환경의 질적 저하로 인한 소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는 고무 부싱 또는 그로밋을 바꿀 필요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부속품은 마모된 부싱요소를 교환하기 위하여 분해되어야만 하고 이러한 작동 동안 자주 보울트 부분은 분해 동안 비틀림력에 의해 파괴되거나 또는 절단하여 분해하여야 한다.
스터드 타입 부속품 조립체는 보울트 타입 조립체와 실질적으로 같지만 스터드의 상부끝단 상에서 추가적 리테이너너트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2개의 나사식 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스터드 타입 조립체에 있어서, 너트의 죔 동안에 스터드의 회전억제 부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구조체에 있어서, 스페이서 슬리이브는 스터드의 중심 부분이 회전방지를 위하여 파지되어야만 하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따라서, 훨씬 더 값비싼 스페이싱부재가 제공되어야만 한다. 스페이싱기구의 한가지 형상이 워셔의 내부쌍 사이에서 소정의 치수를 유지시키는 스터드의 축을 따라서 소정의 지점에서 플랜지를 만들게 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있어서, 보울트 타입 안정장치 링크바아는 보울트 부품 및 생산지 조립되는 부품의 수를 극적으로 감소시키는 단지 2개의 다른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설계는 훨씬 더 부식에 대하여 저항력이 있고 그리고 동시에 습기가 보울트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다 좋은 시일을 공급하는 부품에 의해 2개의 강철 워셔 및 1개의 관모양의 강철 스페이서를 배제시키는 중앙의 플랜지로 된 플라스틱제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있다.
링크 부속품의 스터드 타입에 있어서, 본 발명은 표준적 스터드 타입 공간을 위하여 요구되는 값비싼 제조 작업을 배제시키면서 공간 기능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수행하는 단일체로 성형된 중앙 플랜지형으로 된 플라스틱 부분을 갖춘 스터드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화된 차량 현가 링크 부속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체를 위하여 요구되는 보다 적은 부품을 갖춘 링크부속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강철 부품을 대체하기 위하여 비부식성 가소성 부품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더한 목적은 부속품 부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부속품 부품들 사이에서 더 효과적인 시일을 제공하여서 부속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이 하기 도면과 관련하여서 취해진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더욱 분명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보울트 타입 부속품의 보울트 부품을 10으로 도시하고 있다. 보울트 부품은 나사식 단부(14) 및 6각형 머리부분(16)을 포함하고 있는 소정의 길이를 가진 보울트(12)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금속부품뿐만 아니라 나사(14) 및 머리부(16)를 포함한 보울트(12)는 일반적으로 강철로 만들어지며 부식방지용 도금으로 코팅되어 있다. 이러한 부식방지용 도금은 임의의 표준타입 즉 아연, 유기 또는 인산화염 및 오일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울트 부품은 보울트의 머리부(16) 근처에서 조립용 유연성 부싱 또는 그로밋(18)을 포함하고 있다.
부싱(18)은 안정장치 바아의 아암에서 관통구와 맞물리는 형상으로 되면 반경의 또는 테이퍼진 내부단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싱(18)의 외부면은 강철 또는 비부식성 플라스틱 워셔(24)를 캡슐형으로 된 확대된 지름부분(22)을 포함하고 있다. 부싱(18)의 외부면은 강철 또는 비부식성 플라스틱 워셔(24)를 캡슐형으로 된 확대된 지름부분(22)을 포함하고 있다. 부싱(18)은 통상적인 성형기술 또는 사출성형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성형되며 바람직하게는 잡혀 있는 워셔(24)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학대된 단부부분(22)에서 그루우브(26)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워셔(24)가 제거가능한 것은 필수적이지 않지만 다만 성형작업시 충분한 틈새가 제공되어서 머리부(16)의 맞닿은 면이 간섭없이 워셔(24)와 접촉하는 것은 필요하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부싱(18)은 안정장치 링크아암에서 관통부 내부에 결합되는 임의의 원통형 중심돌출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스페이서 부품(34)은 중심원통형 부분(36)을 포함하고 있는 제2도에서 대략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내부 부싱(38)은 테이퍼진 단부(40) 및 중심 돌출부(42)를 포함하는 부싱(18)과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각각의 부싱(38)의 확대된 대향 단부(44)는 일체형으로 성형되거나 또는 사출성형시 형성된다.
이전에는, 이러한 타입의 현가링크에서, 부싱 또는 그로밋은 종래의 성형 고무로 만들어졌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품사전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부속품의 유효 수명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부싱(18, 38)은 어떤 다른 형상 즉 파일럿 돌출부(30, 42)뿐만 아니라 수용 그루우브(26, 46)를 포함시키기 위하여 사출 성형된 우레탄 또는 열가소성 고무로 만들어진다. 스페이서 부품(34)은 특수설계된 스페이서 부재(36)를 포함하고 있다. 스페이서 부재(36)는 그루우브(46), 부싱(38)에 의해 끼워지도록 스페이서(36)와 일체형으로 성형된 한쌍의 플랜지단부(48)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삼각형인 복수의 웨브(50)는 스페이서 몸체(36)와 일체의 성형된다. 전체적인 스페이서(36)는 적당한 사출성형가능한 플라스틱 즉 나일론으로 충진된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로 제조된다. 스페이서(36)의 플랜지단부(48)를 잡고 있는 부싱(18)내의 그루우부는 실질적으로 공지된 기술의 금속 슬리이브와 워셔접촉과 달리 보울트에 어떤 습기의 유입을 방지한다.
제3도는 테이퍼진 맞물림표면(20) 및 확대된 원통형 단부(22)를 가진 부싱(18)을 포함하고 있는 54로 표시된 리테이너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확대된 단부(22)는 상기 설명된 방법으로 워셔(24)와 맞물려서 끼워지도록 성형된 그루우브(26)를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리테이너 조립체에 있어서, 워셔(24)는 조립시 보울트의 단부상에서 나사부(14)와 맞물리는 회전식으로 끼워지는 너트(56)를 포함하고 있다.
너트(56)는 너트가 보울트(12)의 비나사 부분과 맞물리고 소정의 비틀림력이 부과될 때까지, 죄어진다. 다른 잠금너트 형상은 본 발명의 이러한 형상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리테이너 부품(54)은 많은 현존하는 구조체에 있어서 사전조립된 별개의 요소인 너트, 워셔 및 부싱 모두를 포함하고 있다. 스페이서 부품(34)은 2개의 부싱, 2개의 워셔 및 금속제 관모양 스페이서 즉 5개의 별개의 부품을 최종 부속품으로 조립하기 위하여 하나의 부품으로 대체시킨다. 보울트 부품(10)은 조립시보다 부품 즉 7개 대신의 3개가 최종 조립을 위하여 하나의 사전조립된 부품으로서 보울트 단부 워셔 및 헤드 단부 부싱을 포함하고 있다. 한가지 전형적인 사용에 있어서, 보울트 부품(10)은 관통구를 통하여 안정장치 아암상에 장착되며, 스페이서 부품(34)은 현가아암의 관통구를 통하여 뻗어있는 보울트의 축상에서 미끄럼이동되고, 리테이너 부품(54)은 보울트(12)의 단부상의 나사부(14)로 나사체결되며 적당한 자동장비로서 조여진다.
따라서 부품수에서의 감소는 보울트의 머리부 및 너트단부에서 그리고 스페이서 요소(36)와 내부 부싱(38)사이 접속점에서 실질적으로 보다 큰 내부식성 접속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생산시 조립 및 부속품의 사용을 크게 단순화시킨다.
제4도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장착되기 전 조립된 형상에서 부속품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부속품은 출하하기 전 제조된 부속품에 의해 제4도에서 도시된 단계로 조립될 수 있거나 또는 생산시 후조립을 위하여 차량생산시설까지 출하를 위하여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된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유사 번호가 유사한 부품을 표시하는, 본 발명의 보울트 타입 부속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부싱의 형상은 특별한 적용을 위하여 수정되었다. 각각의 부싱의 단부는 부싱의 단부는 부싱의 파일럿 또는 중심돌출부(30) 및 모따기된 단부(20a)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부싱은 적당한 워셔 또는 플랜지 수용 그루우브(26 또는 36)를 포함하며 그리고 제7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리테이너 부품은 워셔(24)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수용되는 너트(56)를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5도, 제6도 및 제7도의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처럼 그루우브(26, 36)는 지름 및 깊이에서 동일하므로 모든 부싱은 서로 교환될 수 있으며 그리고 단지 하나의 성형이 모든 부싱을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또한 최종 조립은 공지 기술에서 사용된 정상적인 7개의 부품 대신에 3개의 부품을 이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덧붙여서, 다수 접촉점에서 이루어진 증가된 습기장벽과 마찬가지로 금속 성분수에서 감소는 실질적으로 부속품의 잠재적 부식을 감소시킨다.
제8도 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스터드 타입 부속품의 2가지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60으로 표시된 조립된 스터드 타입 부속품은 제8도에서 조립된 상태의 하나의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하여, 부품의 하기 설명은 제9도 내지 제11도에 대하여 이루어 진다. 스터드타입 부속품(60)은 중심축 또는 대향 단부에서 나사부(66)를 포함하는 스터드(64)를 포함하고 있다. 68로 표시된 중심 스페이서 부품은 보울트타입 부속품 구조체의 스페이서 부품(36)의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스페이서(70)는 일체형으로 되기 위하여 스터드(66)의 중심부분상에서 적당한 유리섬유강화 나일론 또는 유리서유강화 폴리에스테르로 다시 성형된다. 조립시, 스페이서(70)와 스터드(64)의 일체적인 형성은 스페이서부재(70)상에서 일체적으로 성형된 육각형상의 확대 중심부분의 사용에 의해 제10도에서 도시된 72로 표시된 리테이너 부품의 조임을 허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페이서 부재(70)는 또한 몸체부분(70)과 각각의 플랜지(76)사이에서 복수의 웨브 또는 플랜지(78)에 의해 더 강력해진 일체형으로 성형된 한쌍의 플랜지(76)를 대향 끝단에서 포함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내부 부싱(80)은 스페이성 부품(68)의 각각의 플랜지(76)에 대하여 맞닿도록 다소 둥글게 또는 구형의 접촉표면(82)을 포함하는 플랜지(76)와 맞닿는다. 대안책으로 부싱(80)은 보울트 타입 스페이서 부품(34)에 대하여 상기 설명된 것처럼 플랜지 캡슐형 그루우브로 설계 될 수 있다. 그러나, 스터드 및 스페이서 몸체(70)의 일체적 형성은 부싱(80)이 플랜지(76)근처 스터드(64)의 축부분상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부싱(80)은 복수의 내부로 반경방향으로 향해진 돌출부에 의해 축(54)상에서 바람직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부싱(80)은 다른 수단 즉 스페이서 몸체(70)의 양면상에서 각각의 플랜지(76)로부터 소 직경의 외부로 뻗은 돌출부에 의해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부싱(80)내부 관통구의 직경은 필요한 마찰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제9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부싱(80)은 필요하다면 인접한 현가장치 부품의 관통구에 들어갈 수 있도록 라운드되거나 또는 페이퍼진 단부(84)로 설계된다. 스터드 타입 형상에서, 한쌍의 리테이너 요소(72)는 스터드 나사부(66)의 양 단부상에서 나사끼움되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것처럼, 리테이너 부품은 리테이너 부품 부싱(94)에 형성된 그루우브(92)내부에 잡혀 있는 워셔(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식 너트부분(88)을 포함하고 있다. 리테이너 부싱(94)은 전형적인 자동 공구에 의해 너트(88)의 조임동안에 일렬로 배열시키는 것을 용이하도록 인접 현가 장치의 관통구멍에서 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비슷하게 형상을 갖춘 반경(84)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설계에 있어서, 렌치가 리테이너 부품의 일면 또는 양면의 제거에 의해 독립적인 조임 또는 후속분해를 허용하도록 성형된 육각부분(74)의 평면과 맞물리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3개의 부품이 생산시 신속한 조립을 제공하는 스터드 타입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품은 별개로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제8도에서 도시된 것처럼 조립된 형상으로 출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터드 타입 부속품에 있어서, 최종 생산을 위하여 이용되는 3개의 부품이 있는 반면에 보울트 타입 구조체에서 처럼 스터드 타입 구조체의 모든 리테이너 부품(72)이 동일하므로 2개의 다른 타입의 부품을 제조하거나 또는 구입하는 것이 만이 필요하다.
제8도에서 도시된 조립된 스터드 타입 부속품은 스페이서부품(70)상에서 수정된 플랜지(76) 및 다른 형상의 부싱(80, 94)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부싱(94)은 조임너트(8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그루우브 캡슐형으로 된 워셔(90)를 포함하고 있다. 부싱은 각각 45°모따기 부분(96) 및 파일럿 또는 중심원통형 돌출부(98)를 포함하고 있다. 내부 부싱(80)은 특정 적용에서 편의를 위하여 중심선 주위로 대칭이다.
명확한 이해를 위하여 상기 상세히 설명되었으며 설계에서 많은 수정 및 변화가 본 발명으로 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어떤 불필요한 제한이 없다는 것은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차량의 현가아암에 안정 장치 아암을 연결시키기 위한 부속품 링크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되고 각각의 단부에 확대된 플랜지를 갖춘 일체형으로 성형된 내부식성 스페이서를 가지며 각각의 단부상에 나사가 형성된 축, 플랜지 근처 축상에 장착된 한쌍의 내부 부싱, 그리고 축의 나사형성 단부와 맞물리기 위한 나사형성너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워셔를 잡고 지지하기 위해 바깥쪽으로 향한 일체로 성형된 그루우브를 각각 포함하는 유사한 형상의 우레탄 부싱을 갖추고 있고, 스페이서 부품의 각각의 대향단에서 서스펜션아암과 안정장치 아암을 잡기 위한 한쌍의 리테이너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링크.
  2. 차량현가요소를 연결시키기 위한 부속품 링크에 있어서, 중앙에 위치하고 일체형으로 성형된 내부식성 스페이서 및 스페이서의 각각의 단부에서 확대된 플랜지를 가진 나사로 형성된 축, 플랜지 근처 축상에서 장착된 한쌍의 내부 유연성 부싱, 한쌍의 외부 유연성 부싱, 그리고 축의 대향 단부상에서 현가요소를 잡기 위한 한쌍의 리테이너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 링크.
  3. 제 2 항에 있어서, 부싱은 사출성형된 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링크.
  4. 차량용 현가장치의 연결요소를 위한 부속품 링크에 있어서, 커넥터 축, 커넥터 축에 장착된 일체형의 스페이서부재, 스페이서부재의 대향 단부에 인접하여 축상에 지지된 제1및 제2유연성 맞물림 부재, 축상의 제1및 제2맞물림 부재와 스페이서부재로 축의 대향 단부에 구비된 제1및 제2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링크.
  5. 제 4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부재는 그대향 단부에서 적어도 한쌍의 일체형 플랜지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유연성 맞물림 부재는 스페이서부재의 각각의 단부를 잡기 위한 그루우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링크.
  6. 제 4 항에 있어서, 커넥터축은 한단부에서 헤드를 갖춘 그리고 다른 단부에서 나사부를 갖춘 보울트로 구성되어 있고, 제1지지부재는 보울트의 헤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링크.
  7. 제 6 항에 있어서, 제1지지부재는 보울트의 헤드에 인접하여 워셔 및 제3유연성 맞물림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3유연성 맞물림 부재는 워셔를 잡기 위한 그루루브를 포함하고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링크.
  8. 제 7 항에 있어서, 제2지지부재는 너트, 너트에 인접한 제2워셔 그리고 제4유연성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제4유연성 맞물림 부재는 제2워셔를 잡기 위한 그루우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너트는 보울트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링크.
  9. 제4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부재는 커넥터축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링크.
  10. 제 4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 부재는 축에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링크.
  11. 제 4 항에 있어서, 커넥터 축은 각각의 단부에 나사가 있으며, 여기에서 제1및 제2지지부재 각각은 추가적인 유연성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각각의 추가적인 유연성 맞물림 부재는 워셔를 잡고 지지하기 위해 일체로 성형된 그루우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워셔자체는 축의 나사부 단부와 결합하기 위해 나사가 있는 너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속품 링크.
  12. 자동차와 같은 차량용 현가장치를 위한 안정장치 바아의 단부링크에 있어서,
    (a) 관형 몸체를 갖추고 그리고 관형 몸체의 각각의 단부에서 서로 일치하는 두께와 외경의 둥근 플랜지를 갖춘 단일 스풀, (b) 외경이 상기 각각의 플랜지와 일치하는 2개의 둥근 워셔, (c) 서로 모양이 일치하고 탄성재질로 만들어져 있고, 각각이 상기 플랜지의 한쪽 또는 상기 워셔의 한쪽상에서 스냅식 끼움되도록 되어 있는 스냅 끼움 단부를 갖추고 있으며 그리고 대향 끝을 갖춘 4개의 둥근 그로밋, (d) 헤드와 나사형성 단부로 된 몸체를 갖춘 보울트, (e) 보울트의 몸체의 나사형성 단부에 나사결합된 너트로 구성되어 있고, 여기에서, 상기 그로밋의 각각의 스냅 끼움단부는 상기 각각의 플랜지에 스냅 끼움되어 그로밋-스풀-그로밋 서브 조립체를 형성하고, 상기 그로밋 각각의 하나의 스냅끼움 단부는 사익 워셔의 각각에 스냅끼움되어 제1그로밋-워셔 서브조립체와 제2그로밋-워셔 서브조립체를 형성하고, 볼트의 몸체는 제1그로밋-워셔 서브조립체를 통해서 제2그로밋-워셔 서브조립체의 워셔는 보울트의 헤드로부터 먼쪽으로 면해 있고, 그리고 너트는 보울트의 몸체의 나사형성 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장치 바아의 단부 링크.
KR1019890015437A 1988-10-26 1989-10-26 차량 현가 링크 KR01266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276888A 1988-10-26 1988-10-26
US262,768 1988-10-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6160A KR900006160A (ko) 1990-05-07
KR0126673B1 true KR0126673B1 (ko) 1998-04-07

Family

ID=2299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5437A KR0126673B1 (ko) 1988-10-26 1989-10-26 차량 현가 링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57145B2 (ko)
KR (1) KR01266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11276A1 (it) * 2011-07-08 2013-01-09 Danieli Off Mecc Tirante con sistema di bloccaggio alle estremita'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725U (ja) * 1981-07-02 1983-01-17 川上 満男 農薬撹拌装置
JPS5941130U (ja) * 1982-09-09 1984-03-16 山本 恵一 テ−ブル、チエスト、両面ハツチ等家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93707A (ja) 1990-07-31
KR900006160A (ko) 1990-05-07
JP3157145B2 (ja) 2001-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1722A (en) Vehicle suspension link
EP1395451B1 (en) Link assembly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US5165306A (en) Vehicle stabilizer bar end link
US5954353A (en) Plug in direct acting stabilizer bar link
EP1174293B1 (en) Link assembly for automobile suspension system
US6007079A (en) Direct acting end link for stabilizer bar
US20170129301A1 (en) Sway Bar Linkage With Bushing
US6604270B2 (en) Robust, low mass stabilizer bar link assembly
US6308972B1 (en) Self-locking plug-in stabilizer bar link mechanism
KR0126673B1 (ko) 차량 현가 링크
EP1065077A1 (en) Plug in direct acting stabilizer bar link
CN110997459B (zh) 车轮悬架
US20180312027A1 (en) Sway bar linkage with bushing
DE102017222821B4 (de) Lagervorrichtung, Aggregatträgersystem und Kraftfahrzeug
JP2000142057A (ja) サスペンション連結部材
KR100422552B1 (ko) 상용차의 리어현가장치구조
KR19980029677U (ko)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브라켓트 취부구조
CA2229194A1 (en) Direct acting end link for stabilizer b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