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412Y1 -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412Y1
KR0125412Y1 KR2019950009877U KR19950009877U KR0125412Y1 KR 0125412 Y1 KR0125412 Y1 KR 0125412Y1 KR 2019950009877 U KR2019950009877 U KR 2019950009877U KR 19950009877 U KR19950009877 U KR 19950009877U KR 0125412 Y1 KR0125412 Y1 KR 01254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anode cable
bobbin
output terminal
conductive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9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572U (ko
Inventor
정계창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50009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412Y1/ko
Publication of KR960038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5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4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4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42Flyback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FBT에 내설되는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을 상호 연결접속시키기 위한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적인 구성은, FBT케이스(1)의 고전압 출력부(3) 내에 삽입되는 도전성 고무(4) 하측으로 전도판(7)을 착설시켜 고압보빈(2)의 출력터미널(6)과 전기 융착에 의해 결합하며, 애노드 케이블(5)의 일단이 삽입되는 도전성 고무(4)는 상기 전도판(7)과 밀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FBT의 고압보빈 출력터미널과 애노드 케이블의 접속시 결합력이 증대되고, 도전성 고무와 전도판이 상호 밀착 결합되어 접지력을 향상시키면서 고전압의 누설 및 절연수지의 누출을 방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라이백트랜스포머(FBT)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
제1도는 종래 FBT의 고압 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FBT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FBT 케이스 2:고압보빈
3:고전압 출력부 4:도전성 고무
5:애노드 케이블 6:출력터미널
7:전도판 8:전기융착홀더
본 고안은 TV 및 모니터의 브라운관 등에 고전압을 공급하여 주는 고전압 발생장치인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이하 FET라 함)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원활한 접속을 위한 애노드 케이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FET 케이스의 일측으로 입설된 원통상의 고전압 출력부내에 도전성 고무를 개재하여 애노드 케이블의 일단이 삽입되어 접속토록 되며, 상기 도전성 고무 하측에는 도전판(electric conductor plate)이 착설되어 고압보빈의 출력터미널과 전기융착에 의해 결합토록 됨으로써, FET의 고압보빈 출력터미널과 애노드 케이블의 연결접속시 도전판과 전기융착에 의한 결합으로 고압 보빈 출력터미널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고전압 출력부에 내설되는 도전성 고무와 도전판이 상호 밀착 결합되어 고전압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절연수지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FET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FET 고압보빈과 이에 연결 접속되는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구조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ET 케이스(21)의 내측으로 고압보빈(22)이 내설되고, 상기 FET 케이스(21)의 일측에는 원통상의 고전압 출력부(23)가 입설되어 그 내부에 도전성 고무(24)를 개재하여 애노드 케이블(25)이 삽입토록되며, 상기 고압보빈(22) 일측에 돌출되는 출력터미널(26)이 고전압 출력부(23)에 삽입된 도전성 고무(24)와 접속되어 애노드 케이블(25)과 연결접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를 갖는 종래의 애노드 케이블은, FET 케이스(21)의 고전압 출력부(23)내에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 하측의 도전성 고무(24)를 개재하여 고압보빈(22)의 출력터미널(26)과 연결 접속토록 되는 것이다.
그러나, 애노드 케이블(25)과 고압보진(22)의 출력터미널(26)을 연결하여 주는 도전성 고무(24)는 열에 의한 경화가 발생되어 상기 케이블의 리드선과 출력터미널이 제대로 삽입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또한 출력터미널(26) 및 애노드 케이블(25)의 오삽입시, 상기 도전성 고무(24)가 찢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서 제품불량을 유발하게 되고, 절연을 위하여 충진되는 절연수지의 누설이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FET 케이스의 일측으로 입설된 원통상의 고전압 출력부내에 도전성 고무를 개재하여 애노드 케이블의 일단이 삽입되어 접속토록 되며, 상기 도전성 고무 하측에는 동판으로 이루어진 도전판이 착설되어 그 하측으로 인출되는 고압보빈의 출력터미널과 전기융착에 의해 결합토록 됨으로 인하여, FET의 고압보빈 출력터미널과 애노드 케이블의 연결 접속시, 도전판과 전기 융착에 의한 결합으로 고압보빈 출력터미널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고전압 출력부에 내설되는 도전성 고무와 전도판이 상호 밀착 결합되어 접지력을 향상시키면서, 고전압의 누설 및 절연수지의 누출을 방지시킬 수 있는 FET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가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FET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요부 구조도로서, FET 케이스(1)의 내측으로 고압보빈(2)의 출력터미널(6)과 전기 융착에 의해 결합토록 되며, 애노드 케이블(5)의 일단이 삽입되는 도전성 고무(4)는 상기 도전판(7)과 면접촉에 의해 밀착되어 고정토록 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인 8은 출력터미널(6)과 도전판(7)을 전기 융착시키는 전기 융착홀더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FET 케이스(1)의 일측으로 입설된 원통상의 고전압 출력부(3)내에 애노드 케이블(5)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압보빈(2)의 출력터미널(6)과 상기 애노드 케이블(5)을 연결접속하여 FET 내의 고전압을 브라운관에 인출시킬 경우, 상기 고전압 출력부(3)내에 애노드케이블(5)이 삽입되어 애노드 케이블(5) 일단이 도전성고무(4)에 삽입고정되는 상태에서 상기 도전성 고무(4)의 하측에는 동판재로 구성된 도전판(7)이 위치되어 도전성 고무(4) 저부와 면접촉에 의해 밀착 고정된다.
또한, FET 케이스(1)내의 고압보빈(2)에 설치되는 출력터미널(6)의 일단부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기융착홀더(8)를 이용하여 도전판(7)과 전기융착에 의해 견고한 상태로 결합고정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고압보빈(2)의 출력터미널(6)은 고전압 출력부(3) 하단에 위치되는 도전판(7)과 견고한 상태로 결합되고, 또한 애노드 케이블(5)의 일단이 삽입된 도전성 고무(4)는 그 저부가 상기 도전판(7)과 상기 밀착된 상태로 결합토록 되어 애노드 케이블(5)과 고압보빈(2)의 출력터미널(6)이 손쉽고 용이하게 연결 접속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FET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에 의하면, FET의 고압보빈의 출력터미널과 애노드 케이블의 연결접속시, 도전판과 전기융착에 의한 결합으로 출력터미널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고전압 출력부에 내설되는 도전성 고무와 도전판이 상호 밀착 결합되어 접지력을 향상시키면서 고전압의 누설 및 절연수지의 누출을 방지시킬 수 있게 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FET 케이스(1)의 내측으로 고압보빈(2)이 내설되고, 상기 FET 케이스(1)의 일측에는 원통상의 고전압 출력부(3)가 입설되어 내부에 애노드 케이블(5)이 삽입토록 되며, 상기 고전압 출력부(3) 내부 하측에는 도전성 고무(4)를 개재하여 상기 애노드 케이블(5)의 일단부와 고압보빈(2)의 출력터미널(6)이 연결접속되는 FET의 애노드 케이블 접속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출력부(3) 내에 삽입되는 도전성 고무(4) 하측에는 도전판(7)이 착설되어 그 하측으로 인출되는 고압보빈(2)의 출력터미널(6)과 전기융착에 의해 결합토록 되며, 상기 애노드 케이블(5)의 일단이 삽입되는 도전성 고무(4)는 그 저부의 면 접촉에 의해 도전판(7)과 밀착되어 고정토록 도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FET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터미널(6)과 전기 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도전판(7)은, 동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FET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
KR2019950009877U 1995-05-10 1995-05-10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 KR01254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877U KR0125412Y1 (ko) 1995-05-10 1995-05-10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9877U KR0125412Y1 (ko) 1995-05-10 1995-05-10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572U KR960038572U (ko) 1996-12-18
KR0125412Y1 true KR0125412Y1 (ko) 1998-09-15

Family

ID=1941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9877U KR0125412Y1 (ko) 1995-05-10 1995-05-10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4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572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1912A (en) High voltage coaxial connector
US4352240A (en) Method of connecting a coaxial cable to an electrical connector
KR0125412Y1 (ko) 플라이백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과 애노드 케이블의 결합장치
EP0487025A1 (en) Power electrical cable plug
JPH0754775B2 (ja) 高電圧リードアウトケーブルを備えていない高圧変圧器に対する高電圧リードアウトケーブルの接続装置
CN1259751C (zh) 带有o形圈的电连接器
US4340790A (en) Electrical switch with melamine loaded thermoplastic ablative material
JPH09308075A (ja) 機器直結型端末
KR101393062B1 (ko) 개폐기 및 차단기의 몰드콘 어셈블리
KR100206382B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애노드 케이블 결합장치
KR102523127B1 (ko) 전원플러그의 단선 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원플러그
JP3310034B2 (ja) 電気コネクタ装置
KR100340422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의 고압 케이블 결합장치
KR200488749Y1 (ko) 접지극 접속강화 및 손상방지용 전기플러그
CN1147886C (zh) 回扫变压器
KR20000002552A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
JPH0548380Y2 (ko)
KR950001433Y1 (ko) 관통형 변류기의 코로나 방전 방지장치
KR0135046Y1 (ko) 플라이백 트랜스 포머의 포커스 유니트 결합구조
KR910006685B1 (ko) 고전압 발생기
KR100355930B1 (ko) 플라이 백 트랜스포머 포커스유니트의 세라믹 기판
KR960032524A (ko) 플라이백 변성기
JP3337904B2 (ja) 機器直結型端末
KR960006101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고압보빈과 포커스 유니트의 접지구조
CN114660334A (zh) 一种绝缘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