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221Y1 - 카세트데크의모드변환기구 - Google Patents

카세트데크의모드변환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221Y1
KR0123221Y1 KR2019920002808U KR920002808U KR0123221Y1 KR 0123221 Y1 KR0123221 Y1 KR 0123221Y1 KR 2019920002808 U KR2019920002808 U KR 2019920002808U KR 920002808 U KR920002808 U KR 920002808U KR 0123221 Y1 KR0123221 Y1 KR 0123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arm
lever
mode
cassette deck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028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0325U (ko
Inventor
성인석
Original Assignee
황선두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두,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선두
Priority to KR20199200028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221Y1/ko
Publication of KR930020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03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2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Landscapes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카세트 데크의 모드 변환 기구에서 트랜스퍼 아암(51)을 스프링(65)으로 인장지지하는데 따른 스프링(65)의 반탄력으로 레버의 조작력이 부드럽지 못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트랜스퍼 아암(51)의 일측 종단에 돌출부(2)를 형성하고 리와인드 레버(59)의 접촉부 아암에는 이와 대응되는 대응부(2)를 형성하여 리와인드 레버(59)의 대응부(1)와 상기한 돌출부(2)에 의해 트랜스퍼 아암(51)이 구속될 수 있게 형성함으로써 레버의 조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카세트 데크의 모드변환기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모드변환 기구의 정속 주행시 모드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서 모드 변환 기구의 패스트 포워드시 모드를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랜스퍼 아암에서 아이들 기어와 풀리를 제외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종래 모드 변환 기구를 도시한 개략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응부 2 : 돌출부
본 고안은 카세트 데크의 모드 변환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세트 데크에서 레버의 조작으로 모드를 변환할 때 사용되는 트랜스퍼 아암을 탄성 지지하도록 스프링으로 연결하는데 따른 레버의 조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세트 데크의 모드변환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세트 데크는 카세트 테이프를 호울더에 삽입하여 카세트 데크로 착탈시키는 이젝트 기구와, 로오딩된 카세트 데이프를 구동시키는 허브구동기구 그리고 허브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정속 구동기구와, 카세트 테이프에 녹음된 음을 재생하기 위한 헤드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허브구동 기구는 플레이시 허브를 저속으로 구동시킴과 아울러 패스트 포워드와 리와인드시 허브를 정회전 혹은 역회전으로 고속구동시키는 바, 이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연결된 플라이 휠(50)과 트랜스퍼 아암(51)에 설치된 풀리(52)가 통상의 벨트(53)로 연결되어 있고 풀리(52)의 대향측면에는 아이들 기어(54)가 부착되어 트랜스퍼 아암(51)의 양측에 설치된 정,역회전 허브축(55,56)과 간헐 접촉될 수 있으며 트랜스퍼 아암(51)의 일측에는 가이드 샤프트(57)가 형성되어 패스트 포워드 레버(58)와 리와인드 레버(59)에 의해 현지로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정회전 허브축(55)에는 정속 주행시와 패스트 포워드시의 트랜스퍼 기어(60,61)가 밀착되어 플레이 레버(62)에 의해 정속 주행시는 아이들 기어(54)와 정속 주행용 트랜스퍼 기어(60)가 치합되어 정회전 허브축(55)을 회전시키고, 패스트 포워드시에는 패스트 포워드 레버(58)가 하강됨과 아울러 패스트 포워드 레버(58)에 형성된 아암(63)에 의해 트랜스퍼 아암(5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패스트 포워드 트랜스퍼 기어(61)와 치합됨으로써 정회전 허브축(55)이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스톱레버(64)로 정속 주행모드를 종료시키고 리와인드 레버(59)를 누르면 트랜스퍼 아암(51)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역회전 허브축(56)에 아이들 기어(54)가 치합됨으로써 반시계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이때, 트랜스퍼 아암(51)의 일측에는 프레임에 부착된 통상의 스프링(65)이 연결되어 정속 주행시와 패스트 포워드시에 트랜스퍼 아암(51)의 아이들 기어(54)가 정속 주행용 트랜스퍼 기어(60)와 패스트 포워드 트랜스퍼 기어(61)와 치합되는 상태를 인장함으로써 유지시킨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이 트랜스퍼 아암(51)에 스프링(65)을 연결하여 각 모드의 동작시 아이들 기어(54)와 각 기어간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킴은 정속 주행시 스프링(65)이 인장된 상태에서 다른 모드로 변환되기 때문에 스프링(65)의 복원력에 의해 레버의 조작이 부드럽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카세트 데크의 모드 변환 기구에서 트랜스퍼 아암을 스프링으로 인장지지하는데 따른 스프링의 반탄력으로 레버의 조작력이 부드럽지 못함을 개선할 수 있는 카세트 데크의 모드 변환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랜스퍼 아암의 일측 종단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리와인드 레버의 접촉부 아암에는 이와 대응되는 대응부를 형성하여 리와인드 레버의 대응부와 상기한 돌출부에 의해 트랜스퍼 아암이 구속될 수 있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카세트 데크 모드 변환 기구의 정속 주행 모드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플레이 레버(62)가 눌려진 상태에서 플라이 휠(50)과 트랜스퍼 아암(51)에 설치된 풀리(52)가 통상의 벨트(53)로 연결되지 않고 정속 주행용 트랜스퍼 기어(60)과 아이들 기어(54)와 치합됨과 아울러 정회전 허브축(55)과 치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트랜스퍼 아암(51)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 샤프트(57)는 패스트 포워드 레버(58)의 아암(62)에 의해 지지됨과 아울러 리와인드 레버(59)에 형성된 대응부(1)에 의해 가이드 샤프트(57)의 측부에 형성된 돌출부(2)가 구속됨으로써 트랜스퍼 아암(51)이 고정되어 아이들 기어(54)와 정속 주행용 트랜스퍼 기어(60)의 치합상태가 요동없이 정속 주행모드가 유지된다.
그리고, 정속 주행모드를 해제하고 패스트 포워드 모드로 동작될 때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트 포워드 레버(58)가 하강됨과 아울러 패스트 포워드 레버(58)의 종단에서 가이드 샤프트(57)가 이탈되어 슬라이드됨으로써 트랜스퍼 아암(5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아이들 기어(54)와 패스트 포워드 트랜스퍼 기어(61)가 지합되는 바, 이는 트랜스퍼 아암(51)의 풀리(52)와 플라이 휠(50)을 연결하는 벨트(53)의 장력으로 트랜스퍼 아암(5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한 트랜스퍼 아암(51)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이드 아암(66)과 가이드 샤프트(57)가 형성된 본체 일측에 리와인드 레버(59)의 대응부(1)와 대응되는 돌출부(2)를 형성하였으며 리와인드 모드시 트랜스퍼 아암(51)의 동작은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과 리와인드 레버(59)에 의해 가이드 샤프트(57)가 구속됨으로써 별다른 구속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트랜스퍼 아암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대응부를 리와인드 레버에 형성함으로써 정속 주행 모드시 트랜스퍼 아암이 고정되어 요동되지 않게 하여 스프링으로 트랜스퍼 아암을 구속함에 따른 레버 조작력의 부드럽지 못함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가이드 샤프트(57)와 가이드 아암(66)이 형성되어 있고 아이들 기어(54)와 풀리(52)가 설치되어 스프링(65)으로 탄성조정되는 트랜스퍼 아암(51)을 각각의 레버와 연동시켜 모드를 변환하는 카세트 데크의 모드 변환 기구에 있어서, 상기한 트랜스퍼 아암(51)의 일측에 돌출부(2)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대응부(2)를 리와인드 레버(59)에 설치하여 플레이시 돌출부(2)와 대응부(1)에 의해 트랜스퍼 아암(51)이 구속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세트 데크의 모드 변환기구.
KR2019920002808U 1992-02-25 1992-02-25 카세트데크의모드변환기구 KR0123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02808U KR0123221Y1 (ko) 1992-02-25 1992-02-25 카세트데크의모드변환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02808U KR0123221Y1 (ko) 1992-02-25 1992-02-25 카세트데크의모드변환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325U KR930020325U (ko) 1993-09-24
KR0123221Y1 true KR0123221Y1 (ko) 1998-10-15

Family

ID=1932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02808U KR0123221Y1 (ko) 1992-02-25 1992-02-25 카세트데크의모드변환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22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325U (ko) 199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2994A (en) Video tape recorder
KR960010030B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조그장치
KR93000922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브레이크 구동장치
KR0123221Y1 (ko) 카세트데크의모드변환기구
US5535957A (en) Reel table driving apparatus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US5573197A (en) Reel disc driving device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US5833162A (en) Reel table driving device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US5884858A (en) Reel table driving mechanism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EP0345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KR19990077965A (ko) 자기기록및재생장치
KR960002757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제어장치
KR940001747B1 (ko) 자기기록 및 재생기의 릴 구동장치
EP0944062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KR011789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아이들러 제어장치
KR014123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동력변환장치
US6045080A (en) Belt tension varying apparatus for portable audio logic deck
US5909854A (en) Reel table driving device for a video cassette recorder
KR19980053270A (ko) 브이씨알 데크 메카니즘의 타이밍 벨트 장력 제어 장치
US5566035A (en) Device for driving idler of deck mechanism of video cassette recorder
KR0147566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동력변환장치
US5833164A (en) Tape reel driving device
KR930006574Y1 (ko) 픽업 구동장치
KR920003386Y1 (ko) 테이프레코더의 자동반전장치
KR100214616B1 (ko) 브이씨알의 데크 메카니즘의 모드변환장치
KR0113201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 암 승강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