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893Y1 -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893Y1
KR0125893Y1 KR2019930030919U KR930030919U KR0125893Y1 KR 0125893 Y1 KR0125893 Y1 KR 0125893Y1 KR 2019930030919 U KR2019930030919 U KR 2019930030919U KR 930030919 U KR930030919 U KR 930030919U KR 0125893 Y1 KR0125893 Y1 KR 01258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rail
rollers
drive
drive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642U (ko
Inventor
최태호
Original Assignee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종,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희종
Priority to KR2019930030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893Y1/ko
Publication of KR9500186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6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8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8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66B23/04Driving gear for handrail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의 핸드레일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핸드레일 구동장치는 구동 및 종동 롤러를 각 4개씩 사용함으로써 핸드레일의 미끄럼 발생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 조립 및 정비가 난해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체인전동으로 동력을 전달받는 스프로킷을 갖는 2개의 구동롤러를 설치하고 구동롤러와의 사이에 핸드레일 개재시키는 종동롤러의 작동을 위하여 구동롤러의 스프로킷으로부터 체인전동을 통해 기어열을 회전시키고 이 기어전동에 의해 종동롤러를 회전동작케 한 것이다. 따라서 양측 롤러 사이의 핸드레일의 마찰이송시 미끄럼 발생방지와 제작,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구조를 간단화시킬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
제1도는 에스컬레이터의 사시도.
제2도는 종래 핸드레일 구동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5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핸드레일 구동장치의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평면도.
제8도는 제6도의 B-B선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C-C선 단면도.
제10도는 제6도의 D-D선 단면도.
제11도는 제6도의 E-E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31 : 제1,2 종동 스프로킷 32,33:제1,2 구동롤러
34,35 : 제1,2 종동롤러 36,37,38,39,40 : 제1,2,3,4,5 구동기어
41: 제3종동 스프로킷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스컬레이터의 탑승시 손으로 잡는 난간상의 핸드레일을 구동함에 있어 상,하 각 2개의 구동롤러로써 핸드레일을 구동시켜 구동력 증가와 구동롤러 및 핸드레일 사이의 미끄럼 방지는 물론 구동장치의 구조를 간단화시킬 수 있도록 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스컬레이터는 제1도 내지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측 난간(1) 상단에 설치된 핸드레일(2)과, 승객이 빨리 올려지는 스텝(3)과, 상부에 설치된 전동기(4)에 직렬된 감속기(5) 및 이에 체인으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 스프로킷(6)과, 구동 스프로킷(6)으로부터 하부의 제1,2 스프로킷(7)(8)을 연결하는 체인(9)과, 체인(9)은 상기의 다수 스텝(3)이 연결고정되고, 상기 핸드레일(2)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제2도 내지 제5도와 같이 구동 스프로킷(6)과 체인으로 연결되는 제3스프로킷(10)과, 제3스프로킷(10)에 일체로 연결된 제4스프로킷(11)과, 제3,4스프로킷(10)(11)이 고정된 구동축(12)과, 제4스프로킷(11)과 구동체인(13)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1,2,3,4 구동 스프로킷(14)(15)(16)(17), 제1,2,3,4 구동롤러(18)(19)(20)(21)와, 내측의 제2,3 구동롤러(19)(20)와 구동체인(13)으로 연결된 종동 스프로킷(22)과, 핸드레일(2)에 접촉하여 연동되는 제1,2,3,4 종동롤러(23)(24)(25)(26)와, 이들을 지지하는 프레임(27)과, 상기 제1,2,3,4 구동롤러(18)(19)(20)(21) 및 제1,2,3,4 종동롤러(23)(24)(25)(26) 사이에는 핸드레일(2)이 회전마찰 운동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핸드레일(2) 구동장치는 전동기(4)가 작동하여 구동 스프로킷(6)과 체인을 통해 제3스프로킷(10)에 동력이 전달되면 제3스프로킷(10)-제4스프로킷(11)-구동축(12)-구동체인(13)-제1,2,3,4 구동 스프로킷(14)(15)(16)17)-제1,2,3,4 구동롤러(18)(19)(20)(21)-종동 스프로킷(22)-핸드레일(2)-제1,2,3,4, 중동롤러(23)(24)(25)(26)의 순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이들 구동롤러와 핸드레일(2)의 회전마찰력에 의해 핸드레일(2)이 이송되면서, 이때, 제1,2,3,4 종동롤러(23)(24)(25)(26)는 핸드레일(2)을 받쳐줌과 동시에 핸드레일(2)의 이송마찰력에 의해 회전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핸드레일 구동장치는 구동롤러에 의해서만 핸드레일을 구동 이송시키므로(종동롤러는 단지 핸드레일을 받춰져 안내하는 역할에 불과함) 롤러와 핸드레일 사이의 미끄럼(Slip)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러한 미끄럼으로 인하여 핸드레일의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없어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구동력이 매우 약한 단점을 가지며, 또한 다수의 종동롤러와 구동롤러의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켜야 하므로 제작, 조립이 난해하고 아울러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지므로 설치공간이 커지고 정비가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제조원가의 상승을 피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 것이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구동력 증대로 핸드레일과 롤러 사이의 미끄럼을 최소화하여 안정된 핸드레일의 이송을 실현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작,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구조를 간단화시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원가절감에 기여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각 2개로 감축하고 종동롤러의 사이에 기어를 개재하여 핸드레일을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핸드레일의 상면에 접촉되며 체인과 스프로켓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2 구동롤러와 핸드레일의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1,2 종동롤러를 구비하여 핸드레일을 구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2 종동롤러에 각각 제1,2 구동기어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이들 제1,2 구동기어를 수개의 기어열에 의하여 연결하여 제1,2 종동롤러가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및 제6도 내지 제11도에서와 같이 전동기(4)에 연결된 감속기(5)와, 감속기(5)에 체인으로 연결된 구동 스프로킷(6)과, 구동 스프로킷(6)에 구동체인(13)으로 연결된 제3,4 스프로킷(10)(11)과, 제4스프로킷(11)에 체인(13)으로 연결된 제1,2 종동 스프로킷(30)(31)과, 제1,2 종동 스프로킷(30)(31)에 연결고정된 제1,2 구동롤러(32)(33)와, 제1,2 구동롤러(32)(33)와의 사이에 핸드레일(2)을 개재하여 하부에 설치된 제1,2 종동롤러(34)(35)와, 제1,2 종동롤러(34)(35)에 고정된 제1,2 구동기어(36)(37)와, 제1,2 구동기어(36)(37) 사이에 개재 치합된 제3,4,5 구동기어(38)(39)(40)와 고정된 제3 종동 스프로킷(41)과, 상기 체인(13)으로 제1,2 종동 스프로킷(30)(31)과 제3종동 스프로킷(41)을 연결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제1도 및 제6도 내지 제11도와 같이 전동기(4)가 구동되어 구동 스프로킷(6)과 구동체인(13)을 통해 제3,4 스프로킷(10)(11)이 회전하면, 제4스프로킷(11)-구동체인(13)-제1,2, 종동 스프로킷(30)(31)-제1,2 구동로울러(32)(33)-제3 종동 스프로킷(41)-제4 구동기어(39)-제3,5 구동기어(38)(40)-제1,2 구동기어(36)(37)-제1,2 구동롤러(32)(33)-핸드레일(2)의 순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여기서 제6도와 같이 제1,2 구동롤러(32)(33)와 제3,5 구동기어(38)(40) 및 제4스프로킷(1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2 종동롤러(34)(35)와 제4구동기어(39) 및 제3종동 스프로킷(41)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2 구동롤러(32)(33)와 제1,2 종동롤러(34)(35)가 상호 역회전함에 따라 핸드레일(2)이 이송되는 것이며, 이때의 핸드레일(2) 이송은 제1,2 종동롤러(34)(35)와 제1,2 구동롤러(32)(33)가 동일한 회전력으로 구동되므로 핸드레일(2)이 미끄럼없이 안정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를 동일한 회전비로 핸드레일이 미끄럼없이 안정되게 구동되고, 롤러 수의 대폭 감소로 제작,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장치의 구조가 간단화 되면서 이와 더불어 원가절감에 기여하게 된 산업상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핸드레일(2)의 상면에 접촉되며 체인과 스프로킷에 의하여 구동되는 제1,2 구동롤러(32,33)와 핸드레일(2)의 하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제1,2 종동롤러(34,35)를 구비하여 핸드레일을 구동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2 종동롤러에 각각 제1,2 구동기어(36,37)를 일체로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이들 제1,2 구동기어를 수개의 기어열(38,39,40)에 의하여 연결하여 제1,2 종동롤러(34,35)가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
KR2019930030919U 1993-12-30 1993-12-30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 KR01258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919U KR0125893Y1 (ko) 1993-12-30 1993-12-30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919U KR0125893Y1 (ko) 1993-12-30 1993-12-30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642U KR950018642U (ko) 1995-07-22
KR0125893Y1 true KR0125893Y1 (ko) 1998-10-15

Family

ID=1937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919U KR0125893Y1 (ko) 1993-12-30 1993-12-30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8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642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048B1 (ko) 에스컬레이터 구동 장치
US4775044A (en) Parallel drive for escalators or moving sidewalks
JP4891221B2 (ja) 動く歩道、動くスロープ、またはエスカレータ
US8276738B2 (en) Drive system for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US5224580A (en)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a passenger conveyor
AU2001292771A1 (en) Escalator drive machine with drive belts for simultaneously propelling handrail and conveyor surface
US3666075A (en) Moving-handrail device in moving stairways and the like
GB1257578A (ko)
US6991084B2 (en) Handrail-drive for escalator or moving walk
KR0125893Y1 (ko) 에스컬레이터의 핸드레일 구동장치
CN111704016B (zh) 一种应用于自动人行道中的踏板平移换向装置
US9573794B2 (en) Drive system for passenger conveyor
JP4884731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H06227782A (ja) マンコンベアの移動手摺装置
CN110234591B (zh) 用于对输送设备的输送带进行驱动的驱动系统
WO1993022231A1 (fr) Mechanisme d'entrainement pour appareil transporteur accouple
WO2013052032A1 (en) Drive assembly for a passenger conveyor
JP4326076B2 (ja) マンコンベア
KR890002397B1 (ko) 맨컨베이어의 구동장치
CN107352376B (zh) 乘客输送装置
KR100396610B1 (ko) 맨콘베이어용 핸드레일 구동 장치
EP3543195A1 (en) People conveyor and drive for a people conveyor
US20090008216A1 (en) Passenger Conveyor
JP2021138192A (ja) 走行台車装置及び搬送装置
CN113173482A (zh) 用于人员输送机的驱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