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447B1 -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447B1
KR0123447B1 KR1019930000729A KR930000729A KR0123447B1 KR 0123447 B1 KR0123447 B1 KR 0123447B1 KR 1019930000729 A KR1019930000729 A KR 1019930000729A KR 930000729 A KR930000729 A KR 930000729A KR 0123447 B1 KR0123447 B1 KR 0123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ty
display
temperature
display mode
discomfort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0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619A (ko
Inventor
이철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0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447B1/ko
Publication of KR94001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447B1/ko

Links

Landscapes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를 원격제어하는 리모콘에 체감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부착하여 감지되는 온도와 습도의 데이타 값을 주기적으로 실내기에 송신하여 쾌적제어를 할 수 있도록한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체감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체감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체감온도, 습도감지단계(20)와, 체감온도를 표시하는 체감온도표시단계(21)와, 상기 체감온도표시단계(21)에서 현재 습도표시모드인가를 판단하여 현재습도표시가 아니면 불쾌지수를 산출, 표시하고, 현재 습도표시모드이면 습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현재습도표시모드단계(22)와, 상기 현재 습도표시모드단계(22)에서 산출된 체감온도, 습도, 불쾌지수값을 소정시간동안 카운트하여 소정시간 카운트하였으면 상기 체감온도, 습도, 불쾌지수를 실내기로 송신하고, 카운트를 리세트하는 실내기 제어단계(27)와, 상기 소정시간 카운트가 아니면, 습도 및 불쾌지수 표시절환 키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표시절환키 신호입력판단단계(29)와, 상기 표시절환키 신호입력판단단계(29)에서 표시신호키가 입력되어 있으면 습도표시모드인가를 판단하여 습도표시모드가 아니면 습도표시모드를 설정하는 습도표시모드설정단계(32)와, 상기 습도표시모드이면 불쾌지수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불쾌지수표시모드설정단계(31)로 하여 쾌적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제어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제어방법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모콘마이콤 2 : 키조작부
3 : 적외선 송신부 4 : 표시부
5 : 적외선송신부 6 : 실온감지부
7 : 실내기마이콤 8 : 실내팬구동부
9 : 압축기구동부 10 : 표시부
11 : 전원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콘에 체감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부착하여 감지되는 온도와 습도의 데이타 값을 주기적으로 실내기에 송신하여 쾌적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조화기의 리모콘에는 쾌적운전을 위하여 현재 실내온도를 표시하는 기능은 있으나, 실내습도, 쾌적정도를 표시하는 기능은 없고, 실내기에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쾌적운전을 하도록 되어있어, 사용자가 느끼는 체감온도와 실내기에서 감지된 온도와의 차이로 인해 실질적인 쾌적조건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콘으로 체감온도와 습도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신호데이타 값은 실내기에 주기적으로 송신하여 실내기에서 수신된 상기 신호데이타값과 실내기에서 감지된 실내온도와의 오차를 보상하여 쾌적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으며,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내기를 원격 제어하는 리모콘의 마이콤에 체감온도를 감지하는 체감온도감지부와, 실내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와, 상기 체감온도표시 및 습도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부가하여, 상기 체감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체감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체감온도, 습도감지단계와, 체감온도를 표시하는 체감온도 표시단계와, 상기 체감온도표시단계에서 현재 습도표시 모드인가를 판단하여 현재습도표시가 아니면 불쾌지수를 산출, 표시하고, 현재 습도표시모드이면 습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현재습도표시모드단계와, 상기 현재 습도표시모드단계에서 체감온도, 습도, 불쾌지수 값을 소정시간동안 카운트하여 소정시간 카운트하였으면 상기 체감온도, 습도, 불쾌지수를 실내기로 송신하고 카운트를 리세트하는 실내기 제어단계와, 상기 소정시간 카운트가 아니면, 습도 및 불쾌지수 표시절환 키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표시절환키 신호입력판단단계와, 상기 표시절환키 신호입력판단단계에서 표시신호키가 입력되어 있으면 습도표시모드인가를 판단하여 습도표시모드가 아니면 습도표시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습도표시모드이면 부쾌지수표시모드를 설정하는 습도표시모드판단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 블럭도로서, 체감온도, 습도, 불쾌지수에 관한 리모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콘 마이콤(1)과, 상기 리모콘 마이콤(1)에 각종 명령 키신호를 입력시키는 키조작부(2)와,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 제어된 신호를 적외선 송신하는 적외선 송신부(3)와,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 제어된 각종 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4)와, 상기 적외선 송신부(3)에서 송신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5)와,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실내온도감지부(6)와, 상기 적외선수신부(5)와 실내온도감지부(6)에서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하는 실내기마이콤(6)과, 상기 실내기 마이콤(6)에서 제어출력되는 신호를 받아 구동하는 실내팬구동부(8), 압축기구동부(9), 표시부(10)로 구성되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 체감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를 변환하여 입력하는 체감온도감지부(11)와, 실내습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를 변환하여 입력하는 습도감지부(12)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제어 블럭도로서, 체감온도감지부로 체감온도 및 습도감지부로 습도를 감지하는 체감온도 및 습도감지단계(20)와, 상기 체감온도 및 습도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체감온도를 표시하는 체감온도표시단계(21)와,상기 체감온도표시단계(21)에서 체감온도가 표시되었으면, 현재 습도표시모드인가를 판단하는 현재습도표시모드판단단계(22)와, 상기 현재습도표시모드판단단계(22)에서 현재 습도표시모드이면 습도를 표시하는 습도표시단계(23)와, 상기 현재습도표시모드판단단계(22)에서 습도표시모드가 아니면 불쾌지수를 산출하는 불쾌지수산출단계(24)와, 상기 블쾌지수산출단계(24)에서 불쾌지수 산출이 되면 불쾌지수를 표시하는 불쾌지수표시단계(25)와, 상기습도표시단계(23)와 불쾌지수표시단계(25)에서 표시가 완료되었으면 소정시간 카운트가 완료돠었는가를 판단하는 소정시간 카운트판단단계(26)와, 상기 소정시간 카운트판단단계(26)에서 소정시간이 카운트가 되었으면 체감온도, 습도값, 불쾌지수를 실내기로 송신하게 되는 실내기제어단계(27)와, 상기 소정시간 카운트를 리세트시키는 카운트 리세트단계(28)와, 상기 소정시간카운트단계(26)에서 소정시간 카운트가 되지 않았으면 습도, 불쾌지수표시 절환키 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표시절환키 입력판단단계(29)와, 상기 표시절환키 입력판단단계(29)에서 표시절환키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상기 체감온도, 습도감지단계(20)를 수행하고, 표시 절환키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습도표시 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습도표시모드판단단계(30)와, 상기 습도표시모드판단단계(30)에서 습도표시모드이면 불쾌지수표시모드를 설정하는 불쾌지수표시모드설정단계(31)와, 상기 습도표시모드판단단계(30)에서 습도표시모드가 아니면 습도표시모드를 설정하는 습도표시모드설정단계(32)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리모콘의 키조작부(2)를 통해서 전원을 인가하면,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입력된 신호를 제어하여 제어된 신호를 표시부(4)를 통해서 전원 온 상태를 표시함과 아울러 적외선송신부(3)를 통해서 전원신호를 실내기로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실내기의 마이콤(7)에서는 상기 리모콘에서 입력된 신호를 적외선수신부(5)를 통해서 받아 실내팬구동부(8), 압축기구동부(9)를 제어구동시키고, 표시부(10)를 통해서 구동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구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체감온도, 습도 감지단계(20)로 가서 체감온도감지부(11)와 습도감지부(12)를 통해서 현재 체감온도와 습도를 감지하게 되고 이어서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체감온도표시단계(21)로 가서 상기 감지된 체감온도를 상기 리모콘의 표시부(4)에 표시를 시켜주게 되며,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현재 습도표시모드판단단계(22)로 가서 현재 습도와 불쾌지수 표시가 가능한 표시부(4)에 현재습도표시모드를 하고 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 습도를 표시하고 있으면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습도표시단계(23)로 가서 현재 감지된 습도를 계속해서 표시하게 되고, 상기 현재습도표시모드가 아니면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감지된 불쾌지수산출단계(24)로 가서 불쾌지수를 산출하게 되는데 즉 불쾌지수(P)는 실내상대습도, 실내온도변화에 따라 구해지게 되는바,
불쾌지수(P)=(ta+tw)×0.72+40.6(ta : 건구온도=실내온도)(tw : 습구온도)
상기 습구온도(tw)는 싸이크로 매트릭크 챠트에 의해 tw=f(RH)가 산출된다.
상기와 같이 불쾌지수산출단계(24)에서 불쾌지수가 산출되면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불쾌지수표시수단계(25)로 가서 표시부(4)에 산출된 불쾌지수를 표시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소정시간카운트판단단계(26)로 가서 카운터로 소정시간(30분)을 카운트하고 소정시간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며 이때 소정시간이 완료되면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실내기제어단계(27)로 가서 상기 체감온도, 습도값, 산출된 불쾌지수 신호를 적외선송신부(3)를 통해 실내기의 적외선수신부(5)에 송신을 하게 되는데,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상기소정시간(30분)간격으로 송신을 하게 되고 아울러 리세트단계(28)로 가서 상기 카운트된 소정시간을 리세트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적외선 수신부(3)에서는 수신된 상기체감온도,습도값,불쾌지수를 실내기의 마이콤(7)에 입력시키게 되고, 상기 실내기 마이콤(7)에서는 실온감지부(6)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 입력된 체감온도와 차에 대하여 보상 및 설정온도차 계산, 리모콘마이콤(1)에서 감지된 설정습도차를 계산하고 상기 실내기마이콤(7)에서는 상기 계산된 값으로 실내팬구동부(8)를 제어하여 상기 실내팬(M)의 회전수를 설정하고 구동시키며, 또한 상기 실내기마이콤(7)에서는 압축기 구동부(9)를 제어하여 압축기(COMP)의 운전주파수를 가변시켜 가면서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 송신된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와 대비하면서 쾌적제어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의 소정시간카운트판단단계(26)에서 소정시간 카운트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표시절환키입력판단단계(29)로 가서 키조작부(2)로부터 습도, 불쾌지수 표시절환키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되고, 이때 습도, 불쾌지수 표시절환키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상기 체감온도, 습도감지단계(20)로부터 상기 소정시간 카운트가 될때까지 반복수행을 하게 되며, 상기습도, 불쾌지수 표시절환키 신호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리모콘마이콤(1)에서는 습도표시모드판단단계(30)로 가서 다시 습도표시모드인가를 판단하여 습도표시모드가 아니면 습도표시모드설정단계(32)로 가서 습도표시모드를 설정하여 리모콘표시부(4)로 습도를 표시하게 하고,상기 습도표시모드이면 불쾌지수표시모드설정단계(31)로 가서 불쾌지수모드를 설정하여 상기 리모콘 표시부(4)로 불쾌지수를 표시하면서 상기 체감온도, 습도감지단계(20)로 부터 상기 과정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원격제어하게 되는 리모콘의 마이콤에 체감온도감지부, 습도감지부를 부가하여, 상기 체감온도감지부와 습도감지부에서 감지된 체감온도 및 습도에 따른 불쾌지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신호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실내기마이콤에 송신하여 실내기마이콤의 실내팬과 압축기를 구동제어시킴으로써 실내를 공간을 보다 쾌적하게 제어를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공기조화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마이콤이 구비된 리모콘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의 마이콤(1)에 체감온도를 감지하는 체감온도감지부(11)와, 실내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부(12)와, 상기 체감온도표시, 습도, 불쾌지수를 표시하는 표시부(4)를 구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2. 공기조화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제어방법에 있어서, 체감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체감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체감온도, 습도감지단계(20)와, 체감온도를 표시하는 체감온도표시단계(21)와, 상기체감온도표시단계(21)에서 현재 습도표시모드 인가를 판단하여 현재습도표시가 아니면 불쾌지수를 산출, 표시하고, 현재 습도표시모드이면 습도를 표시하도록 하는 현재습도표시모드단계(22)와, 상기 현재습도표시모드단계(22)에서 산출된 체감온도, 습도, 불쾌지수값을 소정시간동안 카운트하여 소정시간 카운트하였으면 상기 체감온도, 습도, 불쾌지수를 실내기로 송신하고, 카운트를 리세트하는 실내기 제어단계(27)와, 상기 소정시간 카운트가 아니면, 습도 및 불쾌지수 표시절환 키신호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표시절환키 신호입력판단단계(29)와, 상기 표시절환키 신호입력판단단계(29)에서 표시신호키가 입력되어 있으면 습도표시모드인가를 판단하여 습도표시모드가 아니면 습도표시모드를 설정하는 습도표시모드 설정단계(32), 상기 습도표시모드이면 불쾌지수표시 모드를 설정하면 불쾌지수표시모드설정단계(31)로 이루어지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리모콘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제어단계(27)에서 소정시간 카운트가 완료될때마다 상기 산출된 체감온도, 습도, 불쾌지수를 실내기에 송신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제어방법.
KR1019930000729A 1993-01-21 1993-01-21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 KR012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729A KR0123447B1 (ko) 1993-01-21 1993-01-21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0729A KR0123447B1 (ko) 1993-01-21 1993-01-21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619A KR940018619A (ko) 1994-08-18
KR0123447B1 true KR0123447B1 (ko) 1997-12-01

Family

ID=1934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0729A KR0123447B1 (ko) 1993-01-21 1993-01-21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365B1 (ko) * 2012-02-13 2013-11-08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행위 및 공간 인지 기반 건물 공조제어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절약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619A (ko) 1994-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671A (en) Air conditioner
JP3456909B2 (ja) 遠隔制御装置およびそれによって制御される家電機器を含んだ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装置
KR0123447B1 (ko) 공기조화기의 리모콘 및 그 제어방법
WO2021060233A1 (ja) 家電機器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US20110217184A1 (en) Solar Powered Attic Fan Control System
JPH0445342A (ja) 空気調和器
KR0177944B1 (ko) 에어컨의 취침 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0163299B1 (ko) 리모콘 및 그 쾌적온도표시 제어방법
KR0163873B1 (ko) 냉난방기용 온도 제어 시스템
KR20060124958A (ko) 공기 조화기의 취침 운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40004428Y1 (ko) 리모콘 제어기기의 온도제어회로
KR930009566B1 (ko) 공기조화기의 쾌적제어방법
KR100388666B1 (ko) 공기조화기의 온도 제어방법
KR940006912B1 (ko) 에어콘의 자동풍량 조절방법
KR950000933B1 (ko) 보일러 제어방법과 장치
JPH06257820A (ja) 空気調和機
JPH05172380A (ja) 空気調和機
KR940009602A (ko) 공기조화기의 제습운전장치 및 그 제습운전방법
KR0159608B1 (ko) 공기조화기의 운전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5344566A (ja) 遠隔操作装置とその遠隔操作方法
JP2001355891A (ja) 空気調和機
KR950008739B1 (ko) 에어콘의 습도 감지방법과 이 방법을 이용한 에어콘의 제습운전 제어방법 및 장치
KR0150727B1 (ko) 수지 온도 센서를 이용한 에어콘 제어방법
KR0159611B1 (ko) 가습기능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7327273A (ja) ワイヤレス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