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488Y1 - 방전등용 안정기 - Google Patents

방전등용 안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488Y1
KR0124488Y1 KR2019940028999U KR19940028999U KR0124488Y1 KR 0124488 Y1 KR0124488 Y1 KR 0124488Y1 KR 2019940028999 U KR2019940028999 U KR 2019940028999U KR 19940028999 U KR19940028999 U KR 19940028999U KR 0124488 Y1 KR0124488 Y1 KR 01244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ast
cap
discharge lamp
input
ig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903U (ko
Inventor
최병춘
Original Assignee
최병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춘 filed Critical 최병춘
Priority to KR2019940028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488Y1/ko
Publication of KR9600159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9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4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488Y1/ko

Links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1.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방전등용 안정기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방전등 고장의 주요인이고 핵심부품인 안정기의 수리 및 교체작업상의 능률을 개선하고, 그로 인한 전기료및 예산, 자원절감과 아울러 민원해소, 산업쓰레기량을 최소화하는데 일익코져 하는 것임.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방전등용 안정기(1)에 있어서, 외부케이스(2)내의 자기누설변압기(3) 상면에는 콘센트형의 접속공(4,4')을 가지는 중판(2')을 내장안치하며, 중판(2')의 접속공(4,4')에는 간단히 끼움접속 및 분리될 수 있는 플러그형 접속단자(5,5')를 각기 가지는 콘덴서(6) 및 이그나이트(7)를 구비하였으며, 외부케이스(2)의 상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2)을 구비하되, 상기 캡(12)에는 입출력 접속단자(10,10')를 가진 입,출력케이블(9,9')이 끼움접속및 분리될 수 있는 큰센트형의 접속공(11,11')을 형성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방전등용 안정기

Description

방전등용 안정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 구성을 발췌한 확대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방전등용 안정기의 회로구성도.
제5도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내부 결선 연결도.
제6도는 방전등용 안정기의 내부 결선 연결 입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정기 2 : 외부케이스
2' : 중판 3 : 자기누설변압기
4,4' : (콘센트형)접속공 5,5' : (플러그형)접속단자
6 : 콘덴서 7 : 이그나이트
8 : 저항 9,9' : 입,출력케이블
10,10' : (플러그형)접속단자 11,11' : (콘센트형)접속공
12 : 캡
본 고안은 방전등용 안정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노변등에 설치되는 방전등용 안정기(예:나트륨등 안정기,수은등 안정기,메탈 할 라이트 안정기등)는 대분하여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내에 내장되어 램프점등시 유기전압을 얻기 위한 쵸크코일및 코아로 구성되는 자기누설 변압기, 자기누설변압기와 외부케이스 상간에 충진되어 방수및 방열기능을 수행하는 열경화성합성수지, 펄스를 발생시켜 램프를 점등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는 이그나이트(P.G), 역율개선을 위한 콘덴서, 그리고 저항등이 내장되어 캡으로서 밀폐 고정되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주지된 바와같이 방전등에 있어서 안정기는 핵심부품이고, 그 가격도 여타부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고가인데, 안정기의 고장으로 인하여 방전등을 관리하는데에만 예산과 인력등의 낭비는 다대한 것이었다.
안정기의 주고장 요인은 이그나이트로 볼 수 있는데, 기존에는 안정기의 여하한 부품이 고장나더라도 안정기 전체를 교환하는 수리방법을 택하고 있어 많은 예산 및 자원낭비가 되어왔음은 물론이고, 교환작업시에는 고장난 방전등을 장시간동안 점등하여야 하므로 고장난 방전등의 배전함에 연결되어 있는 전 방전등(통상 약 20등)을 점등하여야 만아 교체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의 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일반인들이 방전등 수리작업시에 정부의 에너지 절약시책에 역행한다는 민원의 대상이 되었고, 교체작업은 하기와 같은 번거로운 공정과 장시간을 소요하였다.
즉, 안정기의 입출력 단자의 고무및 절연테이프를 해체하고 , 조인(join)된 전기선의 단자를 각기 분리하고, 안정기가 고장의 요인인지 체킹한 후, 고장여부에 따라서 안정기 전체를 교체한 후, 재차 단자조인 및 절연테이프로 절연작업을 수행하여야 만 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존의 방전등에 있어서 안정기 교체작업에 따른 제반인력및 전력소모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예산및 자원을 절감함과 동시에 민원대상을 근본적으로 일소하며, 안정기 교체시의 작업공정을 대폭 간소화할수 있는 신규한 방전등용 안정기를 제공코져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특징은 안정기의 핵심부품을 극히 용이하게 결합및 분리할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서, 이하의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방전등용 안정기(1)의 일부분해 사시도로서, 상방이 개방형인 외부케이스(2)는 통상 아연도강판등으로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코일 및 코아로 이루어지고 램프점등시 유기전압을 얻기 위한 자기 누설변압기(3)가 내장되어 열경화성수지와 함께 외부케이스(2)내에 일체로 몰딩형성된다.
자기누설변압기(3)상면에는 콘센터형의 접속공(4,4')을 적의 갯수를 가지는 중판 (2')이 안착고정되고, 상기한 접속공(4,4')에 끼움탈착될 수 있는 플러그형 접속단자(5,5')를 각각 가지는 콘덴서(6)와 이그나이트(7)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한 콘덴서(6)와 이그나이트(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역율개선과 펄스를 발생시켜 램프를 점등시키는 역할을 수행케 되는 것이며, 콘덴서(6)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저항(8)을 병렬로 접속연결된다.
상기한 자기누설변압기(3), 중판(2'), 콘덴서(6), 저항(8), 이그나이트(7)등이 내장된 외부케이스(2)의 상면에는 전원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케이블(9,9')의 플러그형 접속단자(10,10')가 각기 접속될수 있는 콘센트형의 접속공(11,11')이 형성된 캡(12)이 개폐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면중의 미설명부호 (13)은 방수용 패킹, (14)는 캡고정용 볼트너트, (15)는 캡개폐기시에 사용되는 손잡이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정기(1)는 각종의 방전등에 통상의 방법과 같이 연결접속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우선 안정기(1)를 전원 입,출력의 입,출력케이블(9,9')과 연결할 경우는:
입,출력케이블(9,9')의 단부에 형성된 플러그형 접속단자(10,10')를 안정기(1)의 캡(12)상에 형성된 콘센트형 접속공(11,11')에만 끼움접속하면 접속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며,
사용중 안정기(1)의 고장이 발생하면;
전원 입출력 접속코드(9,9')의 접속단자(10,10')를 캡(12)의 접속공(11,11')으로 부터 간단히 분리한 후, 안정기(1)의 고장여부를 테스팅하고, 테스팅 결과 안정기(1) 내부 부품들의 고장일 경우는 캡고정용 볼트너트(14)를 나사분해하고 방수용 패킹(13)을 분리하여 캡(12)을 외부케이스(2)와 분리한후, 외부케이스(2)의 내부의 중판(2')에 형성된 접속공(4,4')에 각기 접속단자(5,5')로서 끼움접속되어 있는 콘덴서(6)및 이그나이트(7), 또는 콘덴서(6)에 병렬연결된 저항(8)등을 간단히 분리한 후, 새것으로 교체하여 재차 끼움접속만 행하여준후 캡(12)을 역순으로 밀폐한 후, 입,출력케이블(9,9')만 캡(12)의 접속공(11,11')에 끼움접속하면 안정기(1)의 수리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방전등용 안정기(1)에 있어서, 외부케이스(2)내에 콘센트형의 중판(2')을 내장하고, 상기한 중판(2')에 간단히 끼움접속 및 분리될 수 있는 콘덴서(6)와 이그나이트(7), 저항(8)등을 결합하며, 외부케이스(2)상부는 개폐가능한 구조로 하여 입,출력케이블(9,9')을 간단히 끼움접속 및 분리할수 있는 접속공(11,11')을 가진 캡(12)을 구비함으로서, 방전등 고장의 주요인인 안정기(1)의 수리 및 부품교체 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전기료 및 예산절감 효과와 더불어 방전등 수리로 인한 민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와는 달리 안정기 고장시 안정기 전체를 새것으로 교체하지 않고, 고장난 부품만을 교체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원및 예산낭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자원의 폐기로 인한 산업쓰레기 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등 안정기의 간단한 구조개선으로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유용한 고안이다.
방전등용 안정기의 내부결선의 연결은 통상 제5도와 같으며:
교류 단상전원 2선중 1선이 콘덴서1단자(1) 및 자기누설변압기1단자(2)와 연결되고 다른 1선은 콘덴서의 다른 1단자(3)와 이그나이트 1단자(4)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부하의 1선을 구성하며, 다른 부하의 1선은 자기누설변압기의 다른 1단자(5)와 이그나이트의 다른 1단자(6)에 연결되고, 자기누설변압기의 탭선(7)은 이그나이트의 중간단자(8)에 연결된다.

Claims (1)

  1. 외부케이스(2)에 열경화성수지로 일체몰딩되는 자기누설변압기(3)와, 이그나이트(7), 콘덴서(6), 상기 콘덴서(6)에 병렬접속되는 저항(8)으로 구성된 방전등용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2)내의 자기누설변압기(3)상면에는 콘센트형의 접속공(4,4')을 가지는 중판(2')을 내장 안치하며; 상기 중판(2')의 접속공(4,4')에는 끼움접속 및 분리될수 있는 플러그형 접속단자(5,5')를 각기 가지는 콘덴서(6) 및 이그나이트(7)를 접속 연결하고; 상기 외부케이스(2)의 상면에는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캡(12)을 구비하되, 상기 캡(12)에는 입출력 접속단자(10,10')를 가진 입,출력케이블(9,9')이 끼움접속 및 분리될 수 있는 콘센트형의 접속공(11,1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등용 안정기.
KR2019940028999U 1994-10-31 1994-10-31 방전등용 안정기 KR01244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999U KR0124488Y1 (ko) 1994-10-31 1994-10-31 방전등용 안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999U KR0124488Y1 (ko) 1994-10-31 1994-10-31 방전등용 안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903U KR960015903U (ko) 1996-05-17
KR0124488Y1 true KR0124488Y1 (ko) 1998-12-15

Family

ID=1939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999U KR0124488Y1 (ko) 1994-10-31 1994-10-31 방전등용 안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4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27B1 (ko) * 2006-12-08 2008-04-11 주식회사 삼립전기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28B1 (ko) * 2006-12-08 2008-04-11 주식회사 삼립전기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227B1 (ko) * 2006-12-08 2008-04-11 주식회사 삼립전기 고휘도 방전램프용 안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903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27524B (zh) 一种开关电源用指示电路及其使用方法
EP0082879A1 (en) Line operated fluorescent lamp inverter ballast
KR0124488Y1 (ko) 방전등용 안정기
CN208479009U (zh) 一种新型一二次融合环网柜
CN107993798B (zh) 一种变压器
CN106764741A (zh) 一种线条灯
CN204795814U (zh) 无电解电容hid灯电子镇流器的数字控制电路
WO2021223252A1 (zh) 一种点火电路及装置
KR20080092865A (ko) 소켓 대 정착물 전압 제한을 가지는 안정기
CN104968135B (zh) 无电解电容hid灯电子镇流器的数字控制电路
CN2283947Y (zh) 电源供应装置
CN207010149U (zh) 绝缘套管及用该绝缘套管的充气柜
CN204810599U (zh) 通用式发光二极管灯管、电源系统及发光二极管驱动电路
CN2612205Y (zh) 荧光灯/气体放电灯两用电子镇流器
CN215988376U (zh) 一种变压器接线柱快速更换装置
CN208848699U (zh) 一种霓虹灯变压器
JPH07245186A (ja) 放電灯点灯装置
CN209488872U (zh) 一种电子式霓虹灯变压器
CN201219321Y (zh) 电子触发装置及hid灯
CN201039566Y (zh) 高效节能的电子与电感混合镇流装置
CN2161051Y (zh) 日光灯共用电源
CN2522998Y (zh) 非晶合金地下式路灯变压器
CN106373763A (zh) 一种单相箱式变压器
CN2246353Y (zh) 电子镇流器的谐波抑制器
CN2394364Y (zh) 电动机电子综合保护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