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608B1 -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 Google Patents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608B1
KR0124608B1 KR1019940025541A KR19940025541A KR0124608B1 KR 0124608 B1 KR0124608 B1 KR 0124608B1 KR 1019940025541 A KR1019940025541 A KR 1019940025541A KR 19940025541 A KR19940025541 A KR 19940025541A KR 0124608 B1 KR0124608 B1 KR 0124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om
lens
focus
focus lens
reference t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427A (ko
Inventor
이승억
박진수
조상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25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608B1/ko
Publication of KR960016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이스 궤적 곡선에 근거해서 줌 트랙킹시 촛점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리어 비디오 촛점 중 트랙킹 방법은 줌 키가 입력되면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키고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설정하는 제1단계와, 줌잉 방향을 판단하여 줌 렌즈를 판단된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포커스 렌즈의 발진 방향을 판단하여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제2단계와, 포커스 렌즈를 발진시키면서 촛점 평가치의 변화를 검사하여 기준 트레이스 궤적 변경으로 결정되면 결정된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근거해서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변경시키는 제3단계와, 줌 키의 입력상태를 검사하여 줌 키 입력이 없으면 줌 렌즈를 정지시키고 포커스 렌즈를 기준 트레이스 궤적의 포커스 렌즈 위치로 이동시킨 후 종료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
제2도는 일반적인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 위치 커브 설명도.
제3도는 종래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동작 순서도.
제4도는 종래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설명도.
제5도는 종래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의 문제점 설명도.
제6도는 종래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의 문제점 설명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동작 순서도.
제8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설명도.
제9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론트 포커스 렌즈2 : 줌 렌즈
3 : 보상 렌즈4 : 리어 포커스 렌즈
5 : 줌 렌즈 구동부6 : A/D 변환부
7 : 포커스 렌즈 구동부8 : 포커스 렌즈 위치 검출부
9 : 마이콤10 : 촬상소자
11 : 신호 처리부12 : IRIS
13 : IRIS 제어부14 : IRIS 열림량 검출부
15 : 줌 렌즈 위치 검출부16 : D/A 변환부
17: BPF(대역통과 필터부)
본 발명은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Rear Video Focus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레이스 궤적 곡선(Trace Curve)에 근거해서 줌 트랙킹(Zoom Tracking)시 촛점을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의 렌즈군은 프론트 포커스 렌즈(Front Focus Lens), 줌 렌즈(Zoom Lens), 보상 렌즈(Compensator Lens), 리어 포커스 렌즈(Rear Focus Lens)가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이와같이 배열되는 렌즈군에서 포커싱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다. 즉 프론트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여 포커싱하는 방식과 리어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여 포커싱하는 방식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프론트 포커싱 방식보다는 리어 포커싱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리어 포커싱 방식의 리어 포커스 렌즈 시스템은 줌잉시 포커싱이 틀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줌 렌즈가 이동할 때 각 피사체 거리에 맞는 포커스 렌즈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켜야 한다.
이와같은 일반적인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구성 및 종래의 줌 트랙킹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일반적인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구성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일반적인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 위치 커브 설명도이며, 제3도는 종래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동작 순서도이고, 제4도는 종래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설명도이다.
일반적인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구성은 제1도와 같다.
즉, 프론트 포커스 렌즈(1), 줌 렌즈(2), 보상 렌즈(3), 리어 포커스(4) 등으로 렌즈군이 구성되고, 상기 줌 렌즈(2)를 이동하여 와이드 또는 텔레 줌잉이 될 수 있도록 줌 렌즈를 구동하는 줌 렌즈 구동부(5)와, 상기 줌 렌즈(2)의 이동에 따른 줌 렌즈 위치를 검출하는 줌 렌즈 위치 검출부(15), 상기 줌 렌즈 위치 검출부(15)가 줌 렌즈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마이콤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변환부(16)와, 상기 줌 렌즈(2)와 보상 렌즈(3) 사이에 설치되는 IRIS(조리개)(12)와, 상기 IRIS(12)를 구동하는 IRIS 제어부(13)와, 상기 IRIS(12)의 열림량을 검출하는 IRIS 열림량 검출부(14)와, 상기 줌 렌즈 위치 검출부(15)와 IRIS 열림량 검출부(14)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마이콤(9)이 인식할 수 있도록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6)와, 상기 리어 포커스 렌즈(4)의 위치를 검출하는 포커스 렌즈 위치 검출부(8)와, 리어 포커스 렌즈(4)를 구동시키는 포커스 렌즈 구동부(7)와, 상기 렌즈군을 통해 입력되는 피사체의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촬상소자(10)와, 상기 촬상소자(10)에서 생성된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부(11)와, 상기 신호처리부(11)의 영상신호 중 Y신호만을 통과시켜 마이컴에 출력하는 BPF(1)와, 상기 줌 렌즈 구동부(5)를 구동하여 줌잉을 제어하고 A/D 변환부(6)의 신호를 입력받아 줌잉 렌즈의 위치를 인식하며 포커스 렌즈 위치 검출부(8)의 신호에 의해 리어 포커스 렌즈(4)의 위치를 판단하여 줌잉시 포커싱이 틀어지지 않도록 줌 렌즈가 이동할때 각 피사체 거리에 맞는 위치로 리어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포커스 렌즈 구동부(7)를 제어하는 마이콤(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리어 비디오 초점 시스템의 종래 줌 트랙킹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동작은 마이콤(9) 내부의 메모리에 제2도와 같이 피사체 거리에 따른 줌 렌즈(2)의 위치와 리어 포커스 렌즈(4)의 촛점위치를 나타내는 트레이스 궤적을 저장하여 현재의 줌 렌즈(2) 위치와 촛점을 이루는 포커스 렌즈(4)위치를 트레이스 궤적함수에 따라 피사체 거리를 판별하고 줌잉을 하기 위하여 줌 렌즈(2)가 이동하면 포커스 렌즈(4)를 판별된 피사체 거리에 대한 트레이스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촛점을 맞추게 된다. 이를 줌 트랙킹이라고 한다.
그런데 모든 피사체 거리에 대한 트레이스 궤적 데이타를 마이콤(9) 내부에 저장할 수 없으므로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특정 피사체 거리에 대한 트레이스 궤적 데이타만을 가지고 줌 트랙킹이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종래의 줌 트랙킹 방법을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줌모드를 선택하는 키(Zoom Key)가 눌러졌는지를 검사하여 줌키가 눌러졌으면 포커스 렌즈(4)를 정지시키고(1S), 현재의 줌 렌즈(2) 위치와 포커스 렌즈(4) 위치에 근거해서 피사체 거리를 판단한다(제4도의 상하 커브(Upper Curve, Lower Curve)(2S).
그리고 상기 현재의 줌 렌즈(2) 위치에서 상하 커브의 차(Da[Zs])와 현재의 포커스 렌즈(4)의 위치와 하 커브의 차(da[Zs])를 계산하여 저장한다(3S).
그 다음 줌임 방향을 판단하여 줌 렌즈(2)를 구동시키고(4S) 이동된 줌 렌즈(2)의 위치를 읽어들여 이동된 줌 렌즈(2)의 위치에서의 상하 커버의 차(Db[Zc])와 현재의 포커스 렌즈(4)의 위치와 하 커브의 차(db[Zc])를 계산하여 포커스 렌즈(4)를 FPLOWER[Zc]+db[Zc] 위치로 이동시킨다(5S).
여기서 FPLOWER[Zc]는 줌 렌즈(2) 위치(Zc)에 대한 포커스 렌즈(4)의 하 커브 트레이스 데이타이고, db[Zc]는 (da[Zs]/Da[Zs])*Db[Zc]에 의하여 구해진다.
그리고, 1필드(field)를 지연 시킨후(6S) 줌키의 눌려진 상태를 다시 검사하여 줌키 입력이 아니면 줌 렌즈(2)를 정지시키고(7S) 그 줌 렌즈(2) 위치에 대하여 상기 스텝(5S)과 똑같은 방법으로 포커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줌 트랙킹을 하게 된다(8S).
만약, 상기 스텝(7S)에서 줌키가 눌러진 상태이면 연속 텔레 또는 와이드 키 입력인지 검사하여(9S) 연속 텔레 또는 와이드 키 입력이면 상기 스텝(5S)부터 반복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줌 렌즈를 정지시킨 후(10S) 현재의 줌 렌즈 위치를 읽어들여 이동된 줌 렌즈의 위치에서의 상하 커브의 차(Db[Zc])와 현재의 포커스 렌즈의 위치와 하 커브의 차(db[Zc])를 계산하여 포커스 렌즈를 FPLOWER[Zc]+db[Zc] 위치로 이동시킨다(11S).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줌 트랙킹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제5도는 종래 일실시예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의 문제점 설명도이고, 제6도는 종래 다른 실시예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의 문제점 설명도로써,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에서는 줌잉 시작 시점에서의 줌 렌즈 검출 에러(error) 또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피사체 거리를 잘못 판단해서 엉뚱한 트레이스 궤적을 추적할 수 있으므로써, 줌잉시 촛점이 틀어질 수 있다.
즉, 제5도는 줌잉 시작 시점에서의 줌 렌즈의 위치 검출 에러에 의해 피사체 거리를 잘못 판단한 경우이고, 제6도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의해 피사체 거리를 잘못 판단함으로써 나타나는 실제 피사체 거리에 대한 트레이스 궤적과 줌잉시 잘못 추적된 트레이스 궤적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줌잉 도중에 피사체 거리가 바뀌게 되면, 이는 마이콤(9)이 인식할 수 없게 되므로써 거리가 바뀐 피사체에 대한 종래의 줌 트랙킹 방법에 있어서는 촛점이 틀어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줌잉시 포커스 렌즈를 발진시키고 동시에 촛점 평가치를 이용함으로써 줌잉 시작 시점에서의 피사체 거리 잘못 판단 및 줌잉 중의 피사체 거리 변화에 무관하게 정확한 트레이스 궤적을 유지함으로써 촛점을 정확하게 맞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은 줌 키가 입력되면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키고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설정하는 제1단계와, 줌잉 방향을 판단하여 줌 렌즈를 판단된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포커스 렌즈의 발진 방향을 판단하여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제2단계와, 포커스 렌즈를 발진시키면서 촛점 평가치의 변화를 검사하여 기준 트레이스 궤적 변경으로 결정되면 결정된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근거해서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변경시키는 제3단계와, 줌 키의 입력상태를 검사하여 줌 키 입력이 없으면 줌 렌즈를 정지시키고 포커스 렌즈를 기준 트레이스 궤적의 포커스 렌즈위치로 이동시킨 후 종료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동작 순서도이고, 제8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기본 개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8도는 줌잉 중의 포커스 렌즈 발진과 촛점 평가치 검사에 대한 일예로써, 5는 줌잉 시작 시점의 줌 렌즈(2)와 포커스 렌즈(4)의 위치를 나타내고, 포커스 렌즈 발진 방향은 매 필드마다의 포커스 렌즈(4)의 발진 방향을 나타낸 것으로 F는 파(FAR) 방향, N은 니어(NEAR)방향, 는 기준 트레이스 궤적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촛점 평가치 상태는 포커스 렌즈(4)의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기준으로 한 발진에 대한 촛점 평가치의 변화로써 1은 촛점 평가치 증가, 0은 감소, X는 촛점 평가치 변화가 기준 트레이스 궤적 변화에 영향이 없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기준 트레이스 궤적 변화는 촛점 평가치 변화에 따른 마이콤(9)이 추적하는 기준 트레이스 궤적변화를 나타내고, 추적해야할 트레이스 궤적은 실제로 마이콤(9)이 추적해야 할 트레이스 궤적으로서 4에서 1로 변한 것은 줌잉 중에 실제 피사체 거리가 바뀌었음을 의미한다.
이와같은 원리에 의한 본 발명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을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줌잉 시작 시점에 피사체 거리를 잘못 판단하였어도 포커스 렌즈(4)를 촛점 심도 범위내에서 발진시키면서 촛점 평가치가 증가하는 쪽으로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변화시키면 실제 측정해야 될 트레이스 궤적(제8도의 4)을 측정하게 된다(제8도에서 2→3→4순으로).
또한 줌잉 중 피사체 거리가 바뀌어도(제8도에서 4→1) 실제 추적해야 할 트레이스 궤적(제8도에서 1)을 추적하게 된다(제8도에서 3→2→1).
포커스 렌즈(4)의 발진은 FAR→기준 트레이스 궤적→NEAR→기준 트레이스 궤적의 반복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설정된 기준 트레이스 궤적에 대하여 FAR와 NEAR 방향으로 검증을 함으로써, 실제 추적해야할 트레이스 궤적을 알아냄을 의미한다.
또한 포커스 렌즈(4) 발진은 기준 트레이스 궤적에 대한 촛점 심도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데 이 촛점 심도는 IRIS(12)의 열림량과 줌 렌즈(2) 위치의 현재 트레이스 궤적 데이타 등 여러 제반 요인들에 의해 결정된다.
즉, IRIS(12)의 열림량에 따라 촛점 심도가 변화되는데 많이 열리면 촛점 심도가 낮아지고 적게 열리면 촛점 심도는 높아진다.
따라서 줌 키가 입력되면 포커스 렌즈(4)를 정지시키고(21S) 줌 렌즈(2)위치와 포커스 렌즈(4)의 위치에 근거하여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설정한다(22S).
그 다음 줌잉 방향을 판단하고 줌 렌즈(2)를 판단된 방향으로 구동시킨다(23S).
또한 포커스 렌즈(4)의 발진 방향을 판단하여(24S) 기준 트레이스 궤적 위치이면 포커스 렌즈(4)를 줌 렌즈(2) 위치에 대한 트레이스 궤적 상의 포커스 렌즈 위치로 이동시킨다(25S).
그리고 상기 스텝에서(24S) 포커스 렌즈(4)의 발진 방향이 FAR(또는 NEAR) 방향의 발진이면 기준 트레이스 궤적 보다 FAR(또는 NEAR) 방향쪽으로 포커스 렌즈(4)를 더 보낼 FAR(또는 NEAR) 방향의 발진량을 구하여 이 발진량 만큼 기준 트레이스 궤적에서 FAR(또는 NEAR)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킨다(26S,27S).
이때 포커스 렌즈()4)의 발진 방향은 촛점 심도 범위내에서 구해지는데 이 촛점 심도는 현재의 IRIS(12)의 열림량, 줌 렌즈 위치, 트레이스 궤적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이렇게 포커스 렌즈(4)를 촛점 심도 내에서 발진시키면 촛점 평가치의 변화를 검사하여 기준 트레이스 궤적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28S).
이 기준 트레이스 궤적의 변경 여부 판단은 제8도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의 다른 방법에 있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제9도 또는 제10도).
상기 스텝(28S)에서 기준 트레이스 궤적 변경으로 결정되면 줌 렌즈(2)와 포커스 렌즈(4)의 위치에 근거해서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변경시킨다(29S).
그 다음 줌 키의 입력상태를 검사하여(30S) 줌 키 입력이 없으면 줌 렌즈(2)를 정지시키고 포커스 렌즈(4)를 기준 트레이스 궤적의 포커스 렌즈 위치로 이동시키고 종료한다(31S).
그리고 상기 스텝(30S)에서 줌 키 입력이 있으면 줌 키 입력에 대한 줌잉 방향을 판단하여(32S) 연속 같은 방향이면 상기 스텝(24S)부터 반복 실행하고, 반대 방향이면 줌 렌즈(2)를 정지시키고 포커스 렌즈(4)를 기준 트레이스 궤적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스텝(23S)부터 반복 실행한다(33S).
이와같이 줌잉 중에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변경 및 증검하면서 중 트랙킹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같은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은 매 필드 마다의 촛점 평가치 변화 상태를 검사해서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변경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제9도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설명도이고, 제10도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설명도로써, 본 발명 제2실시예는 제9도와 같이 NEAR 방향의 발진일때만 그 이전의 촛점 평가치 변화 상태를 고려하여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즉, 제9도에서 FAR 방향 발진일때의 촛점 평가치와 NEAR 방향 발진일때의 촛점 평가치 변화 상태를 검사하여 촛점 평가치가 증가하는 쪽으로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변경시키고 있다.
한편 본 발명 제3실시예는 제10도와 같이 포커스 렌즈 발진 방향이 NEAR→기준 트레이스 궤적→FAR→기준 트레이스 궤적순서로 매 필드마다 기준 트레이스 궤적 변경 검사를 하는 경우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즉, 줌잉시 포커스 렌즈를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기준으로 FAR/NEAR 방향으로 촛점 심도 범위내에서 발진시키고 촛점 평가치 변화 상태를 검사하여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변경시킴으로써 종래의 줌 트랙킹 방법에서 해결하지 못했던 줌잉시의 피사체 거리 잘못 판단 및 피사체 거리 변화로 인해 촛점이 틀어지는 결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줌잉 도중에 피사체 거리가 바뀌어도 촛점을 맞출 수 있다.

Claims (5)

  1. 줌 키가 입력되면 포커스 렌즈를 정지시키고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설정하는 제1단계와, 줌잉 방향을 판단하여 줌 렌즈를 판단된 방향으로 구동시키고 포커스 렌즈의 발진 방향을 판단하여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키는 제2단계와, 포커스 렌즈를 발진시키면서 촛점 평가치의 변화를 검사하여 기준 트레이스 궤적 변경으로 결정되면 결정된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근거해서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변경시키는 제3단계와, 줌 키의 입력상태를 검사하여 줌 키 입력이 없으면 줌 렌즈를 정지시키고 포커스 렌즈를 기준 트레이스 궤적의 포커스 렌즈 위치로 이동시킨 후 종료하는 제4단계를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줌 키 입력이 있으면 줌 키 입력에 대한 줌잉 방향을 판단하여 연속 같은 방향이면 상기 제2단계부터 반복 실행하고, 반대 방향이면 줌 렌즈를 정지시키고 포커스 렌즈를 기준 트레이스 궤적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제2단계부터 반복 실행하는 제5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의 기준 트레이스 궤적을 선정함은 줌 렌즈와 포커스 렌즈의 위치에 근거하여 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2단계의 포커스 렌즈 이동은 포커스 렌즈 발진 방향이 기준 트레이스 궤적 위치이면 포커스 렌즈를 줌 렌즈 위치에 대한 트레이스 궤적 상의 포커스 렌즈 위치로 이동시키고, 포커스 렌즈의 발진 방향이 FAR(또는 NEAR) 방향이면 기준 트레이스 궤적 보다 FAR(또는 NEAR) 방향쪽으로이동할 위치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포커스 렌즈의 발진 방향은 현재의 IRIS 열림량, 즉 렌즈 위치, 트레이스 궤적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촛점 심도 범위내에서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KR1019940025541A 1994-10-06 1994-10-06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KR012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541A KR0124608B1 (ko) 1994-10-06 1994-10-06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541A KR0124608B1 (ko) 1994-10-06 1994-10-06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427A KR960016427A (ko) 1996-05-22
KR0124608B1 true KR0124608B1 (ko) 1997-12-01

Family

ID=1939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541A KR0124608B1 (ko) 1994-10-06 1994-10-06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60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427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2398B2 (en) Image-taking apparatus
US4422097A (en) Automatic focus controlling method
US6624851B1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of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of correcting zoom tracking curve
US5319442A (en) Optical inspection probe
CN101126833B (zh) 自动聚焦设备和摄像设备
KR940010698A (ko) 자동 줌잉을 위한 피사체 추적방법 및 그 장치
KR100525931B1 (ko) 이미지들을사용한거리검출방법
EP1895768B1 (en) Focus adjustment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EP0576004B1 (en) Electronic levelling apparatus and levelling staff used with the same
US4639588A (en) Automatic focusing device with range boundary setting
JPH04242208A (ja) レンズ位置制御装置を有する光学機器
EP0536737A2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for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US4695893A (en) Automatic focusing apparatus
US6178051B1 (en) Lens control apparatus
US5276318A (en) Optical apparatus with lens position detection and control
EP0539598B1 (en) Method of detecting position in a laser sensor and device therefor
US5815203A (en) Zoom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in a video camera
KR0124608B1 (ko) 리어 비디오 촛점 시스템의 줌 트랙킹 방법
JPH11275897A (ja) パルス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方法、撮像装置
US6031802A (en) Data writing density judging method for disc
US5610884A (en) Optical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for detecting track crossing direction and track crossing number from reflected light extending over a plurality of tracks
JP2554051B2 (ja) オ−トフォ−カス装置
KR0124583B1 (ko) 포커스렌즈 자동 구동장치 및 방법
US6222802B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led loop gain in optical disc drive
US4847687A (en) Video ran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919

Effective date: 20040623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50106

Effective date: 20060127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RREC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RRECTION REQUESTED 20060302

Effective date: 20060803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730

Effective date: 2006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