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719Y1 -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719Y1
KR0122719Y1 KR2019950028419U KR19950028419U KR0122719Y1 KR 0122719 Y1 KR0122719 Y1 KR 0122719Y1 KR 2019950028419 U KR2019950028419 U KR 2019950028419U KR 19950028419 U KR19950028419 U KR 19950028419U KR 0122719 Y1 KR0122719 Y1 KR 0122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air conditioner
shutter
pin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4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895U (ko
Inventor
김종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284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719Y1/ko
Publication of KR9700188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8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parallelly-movabl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토셔터가 상하 이동되어 개폐될 때에, 상기 오토셔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랙(10)이 상·하이동될 때에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랙(10)의 일측에 유동방지장치(3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
제1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셔터부재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셔터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공지조화기의 오토셔터장치를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셔터부재의 구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장치를 분리해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오터셔터의 유동방지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피니언 10:랙
10a:기어이빨 11:토출구
13:셔터부재 25:가이드부재
33:유동방지장치 35:기어부재
37:고정대
본 고안은 오토셔터가 상하 이도되어 개폐될 때에, 상기 오토셔터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 내2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전면에 배설되는 지지수단(3)과, 상기 지지수단(3)에 배설되어서 도시되지 않은 전원장치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모터(5)와, 상기 모터(5)의 모터축부재(6)에 배설되어 상기 모터(5)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피니언(7)과, 상기 피니언(7)과 가어물림되어 상기 피니언(7)이 정·역회전됨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랙(9)과, 상기 랙(9)과 결합되어 상기 랙(9)이 상·하이도됨에 따라 토출구(11)를 개폐하는 셔터부재(13)와, 상기 랙(9)의 일측에 지지하여 상기 랙(9)의 상·하이동시에 흔들림을 방지하는 스크루(15) 및 부상부재(17)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수단(3)은 소정의 위치에 상기 모터(5)가 지지가능토록 하는 관통구(19a)와, 상기 스크루(15) 및 부상부재(17)가 배설가능토록 관통구(19b)가 형성된 지지판(19)과, 상기 지자판(19)의 상부에 배설되어 토출구(11)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상하풍향조절수단(21) 및 좌우풍향조절수단(23)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셔터부재(13)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판(19)의 양측면에 대칭으로 고정 결합된 가이드부재(2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5)의 내측에는 상기 셔터부재(13)의 양측이 삽입되어 원활하게 상하이동 하도록 요홈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셔터부재(13)의 양측 상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5)의 요홈부(25a)를 따라 용이하게 상하이동 되도록 회전자유롭게 배설된 다수개의 롤러부재(27)가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부호(29)는 본체의 전면에 배설되어 내장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왼관을 미려하게 하는 전면판을 나타내고, 부호(31)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등을 조작가능케 하는 조작부를 나타낸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를 사용하지 않는 운전정지시에는 상기 토출구(11)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부(31)의 조작조건을 선택하면, 상기 모터(5)는 전원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모터(5)의 일측에 배설된 모터축부재(6)가 정회전됨에 따라 상기 모터축부재(6)의 배설된 피니언(7)이 정회전되고, 상기 피니언(7)에 기어 결합된 랙(9)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랙(9)과 결합된 셔터부재(13)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5)의 일측에 배설된 스크루(15) 및 부싱부재(17)는 상기 랙(9)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랙(9)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랙(9)의 흔들림이 방지됨에 따라 셔터부재(13)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부재(13)의 양측 상하단에 각각 회전가능케 힌지 결합된 다수의 롤러부재(27)는 지지수단(19)의 양측에 배설된 가이드부재(25)의 요홈부(25a)를 따라 원활하게 상승되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11)를 폐쇄시켜 줌으로써, 이물질등이 본체(1)의 내측으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공기조화기의 운전시에는 조작부(31)의 조작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모터(5)가 셔터부재(13)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회전되었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함에 다라 피니언(7)이 역회전되고, 상기 피니언(7)이 역회전됨에 따라 피니언(7)과 결합된 랙(9)이 하향 이동되어 토출구(11)를 개방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오터셔터 구동장치는 랙(9)의 상하이동시 부상부재(17)가 상기 랙(9)을 견고하게 지지해주지 못함에 따라 함들림이 발생하고, 오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부싱부재(17)가 변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사이 랙(9)의 원활한 상하이동을 위하여 상기 부싱부재(17)에 오일을 도포함에 따라,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랙의 일측에 유동방지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랙이 상하이동할 때에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랙과 결합된 셔터부재의 유동을 방지하는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는 공기조화기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의 상측에 배설된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를 상하이동시켜 토출구를 개페시키는 랙과, 상기 랙과 기어물림되어 상기 랙을 상하 이동시키는 피니언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랙이 상하이동될 때에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랙의 일측에 유동방지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5도와 제6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의 전면에 배설되는 지지수단(3)과, 상기 지지수단(3)에 배설되어서 도시되지 않은 전원장치의 전원을 인가받아 구동되는 모터(5)와, 상기 모터(5)의 모터축부재(6)에 배설되어 상기 모터(5)에서 발생된 동력을 전달받아 정·역회전하는 피니언(7)과, 상기 피니언(7)과 기어물림되어 상기 피니언(7)이 정·역회전됨에 따라 상·하이동되는 랙(10)과, 상기 랙(10)과 결합되어 상기 랙(10)이 상·하이동됨에 따라 토출구(11)를 개폐하는 셔터부재(13)와, 상기 랙(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랙(9)이 상·하이동할 때에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셔터부재(13)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유동방지장치(3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유동방지장치(33)는 상기 피니언(7)가 맞물림된 랙(10)의 타측에 형성된 기어이빨(10a)과 상기 기어이빨(10a)과 맞물림되어 랙(10)이 상하이동할 때에 랙(10)이 유동됨 없이 견고하게 이동가능토록 하는 기어부재(35)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기어부재(35)는 고정대(37)를 매개로 후술하는 지지판의 일측에 회전가능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수단(3)은 소정의 위치에 상기 모터(5)가 지지가능토록 하는 관통구(12a)와, 상기 고정대(37)가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구를 형성하는 지지판(12)과, 상기 지지판(12)의 상부에 배설되어 토출구(11)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상하풍향조절수단(21) 및 좌우풍향조절수단(23)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셔터부재(13)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지지판(12)의 양측면에 대칭으로 고정결합된 가이드부재(25)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5)의 내측에는 상기 셔터부재(13)의 양측이 삽입되어 원활하게 상하이동 하도록 요홈부(2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37)의 양측에는 다수의 관통구(37a)가 형성되어 도시되지 않은 체결수단에 의해 지지판(12)의 체결구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셔터부재(13)의 양측 상하단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5)의 요홈부(25a)를 따라 용이하게 상하이동 되도록 회전자유롭게 배설된 다수개의 롤러부재(27)가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부호(29)는 본체의 전면에 배설되어 내장물을 보호함과 동시에 외관을 미려하게 전면판을 나타내고, 부호(31)는 공기조화기의 운전, 정지등을 조작가능케 하는 조작부를 나타낸다.
다음은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용 오토서텨의 구동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기조화기의 운전정지시에 상기 토출구(11)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부(31)의 조작조건을 선택하면, 상기 모터(5)는 전원을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구동되고, 상기 모터(5)의 일측에 배설된 모터축부재(6)가 정회전됨에 따라 상기 모터축부재(6)에 배설된 피니언(7)이 정회전되고, 상기 피니언(7)에 기어 결합된 랙(10)은 상부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랙(10)과 결합된 셔터부재(13)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랙(10)의 일측에 구비된 유동방지장치(33)는 상기 랙(1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랙(10)이 피니언(7)이 회전됨에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할때에, 상기 피니언(7)과 결합된 랙(10)의 타측에 형성된 기어이빨(10a)과, 고정대(37)에 의해 지지판(19)의 일측에 회전가능케 배설된 기어부재(35)가 맞물림되어 상기 랙(10)의 일측을 이동가능케 지지하여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셔터부재(13)의 양측 상하단에 각각 회전가능케 힌지 결합된 다수의 롤러부재(27)는 지지수단(19)의 양측에 배설된 가이드부재(25)의 요홈부(25a)를 따라 원활히 상승되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11)를 폐쇄시켜 줌으로써, 이물질등이 본체(1)의 내측으로 투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공고조화기의 운전시에는 조작부(31)의 조작버튼을 선택하게 되면, 모터(5)가 셔터부재(13)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회전되었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피니언(7)이 역회전되고, 상기 피니언(7)이 역회전됨에 따라 피니어(7)과 결합된 랙(10)이 하향 이동되어 토출구(11)를 개방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한다. 이때, 역시 유동방지장치(33)에 의해 랙(10)의 일측이 이동가능케 지지되어 셔터부재(13)가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오토셔터 구동장치에 의하면, 셔터부재를 개폐시키는 랙의 일측에 상기 랙이 상·하이동될 때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장치를 배설하여 상기 랙을 이동가능케 지지해 줌으로써, 셔터부재의 개폐시에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2)

  1. 공기조화기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본체 전면에 배설된 셔터부재와, 상기 셔터부재를 상·하이동시켜 토출구를 개페시키는 랙(10)과 상기 랙(10)과 기어 결합되어 상기 랙(10)을 상·하 이동시키는 피니언(7)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랙(10)이 상·하 이동될 때에 발생되는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랙(10)의 일측에 유동방지장치(3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장치(33)는 피니언(7)과 맞물림된 랙(10)의 타측에 형성된 기어이빨(10a)과, 상기 기어이빨 (10a)과 맞물림되어 상기 랙(10)을 흔들림없이 이동되도록 하는 기어부재(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
KR2019950028419U 1995-10-11 1995-10-11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 KR0122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419U KR0122719Y1 (ko) 1995-10-11 1995-10-11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419U KR0122719Y1 (ko) 1995-10-11 1995-10-11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895U KR970018895U (ko) 1997-05-26
KR0122719Y1 true KR0122719Y1 (ko) 1998-08-17

Family

ID=19425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419U KR0122719Y1 (ko) 1995-10-11 1995-10-11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71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707B1 (ko) * 2002-11-30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10002098U (ko) * 2020-03-12 2021-09-27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707B1 (ko) * 2002-11-30 2005-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10002098U (ko) * 2020-03-12 2021-09-27 성호경 공조덕트용 댐퍼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895U (ko) 1997-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166350A (ja) 空気調和機の吐出口開閉装置
KR0122719Y1 (ko)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구동장치
KR100341459B1 (ko) 공기조화기의 셔터 개폐장치
KR0136186Y1 (ko) 공기조화기용 토출구의 개폐장치
KR0136187Y1 (ko) 공기조화기용 토출구의 개폐장치
KR0127607Y1 (ko)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레일장치
KR0127606Y1 (ko) 공기조화기용 오토셔터의 이송장치
KR0129652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68180B1 (ko) 공기조화기용 토출구의 개폐장치
KR100191521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0125474Y1 (ko) 공기조화기 토출구 개폐장치
KR0146821B1 (ko) 공기조화기용 흡입구 및 토출구의 수동개폐장치
KR970047392A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0125759B1 (ko) 공기조화기용 흡입구 및 토출구의 연동개폐장치
KR017585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장치
KR970047389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100569913B1 (ko) 선루프의 선쉐이드 작동장치
KR0152147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0175892B1 (ko) 공기조화기용 토출구의 개폐장치
KR01758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29651Y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200310630Y1 (ko) 미닫이 창호
KR970022037A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KR970047288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구 개폐장치
KR100187242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및 흡입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