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2276Y1 - 수평식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평식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2276Y1
KR0122276Y1 KR2019950000747U KR19950000747U KR0122276Y1 KR 0122276 Y1 KR0122276 Y1 KR 0122276Y1 KR 2019950000747 U KR2019950000747 U KR 2019950000747U KR 19950000747 U KR19950000747 U KR 19950000747U KR 0122276 Y1 KR0122276 Y1 KR 0122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loth
bag
frame
retain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7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6788U (ko
Inventor
정봉규
Original Assignee
정봉규
주식회사공영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규, 주식회사공영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정봉규
Priority to KR20199500007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2276Y1/ko
Publication of KR9600267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67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2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2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분진(紛塵)을 한곳으로 모아 처리하여 대기권이 분진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분진을 필터링(Filterring)하는 여과포를 다수개의 자루형이 아닌 단일 주머니형으로 하여 여과포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각틀형태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주머니형 여과포(13)와, 상기 주머니형 여과포의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차례로 적층되면서 주머니형 여과포를 프레임에 밀착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리테이너(14)와, 상기 리테이너의 일단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리테이너의 다른 일단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수평식 여과장치
제1도는 종래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가 적용되는 주머니형 여과포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일부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리테이너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프레임에 복수개의 주머니형 여과포를 고정시킨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프레임 13: 여과포
14: 리테이너 15: 폐쇄판
16: 고정판 20: 걸쇠
25: 압착쇠
본 고안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분진(紛塵)을 한곳으로 모아 처리하여 대기권이 분진으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분진을 필터링(Filterring)하는 여과포를 다수개의 자루형이 아닌 단일 주머니형으로 하여 여과포의 제작 및 설치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도면 제1도는 종래의 집진장치를 나타낸 개략도로써, 원통 또는 사각통 형상으로 된 하우징(1)의 상측에 하우징을 상,하로 구획하기 위한 여과포 장착판(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여과포 장착판에는 닥트(도시는 생략함)와 연결된 입구(3)로 유입되는 흡입공기를 분진과 청정공기로 분리시키는 자루형상의 여과포(4)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하부에는 분리된 분진을 수거하는 로타리 밸브(Rotary Valve)(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1)의 상측에서 흡인력이 작용됨에 따라 닥트와 연결된 입구(3)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흡입공기내의 분진은 자루형상의 여과포(4)에 의해 걸러지게 되므로 여과포 장착판(2)의 상부로는 청정공기만이 배출된다.
상기한 봐와 같은 동작으로 여과포(4)에 많은 분진이 부착되면 과다 압력손실이 발생하게 되므로 집진효율이 저하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여과포(4)를 탈진해주는 탈진장치를 여과포 장착판(2)의 상측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한 탈진장치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압축공기 공급부(6)에서 공급되는 고압(약 4∼7㎏/㎠)의 공기를 주기적(3∼6분 간격)으로 여과포(4)의 내부에 공급하는 블로우 튜브(7)가 여과포 장착판(2)의 상측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블로우 튜브상에는 여과포의 중심부와 일치되게 압축공기 토출공(8)이 형성되어 있으며 여과포의 상측개방부에는 벤츄리(Venturi)(9)가 벤츄리 푸서(11)로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집진기는 분진이 포함된 흡입공기가 닥트를 통해 하우징(1)의 하부입구(3)로 압송되어 오거나, 또는 별도의 흡인력에 의해 하우징의 하부입구로 유입되면 하우징(1)내에 설치된 다수개의 여과포(4) 표면에 분진이 부착되어 기체와 고체로 분리되므로 분진이 여과된 청정공기만이 여과포(4)를 지나 하우징(1)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일명Plenum)의 출구(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동작에 따라 여과포(4)에 많은 양의 분진이 부착되면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여 집진효율이 떨어지게 되므로 약 3∼6분 간격으로 압축공기 공급부(6)에서 고압의 압축공기를 약 0.05∼0.1초 동안 블로우 튜브(7)의 압축공기 토출공(8)을 통해 여과포(4)의 개방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에따라 제1도의 우측과 같이 압축공기가 압축공기 토출공(8)을 통해 여과포(4)내로 분사되므로 여과포(4)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던 분진이 탈진되는데, 이때 압축공기는 벤츄리(9)를 통과하면서 분사 공기량의 5∼7배정도의 2차공기를 주위에서 흡인, 여과포(4)내에 돌입순간 맥동충격(脈動衝擊)에 의한 진동과 외부로 향하여 억류하는 공기로서 부착된 분진을 효과적으로 탈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자루형의 여과포를 사용하는 집진기에서는 여과포의 길이가 길수록 집진효율이 저하되므로 집진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여과포의 길이를 줄여야만 되었다.
이는 여과포의 표면에 달라붙어 있던 분진을 털어내기 위해 고압의 압촉공기를 여과포의 내부로 분사시킬 때 압축공기가 작용되는 지점으로 부터 먼곳의 여과포에 달라붙어 있던 분진은 제거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과포의 길이를 줄인상태에서 길이가 긴 여과포와 동일한 집진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결국 집진기의 설치면적을 증대시켜야만 되었다.
즉, 여과포의 설치숫자를 늘려야만 되었다.
또한, 환경규제가 더욱 강화됨에 따라 설정된 기준치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흡입공기의 여과포 통과속도를 줄인 상태로 집진기를 운전하여야 되었으므로 집진기를 고부하상태에서 운전하지 못하고 저부하상태로만이 운전 가능하게 되었고, 이에따라 결국 집진기의 용량을 크게 설계하여야만 되었다.
한편, 여과포(4)에 제거된 분진이 자유낙하되어 하우징의 하부에 쌓일 때 흡입공기가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분진을 제거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여과포에서 떨어지던 분진이 흡입공기와 함께 다시 상승하여 여과포에 달라붙게 되므로 결국 집진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분진을 떨어내기 위해 압축공기가 여과포의 개방부로 공급될 때 여과포의 고정부위(상측)에만 집중하중이 작용되므로 여과포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자루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여과포를 수직으로 설치하지 않고 단일 크기로 된 주머니형의 여과포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동일 면적의 집진기에서 최대의 집진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사각틀형태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주머니형 여과포와, 상기 주머니형 여과포의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차례로 적층되면서 주머니형 여과포를 프레임에 밀착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의 일단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리테이너의 다른 일단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수평식 여과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8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가 되는 주머니형 여과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4도는 제3도의 일부 종단면도로써, 본 고안은 사각틀형태의 프레임(12)에 일측이 개방된 주머니형의 여과포(1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주머니형 여과포(13)의 내부에는 여과포를 프레임(12)에 밀착시켜 주는 복수개의 리테이너(Retainer)(14)가 차례로 적층되어 있는데, 상기 리테이너(14)의 양단은 제1,2고정수단에 의해 프레임(12)에 고정된다.
상기 주머니형 여과포(13)를 봉재(縫裁)하는 방법은 종래의 자루형인 경우에는 원단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봉재작업을 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원단을 그대로 요구되는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주머니형태로 재봉하므로써 봉재작업에 따른 시간을 1/2로 줄이게 됨은 물론 여과면적은 약7.6배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테이너(14)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주머니형 여과포(13)의 폐쇄측에 밀착 고정되는 폐쇄판(15)이 구비되어 있고 다른 일측으로는 주머니형 여과포(13)의 개방측을 프레임(12)에 밀착시켜 주는 고정판(16)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폐쇄판과 고정판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강선(17)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14)를 복수개로 분할 형성한 이유는 여과포(13)의 교체작업등을 할때 작업자가 중량체의 리테이너를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레임(12)에 리테이너(14)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1고정수단은 리테이너(14)의 일측에 주머니형 여과포(13)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보울트(18)를 고정하여 프레임(12)에 너트(19)로 고정하고 상기 프레임은 걸쇠(20)를 이용하여 하우징(21)의 내부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주머니형 여과포(13)의 외측으로 보울트(18)를 인출하여 너트(19)로 고정시 보울트의 삽입을 위한 구멍을 통해 미세한 분진이 청정공기 토출측으로 빠져나갈 우려가 있으므로 기밀유지를 위해 너트(19)의 체결전에 고무(22)와 와셔(23)를 차례로 넣고 너트(19)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2)에 리테이너(14)의 다른 일단을 고정하는 제2고정수단은 프레임(12)의 일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보울트(24)을 고정하고 상기 보울트에는 압착쇠(25)를 너트(26)로 고정하여 상기 압착쇠가 리테이너(14)의 일측면을 눌러주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집진기의 하우징(21)내부에 설치되는 주머니형 여과포(13)는 1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집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병렬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한 주머니형 여과포(13)를 프레임(12)에 고정시킬 때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2)과 주머니형 여과포(13)사이에 분진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기밀유지용 고무(27)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의 내부에 장착되어 흡입공기내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것으로써, 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출닥트(28)상에 설치된 송풍기(도시는 생략함)의 동작에 따라 흡입닥트(29)를 통해 하우징(21)의 상측에서 부터 하측으로 흡입공기가 흡입되면 흡입공기내에 포함되어 있던 분진은 주머니형 여과포(13)의 표면에 달라 붙게 되므로 여과포(13)를 통과하고 난 청정공기만이 여과포의 개방측을 통해 배출닥트(28)로 배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많은 양의 분진이 여과포(13)의 표면에 달라 붙어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면 집진효울이 저하되므로 여과포의 개방측에 수직으로 설치된 블로우 튜브(7)의 압축공기 토출공(8)을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일정시간(3∼6분) 간격으로 여과포(13)의 개방부로 공급하여 여과포(13)의 표면에 달라 붙은 분진을 털어주게 된다.
이와같이 블로우 튜브(7)를 통해 고압이 분사되므로 인해 여과포(13)에 달라붙어 있던 분진이 탈진되면 탈진된 분진은 자중에 의해 하우징(21)의 하부에 쌓이게 되는데, 이때 본 고안에서는 분진공기가 하우징(21)의 상부에서 유입되므로 유입되는 분진공기에 의해 탈진된 분진이 재비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로우 튜브(7)에서 고압의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분진을 탈진시킬 때 주머니형 여과포(13)의 양단면이 프레임(12)에 고정되어 있어 여과포에 분포하중이 걸리게 되므로 여과포의 수명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자루형이던 여과포의 형상을 주머니형으로 변경하여 집진효율에 따라 상기 여과포를 병렬로 하우징내에 설치하여 토출공기내에 포함되어 있던 분진을 제거하게 되므로 주머니의 제작에 따른 시간을 대폭 줄이게 됨은 물로 여과포의 사용효율을 극대화하게 된다.
또한, 자루형으로 되어 있던 종래의 여과포에 비해, 집진효율을 대폭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7)

  1. 사각틀형태의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주머니형 여과포(13)를 구비한 수평식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형 여과포의 개방부를 통해 내부에 차례로 적층되면서 주머니형 여과포를 프레임에 밀착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리테이너(14)와, 상기 리테이너의 일단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1고정수단과, 상기 리테이너의 다른 일단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제2고정수단으로 구성된 수평식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14)는 주머니형 여과포(13)의 폐쇄측에 밀착 고정되는 폐쇄판(15)과, 상기 주머니형 여과포(13)의 개방측을 프레임(12)에 밀착시켜 주는 고정판(16)과, 상기 폐쇄판과 고정판 사이에 고정되는 복수개의 강선(17)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여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제1고정수단은 리테이너(14)의 일측에 주머니형 여과포(13)의 외부로 노출되는 보울트(18)를 고정하여 너트(19)로 고정함과 함께 상기 보울트에 걸쇠(20)를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여과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보울트(18)에 기밀유지를 위한 고무(22)와 와셔(23)를 차례로 넣고 너트(19)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여과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2고정수단은 프레임(12)의 일측면에 보울트(24)을 고정하여 압착쇠(25)로 리테이너(14)의 일측면을 눌러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여과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2)과 주머니형 여과포(13) 사이에 기밀유지용 고무(27)를 삽입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여과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주머니형 여과포(13)를 병렬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식 여과장치.
KR2019950000747U 1995-01-19 1995-01-19 수평식 여과장치 KR0122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747U KR0122276Y1 (ko) 1995-01-19 1995-01-19 수평식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747U KR0122276Y1 (ko) 1995-01-19 1995-01-19 수평식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788U KR960026788U (ko) 1996-08-17
KR0122276Y1 true KR0122276Y1 (ko) 1999-02-01

Family

ID=1940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747U KR0122276Y1 (ko) 1995-01-19 1995-01-19 수평식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22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987A (ko) * 2005-04-26 2006-10-31 경윤현 여과판 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필터프레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1987A (ko) * 2005-04-26 2006-10-31 경윤현 여과판 유니트 및 이를 사용한 필터프레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6788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71919B (zh) 一种脉冲袋式除尘器
KR0122276Y1 (ko) 수평식 여과장치
KR100460666B1 (ko) 집진기의 탈진방법 및 장치
KR100925601B1 (ko) 개별 분리형 백 필터 유닛을 구비하는 집진기
KR100944025B1 (ko) 세라믹 필터를 이용한 에어펄스 타입 집진기
KR100845958B1 (ko) 집진기의 필터고정구조
KR200443514Y1 (ko) 집진기
CN212141811U (zh) 一种脉冲布袋除尘器
KR200407392Y1 (ko) 이중필터 구조 집진기
KR920000727Y1 (ko) 집진기용 필터백
KR200442816Y1 (ko) 집진장치
KR100803989B1 (ko) 스트립 그라인더 미스트오일집진기의 오일흄 포집 제거장치
CN215878337U (zh) 工业环保用复合除尘系统
CN216457684U (zh) 一种用于污泥焚烧废气处理的布袋除尘器
CN216418706U (zh) 一种高效布袋式除尘器
KR200413049Y1 (ko) 집진기용 필터 백의 구조
CN218684119U (zh) 一种除尘器
KR20030089791A (ko) 재비산 및 재부착방지 백필터 여과집진장치
KR200446971Y1 (ko) 집진장치
KR200144883Y1 (ko) 휴대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CN220609569U (zh) 一种自带清理功能的除尘器设备
CN213610551U (zh) 一种环保工程用空气过滤装置
CN208320237U (zh) 一种集成式袋式除尘设备
KR960007677Y1 (ko) 집진기용 분진여과포의 고정장치
KR200198375Y1 (ko) 차량용 진공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