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278B1 -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한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한 수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278B1
KR0126278B1 KR1019950044228A KR19950044228A KR0126278B1 KR 0126278 B1 KR0126278 B1 KR 0126278B1 KR 1019950044228 A KR1019950044228 A KR 1019950044228A KR 19950044228 A KR19950044228 A KR 19950044228A KR 0126278 B1 KR0126278 B1 KR 012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s
guide
air vent
air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488A (ko
Inventor
전민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4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278B1/ko
Publication of KR97002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08Ventilation gril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실내측에 마련되는 에어 벤트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벤트에 편입된 근접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수납 트레이를 구성하며 에어 벤트의 공기 유통을 통한 물품 수납 보관 쪽으로의 부기능을 추가시켜 주기 위하여 에어 벤트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대쉬보드상의 에어 덕트 공간내에 안내되어 안착되거나 전면으로 표출되도록 서로 외접하는 기어가 형성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동일한 회전 각도로 선회되도록 안내하고 그 회전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 트레이의 회전 중심축에 마련된 탄성체와, 상기 트레이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에어 덕트내에 탄성적으로 진입 되고 인출되는 한편 용기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안내하여 트레이가 여닫히도록 하기 위해 에어 덕트의 밑면부에 형성된 정착홈을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하는 수납장치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한 수납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차실내를 보인 도면.
제2도는 종래 에어 벤트의 대표적인 예를 보인 도면.
제3도는 종래 에어 벤트의 설치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수납 트레이 접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제8도는 제7도에서의 적용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에어 벤트,2 : 에어 덕트,
6 : 글로브 박스,8 : 용기,
9,9a : 트레이,10 : 기어,
11 : 중심축,12 : 탄성체,
13 : 가이드,14 : 정착홈,
15 : 스프링,16 : 컵홀,
17 : 홈,18 : 경사면.
본 발명은 차량 실내측에 마련되는 에어 벤트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 벤트에 편입된 근접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수납 트레이를 구성하여 에어 벤트의 공기 유동을 통한 물품 수납 보관 쪽으로의 부기능을 추가시킨 차량의 에어 벤트에 편입되는 물품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 실내측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에어 벤트(1)의 설치 위치는 제1도와 같이 대쉬보드(2)상의 사이드와 센터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에어 벤트(1)는 제2도와 같이 대쉬보드(2)에 마련된 에어 덕트(3)에 안내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측방향에 돌설된 힌지홈(4)과, 상기 힌지홈(4)에 끼워져 에어 벤트(1)를 회전 가능하게 안내하는 에어 덕트(3)와, 상기 에어 덕트(3)에 안내된 에어 벤트(1)의 자체내에 공기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기 안내 플레이트(5)를 구비한 구성으로 된다.
제3도는 보통의 대쉬보드(2)에 설치되는 에어 벤트(1)의 설치 단면을 보인 것으로 에어 덕트(1)와 이 에어 덕트(3)의 전면부에 에어 벤트(1)가 안내 고정된다.
이러한 설치 형태를 갖는 에어 벤트(1)는 차 실내측에서 냉/난방 모드를 선택할 경우 차실내에 낸/난방 사이클을 통해 조성된 기류를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서도 이 조성되는 기류의 방향을 소정의 범위내에서 조절할 수 있는 조절기능을 병행한다.
상기 에어 벤트(1)는 기류를 내보내고 흐름 방향만을 조절하는 기능외엔 특별한 기능을 갖지 않는다.
한편 차실내에서 물품 보관을 위한 설치물들은 글로브 박스(6), 센터 암레스트(7) 등이 있고 특별하게는 용기류의 보관을 적합하게 하기 위한 거치형 가설물을 갖는다.
상기 글로브 박스(6), 암레스트(7) 등은 용기류의 보관에는 부적합하여 보관 대상 물품이 한정되 있는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차 실내측 대쉬보드(2)상에 용기 수납 전용의 용기 홀더를 부착하여 용기를 차 실내측에 보관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용기홀더의 대표적인 예를보면 용기를 수납할 수 있는 적절한 수납공간을 가지는 용기홀더 본체와, 이 본체를 대쉬보드(2)측 특히 에어 벤트(1)의 유로측에 클램핑시켜 주기 위한 클램퍼와, 용기를 본체내에 수납시켜 주는 하우징의 구성으로 된다.
차 실내에서의 물품 보관은 이러한 설치물 및 부착물등을 통해 물품의 적절한 보관이 가능하지만 가설물의 무분별한 증설은 차 실내측의 자유로운 공간 설계에 배치되고, 또한 용기류등의 보관을 위해서는 별도의 수납홀더를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 실내에서의 용기류 보관을 별도의 수납홀더에 의하지 않고 대쉬보드상의 설치물에 의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류의 물품 보관에 그치지 않고 최소한 용기내에 담겨진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하여 보관 물품의 보관 효율을 더 높혀 주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들은 에어 벤트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대쉬보드상의 에어 덕트 공간내에 안내되어 안착되거나 전면으로 표출되도록 서로 외접하는 기어가 형성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동일한 회전 각도로 선회되도록 안내하고 그 회전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 트레이의 회전 중심축에 마련된 탄성체와, 상기 트레이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에어 덕트내에 탄성적으로 진입되고 인출되는 한편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안내하여 트레이가 여닫히도록 하기 위해 에어 덕트의 밑면부에 형성된 정착홈을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하는 수납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4도와 같이 에어 덕트(3)에 안내되는 에어 벤트(1a)의 밑면부에 용기(8)를 올려놓을 수 있는 트레이(9)(9a)를 설치한 구성으로 된다.
상기 에어 벤트(1a)와 그의 유동기류를 활용하는 용기 수납장치의 구성은 에어 벤트(1a)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대쉬보드(2)상의 에어 덕트(3) 공간내에 안내되어 안착되거나 전면으로 표출되도록 서로 외접하는 기어(10)가 형성된 트레이(9)(9a)와, 상기 트레이(9)(9a)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동일한 회전 각도로 선회 되도록 안내하고 그 회전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 트레이(9)(9a)의 회전 중심축(11)에 마련된 탄성체(12)와, 상기 트레이(9)(9a)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에어 덕트(3)내에 탄성적으로 진입되고 인출되는 한편 용기(8)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13)와, 상기 가이드(13)를 안내하여 트레이(9)(9a)가 여닫히도록 하기 위해 에어 덕트(3)의 밑면부에 설치된 정착홈(14)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에어 벤트(1a)는 에어 덕트(3) 내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힌지로 고정되는 한편 밑면부에 트레이(9)(9a)가 설치 된다.
상기 트레이(9)(9a)는 서로 동일한 부채꼴 모양으로 조우하는 한쌍의 판상체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기어(10)를 형성하여 서로 외접하는 한편 상면에는 가이드(13)가 스프링(15)의 탄력을 받으면서 돌출된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13)는 제7도와 같이 트레이(9)에 컵홀(16)을 가공한 형상이거나 원통형의 용기(8)를 안착시킬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어느 것이나 접혀질때 에어 벤트(1a)의 밑면부에 접촉되면서 수축 되어질 수 있도록 스프링(15)이 가이드(13)를 떠 받치고 있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의 작용은 제4도 내지 제8도와 같이 에어 벤트(1a)가 에어 덕트(3)에 안내 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고 이 에어 벤트(1a) 상에서 트레이(9)(9a)가 소정의 회전각도로 여닫히는 동작을 구현하는 쪽으로 맞춰져 있다.
제4도는 에어 벤트(1a)에 트레이(9)(9a)가 설치된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주는데 트레이(9)(9a)는 탄성체(12)가 부설된 중심축(11)을 중심으로 에어 벤트(1a)에 부착된 상태로 회전된다.
상기 에어 벤트(1a)의 각도 조절은 보통의 에어 벤트 조절 각도 조절 기능과 동일하고 공기의 유동 방향을 조절한다.
이 에어 벤트(1a)에 부설되는 트레이(9)(9a)는 실질적으로 에어 벤트(1a)의 움직임과 함께 하면서 에어 벤트(1a)의 움직임과는 독립적으로 에어 벤트(1a)와의 축 결합을 통해 중심축(11)을 축으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선회한다.
상기 에어 벤트(1a)와 트레이(9)(9a)를 연결하는 중심축(11)상에는 탄성체(12)가 설치되어 이 탄성체(12)에 의해 트레이(9)(9a)는 바깥방향쪽으로의 탄력을 받으면서 펼쳐지는 소정의 열림 영역을 형성함과 아울러 트레이(9)(9a)가 에어 덕트(3)의 공간내로 접혀질때 탄성체(12)가 중심축(11)을 축으로 수축되면서 에어 덕트(3)의 공간 내부로 접혀지며, 이 과정에서 트레이(9)(9a)의 표면상 돌설물인 가이드(13)는 에어 벤트 (1a)의 밑면부에 닿아 눌려지면서 접혀지면서 에어 벤트(1a)의 밑면부에 마련된 경사진 정착홈(14)에 안내 되어 접힘이 완료된다.
상기 트레이(9)(9a)의 접힘 및 펼침 동작에 따르는 각 부의 상호 동작을 제4도에서 살펴보면 트레이(9)(9a)의 접힘 동작시 트레이(9)(9a)의 전면부를 밀면 트레이(9)(9a)의 외곽에 형성된 기어(10)가 맞물려 이에 의해 각 트레이(9)(9a)가 동일한 회전을 나타내면서 에어 벤트(1a)의 밑면부를 따라 안쪽으로 들어간다.
이 과정에서 트레이(9)(9a) 표면 돌설물인 가이드(13)는 에어 벤트(1a)와 에어 덕트(3)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따라 들어가면서 눌려지게 되는데 이 눌림력이 가이드(13)에 작용될때 가이드(13)는 트레이(9)(9a)의 홈에 안착된 스프링(15)의 탄력을 저지하면서 트레이(9)(93)에 마련된 홈(17)을 따라 밀려 들어가면서 에어 벤트(1a)와 거의 나란한 상태로 접혀지게 된다.
상기 동작 진행중 가이드(13)는 트레이(9)(9a)의 접혀짐이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안쪽으로 갈수록 돌출부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형태로 되어 초입 단계에서의 가이드(13)의 접힘이 비교적 무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 있다.
한편 접힘동작의 완료 시기는 제5도와 같이 트레이(9)(9a)의 가이드(13)가 계속 진입되어 에어 벤트(1a)의 정착홈(14)에 안착되는 시점이며, 이때 트레이(9)(9a)의 회전 중심점인 중심축(11) 상의 탄성체(12)는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와는 반대로 트레이(9)(9a)를 전면으로 펼칠 경우는 일단 트레이(9)(9a)의 선단부를 전면으로 당기거나 누르면 트레이(9)(9a)의 돌출물인 가이드(13)가 에어 벤트(1a)의 정착홈(14)에서 이탈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데 정착홈(14)에서의 가이드(13)의 순조로운 이탈을 위하여 가이드(13)의 선단 및 이와 접촉되는 정착홈(14)의 선단이 경사면(18)으로 둥글게 형성됨으로서 무리없는 이탈과 마찬가지로 정착 단계에서의 안정된 정착을 유도한다.
상기와 같이 정착홈(14)에서 가이드(13)가 이탈되면 트레이(9)(9a)는 기어(10) 접속 관계를 통해 동일항 회전 각도로 펼쳐지는 작용을 갖게 되지만 실질적인 펼침력은 트레이(9)(9a) 회전 중심축(11) 상의 탄성체(12)에서 발생되고 이 탄력을 받아 트레이(9)(9a)는 전면으로 펼쳐진다.
이러한 트레이(9)(9a)의 펼침 및 접힘 즉, 트레이(9)(9a)의 여닫음 동작은 사용자의 수 조작 선택에 따라 그 위치가 결정되는 작동성을 갖게 되어 차 실내측에서의 물품 보관 수납처를 신규 개설하는 작용을 갖게 된다.
특히 보통의 물품 수납부인 글로브 박스, 암레스트 등에서 보관이 어려운 물품중 자체 온도 유지가 필요한 음료용 용기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캔류의 용기, 팩류의 용기등은 최소한 처음의 자체 온도를 유지시킬때 신선도가 유지되는데 대표적으로 하절기에 냉장 냉온 유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제공되는 트레이(9)(9a)는 에어 벤트(1a)를 통해 유출되는 냉기류를 활용하는 간접 냉장의 효과가 창출된다.
이것은 제4도와 같이 트레이(9)(9a)의 가이드(13)를 통해 용기(8)의 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포함하여 제7도와 같이 한쪽과 다른 한쪽 트레이(9)(9a)의 용기 수납부를 다르게 하는 것으로도 만족되는데 가이드(13)로 수납부를 형성하는 것 외에 가이드(13)를 두지 않고 컵홀(16)을 가공하여 아래쪽 둘레가 작고 상부 쪽으로 갈수록 둘레가 커지는 컵류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 실내측 기류를 형성하는 에어 벤트에 근접된 위치에 새로운 물품 수납부를 제공하여 보관 물품의 온도유지와 같은 간접 효과와 함께 별개의 물품 보관 패키지 소요가 없고 이로 인해 차실내 공간 배치 및 설계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보통의 수납부에서 얻을 수 없었던 용기류의 보관이 가능하여 차 실내측 설치물의 활용성을 제고시킨다.

Claims (1)

  1. 에어 벤트의 아래쪽에 마련되어 대쉬보드상의 에어 덕트 공간내에 안내되어 안착되거나 전면으로 표출되도록 서로 외접하는 기어가 형성된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동일한 회전 각도로 선회되도록 안내하고 그 회전에 탄력을 부여하기 위해 트레이의 회전 중심축에 마련된 탄성체와, 상기 트레이의 표면에서 돌출되어 에어 덕트내에 탄성적으로 진입되고 인출되는 한편 용기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를 안내하여 트레이가 여닫히도록 하기 위해 에어 덕트의 밑면부에 형성된 정착홈을 포함하는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하는 수납장치.
KR1019950044228A 1995-11-28 1995-11-28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한 수납장치 KR012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228A KR0126278B1 (ko) 1995-11-28 1995-11-28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한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228A KR0126278B1 (ko) 1995-11-28 1995-11-28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한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488A KR970026488A (ko) 1997-06-24
KR0126278B1 true KR0126278B1 (ko) 1997-12-29

Family

ID=1943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4228A KR0126278B1 (ko) 1995-11-28 1995-11-28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한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2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488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481B2 (en) Drink-item holding apparatus and a portable cooler box incorporating the same
US5297767A (en) Multiple container holder
US8939491B2 (en) Multiple container holder assembly
US5248183A (en) Swing out armrest cupholder
US8714613B1 (en) Center console and tray assembly
CZ214493A3 (en) System of a vessel holder adapted for holding vessels inside a vehicle
US5170980A (en) Container holder
SK281562B6 (sk) Zariadenie na pridržiavanie nápojových prepravníkov, nádob na pitie alebo podobne
US20050001127A1 (en) Holder for a beverage container
US5533772A (en) Ashtray and container holder for motor vehicles
US6854779B2 (en) Driver-accessible storage compartments for passenger vehicles
KR100468128B1 (ko) 용기 홀더
KR0126278B1 (ko) 차량의 에어 벤트와 그의 유동 기류를 활용한 수납장치
JP3584425B2 (ja) カップホルダ
JP4855612B2 (ja) 物品収容装置
US6513676B2 (en) Universal cup holder with food tray accessories
CN211918474U (zh) 杯架组件及包括其的中央控制台组件
CN111448101B (zh) 用于保持气溶胶生成装置和一包气溶胶生成制品的保持器
US11009279B1 (en) Portable cooler with integrated fold down shelf
KR100668883B1 (ko) 차량의 트레이에 장착된 컵홀더 링크 구조
JP7408231B2 (ja) カップホルダ
JPH0525959Y2 (ko)
KR0129290Y1 (ko) 자동차용 사물함 겸용 컵 홀더
KR200259435Y1 (ko) 차량에설치되는사물함겸용컵홀더
JP2006151107A (ja) 建設機械の運転席のカップホルダ付きアーム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