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097B1 -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 Google Patents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097B1
KR0123097B1 KR1019940018642A KR19940018642A KR0123097B1 KR 0123097 B1 KR0123097 B1 KR 0123097B1 KR 1019940018642 A KR1019940018642 A KR 1019940018642A KR 19940018642 A KR19940018642 A KR 19940018642A KR 0123097 B1 KR0123097 B1 KR 012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our data
data
motion
output
en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615A (ko
Inventor
정해묵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1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097B1/ko
Publication of KR960006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20Contour coding, e.g. using detection of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는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영상간의 상관도를 고려하여 윤곽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여 동영상신호에 대한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윤곽 데이터 부호화장치는, 추출된 윤곽 데이터를 부호화하는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 ; 1프레임 영상단위로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로 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와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간의 움직임을 추정하는 움직임 추정부 ; 움직임 추정부에서 출력된 움직임벡터값에 의하여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에 대하여 움직임보상을 하는 움직임보상부 ; 움직임보상부의 출력신호와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프레임 영상간의 유사성을 판단하는 유사성판단부 ; 유사성판단부의 판단에 의하여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움직임벡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전송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윤곽 데이터 부호화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사성판단부의 일실시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윤곽 데이터 복호화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 12 : 제1메모리
13 : 움직임추정부 14 : 움직임보상부
15 : 유사성판단부 16 : 전송제어부
21 : 차검출기 22 : 오차검출기
23 : 비교기 31 :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
32 : 제2메모리 33 : 움직임벡터 추출부
34 : 움직임보상부 35 : 선택부
본 발명은 디지탈영상신호처리시스템에 있어서 윤곽 데이터 부호화(Contour encoding) 및 복호화(decoding)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영상간의 상관성이 높은 동영상신호에 대한 전송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윤곽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하기 위한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는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와 같이 디지탈데이터의 형태로 신호처리하는 디지탈 영상신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Frame)단위로 전송되는 영상의 경계(edge)부분에 대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압축하고 복원하는 기법으로, 종래에는 프레임 단위로 윤곽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였다. 이로 인하여 프레임영상간의 상관도가 높은 동 영상의 경우에는 중복되는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여 전송하므로써 전송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탈영상신호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프레임영상간의 상관도를 고려하여 윤곽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복호화하여 동영상신호에 대한 전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윤곽 데이터 부호화장치는, 추출된 윤곽 데이터를 부호화 하기 위한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 ; 1프레임단위로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로 부터 추출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이전 프레임영상에 대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에서 출력되는 현재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간의 움직임을 추정하기 위한 움직임추정부 ; 움직임 추정부에서 출력된 움직임벡터값에 의하여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이전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에 대하여 움직임보상을 하기 위한 움직임보상부 ; 움직임보상부에서 보상처리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로 부터 출력된 현재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비교하여 프레임영상간 윤곽 데이터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한 유사성판단부; 유사성판단부의 판단결과, 움직임보상처리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간의 유사성이 높으면 움직임추정부에서 출력된 움직임벡터를 선택하여 전송하고, 판단결과 보상처리된 윤곽 데이터와 현재 프레임영상의 윤곽 데이터간의 유사성이 낮으면 현재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선택하여 전송하기 위한 전송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윤곽 데이터 복호화장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가 인가되면, 순수한 윤곽 데이터만을 복호화하기 위한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 ;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로부터 움직임벡터를 추출하기 위한 움직임벡터추출부 ;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에서 출력된 복호화된 데이터를 1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복호화된 데이터를 움직임벡터 추출부에서 추출된 움직임벡터에 의하여 부호화시와 역으로 움직임보상처리를 하기 위한 움직임보상부; 움직임벡터추출부의 움직임벡터 추출여부에 의하여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에서 출력되는 복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움직임보상부에서 출력되는 복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윤곽 데이터 부호화장치의 블럭도로서, 윤곽추출회로(도시되지 않음)로 부터 추출된 윤곽 데이터가 인가되면 부호화하기 위한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출력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프레임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12), 제1메모리(12)에서 출력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출력된 부호화된 데이터간의 움직임을 추정하기 위한 움직임추정부(13), 움직임추정부(13)에서 출력되는 움직임벡터에 의하여 제1메모리(12)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에 대한 움직임을 보상하기 위한 움직임보상부(14), 움직임보상부(14)에서 출력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간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한 유사성판단부(15), 유사성판단부(15)의 유사성판단결과에 의하여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데이터와 움직임추정부(13)에서 출력되는 움직임벡터를 선택적으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전송제어부(16)로 이루어진다. 특히 전송제어부(16)는 움직임추정부(13)로 부터 출력되는 움직임벡터(Motion Vector)와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용 스위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도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인가되는 영상신호로 부터 추출된 윤곽영역에 대한 데이터가 인가되면,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로 전송된다.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는 종래와 같은 방식으로 인가된 윤곽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부호화된 데이터는 제1메모리(12), 유사성판단부(15), 움직임 추정부(13) 및 전송제어부(16)의 제2접점(S2)으로 전송된다.
제1메모리(12)는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인가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1프레임단위로 저장한다.
움직임 추정부(13)는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출력되는 현재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제1메모리(12)로 부터 출력되는 이전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간의 이동정도를 추정한다. 이때 움직임추정부(13)에서 이루어지는 움직임추정방식은 종전의 영상신호에 대한 움직임추정방식과 동일하게 수행되고, 추정에 의하여 검출되는 움직임 벡터는 움직임보상부(14)와 전송제어부(16)의 제1접점(S1)으로 각각 전송된다.
움직임보상부(14)는 움직임추정부(13)로 부터 전송되는 움직임벡터를 이용하여 제1메모리(12)로 부터 출력되는 이전 프레임 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에 대한 움직임을 보상한다. 보상방식은 종전의 영상신호에 대한 움직임보상방식과 동일하게 수행한다. 움직임보상부(14)에서 보상되어 출력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는 유사성판단부(15)로 전송된다.
유사성판단부(15)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보상부(14)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의 차를 검출하기 위한 차검출기(21),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프레임영상의 윤곽영역에 해당되는 픽셀수를 계산하기 위한 픽셀수계산기(24), 차검출기(21)에서 검출된 차값을 픽셀수 계산기(24)에서 출력되는 픽셀수로 나누어 픽셀당 오차를 검출하기 위한 오차검출기(22), 오차검출기(22)에서 검출된 오차를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전송제어부(16)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기(23)로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즉,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움직임 보상부(14)로 부터 출력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가 인가되면, 감산처리를 하여 2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간의 차값을 검출한다. 이는 움직임보상된 윤곽 데이터와 현재 프레이영상의 윤곽 데이터간의 차이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검출된 차값은 오차검출기(22)로 전송된다.
오차검출기(22)는 픽셀당 오차를 계산하기 위하여, 차검출기(21)로부터 인가되는 차값을 픽셀수 계산기(24)로 부터 제공되는 현재 프레임영상의 윤곽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수로 나눈다. 나누어진 결과값은 오차값으로 출력된다. 출력된 오차값은 다음단의 비교기(23)로 전송된다.
비교기(23)는 이전 프레임영상상에서의 윤곽과 현재 프레임영상상에의 윤곽과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설정된 임계값과 오차검출기(22)로부터 인가되는 오차값을 비교한다. 비교결과, 오차검출기(22)로 부터 인가된 오차값이 상술한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이전 프레임영상의 윤곽과 현재 프레임영상의 윤곽이 거의 유사하다고 판단한 결과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오차검출기(22)로부터 인가된 오차값이 상술한 임계값보다 크면, 이전 프레임영상의 윤곽과 현재 프레임영상의 윤곽이 상이하다고 판단한 결과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결과신호는 시스템설계에 의하여 하이논리레벨 또는 로우논리레벨로서 출력된다. 출력된 신호는 전송제어부(16)의 동작제어신호로 출력된다.
전송제어부(16)는 유사성판단부(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움직임추정부(13)에서 출력되는 움직임벡터와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유사성판단부(15)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이전 프레임영상의 윤곽과 현재 프레임영상의 윤곽이 유사하다고 판단된 것으로 출력되면 움직임추정부(13)로 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출력하고, 상이하다고 판단된 결과가 출력되면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출력된 부호화된 데이터를 그대로 출력한다. 출력된 데이터는 전송부(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제3도에 도시된 복호화장치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복호화된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제3도는 제1 및 제2도와 같이 구성된 윤곽 데이터 부호화장치를 통해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가 인가되면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윤곽 데이터 복호화장치의 블럭도로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가 인가되면 복호화하기 위한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31),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31)에서 출력된 복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프레임 영상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제2메모리(32),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가 인가되면 움직임벡터성분만을 추출하기 위한 움직임벡터 추출부(33), 제2메모리(32)에서 출력되는 복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움직임벡터 추출부(33)에서 추출된 움직임벡터에 의하여 움직임보상을 하기 위한 움직임보상부(34), 움직임보상부(34)에서 추출된 데이터와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31)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움직임벡터 추출부(33)로 부터 출력되는 움직임벡터 추출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선택부(3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도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윤곽 데이터에 대한 움직임벡터 및 제1도의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11)에서 이루어지는 부호화방식에 의하여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포함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가 인가되면,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31) 및 움직임벡터 추출부(33)로 전송된다.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31)는 인가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도록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출력된 복호화된 윤곽 데이터는 제2메모리(32) 및 선택부(35)로 전송된다. 제2메모리(32)는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31)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프레임영상단위로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터는 움직임보상부(34)로 전송된다.
움직임벡터 추출부(33)는 인가되는 윤곽 데이터중 움직임벡터 성분만을 추출하고, 추출된 움직임벡터는 움직임보상부(34)로 전송한다. 또한 움직임벡터가 추출될때마다 선택부(35)로 움직임 벡터가 추출되었음을 알리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움직임보상부(34)는 제2메모리(32)로 부터 전송되는 프레임 영상단위의 복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움직임 벡터 추출부(33)에서 추출된 움직임벡터에 의하여 부호화시와 반대로 움직임보상을 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원한다. 이때 사용되는 움직임보상방식은 종래의 영상신호에 대한 움직임보상방식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움직임이 보상된 윤곽 데이터는 선택부(35)로 전송된다.
선택부(35)는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31)에서 출력된 윤곽 데이터와 움직임보상부(34)에서 출력된 윤곽데이터를 움직임벡터 추출부(33)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움직임벡터추출부(33)로 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가 움직임벡터가 추출된 상태를 나타낼때에는 움직임보상부(34)로 부터 출력된 윤곽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하고, 상술한 제어신호가 움직임벡터가 추출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낼때에는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31)로부터 출력된 윤곽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선택부(35)에서 출력된 데이터는 복호화된 윤곽 데이터로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는 프레임영상간의 상관성을 고려하여 처리함으로써, 동영상에 대한 데이터 전송효율을 높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인가되는 디지탈형태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프레임영상단위로 윤곽 데이터를 추출하여 부호화하기 위한 윤곽 데이터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 추출된 상기 윤곽 데이터를 부호화하기 위한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 ; 1프레임영상단위로 상기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로부터 출력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이전 프레임영상에 대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상기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에서 출력되는 현재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간의움직임을 추정하기 위한 움직임추정부 ; 상기 움직임 추정부에서 출력된 움직임벡터값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이전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에 대하여 움직임보상을 하기 위한 움직임보상부 ; 상기 움직임보상부에서 보상처리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상기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로부터 출력된 현재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비교하여 프레임영상간 윤곽데이터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한 유사성판단부 ; 상기 유사성판단부의 판단결과, 상기 움직임보상처리된 부호화된 윤곽데이터와 상기 현재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간의 유사성이 높으면 상기 움직임 추정부에서 출력된 움직임벡터를 선택하여 전송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보상처리된 윤곽 데이터와 상기 현재 프레임영상의 윤곽 데이터간의 유사성이 낮으면 상기 현재 프레임영상의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선택하여 전송하기 위한 전송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데이터 부호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성판단부는 상기 움직임보상부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상기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에서 출력되는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의 차를 검출하기 위한 차검출수단 ; 상기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에서 출력되는 윤곽 데이터에 의해 윤곽영역에 포함되는 픽셀수를 계산하기 위한 픽셀수 계산수단 ; 상기 차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차값을 상기 픽셀수 계산수단에서 제공되는 픽셀수로 나누어 픽셀당 움직임보상 오차를 검출하기 위한 오차검출수단 ; 상기 오차검출수단에서 검출된 오차값을 소정 임계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송제어부의 전송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데이터 부호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오차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전송제어부를 통해 상기 움직임벡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전송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차값이 상기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면 상기 전송제어부를 통해 상기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로 부터 출력되는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상기 전송제어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데이터 부호화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제어부는 상기 윤곽 데이터 부호화부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데이터와 상기 움직임추가제어부로 부터 출력되는 움직임벡터를 입력신호로 하고 상기 유사성판단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입력신호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제어용 스위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데이터 부호화장치.
  5. 프레임영상단위로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복원하기 위한 윤곽 데이터 복호화장치에 있어서 ; 상기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가 인가된, 순수한 윤곽 데이터만을 복호화하기 위한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 ; 상기 부호화된 윤곽 데이터로부터 움직임벡터를 추출하기위한 움직임벡터추출부 ; 상기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에서 출력된 복호화된 데이터를 1프레임영상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된 복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움직임벡터추출부에서 추출된 움직임벡터에 의하여 부호화시와 역으로 움직임보상처리를 하기 위한 움직임보상부 ; 상기 움직임벡터추출부의 움직임벡터 추출여부에 의하여 상기 윤곽 데이터 복호화부에서 출력되는 복호화된 윤곽 데이터와 상기 움직임보상부에서 출력되는 복호화된 윤곽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선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윤곽 데이터 복호화장치.
KR1019940018642A 1994-07-29 1994-07-29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KR0123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642A KR0123097B1 (ko) 1994-07-29 1994-07-29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8642A KR0123097B1 (ko) 1994-07-29 1994-07-29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615A KR960006615A (ko) 1996-02-23
KR0123097B1 true KR0123097B1 (ko) 1997-11-17

Family

ID=1938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8642A KR0123097B1 (ko) 1994-07-29 1994-07-29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0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046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046A (ko) * 2002-11-29 200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615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1721B1 (ko) 영상표현신호처리시스템
US7146056B2 (en) Efficient spatial scalable compression schemes
JP2000505614A (ja) ブロックベースのビデオ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シーンカットを検出する方法と装置
KR970025185A (ko) 특징적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장치
US8509303B2 (en) Video descriptor generation device
KR100204478B1 (ko) 전역 움직임에 의한 빈 공간 보상 방법 및 그 장치
KR100254667B1 (ko) 폐색을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0123097B1 (ko) 윤곽 데이터 부호화 및 복호화장치
KR0128859B1 (ko) 적응적인 영상부호화 제어장치
JPH0832969A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JP2003070002A (ja) 画像符号化装置
KR20160128972A (ko) 프로파일 정보 기반 움직임 추정장치 및 방법
JP3606597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KR0185841B1 (ko) 영상 부호기에서의 움직임 추정 장치
KR100208984B1 (ko) 물체의 윤곽선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추정 장치
KR0170866B1 (ko) 움직임 영역 추출 장치
KR970003107B1 (ko) 단계적인 영역분할을 통한 움직임벡터 검출방법 및 장치
JPH1032822A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JPH047152B2 (ko)
JPH11355781A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H05236454A (ja) 画像符号化における動ベクトル検出方法と装置
JPS63219270A (ja) 画像符号化復号化伝送装置
KR0147954B1 (ko) 움직임벡터 분류회로
JP2835252B2 (ja) 画像信号の動き検出装置
KR100228675B1 (ko) 전방예측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