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651Y1 -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651Y1
KR0126651Y1 KR2019950016289U KR19950016289U KR0126651Y1 KR 0126651 Y1 KR0126651 Y1 KR 0126651Y1 KR 2019950016289 U KR2019950016289 U KR 2019950016289U KR 19950016289 U KR19950016289 U KR 19950016289U KR 0126651 Y1 KR0126651 Y1 KR 01266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w material
drying
food wast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2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803U (ko
Inventor
황대하
양진목
Original Assignee
유성용
동아건설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용, 동아건설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성용
Priority to KR20199500162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651Y1/ko
Publication of KR9700058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8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6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6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일반 음식점등과 같은 업소에서 발생되는 음식찌꺼기를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 처리하도록 하는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적이고도 자동화된 처리장치로서 음식찌꺼기를 연속적인 공정으로 유기질 비료와 같은 재활용품으로 처리토록 하는 것으로, 이는 음식찌꺼기를 공급받아 각종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함과 동시에 1차분쇄토록 하는 1차분쇄부(110)와, 상기 분쇄기(113)에서 분쇄된 원료를 하부에서 상부의 건조로(131)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의 이송부(120)와, 이송되는 원료를 함체형상의 건조로(131)내에 다단으로 구비되어 수평구동되는 다수의 이송콘베이어벨트(132)(133)를 통해 지그재그 식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건조부(130), 상기 건조부(130)의 건조로(131)내로 열풍을 강제 송풍시켜 원료를 강제 건조시키는 열풍공급부(140)와, 상기 건조부(130)에서 배출되는 원료를 컨베이어로서 이송시켜 2차로 파쇄시키도록하는 2차분쇄부(150)와, 상기 2차분쇄부(150)에서 파쇄된 원료를 진동체로 선별하여 재처리 완료된 원료만을 이송컨베이어로서 포장장소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회수부(16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구성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만을 보인 일부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1차분쇄부
111 : 호퍼 113.151 : 분쇄기
120 : 이송부 123 : 컨베이어벨트
130 : 건조부 140 : 열풍공급부
145.162 : 컨베이어 150 : 2차분쇄부
160 : 회수부
본 고안은 가정이나 일반 음식점등과 같은 업소에서 발생되는 음식찌꺼기를 유기질비료로 재활용 처리하도록 하는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계적이고도 자동화된 처리장치로서 음식찌꺼기를 연속적인 공정으로 자동처리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또는 음식점, 특히 대형음식점등에서는 많은 량의 음식찌꺼기가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이었고, 이러한 음식찌꺼기는 대부분 쓰레기로서 그대로 버려지게 됨으로써 엄청난 량의 쓰레기를 발생시키게 되는 주 요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음식찌꺼기의 쓰레기는 그 특성상 많은 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음과 동시에 육류 또는 채소류등의 음식물찌꺼기는 물론이고, 각종 이물질 즉, 병류,캔류,비닐류,목재류등이 포함된 종함적인 쓰레기임으로써 분리수거가 불가능하여 지금까지는 땅속에 그대로 매장하는 방법을 채택하여 처리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음식쓰레기는 재활용이 거의 되지 못하고 있어 많은 재원의 낭비를 가져오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던 것이었고, 또한 이러한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따른 어려움은 물론 많은 경비와 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음식쓰레기를 매장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이를 매장하는데 따른 공간이 필연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공간의 확보가 어렵고, 또한 매장된 음식찌꺼기가 자연적으로 부패 및 발효되는 과정에서 많은 악취를 발생시키거나 병균의 서식처를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다른 환경을 파괴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근래에는 음식찌꺼기를 재처리하여 퇴비 등으로 재활용토록 하는 것이 일부 알려져 있기는 하나 이러한 방법은 대부분 일정한 공간 내에 음식쓰레기를 적치하여 자연적으로 수분을 제거토록 함과 동시에 자연현상으로 부패 및 발효되도록 하는 방법임으로써 처리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과 처리과정에서 악취의 발생은 물론 병균을 유발시키게 외는 문제점이 있고, 처리능력도 한계가 있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음으로써 실제로 널리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음식찌꺼기를 기계적이고도 자동적으로 처리하여 단위시간당 처리능력을 배가함은 물론 연속적인 처리가 가능토록 하여 운반 즉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음식찌꺼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구성도로서,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 음식찌꺼기 처리장치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이의 본체(100)는 음식쓰레기 수거차등으로부터 수거된 음식쓰레기를 공급받아 음식찌꺼기를 1차분쇄하는 1차분쇄부(110)와, 상기 1차분쇄부(110)에서 분쇄된 찌꺼기를 이송시키는 이송부(120)와, 상기 이송부(120)로부터 이송 공급된 찌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부(130)와, 상기 건조부(13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열풍을 건조로로 공급시키도록 하는 열풍공급부(140)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건조부(130)에서 건조된 음식찌꺼기를 재차 분쇄시키는 2차분쇄부(150)와, 상기 2차분쇄부(150)에서 분쇄된 음식찌꺼기 속의 이물질을 분리하는 분리부(160)에서 분리되어 최종적으로 재처리된 유기질 비료를 배출시켜 포장토록 하는 회수부(160)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1차분쇄부(110)는 음식쓰레기 수거차로부터 원료를 투입 받는 호퍼(111)가 구비되어 있고, 이의 호퍼(111)의 내부에는 미도시된 선별기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호퍼(111)의 하부에는 횡방향으로 스크류 컨베이어(11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선별기는 구동모우터의 구동력에 의해 진동되는 진동체로서 음식찌꺼기에 포함되어 있는 병, 캔류등의 각종 이물질 중 비교적 그 크기가 큰 것을 선별하게 됨과 동시에 음식찌꺼기의 원료는 호퍼(111)의 스크류 컨베이어(112)를 통해 분쇄기(113)로 투입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분쇄기(113)는 두개의 분쇄로울러가 이맞물되는 형태로 구비되어 이들 사이로 통과되는 원료를 파쇄하게 되는 것이고, 이때 상기 분쇄작동이 이루어지기 전에 공급되는 원료 속에 포함된 염분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발생되는 염분과 폐수는 염분탈수조(114)로 저수되었다가 별도의 처리에 의해 처리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분쇄가 완료는 이송부(120)에 의해 다음공정으로 이송되어 진다.
상기 이송부(120)는 원료를 하부 측에서 상부 측으로 이송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구동모우터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로울러(121) 및 종동로울러(122)와, 상기 양로울러(121)(122)에 무한궤도 식으로 권취된 컨베이어벨트(12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23)의 외표면에는 원료를 원활하게 이송공급시키기 위한 걸림부재(124)가 등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우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로울러(121)가 회전구동하게 되면 이의 구동로울러(121)와 종동로울러(122)에 권취된 컨베이어벨트(123)가 무한궤도 식으로 구동됨으로써 분쇄된 원료는 하부에서 상부로 이송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123)의 왜표면에 등간격으로 구비된 걸림부재(124)에 의해 분쇄된 원료는 일정량씩 안전하게 이송되어 건조부(130)내로 공급되어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건조부(130)는 대략 함체형으로 구비되는 건조로(131)와, 이의 내부에 상부에서 하부에 걸쳐 다단의 이송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평 이송시키는 전진 이송컨베이어벨트(132)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32)의 직하부에 구비되면서 이로부터 낙하되는 원료를 받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송시키는 후진 이송컨베이어벨트(133)가 한조로 하여 다단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32)(133)들은 지그재그 식으로 구비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일측에는 하나의 구동모우터(134)의 구동력으로 전체가 구동되도록 하는 동력전달수단(135)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부(120)를 통해 검조로(131) 상부로 원료가 공급되어 지면 이의 원료는 최상단의 전지 이송컨베이어벨트(132)로 낙하되어져 우측으로 이송이 되어 지는 것이고, 우측 끝단으로 이송된 원료는 하방의 후진 이송컨베이어벨트(133)로 낙하되어져 다시 좌측으로 이송되어 지는 것이며, 이와 같은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원료는 한정된 크기의 건조로(131)내에서 건조되는 시간동안 최대한 머무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벨트(132)(133)의 상부에는 건조되고 있는 원료를 휘저어 주는 날개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고, 또한 상기 건조로(131) 내부에 내부온도를 측정하여 설정온도를 연속적으로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열풍공급부(140)가 작동되어져 지속적이고도 연속적으로 열풍을 건조로(131)내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열풍공급부(140)는 오일탱크(141)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 버너로서 열원을 발생시켜 이를 송풍팬(142)으로서 강제 송풍하는 것이며, 이때 송풍되는 열풍은 건조로(131)내에 설치된 순환닥트(143)를 통해 건조로(131)내로 송풍되어 지는 것이고, 상기와 건조로(131)내로 송풍된 열풍은 회수관(144)을 통해 송풍팬(142)으로 회수되어져 다시 송풍되는 것을 반복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건조부(120)의 각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지그재그 식으로 이송되는 원료를 열풍으로서 건조시켜 원료 속에 포함된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열풍공급부(140)는 일반 소각로등에서 소각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건조부(120)에서 완전히 건조된 원료는 건조로(131)의 하부로 배출되어 지는 것이고, 이와 같이 배출되는 원료는 이송컨베이어벨트(145)를 통해 2차분쇄부(150)로 이송되어 지게 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45)는 전술한 이송부(120)와 동일한 구성으로 갖는 것이며, 이 역시 원료를 하부에서 상부측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2차분쇄부(150)는 이미 1차분쇄부(110)에서 분쇄된 원료를 더욱 잘게 파쇄토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일반적인 분쇄기(151)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분쇄기(151)의 일측면에는 회수부(16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수부(160)는 진동체로 구비되어 완전히 파쇄된 원료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선별하게 되는 선별기(161)가 구비되어 있고, 이의 선별기(161)는 원료속에 포함된 각종 쇄붙이를 분리하도록 하는 것이며, 이의 하부에는 완전히 선별되어 최종적으로 처리된 처리물을 포장장소로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162)가 갖추어져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작동이 연속적이고도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식찌꺼기를 연속적인 처리공정으로 처리할 수가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즉 운반 즉시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대기시간이 필요 없게 되는 등 단위시간당 처리성능이 배가되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모든 공정이 기계적이고도 자동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작 및 관리에 따른 효율성이 향상되어짐은 물론 안전성이 뛰어난 효과를 가지게 될뿐아니라 열풍에 의해 강제 건조시키는 방법임으로 수분제거능력이 그만큼 뛰어나 재활용에 따른 제품, 즉 우수한 질의 유기질비료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효과 외에도 음식찌꺼기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을 자동적으로 선별하게 되는 효과와 더불어 일반 소각로에서 쓰레기를 소각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할 수도 있음으로서 에너지 절감면에서도 탁월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각종 음식찌꺼기의 재활용 처리장치에 있어서, 음식찌꺼기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호퍼(111)와 호퍼의 원료를 이송하는 스크류 컨베이어(112) 및 분쇄기(113)로 구성된 1차분쇄부(110)와, 분쇄된 원료를 건조측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23)와 구동로울러(121) 및 종동로울러(122)로 구성된 이송부(120)와, 건조로(131)내부에 이송컨베이어벨트(132)(133)가 다단으로 설치된 건조부(130)와, 건조부에 열풍을 송풍하는 닥터(143)와 송풍팬(142)으로 구성된 열풍공급부(140)와, 건조된 원료를 2차로 파쇄하는 2차 분쇄부(150)와, 분쇄된 원료를 선별 회수하는 회수부(160)로 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찌꺼기의 재활용 처리장치.
KR2019950016289U 1995-07-04 1995-07-04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 KR01266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289U KR0126651Y1 (ko) 1995-07-04 1995-07-04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289U KR0126651Y1 (ko) 1995-07-04 1995-07-04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803U KR970005803U (ko) 1997-02-21
KR0126651Y1 true KR0126651Y1 (ko) 1998-10-15

Family

ID=1941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289U KR0126651Y1 (ko) 1995-07-04 1995-07-04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6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282B1 (ko) * 2000-08-01 2002-12-05 임동욱 천연유기비료 처리장치
KR100508976B1 (ko) * 2001-09-24 2005-08-22 이상열 음식물쓰레기의 연속처리시스템
KR101365540B1 (ko) * 2013-02-15 2014-02-20 (주)신창바이오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597A (ko) * 2001-06-21 2002-12-31 모던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축산 폐수 및 분뇨의 처리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3282B1 (ko) * 2000-08-01 2002-12-05 임동욱 천연유기비료 처리장치
KR100508976B1 (ko) * 2001-09-24 2005-08-22 이상열 음식물쓰레기의 연속처리시스템
KR101365540B1 (ko) * 2013-02-15 2014-02-20 (주)신창바이오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803U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5796A (en) Apparatus for disposal of solid wastes and the recovery of fuel product therefrom
US5438918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ood contents
JP2011050949A (ja) ごみの収集および選別方法、収集および選別装置
KR100866517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자원화를 위한 분리선별 장치와 그 방법
US4586659A (en) Systemitized waste product separation and total utilization
US6467708B1 (en) Method of processing municipal waste
JP4369388B2 (ja) 廃棄物の前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0126651Y1 (ko) 음식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
JP2683631B2 (ja) 廃棄物リサイクルプラント
RU2201814C2 (ru) Способ сортировки и переработки твердых бытовых отходов и комплекс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017257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10026617A (ko) 가연성 폐기물의 고형 연료 제조방법
KR0144585B1 (ko) 음식 쓰레기 자동 처리장치
KR100382054B1 (ko) 생활쓰레기 처리시스템
JP2002018851A (ja) 移動式プラスチック類処理プラント
KR960000241B1 (ko) 농산물 및 식품쓰레기를 이용한 사료제조장치
CN218361259U (zh) 生活垃圾分类处理成套设备
KR2001002761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20682A (ko) 쓰레기 분리처리 시스템
WO2012140456A1 (en) Procedure and plant for sorting of municipal solid waste
KR19980033555A (ko) 이물질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425026B1 (ko) 생활폐기물 처리시스템
AU20223075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 processing of mixed waste
KR102495589B1 (ko) 도시고형폐기물 자원화 시스템
CA3223319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te processing of mixed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3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