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502Y1 - 다용도 후레쉬 - Google Patents

다용도 후레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502Y1
KR0124502Y1 KR2019950025250U KR19950025250U KR0124502Y1 KR 0124502 Y1 KR0124502 Y1 KR 0124502Y1 KR 2019950025250 U KR2019950025250 U KR 2019950025250U KR 19950025250 U KR19950025250 U KR 19950025250U KR 0124502 Y1 KR0124502 Y1 KR 0124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cylindrical
circuit board
flash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5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337U (ko
Inventor
박재규
Original Assignee
박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규 filed Critical 박재규
Priority to KR2019950025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502Y1/ko
Publication of KR9700143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3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빛을 조명할 수 있는 회중전등 기능뿐만 아니라 지시안내 신호등으로도 겸할 수 있는 다용도 후레쉬(Flash)에 관한 것으로, 건전지를 원통형 손잡이부와, 이 손잡이부에 스크류방식으로 팩킹을 매개로 결합되는 다단계스위치와 회로기판이 설치된 원통중간부, 이 원통중간부의 소켓에 전구와 반사경을 갖추고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렌즈를 갖춘 렌즈고정캡으로 이루어진 후레쉬에 있어서, 상기 원통중간부(6)의 소켓(7)에 결합되어 렌즈고정캡(11)과 팩킹(12)을 매개로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되는 투명한 내·외파이프(13a, 13b)사이에는 반사성 프리즘원통부(14)가 게재되고, 상기 스위치(4)는 건전지(1)와 회로기판(5) 사이에서 전선(17a)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회로기판(5)은 외파이프(13b)의 안쪽둘레에 설치되어 여러개의 LED전구(15)들이 연결된 도선용 접지판(16)에 연결되면서 전구(8)와는 다른 전선(17b)을 매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후레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후레쉬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전구소켓 지지부의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전지 2 : 손잡이부
3 : 팩킹 4 : 스위치
5 : 회로기판 6 : 원통중간부
7 : 소켓 8 : 전구
9 : 반사경 10 : 투과렌즈
11 : 렌즈고정캡 12 : 팩킹
13a, 13b : 내·외파이프 14 : 반사성 프리즘원통부
15 : LED전구 16 : 도선용 접지판
17a, 17b : 전선 18 : 원통형 전구소켓
19 : 전구고정마개 20 : 관통구멍
21 : 판스프링접점부 22 : 접지판
23 : 자석
본 고안은 빛을 조명할 수 있는 회중전등 기능뿐만 아니라 지시안내 신호등으로도 겸할 수 있는 다용도 후레쉬(Flash)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후레쉬는 빛을 조명하는 전등으로서 이용되어 왔는데 최근에는 빛을 조명하는 것외에 점멸기능등이 첨가되어 이용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빛을 점멸하는 기능은 단지 전등의 점멸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비자로 하여금 호기심 내지는 사용용도에 호감을 주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빛을 조명할 수 있는 회중전등기능과 점멸등의 지시신호등을 겸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외관이 양호하고 사용방법이 간편하여 소비자의 기호에 맞출 수 있는 개선된 다용도 후레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전지를 수납하는 원통형 손잡이부와 이 손잡이부에 길이방향으로 스크류방식으로 팩킹을 매개로 결합되는 다단계스위치와 회로기판이 설치된 원통중간부, 이 원통중간부의 소켓에 결합되는 원통형 반사성프리즘을 갖춘 보호용 내·외파이프, 이 내·외파이프의 끝단에 설치된 전구를 갖춘 반사경을 고정시키면서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렌즈를 갖춘 렌즈고정캡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원통중간부의 스위치는 건전지와 회로기판에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내파이프 안쪽둘레에 설치되는 여러개의 LED전구들에 연결된 도선용 접지판에 연결되고, 전구와는 전선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전구를 보유지지하는 전구소켓은 원통형 형상으로서 이에 전구고정마개가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되고, 이 전구고정마개의 바닥면에는 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설치되는 전선에 연결된 판스프링접점부를 갖춘 접지판이 설치되어 전구의 접점과 결합되어진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용도 후레쉬의 길이방향 부분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전구고정소켓 부분의 분리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전지(1)를 수납하는 원통형 손잡이부(2)와, 이 손잡이부(2)에 스크류방식으로 팩킹(3)을 매개로 결합되는 다단계 스위치(4)와 회로기판(5)이 설치된 원통중간부(6), 이 원통중간부(6)의 소켓(7)에 전구(8)와 반사경(9)을 갖추고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렌즈(10)를 갖춘 렌즈고정캡(11)으로 이루어진 후레쉬에 있어서, 상기 원통중간부(6)의 소켓(7)에 결합되어 렌즈고정캡(11)과 팩킹(12)을 매개로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되는 투명한 내·외파이프(13a, 13b)사이에는 빛반사 시트용 반사성 프리즘원통부(14)가 끼워 설치되고, 상기 다단계스위치(4)는 건전지(1)와 회로기판(5) 사이에서 전선(17a)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로기판(5)은 내파이프(13a)의 안쪽둘레에 설치되어 여러개의 LED전구(15)들이 연결된 도선용 접지판(16)에 연결되면서 전구(8)와는 다른 전선(17b)을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전구(8)를 보유지지하는 원통형 전구소켓(18)은 전구고정마개(19)와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되되, 이 전구고정마개(19)의 바닥면에는 이에 형성된 관통구멍(20)을 통하여 전선(17b)이 연결된 판스프링 접점부(21)를 갖춘 접지판(22)이 설치되어 전구(8)의 접점과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전구(8)의 수명이 다하여 이 전구(8)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때, 우선 렌즈고정캡(11)을 돌리게 되면 외파이프(13b)에서 투과렌즈(10)와 렌즈고정캡(11)이 분리되고, 이어 팩킹(12)도 분리된다. 그런후에 반사경(9)이 분리되어진 후,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구(8)를 지지하는 원통형 전구소켓(18)에서 전구고정마개(19)를 회전하여 분리시킨다음, 이 전구(8)를 전구소켓(18)의 뒷쪽방향에서 집어넣은 후, 전구고정마개(19)를 상기 회전방향의 반대로 회전시키어 결합시키게 되면, 전구고정마개(19)의 판스프링 접점부(21)가 전구(8)의 접점부와 맞닿아진다. 그런다음, 상기 반사경(9)을 끼우고 팩킹(12)을 넣은 후 렌즈고정캡(11)을 보호용 외파이프(13b)에 스크류방식으로 회전시키어 결합하면 된다.
이어 본 고안의 다용도 후레쉬를 이용할 때, 우선 다단계스위치(4)를 1단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후레쉬가 ON상태를 유지하면서 LED전구(15)가 점멸된다. 다시 이 스위치(4)를 2단으로 이동시키면 LED전구(15)가 계속하여 조명됨에 따라 이 후레쉬를 지시안내봉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스위치(4)를 3단으로 이동시키면, 전구(8)에 전류가 인가되어 회중전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이 후레쉬를 OFF시킬 때에는, 스위치(4)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하면 LED전구(15)와 전구(8)의 전류가 차단되어 후레쉬는 OFF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원통중간부(6)의 둘레 한쪽에는 클립(24)이 설치됨에 따라 필요시 본 고안에 따른 후레쉬를 허리밴드등에 삽입하여 보관휴대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클립(24) 뒷쪽으로 자석(23)이 설치되어 이 클립(24)을 제거한 후 금속판과 같은 부착벽에 후레쉬를 부착 보관시킬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지시안내등과 회중전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구파손시에도 편리하게 전구를 교체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건전지를 원통형 손잡이부와, 이 손잡이부에 스크류방식으로 팩킹을 매개로 결합되는 다단계스위치와 회로기판이 설치된 원통중간부, 이 원통중간부의 소켓에 전구와 반사경을 갖추고 빛을 투과시키는 투과렌즈를 갖춘 렌즈고정캡으로 이루어진 후레쉬에 있어서, 상기 원통중간부(6)의 소켓(7)에 결합되어 렌즈고정캡(11)과 팩킹(12)을 매개로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되는 투명한 내·외파이프(13a, 13b)사이에는 반사성 프리즘원통부(14)가 게재되고, 상기 스위치(4)는 건전지(1)와 회로기판(5) 사이에서 전선(17a)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회로기판(5)은 외파이프(13b)의 안쪽둘레에 설치되어 여러개의 LED전구(15)들이 연결된 도선용 접지판(16)에 연결되면서 전구(8)와는 다른 전선(17b)을 매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후레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8)는 원통형 전구소켓(18)에 보유지지되어 전구고정마가(19)와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되되, 이 전구고정마개(19)의 바닥면에는 이에 형성된 관통구멍(20)을 통하여 전선(17b)에 연결된 판스프링 접점부위(21)를 갖춘 접지판(22)이 설치되어 이 전구(8)의 접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후레쉬.
KR2019950025250U 1995-09-19 1995-09-19 다용도 후레쉬 KR0124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250U KR0124502Y1 (ko) 1995-09-19 1995-09-19 다용도 후레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5250U KR0124502Y1 (ko) 1995-09-19 1995-09-19 다용도 후레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337U KR970014337U (ko) 1997-04-28
KR0124502Y1 true KR0124502Y1 (ko) 1998-12-15

Family

ID=1942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5250U KR0124502Y1 (ko) 1995-09-19 1995-09-19 다용도 후레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5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613A (ko) * 2002-10-01 2004-04-08 석찬복 사고 표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337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8430A (en) Dual beam flashlight
US5947588A (en) Light fixture with an LED light bulb having a conventional connection post
US5944407A (en) Flashlight/area table lamp having a flexible neck
DK9500295U4 (da) Håndlygte
US5530633A (en) Combination electric torch
US6361184B1 (en) Lighting device convertible between reading light and flashlight configurations and having separate light actuating switches
US2603701A (en) Signal light for bicycle handle bars
US8517560B2 (en) Portable multi-purpose illumination device
US4956756A (en) Table lamp adapter system
US4352539A (en) Fluorescent light with threaded connector
GB2224245A (en) A ballpoint pen with self-provided illumination
ES1049823U (es) Luz de señalizacion para vehiculos.
US6296369B1 (en) Lamp
US5117341A (en) Multi-function flashlight
KR0124502Y1 (ko) 다용도 후레쉬
US5964616A (en) Lighted accessory power supply cord
US3835309A (en) Electrical appliance powered by self-contained rechargeable battery
GB2172097A (en) Multipurpose lamp
US7670024B2 (en) Utility light
WO2002066887A1 (en) Flash light with magnetic switch
US6454434B1 (en) Flashlight unit with externally supported battery
US5924793A (en) Light illumination system
SU1756734A1 (ru) Осветительный фонарь
KR0124413Y1 (ko) 점멸신호봉
KR200268143Y1 (ko) 후레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