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799Y1 -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799Y1
KR0123799Y1 KR2019950035519U KR19950035519U KR0123799Y1 KR 0123799 Y1 KR0123799 Y1 KR 0123799Y1 KR 2019950035519 U KR2019950035519 U KR 2019950035519U KR 19950035519 U KR19950035519 U KR 19950035519U KR 0123799 Y1 KR0123799 Y1 KR 01237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team
hole
discharge hole
coo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5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725U (ko
Inventor
우상헌
Original Assignee
임근배
주식회사우림전자
신기룡
주원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근배, 주식회사우림전자, 신기룡, 주원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임근배
Priority to KR2019950035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799Y1/ko
Publication of KR9700207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7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7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7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취사시 밥솥내부의 증기압이 자동조절되는 안전증기배출기능과, 취사가 완료되었을 때 전기적신호에 의해 밥솥내부의 증기압이 상압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2차 증기배출장치가 일체로 구성되도록 한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오동작이 없으며 밥솥내부의 증기압이 일정하도록 하며 오물에 의한 동작오차를 줄이고자 한 것이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 고안은 솔레노이드와 배출공을 일정간격 떨어지게 구성하고 증기배출공에는 종래의 압력추를 그대로 이용하고 배출공 측면에는 지공을 구성하여 제 2실을 구비하여 배출공을 따로 구비하므로 취사완료시 솔레노이드가 동작되면 이 지공을 통하여 배출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보온밥솥의증기배출장치
제1도는 본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고안의 솔레노이드작동시의종단면도
제3도는 본고안의 일부 확대도
제4도는 종래고안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력추 20 : 증기배출판
21 : 배출공 22 : 지공
23 : 제2실 24 : 제2배출공
30 : 솔레노이드 31 : 작동핀
32 : 다이아프램 33 : 다이아프램지지부
34 : 스프링
본고안은 전기보온밥솥의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취사시 밥솥내부의 증기압이 자동조절되는 안전증기배출기능과, 취사가 완료되었을 때 전기적신호에 의해 밥솥내부의 증기압이 상압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2차 증기배출장치가 구성되도록 한 증기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압력밥솥은 밥솥 내부가 밀폐 구성된 것이므로 취사시 밥솥내부에 높은 압력이 발생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밥솥의 뚜껑에 증기압의 허용범위 이상은 자동으로 배출되도록한 압력추에 의해 차폐된 안전증기배출공과, 취사가 완료되면 밥솥내부의 증기압이 대기압과 같은 압력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기적신호에 의해 개방되는 2차 증기배출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에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 부품 수를 줄이기 위하여 안전증기배출공과 2차 증기배출장치를 하나로 구성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일반 솔레노이드구조를 수직으로 구성하여 그 하단에 플란자를 설치하며 그 플란자 하단에는 스프링이로 탄지된 압력추를 설치한 것이므로 안전증기배출기능에 있어서,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증기압이 조정되므로 밥솥내의 증기압의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며, 압력 와 플란자가 일체로 구성된 것이고 압력추의 상단후랜지(스프링 받침구)가 원판으로 구성되며 출구를 거의 차단하고 있으므로 밥솥내부의 증기압이 신속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밥솥사용에 취약점이 발생될 우려가 2차 증기배출기능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가 전원을 인가하여 플란자를 상승시킬 때 플란자는 스프링으로 탄지된 압력추와 일체로 구성된 것이므로 밭솥내부의 압력이 항상 플란자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안정적 압력배출기능이 어려웠다. 또한 압력추는 좁은 통로에 설치되고 상단의 후렌지에는 스프링이 압지하고 있으므로 압력추의 중심이 정확하지 못하고 취사시 발생되는 이물질에 의해 솔레노이드와 함께 오염되어 작동불량의 위험이 높다.
제 4 도 표시는 종래 제품의 종단면 표시로서 솥 뚜껑(1)(2)에는 통공(3')이 있는 철심(3)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철심의 하단에는 슬라이드공(P)이 있으며 그 슬라이드공에는 역시 통공이 있는 플란자(4)가 상하 슬라이딩되게 삽입되어 있으며 이 플란자 하단에는 압력추(5)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압력추는 상부에 후렌지(5')가 구비되고 이 후렌지에는 스프링(6)이 탄지되어 있으며 압력추(5)는 내뚜껑의 통공(7)을 차폐하고 있다.(공고번호(94-1931)
이러한 구성은 솥내부의 허용범위이상의 압력이 발생하면 증기압은 내뚜껑의 통공을 통해 배출압력이 발생되어 압력추를 밀어올리며 이 압력의 압력추의 무게와 스프링의 압력범위를 넘게되면 압력추가 상승하여 통공을 개구시키게되며 이 증기압은 압력추의 후렌지와 통로사이를 지나서 철심의 통로를 지나 배출된다. 이때 배출되는 증기압은 원형의 후렌지 주변의 불확실한 공간을 통과하게 되므로 배출기능이 취약하고 압력추와 스프링의 합한 압력 이상의 증기압만이 배출되므로 스프링이 순간순간의 피로도에 따라 솥내부의 증기압이 변화되는 결점이 있으며, 그 위치가 극히 제한적이어서 증기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의 영향을 쉽게 받게되어 오동작의 우려가 높으며, 2차증기배출기능에 있어서는, 취사가 완료되었을 때 전기적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가 도통되어 플란자가 상승하면 이와 일체로 된 압력추가 상승하는바 이때의 상승압력 역시 스프링과 압력추의 반력을 감안하여 설치된 것이므로 매우 민감하여 밥솥내부의 증기압을 상압으로 유지 시키기는 매우 어렵고 하부의 압력추에는 항상 밥솥내부의 압력이 그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와 일체로된 플란자의 승하강작용의 모먼트가 일정치 않는 결점이 있었다.
한편 높은 온도의 증기압과 온도는 증기배출공주변에 설치된 전자장구조를 쉽게 파손시키는 결점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첫째 목적은 솔레노이드를 증기배출공과 격리 시키므로 전자장구조물의 오손을 방지하며, 둘째목적은 안전증기배출공은 그대로 두고 종래와 같이 압력추를 사용하므로 안전증기압은 일정하도록 하며 이물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본고안은 솔레노이드와 배출공을 일정간격 떨어지게 구성하고 증기배출공에는 종래의 압력추를 그대로 이용하고 배출공측면에는 지공을 구성하여 이와 연통된 제2실을 구비하여 따로 구비된 제2배출공과 연통되도록 하므로 취사완료시 솔레노이드가 동작되면 이 지공을 통하여 제2배출공으로 배출되게 한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이다. 중앙에 배출공(21)이 있고 상부에 압력추(10)로 차폐된 증기배출관(20)의 일측벽에 제 2 실(23)이 있으며 상기 제 2 실은 지공(22)이 뚫려 있어 증기배출관의 배출공(21)과 연동되어 상부의 제2배출공(24)과 연결되며, 제 2 실 일측에는 다이아프램(32)으로 격리된 솔레노이드(30)가 설치되고 이 솔레노이드의 작동핀(31)은 스프링(34)으로 탄지되어있으며 선단은 다이아프램(31)에 지지되어 지공(22)과 대치되어 지공에 밀접되고 다이프램의 주연지지부(33)는 제2실의 측벽에 고정되어 있다.
제2도는 전원이 인가되어 솔레노이드의 작동핀이 후퇴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경우 지공이 개방되어 제2실과 증기배출관(20)의 배출공(21)과 관통되고 따라서 제2배출공(24)를 통해 증기압이 배출되며 이 증기압은 압력추의 배출공(11)으로 배출된다.
제3도는 지공(22)과 밀접된 작동핀(31)의 선단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 이 지점에 융기형 접지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접지부의 융기부직경은 지공(22)의 직경보다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구성된 본고안의 증기배출장치는 배출파이프의 배출공이 항상 밥솥내부와 직접 연통되어 있고, 그 배출공의 측벽의 지공은 작동핀에 의해 차폐되어 있으며 상부 입구는 공지의 압력추에 의해 폐구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밥솥내부의 증기압이 압력추를 상승시킬 수 있는 허용압력 이상이 되면 배출파이프의 배출공을 통해 증기압이 제 2 배출공(24)으로 배출되므로 증기압은 장애물이 없이 배출된다. 이상은 공지의 안전증기배출기능과 같은 것으로 계산된 압력추의 무게에 의해 밥솥내부의 증기압이 항상 일정하게 배출되므로 허용오차가 적으며 오동작의 염려가 없다. 제1도표시
이와같이 적당한 압력상태에서 취사가 완료되면 밥솥에 설치된 전기적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에 전원이 인가되고 따라서 작동핀이 후퇴하여 지공(22)을 개방하면 증기압은 지공을 통해 제2실과 제2배출공을 통해 압력추의 배출공으로 배출된다. 이때의 압력추는 밥솥내부에 압력추를 상승시킬수 없는 적당한 압력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압력추는 배출공(21)을 막고 있으나 제2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압은 이 배출공(21)에 영향을 받지않고 작동핀이 후퇴하고 있는 이상 밥솥내부의 증기압은 상압이 될 때까지 배출되는 것이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전원이 차단되고 따라서 작동핀은 스프링의 탄지력에 의해 복귀되어 지공을 차단한다.
이와같이 밥솥내부의 증기압은 종래와 같이 압력추에 의해 안정되므로 정밀한 기술이 요하지 않으며 고장이나 오동작의 염려가 없고, 솔레노이드에 의해 지공을 개방하므로 압력추가 막고 있어도 제2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이물질에 의한 구조물의 오염이나 이에따른 오동작의 우려가 적다.

Claims (1)

  1. 배출공(21)의 상부에 압력추(10)로 차폐된 증기배출관(20)의 상부에 제2배출공(24)을 구비하고, 배출공(21)의 일측벽에는 지공(22)을 뚫어 제2배출공(24)와 연통된 제2실(23)을 구성하며, 제2실의 일측에는 다이아프램(33)에 의해 격리된 솔레노이드(30)가 설치되고 이 다이아프램의 중앙선단은 스프링(34)에 탄지된 작동핀(31)에 의해 지공에 밀접되게 구성된 전기보온밥솥의증기배출장치.
KR2019950035519U 1995-11-24 1995-11-24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KR01237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519U KR0123799Y1 (ko) 1995-11-24 1995-11-24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519U KR0123799Y1 (ko) 1995-11-24 1995-11-24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725U KR970020725U (ko) 1997-06-18
KR0123799Y1 true KR0123799Y1 (ko) 1998-09-15

Family

ID=1943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5519U KR0123799Y1 (ko) 1995-11-24 1995-11-24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7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996B1 (ko) * 2012-09-20 2015-02-25 자오 안 시오., 엘티디. 압력솥의 배기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3589B1 (ko) * 1997-12-31 2002-11-14 엘지전자주식회사 유도가열밥솥의증기배출장치
KR20020039193A (ko) * 2000-11-20 2002-05-25 구자홍 조리기용 증기배출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996B1 (ko) * 2012-09-20 2015-02-25 자오 안 시오., 엘티디. 압력솥의 배기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725U (ko) 1997-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97057A (en) Safety valve
KR0123799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US2367260A (en) Pressure and vacuum relief device
KR200378462Y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제어장치
KR0123801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EP0422305B1 (en) Float chamber
KR100473769B1 (ko) 압력솥 일체형 레버밸브
KR20000019297U (ko) 전기 압력밥솥의 증기압 조절장치
KR920018398A (ko) 열응동식 스팀트랩
KR200157616Y1 (ko) 취사용 압력솥의 상시 열림형 솔레노이드밸브
JP3828456B2 (ja) 炊飯器における蒸気逃がし構造
KR0127108Y1 (ko) 전기 압력밥솥의 안전변
KR940004554Y1 (ko) 압력솥의 증기압 조절 배출장치
KR20000039357A (ko) 전기 압력밥솥 겸용 조리기의 안전밸브를 겸한 솔레노이드밸브장치
BE1002097A6 (nl) Thermostatische klep voor o.a. verwarmingsapparaten.
KR200157754Y1 (ko) 저압시 신호 출력용 감압밸브
KR100230464B1 (ko) 전기 압력밥솥겸용 조리기의 2중 안전 솔레노이드장치
KR0132850Y1 (ko) 전기보온 압력밥솥의 과압경보장치
KR200277332Y1 (ko) 전기압력밥솥의 증기배출장치
JPH0538695Y2 (ko)
KR0176923B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의 안전장치
KR0132710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JP4209502B2 (ja) 下向バケット型スチームトラップ
JPS6230661Y2 (ko)
KR970045549A (ko) 스크롤 압축기의 과부하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