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099Y1 -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099Y1
KR0123099Y1 KR2019960000360U KR19960000360U KR0123099Y1 KR 0123099 Y1 KR0123099 Y1 KR 0123099Y1 KR 2019960000360 U KR2019960000360 U KR 2019960000360U KR 19960000360 U KR19960000360 U KR 19960000360U KR 0123099 Y1 KR0123099 Y1 KR 0123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cket
cleaning brush
support plate
spac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532U (ko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철 filed Critical 이영철
Priority to KR2019960000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099Y1/ko
Publication of KR9700495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5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65F1/143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having a waste receptacle withdrawn upon opening of the enclo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10Hand tools for cleaning the toilet bowl, seat or cover, e.g. toile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05Side walls formed with an aperture or a movable portion arranged to allow removal or insertion of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Lavatory brush, i.e. brushes for cleaning toi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종래 세척솔을 별도로 보관하는데 따른 비위생적이고 외관상 불결한 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통상의 쓰레기통 몸체 저부 공간부(1)에 포켓(3)을 내설하되 포켓은 일단의 지지판(4)과 일체로 형성되어 저부 외측단을 핀(5)으로 축설 회동되도록 하는 한편 몸체의 전면에는 요입부(2)를 형성한 구조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세척솔은 그 솔본체가 포켓에 삽입되어 포켓을 회동시키므로써 몸체의 저부 공간부에 내설되도록 한다.
또 손잡이는 몸체의 전면 요입부(2)에 수용되어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며 세척솔의 사용시에는 상기 지지판을 외측으로 회동시켜 포켓을 외부로 개방시켜 줌으로써 세척솔을 간단히 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 요부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공간부 2:요입부
3:포켓 4:지지판
5:핀
본 고안은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통상 화장실에는 변기 또는 화장실 바닥을 청소하기 위한 세척솔과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보관하기 위한 쓰레기통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세척솔과 쓰레기통은 각각 별도로 비치하게 되는데 특히 세척솔의 경우 오염이 심하여 악취를 발생할 뿐 아니라 외관상 불결하여 별도의 보관을 요구로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하여 특별히 보관함등을 구입하기에는 필요이상의 경비가 지출되므로 구입을 기피하고 있으며 또 이와같은 보관함을 구입한다하더라도 화장실내의 협소한 공간부를 점유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상기 세척솔을 화장실의 코너벽에 적당히 세워 보관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은 물론, 외관상 불결함을 감수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화장실용 쓰레기통에 상기 세척솔을 위생적으로 보관하고 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그 구조적 장치를 갖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덮개(10)와 몸체(20)로 이루어진 통상의 화장실용 쓰레기통에 있어서, 몸체(20)저부에는 전면이 개방된 공간부(1)를 형성하고 몸체(20)의 전면에는 상기 공간부(1)의 개방면과 연하는 요입부(2)를 요설하는 한편, 공간부(1)내에는 외측으로 지지판(4)이 일체로 형성된 포켓(3)를 내설하되 포켓(3)은 그 외측단 저부를 핀(5)으로 축설하여 내, 외방으로 회동되도록 한 구조이다.
상기 지지판(4)은 포켓(3)과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동되며 포켓(3)이 공간부(1)내에 내설된 상태에서의 지지판(4)은 수직으로 입설되어 상기 공간부(1)의 개방된 전면을 밀폐하게 된다.
또 포켓(3)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판(4)의 상단을 손가락등으로 당기면 이와 일체로 형성된 포켓(3)은 저부의 핀(5)을 편축으로하여 회동되면서 몸체(20)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통상의 세척솔(30)은 솔본체(31) 및 길게 형성되는 손잡이(32)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 고안의 쓰레기통에 보관시에는 상기 솔본체(31)가 포켓(3)에 삽입되어지는 상태로 보관된다.
따라서 포켓(3)은 솔본체(31)가 포켓(3)상방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적정수준으로 노출시키도록 하는데 이에따라 지지판(4)이 외방으로의 회동시 소정 경사각도에서 멈춰질 수 있도록 적절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에 있어서 세척솔(31)을 보관할 때에는 상기 지지판(4)을 외방으로 회동시켜 포켓(3)을 공간부(1)에서 인출한 다음 솔본체(31)가 쓰레기통 몸체(20)쪽으로 향하도록 포켓(4)내에 삽입한다.
이때의 손잡이(32)는 지지판(4)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입설되며 이어 지지판(4)을 몸체(20)쪽으로 밀어주면 상기 지지판(4) 및 이와 일체로 형성된 포켓(3)은 핀(5)을 축으로하여 상기 세척솔(30)과 함께 회동되면서 포켓(3)은 공간부(1)에 내설되고 지지판(4)은 상기 공간부(1)의 개방된 전면을 밀폐함과 동시에 손잡이(32)는 몸체(20)전면에 수직으로 형성된 요입부(2)에 삽설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 요입부(2)는 세척솔(30)의 손잡이(32)를 수용함으로써 몸체(20)에서 외부로 돌출되지 아니하며 특히 솔본체(31)는 공간부(1)에 내설되는 포켓(3)에 삽입되어지므로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아니한다.
또 손잡이(32)를 삽입한 요입부(2)의 상하 길이는 손잡이(32)의 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하여 손잡이(32)의 상부 쪽으로 다소 여유홈을 갖도록 하는데 이는 세척솔(31)의 인출시 이를 통하여 손잡이(32)상단을 손가락 등으로 쉽게 외방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세척솔(30)이 보관된 상태에서의 지지판(4)은 몸체(20)의 전면에 수평면으로 밀착된 상태가 되어 지지판(4)을 이용한 그 회동수단이 여의치 못하므로 세척솔(30)의 인출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세척솔(30)의 손잡이(32)상단을 잡고 외방으로 당겨주면 이와 밀착된 지지판(4)이 쉽게 회동되어 포켓(3)이 외부로 개방되므로 세척솔을 어려움 없이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쓰레기통 몸체(20)를 저부로 조금만 연장 구성하면 위생적이고도 외관상 조악하지 않는 세척솔(30)의 보관수단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또 극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세척솔 구비에 따른 화장실의 공간부를 점유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덮개(10)와 몸체(20)로 이루어진 통상의 화장실용 쓰레기통에 있어서, 몸체(20)저부에는 전면이 개방된 공간부(1)를 형성하고 몸체(20)의 전면에는 상기 공간부(1)의 개방면과 연하는 요입부(2)를 요설하는 한편, 공간부(1)내에는 외측으로 지지판(4)이 일체로 형성된 포켓(3)를 내설하되 포켓(3)은 그 외측단 저부를 핀(5)으로 축설하여 내, 외방으로 회동되도록 한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
KR2019960000360U 1996-01-12 1996-01-12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 KR0123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360U KR0123099Y1 (ko) 1996-01-12 1996-01-12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360U KR0123099Y1 (ko) 1996-01-12 1996-01-12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532U KR970049532U (ko) 1997-08-12
KR0123099Y1 true KR0123099Y1 (ko) 1998-08-17

Family

ID=1944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360U KR0123099Y1 (ko) 1996-01-12 1996-01-12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09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532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6316B2 (en) Trash can assembly with toe-kick recess
US10549909B2 (en) Toilet paper holder and trash receptacle
WO1999011525A1 (en) Receptacle for recyclable materials
US5172823A (en) Combination dustpan and trapdoor receptacle closure
KR20180006071A (ko) 쓰레기 분리수거함
KR0123099Y1 (ko) 세척솔 보관구조를 갖는 화장실용 쓰레기통
KR102018024B1 (ko) 쓰레기통 받침대
KR200434958Y1 (ko) 바닥 개방형 쓰레기통
KR102241981B1 (ko) 실내용 쓰레기통
GB2471914A (en) Chewing gum dispenser and disposal container
JPH068090Y2 (ja) ごみ入れ容器
KR102516907B1 (ko) 벽걸이 휴지통
JPH0531084Y2 (ko)
JP3020080U (ja) 汚物入れ
JP2512025Y2 (ja) 洗面化粧ユニット
JP2000062902A (ja) 屑入れ
JPH04140Y2 (ko)
KR930006804Y1 (ko) 치약, 치솔, 비누 보관통
KR890002108Y1 (ko) 주방용 두루마리식 쓰레기통
JP3126588U (ja) ゴミ箱
KR940001724Y1 (ko) 콤팩트(Compact) 뚜껑의 개폐구조
KR200388247Y1 (ko) 쓰레기 수납통이 설치된 가구
KR900007151Y1 (ko) 쓰레기 수납통이 설치된 주방용기구
JPH0928626A (ja) 汚物入れ
KR20000017852A (ko) 밑부분이 개폐되는 쓰레기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