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513Y1 - 광섬유 보호지지판 - Google Patents

광섬유 보호지지판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513Y1
KR0124513Y1 KR2019950023843U KR19950023843U KR0124513Y1 KR 0124513 Y1 KR0124513 Y1 KR 0124513Y1 KR 2019950023843 U KR2019950023843 U KR 2019950023843U KR 19950023843 U KR19950023843 U KR 19950023843U KR 0124513 Y1 KR0124513 Y1 KR 0124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support plate
fixing
connector
plat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3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500U (ko
Inventor
강길례
김창하
안정균
Original Assignee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준
Priority to KR2019950023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513Y1/ko
Priority to CN96112816A priority patent/CN1082190C/zh
Publication of KR970015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5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89Bidirectional transmission
    • H04B10/25891Transmission compon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섬유 접속자들을 기계적으로 보호해 주면서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해주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관한 것으로, 크게 본체와 덮개로 구성되며, 본체상에는 통로 분할대에 의해 내부에 광섬유를 내장한 보호튜브 인입부 및 보호튜브 배출부, 인입 또는 배출되는 광케이블의 여장처리를 하는 원형의 인입 여장처리부 및 배출 여장처리부, 상기 인입 여장처리부와 배출 여장처리부의 중간부에 위치하며 다수개의 고정지지대가 설치되는 접속자 고정장치부 및 적층을 용이하게 적층 고정부로 구성되어, 광섬유를 내장하고 있는 보호튜브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면 24개의 접속자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접속자 고정장치부와 여장처리부위를 같은판에 위치하게 하여 접속자들을 고집적화하면서 현장의 실용성을 높이고, 필요시 덮개를 사용할 수 있게하여 광섬유 보호지지판으로부터 광섬유가 이탈되지 않게 하며, 여러개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특별한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도 쉽게 적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광섬유 보호지지판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자 고정장치부의 세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자 고정장치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덮개
10 : 보호튜브 인입부 11 : 보호튜브
12 : 광섬유 13A,13B : 보호튜브 통로분할대
14 : 보호튜브 걸림돌출부 20 : 인입여장 처리부
21 : 배출여장 처리부 22A,22B : 여장처리부의 외벽
23 : 광섬유 이동방지면 24 : 광섬유 안착부
25A-25H : 광섬유 이탈방지대 30 : 접속자 고정장치부
31A,31B : 접속자 32 : 접속자 고정지지대
33 : 접속자 상부 돌출부 34 : 접속자 지시대
40 : 결착구 41A,41B : 적층 삽입공
42A,42B : 덮개 삽입공 43 : 덮개 걸림쇠
44A,44B : 본체 걸림쇠 45 : 본체 삽입공
본 고안은 광섬유 접속자들을 기계적으로 보호해주고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해주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24개의 접속자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고, 광섬유가 내장되어 있는 보호튜브의 인입 및 여장처리를 용이하게 하며, 여러개의 보호지지판을 상부로 적층할 수 있는 구조로하여 접속자 수용의 고집적화를 통한 부피의 최소화 및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과 디지틀(Digital) 전자장치들로 구성되어지는 광통신 시스템은 손실없이 많은 양의 음성 및 비음성 신호를 전화국에서 가입자까지 전달해 주는 통신산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광케이블들은 광접속함체나 광단자함등 관련 접속자재들 내에서 서로 연결되어지는데, 이러한 연결은 두 개의 광섬유를 레이져 등을 이용하여 서로 녹여 달라붙게하는 방법인 융찹접속자(Fusion Slice)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광섬유를 서로 연결해 주는 방법인 기계식 접속자(Mechnical Splice)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광접속함체나 광단자함 내에서 광섬유 접속자들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시키거나 재접속등 유지보수를 위한 광섬유 여장을 안정하게 정돈 및 보호하기 위해서는 접속함체나 광단자함 내에 광섬유 접속자를 장착하기 위한 광섬유보호지지판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현재의 일반적인 선로환경이 매우 열악한 상황임을 고려할 때,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그 구조와 기능을 보다 더 개선시킨 형태로 개발되어져야 한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광케이블은 주로 시외망과 전화국과 전화국 사이의 국간망에 설치되어 있으며, 가입자 선로구간에는 주로 동케이블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들어 CATV 등 다양한 통신망 서비스의 제공과 미래의 정보고속도로 건설에 대비하여 가입자 선로구간에도 광케이블이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따라서, 다심화되는 광케이블을 수용하면서 협소한 맨홀등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소형화된 광케이블 접속자재들 예컨데, 광접속함체, 광분배함, 광단자함 등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같은 접속자재들의 크기는 광섬유 접속자의 수용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광케이블 접속자재 내부에 장착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소형화와 광섬유 접속부의 고집적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현재 시외망 및 국간망에 사용되고 있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은 광섬유의 여장처리부와 광섬유의 접속부위가 각각 다른판에 수용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수용 가능한 접속자도 단지 12개의 불과한 실정이다.
또한, 광접속함체에 상기와 같은 두판구조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이 수용되면 72 코어(Core)를 초과하는 광케이블은 수용할 수가 없어 현재 생산되고 있는 144 코어의 광케이블 뿐만 아니라, 계속적으로 다심화되는 광케이블을 전혀 수용할 수 없게 되고, 또한 광섬유의 여장처리 과정에서 광섬유를 최소곡률반경 이상으로 유지하기 어렵고, 광섬유가 보호지지판의 두판 사이로 빠져나와 파단됨으로 인한 광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광섬유 접속부위와 여장 처리부를 하나의 판에 위치하게 하고, 여장처리부도 광섬유 보호지지판으로 인입되는 광섬유와 접속후 배출되는 광섬유를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하고, 하나의 판에 24개의 접속자를 수용하게하여 접속자 수용의 고집적화를 통한 부피의 최소화 및 현장 운용성을 향상시킨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은 광섬유 접속자들을 기계적으로 보호해주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해주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있어서,
양측면부에 각각 설치된 통로 분할대에 의해 내부에 광섬유를 내장한 보호튜브가 인입 또는 배출되는 보호튜브 인입부 및 보호튜브 배출부와, 상기 보호튜브 인입부 및 보호튜브 배출부의 내측면부와 인접하며 인입 또는 배출되는 광케이블의 여장처리를 각각 수행하는 원형 형상의 인입 여장처리부 및 배출 여장처리부와, 상기 인입 여장처리부와 배출여장처리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접속자가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대 사이에 접속자 지지대가 설치되는 접속자 고정장치부와, 양측면의 외측에 설치되어 적층을 용이하게 하는 적층수단으로 이뤄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착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광섬유 보호지지판 덮개와 본체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은 크게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장착되는 덮개(2)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광섬유 보호지지판 본체(1)는 내부에 광섬유가 내장되어 있는 보호튜브(11)가 인입되는 보호튜브 인입부(10)와, 광섬유(12)의 여장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 인입 여장처리부(20)와 배출 여장처리부(21) 및 24개의 접속자(31A,31B)를 수용할 수 있는 접속자 고정장치부(30) 그리고 본체부의 양측면에 여러개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상부로 적층할 수 있게 하는 결착구(40) 및 적층 삽입공(41A,41B)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각 구성부위의 상호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살펴 보기로 한다.
6개의 광섬유(12)가 보호튜브(11)에 내장된 상태에서 광섬유 보호지지판내로 들어가기 위해서 먼저, 보호튜브(11)는 보호튜브 인입부(10)에 확실하게 안착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보호튜브(11)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광섬유(12)가 구부러지는 경우 발생하는 광손실을 억제하기 위하여 완만한 굴곡이 있는 보호튜브 통로 분할대(13A,13B)를 형성하였다.
상기 보호튜브 인입부(10)에 대해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제2도는 제1도의 A부 확대 단면도로서, 보호튜브가 삽입된 상태의 보호튜브 인입부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 보호지지판에는 24개의 접속자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보호튜브 인입부(10)에서도 6개의 광섬유를 내장하는 보호튜브(11)가 4개 까지 장착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U)자 형의 인입통로에는 통로 통로분할대(13A,13B)를 사이에 두어 각각 2개의 보호튜브(11)가 삽입될 수 있으며, 통로 분할대(13A,13B)의 상단부에는 걸림 돌출부(14)를 만들어 보호튜브(11)가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광통신 시스템을 운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나 재배선등에 의한 재접속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일정량의 광섬유가 재접속 과정에서 소모가 된다. 이와같이 소모되는 광섬유를 보충해주기 위해 광섬유를 접속한 후, 상당한 길이의 광섬유를 여장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장처리시 여장부위의 곡률반경이 최소한 38mm 이상이 되도록하여 광섬유가 과다하게 구부러질 때 발생하는 광손실이 나타나지 않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현장 작업시 실용성을 고려하여 인입되는 광섬유의 여장을 수용하는 원형의 배출 여장처리부(21)를 각각 구비하여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양쪽에 위치하게 하였다.
제3도는 제1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여장처리부(20,21)의 단면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광섬유에 이상적으로 곡률을 주며 여장처리를 하게 되면, 밖으로 나가려는 힘에 의하여 광섬유는 여장처리부(20,21)의 외벽(21A,21B)에 접촉된 상태로 배열하게 된다. 그러나, 여러개의 광섬유를 동시에 여장처리하게 되면, 접속자의 상이한 위치 때문에 발생하는 다양한 여장길이로 인하여 여장처리된 광섬유들이 내측으로 쏠리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와같은 상태가 되면, 최소곡률반경을 맞추기가 어려워 광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여장처리된 광섬유가 안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진 광섬유 이동방지면(23)을 만들어 여장처리된 광섬유가 안착부(24)에 배열될수 있게 하였다.
또한, 실제 사용할 때에는 여러개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이 중첩되어지는데, 유지보수 과정등에서 하부에 있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90도 이상 꺽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때, 인입 여장처리부(20) 및 배출 여장처리부(21)에 여장처리된 광섬유(12)가 광섬유 보호지지판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광섬유 이탈 방지판(25A,25H)을 광섬유 이동방지면(23)의 상부에 형성하였다.
광섬유 보호지지판에서 접속자들(31A,31B)을 기계적인 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하는 접속자 고정장치부(30)는 접속자(31A,31B)을 확실하게 고정하면서 동시에, 한정된 공간에 많은 수의 접속자들(31A,31B)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제4도는 상기 제1도에 도시된 접속자 고정장치부(30)의 세부 단면도이고,
제5도는 상기 제1도의 접속자 고정장치부의 전체 평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접속자(31A,31B)을 직접적으로 고정시켜 주는 고정지지대(32)간의 거리를 상부로 갈수록 줄어들게하여 접속자(31A,31B)의 접속과정에서 고정지지대(32)가 접속자(31A,31B)에 압착력과 함께 하부로 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접속자(31A,31B)가 삽입될 때, 고정지지대(32)간의 거리가 벌어지더라도 접속자(31A,31B)는 빠져 나오지 않게 된다.
또한, 접속자(31A,31B)가 고정지지대(32)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도록 하기위해 고정지지대(32)의 상부에 접속자 돌출부(33)를 형성하여 이중으로 보완장치를 이루고 있다.
한편, 접속자 고정장치부(30) 내에서 접속자(31A,31B)들을 고집적화시키기 위해서는 고정지지대(32)의 배열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또한 접속자(31A,31B)들이 삽입될 때 고정지지대들(32)이 벌어지게 되면 인접한 접속자(31A,31B)들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일정간격 이상의 여유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지지대(32)의 배열 및 공간확보의 필요성 등을 감안하여 상기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자(31A,31B)들을 고정시켜주는 고정지지대(32)의 한쪽을 인접한 고정지지대(32)의 다른 한쪽과 접속자 삽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최소공간도 중복되게 발생하도록 인접한 고정지지대(32)들을 동일선상에 배열하였다. 이때,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접속자(31A,31B)가 삽입되지 않는 경우에는 인접한 고정지지대들(32)이 미세한 간격으로 벌어진 상태로 존재하다가, 접속자(31A,31B)가 삽입되면 서로간 고정지지대들(32)의 간격차는 없어지게 된다.
또한, 접속자 고정장치부(30)의 고정지지대들(32)은 상기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어 광섬유의 재배열이나 재접속 과정에서 접속자(31A,31B)의 제거나 삽입을 용이하게 하면서, 광섬유가 고정 장치부(30)내로 들어올 때, 여유있는 곡률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길이 방향에 대해 접속자(31A,31B)의 정렬이 약 60 도 정도가 되게 한다.
아울러, 접속자(31A,31B)를 고정지지대(32)에 삽입시킬 때, 인접한 고정지지대(32)간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인접한 접속자 사이에 지시대(34)를 설치하였다.
한편, 하나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에는 24개의 접속자들만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72심과 144심 등의 다심용 광케이블을 수용하는 광접속자재들에는 여러개의 광섬유 보호지지판판들을 적층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양측면에 적층 결착구(40)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 결착구의 상부에 적층 삽입공(41A,41B)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상부로 여러개 적층하게 될 경우에는 적층 결착구(40)를 그 하부에 위치한 광섬유 보호지지판의 적층 삽입공(41A,41B)에 삽입시키게 되면 두 개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이 한 몸체로 된다. 상기 적층 결착구(40)와 적층 삽입구(41A,41B)를 이용하여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반복하여 적층하면 여러개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적층시킬 수 있다.
한편, 광섬유 보호지지판에서 발생가능한 불량중의 하나로는 광섬유가 광섬유 보호지지판에서 빠져나와 상판과 하판 사이에 끼게 되는 경우로서, 이 때는 광섬유의 과다한 굴곡에 의해 광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광섬유 보호지지판 본체(1)의 상부에 덮개(2)를 형성하였다. 상기 덮개(2)는 덮개의 일측면에 삽입공(42A,42B) 및 걸림쇠(43)가 형성되는데, 상기 삽입공(42A,42B)은 덮개 본체(1)의 걸림쇠(44A,44B)와, 상기 덮개 걸림쇠(43)는 본체 삽입공(45)에 결착되어 본체(1)와 덮개(2)가 완전하게 결합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광섬유 보호지지판은 광섬유를 내장하고 있는 보호튜브를 쉽게 인입할 수 있으면서 24개의 접속자들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접속자 고정부위와, 여장처리부위를 같은 판에 위치하게 하여 접속자들을 고집적화하면서 현장에서의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필요시 덮개를 사용할 수 있게하여 지지판으로부터 광섬유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여러개의 광섬유 보호지지판을 별도의 특별한 장치 또는 도구가 없이도 본체의 양측면에 형성된 결착구 및 삽입공을 이용하여 손쉽게 적층할 수 있다.

Claims (13)

  1. 광섬유 접속자들을 기계적으로 보호해 주며 광섬유의 여장을 정리해주는 광섬유 보호지지판에 있어서, 양측면부에 각각 설치되어 통로 분할대에 의해 내부에 광섬유를 내장한 보호튜브가 인입 또는 배출되는 보호튜브 인입부 및 보호튜브 배출부와, 상기 보호튜브 인입부 및 보호튜브 배출부의 내측면부와 인접하며 인입 또는 배출되는 광케이블의 여장처리를 각각 수행하는 원형 형상의 인입 여장처리부 및 배출 여장처리부와, 상기 인입 여장처리부와 배출 여장처리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접속자가 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 지지대와 상기 고정 지지대 사이에 접속자 지시대가 설치되는 접속자 고정장치부와, 양측면의 외측에 설치되어 적층을 용이하게 하는 적층수단으로 이뤄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결착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튜브 내부에 6개의 광섬유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분할대에 의해 분할된 보호튜브 인입부의 각 통로에는 2개의 보호튜브가 각각 적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분할대의 상단부에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어 하부의 보호튜브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고정지지대의 수는 2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접속자가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고정지지대는 상부로 갈수록 고정지지대간의 거리가 축소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의 내측 상단부는 삽입된 접속자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접속자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들을 고정시키는 고정지지대는 본체의 중앙부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지지대내로 접속자를 삽입할 때, 인접 고정지지대간의 구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지지대 사이에 접속자 지시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자 고정장치부는 본체의 길이방향에 대해 60도 경사지게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 여장처리부와 배출 여장처리부는 여장처리과정에서 광섬유가 내측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진 이동방지면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수단은 적층 결착구와 적층 삽입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부의 일측에 본체와 결착되기 위한 삽입공과 걸림쇠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 보호지지판.
KR2019950023843U 1995-09-04 1995-09-04 광섬유 보호지지판 KR0124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843U KR0124513Y1 (ko) 1995-09-04 1995-09-04 광섬유 보호지지판
CN96112816A CN1082190C (zh) 1995-09-04 1996-09-04 光纤保护支承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3843U KR0124513Y1 (ko) 1995-09-04 1995-09-04 광섬유 보호지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500U KR970015500U (ko) 1997-04-28
KR0124513Y1 true KR0124513Y1 (ko) 1998-10-01

Family

ID=19422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3843U KR0124513Y1 (ko) 1995-09-04 1995-09-04 광섬유 보호지지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24513Y1 (ko)
CN (1) CN108219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7379B (en) * 2000-09-27 2004-08-25 Krone Gmbh Opitcal fibre connection housing
CN107831573A (zh) * 2017-11-24 2018-03-23 江苏瑞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保护罩结构
CN107765383A (zh) * 2017-11-24 2018-03-06 江苏瑞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带固定夹持结构的光纤保护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190C (zh) 2002-04-03
KR970015500U (ko) 1997-04-28
CN1166605A (zh) 1997-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1915B2 (en) Telecommunications connection cabinet
US7190874B1 (en) Fiber demarcation box with cable management
US20180203200A1 (en) Fiber optic closure
US6804447B2 (en) Fiber panel with integrated couplers
EP2130078B1 (en) Drop terminal with anchor block for retaining a stub cable
US7274850B2 (en) Fiber optic splice enclosure
US8189983B2 (en) Fiber circuit management system with splice tray
US11467362B2 (en)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frame
US20050281526A1 (en) Multi-position fiber optic connector holder and method
KR19990047090A (ko) 리본형광섬유의 보호지지판
WO2011050185A2 (en) Fiber distribution hub and cable for use therewith
KR0124513Y1 (ko) 광섬유 보호지지판
US6415092B1 (en) Access box for one or more optic fibers in a tensioned cable
EP0182494B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KR100284167B1 (ko) 전주용 광중간절체함
WO2023200812A1 (en) Adapter configured to permit a heat shrink splice holder portion of a fiber splice cassette to hold a mechanical crimp splice protector
KR100760717B1 (ko) 광케이블 중간 절체장치의 접속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