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541Y1 -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541Y1
KR0126541Y1 KR2019940016556U KR19940016556U KR0126541Y1 KR 0126541 Y1 KR0126541 Y1 KR 0126541Y1 KR 2019940016556 U KR2019940016556 U KR 2019940016556U KR 19940016556 U KR19940016556 U KR 19940016556U KR 0126541 Y1 KR0126541 Y1 KR 0126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current
coil resistance
resistance wire
piece
sn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6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441U (ko
Inventor
정기호
임기석
Original Assignee
정기호
삼화전기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호, 삼화전기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기호
Priority to KR2019940016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541Y1/ko
Priority to BE9500578A priority patent/BE1010987A3/fr
Publication of KR9600064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4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01H71/164He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9/00Protective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causes the closing of contacts, e.g. for short-circuiting the apparatus to be protec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6Distribution frames with lin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 H01H71/164Heating elements
    • H01H2071/165Heating elements the bimetal being inductively heated, e.g. load current does not pass through bimet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상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통신시스템측으로 유입될 시 이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접지로 흘려 보내고 과전류 요인이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복구되어 통신시스템측의 기기를 신속, 정화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통신시스템 보안기의 과전류 자동 단속장치에 있어서는 코일저항선을 중간접속편에 또는 접지편과 중간접속편을 함께 권회하도록 구성되어, 코일저항선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중간접속편이 가변됨으로써 코일저항선의 절연피복이 손상을 입어 과전류 유입시 보호기능을 제대로 작동할 수 없으며, 코일열에 의해 중간접속편의 변위가 순간적으로 온, 오프가 되지 않기 때문에 동작특성이 늦어 첨단반도체소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통신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으며, 지속적인 과전류 요인이 시스템측의 유입될 시 코일저항선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화재의 위험성등을 갖게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정지지편에 일정온도를 기억시킨 스탠형 가변접속바를 대항 접속시켜 접지편과 각기 동체에 고정시키고, 코일 저항선은 열에 의해 변형이 가지 않은 고정지지편에 권회하고, 지속적인 과전류가 유입시에는 가입자측 선로와 접지측이 자동적으로 폐로회로가 구성되어 종래의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에서의 제반 분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제1도의 (a), (b)는 종래 과전류 자동 단속 보호장치의 일부절결사시도 및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a)는 정상전류 유입시의 동작상태도.
(b)는 과전류 유입시의 동작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a)는 정상상태의 단면도.
(b)는 과전류 유입시의 단면도.
(c)는 지속적인 과전류 유입시의 단면도.
제4도의 (a), (b), (c)는 제3도 (a), (b), (c)의 상태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지지편 2 : 코일저항선
3, 6, 8 : 접점 4 : 용융금속
5 : 스냅형 가변접속바 7 : 접지편
9 : 접 지 10 : 스프링
11 : 동체 12 : 상부캡
13: 하부캡
본 고안은 통신선로에 낙뢰써어지를 비롯한 전력선 혼촉등에 의해 정상전류 이상의 과전류 요인이 통신시스템측으로 유입될 때 이를 자동 검출하여 접지로 흘려 보내고, 과전류 요인이 제거되면 자동 복구되어 정상적인 통신시스템 운용이 되도록한 통신시스템 보호용의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통신용 교환기 시스템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각종 능동소자들은 대규모 직접회로(LSI)등의 첨단 반도체소자들로 급격히 대체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반도체소자들을 채용한 전자교환기회로에 있어서는 과전압 및 과전류에 대한 허용범위를 더욱 낮추어야 함은 물론, 시스템내로 유입되는 유해오인을 고속으로 차단시켜 방호할 수 있는 보호장치를 필수적으로 채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고안에 의해 고안되어 국내 실용신안출원공고(공고번호 제91-1329호)된 통신용 보안기의 과전류 자동 단속 보호장치에 있어서는 접지측 접속편과 교환기 시스템등의 통신기입력측 접속편은 구리등의 도체를 사용하고, 중간접속편은 열에 의하여 쉽게 가변이 되는 바이메탈 또는 형상기업합금을 사용하여 상기 각 접속편을 대향고정시켰으며, 가변 중간접속편에만 코일선을 권회시켜 코일선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가변 중간접속편이 빠른 시간내에 가열되어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의 (a), (b)는 종래의 과전류 자동 단속 보호장치의 일부절결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체(11)의 상, 하부에 상, 하부캡(12), (13)이 고정되고, 그 내부에는 접지측 접속편(14), 중간접속편(15) 및 통신기기측 입력접속편(16)이 고정되며, 과전류가 흐를 시 가입자 전화기측과 교환기기측 회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접지측 접속편(14)을 통하여 대지로 흘려주되, 상기 세개의 접속편(14)(15)(16)중 접지측 접속편(14)과 통신기기측 입력접소편(16)은 동과 같이 도전율이 좋은 재질로 형성하고, 중간접속편(15)이 열에 의한 가동이 용이한 바이메탈 또는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외면에는 코일저항선(17)이 권회되어 가변되게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통신시스템 보안기의 과전류 자동 단속장치에 있어서는 첫째, 코일저항선(17)을 중간접속편(5)에 직접 권회하도록 구성되어 코일저항선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중간접속편이 가변됨으로써 코일저항선의 절연피복이 손상을 입어 과전류 유입시 보호기능을 제대로 작동할 수 없으며 둘째, 코일열에 의해 중간접속편의 변위가 순간적으로, 온, 오프가 되지 않기 때문에 동작특성이 늦어 첨단 반도체소자들로 구성되어 있는 통신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고 셋째, 지속적인 과전류 요인이 시스템측으로 유입될 시 코일저항선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화재의 위험성을 갖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정지지편에 일정온도를 기억시킨 스냅형 가변접속바를 대항 접속시켜 접지편과 각기 동체에 고정시키고, 코일저항선은 열에 의해 변형이 가지 않는 공정지지편에 권회하고, 지속적인 과전류가 유입시에는 가입자측선로와 접지측이 자동적으로 폐로회로가 구성되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체(11)의 상, 하부에 상,하부캡(12),(13)을 도체로 각기 고정하고, 그 동체(11)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지지편(1)에 절연피복된 코일 저항선(2)을 권회하여, 그의 일측부분을 그 고정지지편(1)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코일저항선(2)의 입력측과 상기 상,하부캡(12),(13)에 접속하며, 상기 고정지지편(1)에 온도가 기억된 스냅형 가변접속바(5)를 상기 코일저항선(2)에서의 열전달이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접속하고, 상기 스냅형 가변접속바(5)의 접점(6)에 대향되게 접지편(7)의 중간부분에 접점(8)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접지편(7)의 상부에 상기 코일저항선(2)에서 임계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되는 온도(일예로, 110℃ 부근)에서 용융 되는 납 등의 용융금속(4)과 대향되게 접점(3)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캡(12)의 내면과 상기 용융금속(4) 사이에 스프링(10) 또는 텐션바를 설치하여, 통신시스템 선로에 정상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유입될 시 과전류 요인을 접지(9)로 자동 흘러줄 수 있고, 과전류 요인이 제거되면 자동 복구되는 기능과 발화방지기능을 겸비하도록 구성한다.
제4도의 (a), (b), (c)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3도의 (a),(b),(c)의 상태에 따른 회로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시스템 선로에 정상적인 전류가 흐를 시는 제3도의 (a) 및 제4도의 (a)와 같이 되어, 상부캡(12)에 접속되어 있는 코일저항선(2)을 통한 후 고정지지편(1) 및 하부캡(13)을 통해 정상적인 통신시스템의 회로가 형성된다.
그러나, 통신시스템 선로에 정상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유입될 때에는 그 과전류에 의해 상부캡(12)에 접속되어 있는 코일저항선(2)에서 많은 열이 발생되므로, 동작온도가 기억되어 있는 스냅형 가변접속바(5)가 순간적으로 동작되어 제3도의 (b) 및 제4도의 (b)와 같이 그 스냅형 가변접속바(5)의 접점(6)이 접지편(7)의 접점(8)에 단락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코일저항선(2)을 통한 과전류 요인은 고정지지편(1) 및 스냅형 가변접속바(5)를 통한 후 접지편(7)을 통해 접지(9)로 흐르게 됨으로써 하부캡(13)을 통하는 과전류의 흐름이 차단되어 시스템측 기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과전류 요인이 제거되면, 코일저항선(2)을 통하는 전류의 흐름도 감소되어 그 코일저항선(2)에서 열이 발생되지 않게 되므로, 온도가 기억된 스냅형 가변접속바(5)는 제3도의 (a) 및 제4도의 (a)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자동 복구되어 정상적인 통신시스템의 운용상태로 된다.
한편, 상부캡(12) 및 코일저항선(2)을 통하여 지속적인 과전류 요인이 유입될 때에는 그 코일저항선(2)에서 임계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되므로, 그 열에 의해 온도가 기억된 납 등의 용융금속(4)이 용융상태로 되고, 이에따라 그 용융금속(4)을 가압하고 있는 스프링(10)의 힘에 의해 제3도의 (c) 및 제4도의 (c)와 같이 스프링(10)이 접지편(7)의 접점(3)에 단락되어, 상기 상부캡(12)에 입력되는 과전류 요인은 스프링(10)을 통한 후 접지편(7)을 통해 접지(9)로 흐르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신선로에 과전류가 유입될 때 그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흘려보내고, 과전류 요인이 제거될 때 원래의 상태로 자동 복구되어 정상적인 통신시스템의 운용이 가능하게 되며, 지속적으로 과전류가 유입될 때는 그를 검출하여 그 과전류가 접지로 계속 흐르게 함으로써 시스템측의 고가 반도체소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화재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제조공정의 간편화등으로 매우 실용적이고 경제성이 큰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동체(11)의 상,하부에 상,하부캡(12),(13)을 도체로 각기 고정하고, 그 동체(11)의 내부에 고정된 고정지지편(1)에 절연피복된 코일저항선(2)을 권회하여, 그의 일측부분을 그 고정지지편(1)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코일저항선(2)의 입력측과 출력측을 상기 상, 하부캡(12),(13)에 접속하며, 상기 고정지지편(1)에 온도가 기억된 스냅형 가변접속바(5)를 상기 코일저항선(2)에 밀착되도록 접속하여, 그 스냅형 가변접속바(5)의 접점(8)에 대향되게 접지편(7)의 중간부분에 접점(8)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접지편(7)의 상부에 상기 코일저항선(2)에서 임계온도 이상의 열이 발생될 때 용융되는 납 등의 용융금속(4)과 대향되게 접점(3)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캡(12)의 내면과 상기 용융금속(4) 사이에 스프링(10)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10)을 텐션바로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KR2019940016556U 1994-07-05 1994-07-05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KR0126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556U KR0126541Y1 (ko) 1994-07-05 1994-07-05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BE9500578A BE1010987A3 (fr) 1994-07-05 1995-06-28 Dispositif de protection automatique contre les surcourants, du type a detente, avec fonction de mise a la mas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6556U KR0126541Y1 (ko) 1994-07-05 1994-07-05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441U KR960006441U (ko) 1996-02-17
KR0126541Y1 true KR0126541Y1 (ko) 1998-10-15

Family

ID=19387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6556U KR0126541Y1 (ko) 1994-07-05 1994-07-05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26541Y1 (ko)
BE (1) BE1010987A3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2633A (en) * 1948-12-23 1955-11-01 Cook Electric Co Sealed arrester
US3254179A (en) * 1964-01-07 1966-05-31 Northern Electric Co Mounting for communication line protector
US3849750A (en) * 1974-01-02 1974-11-19 Reliable Electric Co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 circuit
US3962664A (en) * 1975-08-25 1976-06-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urrent protector
SE445409B (sv) * 1981-12-08 1986-06-16 Porta Systems Corp Strom- och spenningsstotskyddskrets for anvendning i samband med en telefonled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E1010987A3 (fr) 1999-03-02
KR960006441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2964A (en) Varistor fuse element
RU2321930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CA2048722A1 (en) Protective Circuit and Protective Plug for Telecommunication Installations
GB1276801A (en) Line protector for a communications circuit
FI108319B (fi) Sähkösulake ja suojapiiri
US4486804A (en) Overload protector for a telephone set
CA2063654C (en) Surge absorber for protection of communication equipment connected to communication lines
KR0126541Y1 (ko) 접지기능을 갖는 스냅형 과전류 자동 보호장치
US4506310A (en) Precision fusing arrangement
US4121187A (en) High speed ratio, dual fuse link
US4326231A (en) Clip-on protector
US20070285867A1 (en) High resistance current limiting fuse, methods, and systems
US5072327A (en) Electronic protection device for use with a fuse mount
US4058785A (en) Current limiting fuse
KR960000839B1 (ko) 서지흡수소자
KR970001863Y1 (ko) 통신용 보안기의 과전류 안전차단장치
US4807082A (en) Current surge protector for power fuses
JPH04217813A (ja) 安全保障機能付サージ吸収器
KR200315382Y1 (ko) 통신기기용안전장치
KR200267634Y1 (ko) 열형 컷오프 배리스터
KR100341877B1 (ko) 주배선반용 보호기
JPH01185128A (ja) 自復型限流装置
KR870002116B1 (ko) 통신용 보안기의 전류 자동 단속 장치
JPS6320034Y2 (ko)
GB1172345A (en) Surge Arr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