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866B1 - Cup taking apparatus for cup-type beverage automatic ve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Cup taking apparatus for cup-type beverage automatic vending machine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866B1
KR0121866B1 KR1019920002868A KR920002868A KR0121866B1 KR 0121866 B1 KR0121866 B1 KR 0121866B1 KR 1019920002868 A KR1019920002868 A KR 1019920002868A KR 920002868 A KR920002868 A KR 920002868A KR 0121866 B1 KR0121866 B1 KR 012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end stage
pusher
stag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8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30002980A (en
Inventor
마사유키 와다
하루오 오오타
마사미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나카오 다케시
후지덴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오 다케시, 후지덴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나카오 다케시
Publication of KR930002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98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8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Abstract

판매시에 손님이 음료가 든 컵을 상품취출구로부터 편하게 들어낼 수 있도록 구성한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를 제공한다.Provided is a cup dispensing device for a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configured to allow a customer to comfortably lift a cup containing a beverage from a product outlet at the time of sale.

상품취출구 도어(1)의 배후에 배치한 벤드스테이지(2)에 푸셔식의 컵이송기구(7)를 장치하고, 판매지령에 따라서 컵공기구로부터 벤드스테이지상의 내부에 공급된 컵(4)을 플랩(3)으로 수용지지하고, 이 위치에서 노즐(5)을 통하여 컵에 음료를 주입한 후에 상기 컵이송기구의 동작으로 음료가 든 컵을 벤드스테이지상의 컵취출장치에 내보낸다.A pusher type cup transfer mechanism 7 is attached to the bend stage 2 arranged behind the product outlet door 1, and the cup 4 supplied from the cup air mechanism to the inside of the bend stage is flaped according to the sales instruction. (3), and after the beverage is injected into the cup through the nozzle 5 at this position,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is sent out to the cup take-out device on the bend stage by the operation of the cup transfer mechanism.

Description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Cup Dispenser of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응되는 컵취출장치의 구성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ejection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벤드스테이지에 장착한 푸셔가이드기구의 구성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usher guide mechanism mounted on the bend stage of FIG.

제3도는 벤드스테이지의 조립구조를 도시하는 분해도.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bend stage.

제4도는 제1도의 컵이송기구에 상품취출 도어 개방용 액튜에이터를 장착한 응용예의 구성사시도.4 is a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an application example in which the actuator for opening a product extraction door is mounted on the cup transport mechanism of FIG.

제5도는 제4도와 다른 도어 개방용 액튜에이터 기구를 장착한 응용예의 구성평면도.FIG. 5 is a structural plan view of an application example in which a door opening actuator mechanism different from FIG. 4 is mounted. FIG.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FIG.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응되는 푸셔식 컵이송기구의 구성도.7 is a block diagram of a pusher-type cup transfer mechanism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응되는 컵취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이 장치의 평면도, (b)는 이 장치의 측면도.8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up take-out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of the apparatus, and (b) is a side view of the apparatus.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응하는 컵취출장치의 전체의 구성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whole cup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제9도에 있어서의 테이블식 컵이송기구의 구성도이고, (a)는 요부기구의 평면도, (b),(c)는 각각 왕로, 복로 경로에서의 동작상태를 표시한 요부기구의 정면도.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table-type cup transfer mechanism in FIG. 9, (a) is a plan view of the recessed mechanism, and (b) and (c) are recessed mechanisms showing operation states in a return path and a return path, respectively. Front view.

제11도는 제3실시예에 의한 컵취출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11 is a flowchart showing a cup ejection oper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응하는 컵취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며, (a)는 이 장치의 평면도, (b)는 이 장치의 측단면도.12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cup take-out 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of the device, and (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device.

제13도는 종래의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벤드스테이지의 구성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nd stage of a conventional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상품취출구 도어, 1a : 도어개폐기구,1: product outlet door, 1a: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2 : 벤드스테이지(bendstage), 2a : 공기분출공,2: bendstage, 2a: air blowing hole,

3 : 플랩식 컵지지기구의 플랩, 3a : 플랩개폐기구,3: flap of flap type cup support mechanism, 3a: fla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4 : 컵, 5 : 음료 공급노즐,4 cup, 5 drink supply nozzle,

7 : 푸셔식(pusher 式) 컵이송기구, 8 : 푸셔(pusher),7: pusher type cup transfer mechanism, 8: pusher (pusher),

9c : 도어 개방용 액튜에이터, 13 : 푸셔가이드기구,9c: door opening actuator, 13 pusher guide mechanism,

16 : 도어 개방용 액튜에이터 기구, 27 : 컵수취카운터,16: actuator for opening the door, 27: cup receiving counter,

28 : 회전테이블, 29 : 이송테이블,28: rotary table, 29: transfer table,

30 : 컵유무 검지센서, 31 : 테이블의 지지아암,30: cup presence sensor, 31: support arm of table,

32 : 가이드축, 33 : 구동링크,32: guide shaft, 33: drive link,

36 : 구동모터, 37 : 테이블 승강 조작레버,36: drive motor, 37: table lifting operation lever,

38 : 솔레노이드, 40 : 공기개폐밸브,38: solenoid, 40: air opening and closing valve,

41 :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42 : 공기펌프.41: accumulator, 42: air pump.

본 발명은 기기내에서 제조한 음료를 컵에 공급하여 판매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taking out device of a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for supplying and selling a beverage prepared in the apparatus to a cup.

우선, 제13도에 종래의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에 있는 벤드스테이지(bendstage) 주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면에서 1은 수동으로 개방하는 상품취출구 도어, 2는 도어(1)의 배후에 설치한 책자(策子)겸용의 벤드스테이지, 3은 기기내의 컵공급기구(도면생략)에서 반출한 컵(4)을 벤드스테이지 상의 정위치에 수용하여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좌우 1쌍의 플랩, 5는 기기내에서 제조한 음료를 컵(4)에 주입하는 음료 공급노즐, 6은 상기 벤드스테이지(2)와 플랩(3) 등이 장착된 케이스이다.First, FIG. 13 shows a configuration around a bendstage in a conventional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In the drawing, 1 is a product outlet door to be manually opened, 2 is a bend stage for a booklet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door 1, and 3 is a cup taken out from the cup supply mechanism (not shown) in the apparatus (4). ) Is a pair of left and right flaps to accommodate in position on the bend stage and to support from both sides, 5 is a beverage supply nozzle for injecting a beverage prepared in the machine into the cup (4), 6 is the bend stage (2) and the flap (3) The case is attached.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판매시 컵공급기구로부터 반출된 컵(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1쌍의 플랩(3)으로 양측에서 협지(狹持 : 사이에 끼어서 지지함)되어 벤드스테이지(2)위의 소정위치에서 수용 지지되고 다음에 이 위치에서 기기내에서 제조한 음료가 음료 공급노즐(5)을 통해 컵(4)에 공급된다. 음료의 공급이 끝나면 사용자는 손으로 도어(1)를 열어 컵(4)을 지지하고 있는 플랩(3)을 젖히고, 음료가 든 컵(4)을 손으로 벤드스테이지로부터 앞으로 꺼낸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up 4 taken out from the cup supply mechanism at the time of sale is sandwiched from both sides by a pair of left and right flaps 3 as shown, and is bent stage ( 2) The beverage received and support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above is then supplied into the cup 4 through the beverage supply nozzle 5 at this position. When the supply of the drink is finished, the user opens the door 1 by hand, flips the flap 3 supporting the cup 4, and pulls the cup 4 containing the drink forward from the bend stage by hand.

그런데, 상기 종래의 벤드스테이지 구조에서는 컵취출시의 조작면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bend stage structure has the following problems in terms of operation at the time of taking out the cup.

1 컵(4)은 상품취출구에서 보아서 벤드스테이지(2)위의 후방에 반출되므로 컵의 위치가 상품취출구의 전방에서는 잘 안보이고, 또 벤드스테이지(2)로부터 컵을 꺼낼 때에 상품취출구로부터 내부로 손을 깊숙히 넣어야 하기 때문에 컵을 꺼내는데 힘이 들었다.1 cup (4) is transported to the rear on the bend stage (2) as seen from the product outlet, so the position of the cup is not visible from the front of the product outlet, and when the cup is taken out from the bend stage (2) to the inside from the product outlet. It was hard to take out the cup because I had to put my hand deep.

2 컵을 지지하고 있는 플랩(3)은 음료 공급시에 음료 공급노즐에서 주위로 비산한 음료에 의하여 더럽혀지는 경우가 많고, 이대로 두면 컵을 꺼내는 사용자의 손이 플랩에 닿게 되어 사용자의 손이 더럽혀질 염려가 있다.The flap (3) supporting the two cups is often soiled by the beverage scattered from the beverage supply nozzle during the beverage supply, and if left as it is, the user's hand taking the cup touches the flap and the user's hand becomes dirty. There is concern about quality.

3 벤드스테이지상의 컵공급위치의 근방에는 음료 공급노즐(5)의 선단이 노출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컵을 꺼낼때 손을 안으로 깊히 넣으면 사용자의 손이 노즐에 닿아서 노즐이 오염되는 위생면의 문제점도 있다.3 Since the tip of the beverage supply nozzle 5 is exposed near the cup feeding position on the bend stage, when the user pulls out the cup, the user's hand touches the nozzle and the nozzle is contaminated. There is also.

4 벤드스테이지로부터 컵을 꺼낼때에는 다른쪽 손으로 도어(1)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고 있어야 하므로, 사용자가 양쪽 손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다.4 When removing the cup from the bend stage, the door (1) must be held in the open position with the other hand, so that the user has to use both hand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연구된 것으로, 그 목적은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를 대상으로 상품 취출구로부터 음료가 든 컵을 사용자가 꺼낼때에 플랩 또는 음료 공급노즐에 손이 닿지 않게 하여 용이하고 편리하게 꺼낼 수 있는 컵취출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tudi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provide a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for easy and convenient use by preventing the user from taking out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from the product outlet, without touching the flap or the beverage supply nozz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figuration of a cup dispensing apparatus which can be taken ou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는 상품취출구 도어의 배후에 설치된 벤드스테이지와, 그 벤드스테이지상의 후방에 반출된 컵을 음료공급위치에 지지하는 플랩식 컵지지기구와, 음료 공급후에 컵을 상기 음료공급위치에서 벤드스테이지상의 전방에 정한 컵취출위치로 송출하는 컵이송기구를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up dispensing apparatus of the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end stage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product dispensing door and a flap type cup supporting mechanism for supporting a cup carried out behind the bend stage at a beverage supply position. And a cup transfer mechanism for discharging the cup from the beverage supply position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set forward on the bend stage after the beverage is supplied.

또, 상기 구성을 기본으로 한 실시양태로서 다음에 기재하는 구성을 갖는다.Moreover, it has the structure described below as embodiment based on the said structure.

1 컵의 이송기구로서 벤드스테이지상의 컵이송경로에 따라서 컵을 배후로부터 전방으로 밀어보내는 푸셔식(pusher 式) 컵이송기구를 채용하는데, 구체적으로 이 푸셔식 컵이송기구는 컵송출용 푸셔(pusher)와, 그 푸셔를 컵이송경로를 따라서 왕복이동시키는 링크기구와, 그 링크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푸셔가이드기구를 구비한다. 이 푸셔가이드기구는 컵이송경로의 왕로(往路) 및 복로(復路)에서 푸셔를 벤드스테이지 위에 돌출시키는 구성예와, 컵이송경로의 왕로에서는 푸셔를 벤드스테이지의 위에 돌출시키고 복로에서는 푸셔를 벤드스테이지내로 들어가게 한 구성예를 갖는다.As a conveying mechanism for one cup, a pusher type cup conveying mechanism for pushing the cup forward from the rear in accordance with the cup conveying path on the bend stage is adopted. Specifically, the pusher cup conveying mechanism is a pusher for delivering a cup. ), A link mechanism for reciprocating the pusher along the cup feed path,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link mechanism, and a pusher guide mechanism. This pusher guide mechanism is a configuration example in which the pusher protrudes onto the bend stage in the path and the path of the cup feed path, and in the path of the cup feed path, the pusher protrudes onto the bend stage and the pusher in the return path to the bend stage. It has a configuration example which let me go inside.

2 컵이송기구로서 벤드스테이지상의 컵이송경로를 따라서 컵을 이송테이블위에 얹어서 반송하는 테이블식 컵이송기구를 채용하는데, 구체적으로 이 테이블식 컵이송기구는 컵을 탑재하는 이송테이블과, 그 이송테이블을 컵이송경로를 따라서 왕복이동시키는 링크기구와, 그 링크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컵이송경로의 왕로에서는 이송테이블을 컵스테이지의 면상에 돌촐시키고 또 복로에서는 이송테이블을 스테이지 내로 들어가게 하는 테이블 승강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테이블은 외팔보식 지지아암을 구비히여 가이드축에 상하요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또 지지아암의 선단에 연결된 테이블 승강 조작레버를 솔레노이드(solenoid)에 의하여 구동시켜 이송테이블을 승강 제어한다.As a cup transfer mechanism, a table-type cup transfer mechanism that adopts a cup is placed on the transfer table and conveyed along the cup transfer path on the bend stage. Specifically, this table type cup transfer mechanism includes a transfer table on which a cup is mounted, and a transfer table thereof. Link mechanism for reciprocating the shaft along the cup conveying path, a drive unit for driving the link mechanism, and a table lifter for turning the conveying table onto the surface of the cup stage in the return path of the cup conveying path and for returning the conveying table into the stage in the return path. With a sphere. The transfer table is provided with a cantilever support arm to enable vertical swinging on the guide shaft, and the lift table is controlled by driving a table lift operation lever connected to the tip of the support arm by a solenoid.

3 컵이송기구로서 벤드스테이지 위의 컵이송경로를 따라서 컵을 공기압에 의하여 반송하는 공기식 컵이송기구를 채용하는데, 구체적으로 공기식 컵이송기구는 벤드스테이지를 중공(中空 : 속이빈)용기로 형성하고, 그 스테이지면상에 분산해서 구멍을 형성하여 컵송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공기분출공과, 벤드스테이지내에 압축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펌프와, 송기관로에 접속한 공기개폐밸브를 구비한다.3 As a cup conveying mechanism, an air cup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the cup by air pressure along the cup conveying path on the bend stage is adopted. Specifically, the pneumatic cup conveying mechanism is a hollow container. And an air ejection hole arranged to be inclined in the cup dispensing direction by dispersing holes on the stage surface, an air pump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into the bend stage, and an air open / close valv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assage.

4 플랩식 컵지지기구는 벤드스테이지상에 반출된 컵을 양측으로부터 협지하는 좌우 1쌍의 플랩과, 음료 공급후에 플랩을 열어서 컵의 지지상태를 석방하는 플랩 개폐기구를 구비한다.The four flap cup support mechanism is provided with a pair of left and right flaps which hold the cup carried out on the bend stage from both sides, and a flap opening / closing mechanism which releases the cup support state by opening a flap after supply of a drink.

5 상품취출구 도어는 컵의 송출 동작에 따라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개폐수단을 구비한다.5 The product outlet door is provided with a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the door in accordance with the dispensing operation of the cup.

6 상품취출구 도어의 전방에 컵수취 카운터를 설치하고, 그 컵수취 카운터와 상품취출구 도어의 배후의 벤드스테이지와의 사이를 연계하여 컵이송용 회전테이블을 설치한다.6 A cup receiving counte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product outlet door, and a rotary table for conveying cups is installed by linking the cup receiving counter with the bend stage behind the product outlet door.

7 벤드스테이지상의 컵취출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컵유무 검지센서를 구비하고, 그 센서의 검지신호에 따라 컵의 취출 여부를 판정하여 다음번의 판매동작을 제어한다.7 A cup presence sensor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p ejection position on the bend stage, an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cup is ejected and the next selling operation is controlled.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컵공급기구로부터 벤드스테이지상에 반출된 컵은 스테이지상의 수용 위치에서 플랩식 지지기구에 의하여 지지되어 음료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컵에의 음료 공급이 끝나면 다음으로 플랩식 컵지지기구의 플랩이 개방되어 컵의 지지상태를 석방한다. 계속해서 컵이송기구가 동작하고, 음료가 든 컵을 벤드스테이지상의 전방에 정한 컵취출위치로 송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을 상품취출구로부터 벤드스테이지내로 깊숙히 넣을 필요가 없고, 또 벤드스테이지의 상방에 설치된 플랩과 음료 공급 노즐에 전혀 손이 닿지 않고 음료가 든 컵을 용이하고 편리하게 꺼낼 수가 있다.In the above arrangement, the cup taken out from the cup supply mechanism onto the bend stage is supported by the flap support mechanism at the receiving position on the stage to receive the beverage. After the drink is supplied to the cup, the flap of the flap type cup support mechanism is opened to release the support state of the cup. Subsequently, the cup conveying mechanism is operated, and the cup containing the drink is delivered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set in front of the bend stage. Therefore, the user does not have to put his hand deeply into the bend stage from the product outlet, and can easily and conveniently take out the cup containing the drink without touching the flap and the drink supply nozzle installed above the bend stage.

여기에서 푸셔식 컵이송기구에서는 벤드스테이지상에 돌출한 푸셔가 음료가 든 컵을 배후로부터 밀어 스테이지면 위를 활동(滑動)시키면서 컵취출위치로 송출한다. 또 테이블식 컵이송기구에서는 음료가 든 컵을 이송테이블 위에 얹어서 컵취출위치로 송출한다. 또 공기식 컵이송기구에서는 벤드스테이지에 분산해서 구멍을 형성하여 공기분출공으로부터 분출하는 압축공기가 음료가 든 컵에 추력(推力)을 부여하여 컵취출위치로 송출한다. 또 컵이송기구의 푸셔와 이송테이블이 컵취출위치에서 원위치로 복귀하는 복로에서는 푸셔와 이송테이블이 하강하여 벤드스테이지의 안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푸셔가 전번의 판매로 음료가 든 컵을 전방으로 이송한 후 대기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다음의 판매동작을 개시해도 벤드스테이지상에 반출된 컵과 대기위치로 복귀하는 푸셔와의 간섭이 회피되므로 이것에 의하여 자동판매기에서의 연속판매가 가능하다.Here, in the pusher-type cup transfer mechanism, the pusher protruding from the bend stage pushes the cup containing the drink from the rear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while acting on the stage surface. In the table-type cup transfer mechanism, a cup with a drink is placed on a transfer table and fed to a cup take-out position. In the pneumatic cup conveying mechanism, the compressed air ejected from the air blowing hole by dispersing holes in the bend stage is applied to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and sent to the cup ejecting position. Also, in the retreat where the pusher and the transfer table of the cup transfer mechanism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from the cup take-off position, the pusher and the transfer table are lowered to enter the bend stage. Therefore, even if the pusher transfers the cup containing the drink forward to the previous sale and waits for the next selling operation without waiting for return to the standby position,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cup taken out on the bend stage and the pusher returning to the standby position Since it is avoided, this enables continuous sales in the vending machine.

또 컵이송기구의 컵송출 동작에 따라 상품취출구 도어를 손으로 열 필요가 없고, 한 손의 조작으로 스테이지상의 컵취출위치에 송출된 음료가 든 컵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p dispensing operation of the cup conveying mechanism, there is no need to open the product dispensing door by hand, and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dispensed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on the stage can be conveniently taken out by one hand operation.

또, 상품취출구 도어의 전방에 설치한 컵수취 카운터와 기기내측의 벤드스테이지의 사이를 연계하여 회전테이블을 설치한 구성에서는 벤드스테이지상에서 전방으로 송출된 음료가 든 컵이 회전테이블에 옮겨져서 도어의 바깥쪽의 컵수취 카운터까지 보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기내에 손을 넣지 않고 음료가 든 컵을 받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rotary table is installed in association with the cup receiving counter installed in front of the product outlet door and the bend stage inside the machine,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delivered forward on the bend stage is moved to the rotary table. It is sent to the outer cup receiving counter. Thus, the user can receive a cup of beverage without having to put his hand in the cabin.

또, 벤드스테이지상의 컵취출위치에서 센서에 의하여 컵의 유무를 검지하고 이 검지신호를 따라서 다음번의 판매 동작을 제어하는 방식에서는, 예를들면 연속판매시의 전번 판매한 컵이 벤드스테이지 위의 컵취출위치에 남아 있을 경우(사용자가 컵을 꺼내기 전의 상태)에는 다음번 판매의 음료가 든 컵의 송출을 정지시켜 컵끼리 스테이지상에서 서로 충돌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In the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up by a sensor at the cup ejection position on the bend stage and controlling the next sel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is detection signal, for example, the previously sold cup at the time of continuous sale is the cup on the bend stage. If it is left at the take-out position (the state before the user takes out the cup),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ups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on the stage by stopping the delivery of the cup containing the drink of the next sale.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중 제3도와 대응되는 동일 요소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elements corresponding to those in FIG. 3.

실시예 1Example 1

제1도 내지 제6도는 어느것이나 컵이송기구에 푸셔식 컵이송기구를 채용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우선 제1도에 있어서, 벤드스테이지(2)의 스테이지상에는 상품취출구로부터 보아서 후방에 컵공급위치(실선으로 표시한 컵이 놓여진 위치)와 그 전방에 컵취출위치(쇄선으로 표시한 컵이 놓여진 위치)가 정해져 있다. 한편 벤드스테이지(2)에는 상기 컵공급위치와 컵취출위치의 사이에서 컵(4)을 이송하는 푸셔식 컵이송기구(7)가 장착되어 있다. 이 푸셔식 컵이송기구(7)는 컵공급위치와 컵방출위치 사이의 이송경로에 따라서 벤드스테이지(2)의 상면에 개구되어 있는 슬릿(2a)의 속을 이동하는 컵이송용 푸셔(8)와, 그 푸셔(8)를 장착한 제1요동식 링크(9)와, 그 링크(9)의 장공(9a)에 선단 갈고리부를 서로 끼워서 연계(連係)결합한 제2요동식 링크(10)와, 그 링크(10)의 장공(10a)에 삽입한 구동핀(11a)을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는 구동부(11)로 구성된다. 또 12는 제1링크(9)의 지축(9b)에 설치한 복귀스프링이고, 10b는 제2링크(10)의 지지축이다.1 to 6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pusher-type cup transfer mechanism is adopted as the cup transfer mechanism. First, in Fig. 1, on the stage of the bend stage 2, the cup supply position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s placed) and the cup ejection position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is placed in front of the product outlet from the rear. ) Is determined. On the other hand, the bend stage 2 is equipped with a pusher type cup transfer mechanism 7 for transferring the cup 4 between the cup supply position and the cup take-off position. This pusher type cup transfer mechanism (7) is a cup transfer pusher (8) which moves in the slit (2a) ope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nd stage (2) in accordance with the transfer path between the cup feed position and the cup discharge position. And a first swinging link 9 having the pusher 8 mounted thereon, and a second swinging link 10 which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by interposing a tip hook portion into the long hole 9a of the link 9. And a drive unit 11 for operating the drive pin 11a inserted into the long hole 10a of the link 1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12 is a return spring provided on the support shaft 9b of the first link 9, and 10b is a support shaft of the second link 10. As shown in FIG.

다음에 제2도는 푸셔식 컵이송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도에 있어서 제1링크(9)의 선단에는 가이드롤러(9c)가 장착되고, 그 가이드롤러(9c)에 대향해서 벤드스테이지(2)(제1도 참조)의 내부에는 슬릿(2a)과 평행을 이루어서 푸셔가이드기구(13)를 구비한다. 이 푸셔가이드기구(13)는 중앙의 구획레일(13a)을 경계로 하여 상하로 가지런히 왕로홈(13b)과 복로홈(13c)이 연속해서 형성되고 있고, 또 왕로홈(13b)의 종단과 복로홈(13c)과의 경계에 가이드롤러(9c)가 왕로홈(13b)으로부터 복로홈(13c)으로의 통과를 허용하고, 반대방향으로의 통과를 지지하는 게이트 갈고리(13d)를 구비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의하면 컵이송기구가 전방으로 진행하는 왕로에 있어서는 푸셔(8)가 벤드스테이지(2) 위로 돌출하고, 컵이송기구가 후방으로 진행하는 복로에 있어서는 푸셔(8)가 벤드스테이지(2)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2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usher cup transfer mechanism. In FIG. 2, a guide roller 9c is mounted at the tip of the first link 9, and a slit 2a is formed inside the bend stage 2 (see FIG. 1) facing the guide roller 9c. It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pusher guide mechanism (13). The pusher guide mechanism 13 is formed with the forward groove 13b and the return groove 13c continuously and vertically arranged on the border of the central partition rail 13a, and the end of the downward groove 13b and At the boundary with the return groove 13c, the guide roller 9c is provided with a gate hook 13d that allows passage from the return groove 13b to the return groove 13c and supports passage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usher 8 protrudes above the bend stage 2 in the forward path where the cup transfer mechanism advances, and the pusher 8 is the bend stage in the return path where the cup transfer mechanism proceeds backward. 2) Do not protrude upwards.

또, 제3도는 벤드스테이지의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벤드스테이지(2)는 케이스(6)에 스루핀(14)이 구비되어 고정 지지된다. 또 케이스(6)의 배면에는 지지좌(支持座)(6a)가 설치되어 있고, 구동부(11)에 장치한 지지가이드(15)에 상기 지지좌(6a)를 끼워서 소정위치에 고정한다. 이러한 조립구조를 채용함으로서 벤드스테이지(2)와 그 내부에 장치되는 컵이송기구(7)의 점검 및 청소시에는 필요에 따라 벤드스테이지를 자동판매기가 설치된 장소에서 간단히 분해, 재조립할 수 있다.3 is a view showing the assembling structure of the bend stage, and the bend stage 2 is provided with a through pin 14 in the case 6 and is fixedly supported. Moreover, the support seat 6a is provid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case 6, and the said support seat 6a is inserted in the support guide 15 attached to the drive part 11, and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By adopting such an assembly structure, when checking and cleaning the bend stage 2 and the cup transfer mechanism 7 installed therein, the bend stage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reassembled at the place where the vending machine is installed.

다음에 상기 구성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 및 제2도에 있어서, 판매 대기중에는 컵이송기구(7)의 푸셔(8)가 컵공급위치(도시실선위치)로 후퇴 대기하고 있다. 여기에서 판매지령이 주어지면 기기내의 컵공급기구(도시생략)에 의해 벤드스테이지(2)에 반출된 컵(4)이 컵공급위치에서 좌우 1쌍의 플랩(3)에 의해 수용지지되고, 이어서 이 위치에서 음료 공급노즐(5)로부터 음료가 컵(4)에 주입된다. 음료의 주입이 끝나면 다음에 콘트롤러(도시생략)로부터의 프로그램 지령에 의하여 컵이송기구(7)가 시동되어 구동부(11)의 구동핀(11a)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링크(9,10)가 시계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과정에서는 제1링크(9)의 선단에 장치한 가이드롤러(9c)가 푸셔가이드기구(13)의 상단측에 있는 왕로홈(13b)을 따라서 안내되므로 푸셔(8)는 벤드스테이지(2)의 스테이지면상에 돌출한다. 따라서 음료가 든 컵(4)은 푸셔(8)에 밀려서 벤드스테이지상을 이동하면서 컵공급위치로부터 전방의 컵취출위치로 송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품취출구도어(1)를 개방하여 벤드스테이지의 전방 취출부에 얹혀진 음료가 든 컵(4)을 스테이지내에 깊숙히 손을 넣을 필요없이 간단히 꺼낼 수가 있다. 또 손을 스테이지에 깊숙히 넣지 않기 때문에 플랩(3)이나 음료 공급노즐(5)등에 손이 닿는 염려가 없다.Next, the opera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FIG. 1 and FIG. 2, the pusher 8 of the cup feed mechanism 7 is waiting to retreat to a cup supply position (solid line position) in waiting to sell. When a sales instruction is given here, the cup 4 carried out to the bend stage 2 by the cup supply mechanism (not shown) in the apparatus is received and supported by the pair of left and right flaps 3 at the cup supply position. In this position, the beverage is poured from the beverage supply nozzle 5 into the cup 4. After the injection of the drink, the cup transfer mechanism 7 is started by a program command from the controller (not shown), and the driving pin 11a of the drive unit 11 is raise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links ( 9, 10 swings clockwise. In this process, since the guide roller 9c installed at the tip of the first link 9 is guided along the channel groove 13b on the upper side of the pusher guide mechanism 13, the pusher 8 is the bend stage 2 Protrudes on the stage surface. Therefore, the cup 4 containing the drink is pushed by the pusher 8 and sent out from the cup supply position to the front cup takeout position while moving on the bend stage. As a result, the user can open the product outlet door 1 and simply take out the cup 4 containing the drink placed on the front ejection portion of the bend stage without having to put his hand deep into the stage. In addition, since the hand is not placed deep into the stage, there is no fear of touching the flap 3 or the beverage supply nozzle 5.

또, 컵(4)을 컵취출위치로 송출한 후에 컵이송기구(7)는 복귀 동작을 하고, 구동부(11)가 제1 및 제2링크(9,10)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요동시킨다. 이때, 푸셔(8)는 벤드스테이지(2) 위에 돌출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In addition, after discharging the cup 4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the cup transfer mechanism 7 performs a return operation, and the driving unit 11 swings the first and second links 9 and 1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 At this time, the pusher 8 is returned to the protruded state on the bend stage (2).

제2도에 도시된 푸셔가이드기구의 예에 있어서는, 컵이송기구의 복귀동작시에 링크(9)의 가이드롤러(9c)가 푸셔가이드기구(13)의 하단측의 복로홈(13c)을 따라서 안내되므로, 제1도와는 달리, 푸셔(8)는 벤드스테이지(2)의 내부로 들어간 상태로 후퇴이동한다. 즉, 왕로에서는 푸셔(8)가 벤드스테이지 위로 돌출하며, 복로에서는 푸셔(8)가 벤드스테이지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복귀과정에서 푸셔(8)를 벤드스테이지의 내부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다음번 판매될 컵이 벤드스테이지(2) 위에 공급되어 있어도 푸셔(8)와 컵(4)이 서로 간섭되는 염려가 없고, 이것에 의해 자동판매기의 연속판매를 지장없이 계속할 수 있다.In the example of the pusher guide mechanism shown in FIG. 2, the guide roller 9c of the link 9 follows the return groove 13c on the lower end side of the pusher guide mechanism in the return operation of the cup feed mechanism. Since it is guided, unlike the first figure, the pusher 8 moves back in the state which entered the inside of the bend stage 2. In other words, the pusher 8 protrudes over the bend stage in the path, and the pusher 8 is positioned in the bend stage in the return path. In this return process, the pusher 8 enters the bend stage so that the pusher 8 and the cup 4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even if the cup to be sold next is supplied on the bend stage 2. This allows continuous sales of the vending machine without interruption.

다음에 컵이송기구(7)에 의한 컵송출 동작에 따라 상품취출구 도어(1)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키도록 한 구조예를 제4도에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푸셔(8)를 장착한 링크(9)의 선단부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액튜에이터(9c)가 연결되고, 음료가 든 컵(4)을 벤드스테이지(2)의 컵취출위치로 송출하는 것과 동시에 액튜에이터(9c)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품취출구 도어(1)를 내측으로부터 밀어서 개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벤드스테이지(2)로부터 컵(4)을 꺼낼때 손으로 도어(1)를 개방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Next, FIG. 4 shows a structural example in which the product ejection opening 1 is automatically opened in accordance with the cup dispensing operation by the cup conveying mechanism 7. In this embodiment, an actuator 9c extending forward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link 9 on which the pusher 8 is mounted, and the cup 4 containing the beverage is delivered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of the bend stage 2. At the same time, the actuator 9c moves forward to push the product outlet door 1 from the inside to open. This avoids the hassle of opening the door 1 by hand when the user pulls out the cup 4 from the bend stage 2.

제5도 및 제6도는 제4도에서 설명한 도어 개방 액튜에이터의 응용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벤드스테이지(2)의 내부에는 링크(9)와 독립적으로 구성한 도어 개방용의 액튜에이터기구(16)가 장착되어 있다. 이 액튜에이터기구(16)는 후단을 링크(9)의 요동 경로를 향해서 선단을 상품취출구 도어(1)의 내면에 접촉시켜서 앞뒤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지지된 돌출봉(16a)과, 그 돌출봉(16a)을 후퇴방향으로 당기는 복귀스프링(16b)으로 구성된다.5 and 6 show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door opening actuator described in FIG. 4, wherein the inside of the bend stage 2 is equipped with an actuator mechanism 16 for opening a door, which is configured independently of the link 9; have. The actuator mechanism 16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rod 16a guided so that the rear end can slide back and forth by contacting the front end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roduct outlet door 1 toward the swing path of the link 9, and the protruding rod ( It consists of the return spring 16b which pulls 16a) in a retraction direction.

이와 같은 구성으로, 판매 대기시에는 상기 액튜에이터기구(16)의 돌출봉(16a)이 스프링의 힘을 받아서 후퇴해 있고, 상품취출구 도어(1)는 부착된 복귀스프링의 힘을 받아서 닫혀 있다. 한편, 음료 판매시에는 판매 동작의 과정에서 컵이송기구(7)의 동작에 의하여 컵(4)을 벤드스테이지(2)의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취출위치로 송출하면 그 도중에서 링크(9)가 돌출봉(16a)을 배후로부터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따라서 상품취출구 도어(1)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실선위치로부터 쇄선위치에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벤드스테이지(2)로부터 음료가 든 컵(4)을 취출한 후에 링크(9)가 대기위치로 후퇴하면 액튜에이터기구(16)의 구속이 풀려서 돌출봉(16a)은 복귀스프링(16b)에 의하여 후방으로 들어간다. 이것에 의하여 상품취출구 도어(1)는 복귀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닫힌다.In such a configuration, at the time of waiting for sale, the protruding rod 16a of the actuator mechanism 16 is retracted by the force of the spring, and the product outlet door 1 is closed by the force of the attached return spring. 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beverage sales, if the cup 4 is discharged from the rear of the bend stage 2 toward the take-out position by the operation of the cup transfer mechanism 7 in the course of the selling operation, the link 9 is in the middle. The protruding rod 16a protrudes forward from behind. Accordingly, the product outlet door 1 is automatically opened from the solid line position to the chain line position about the hinge axis. Then, when the user pulls out the cup 4 containing the beverage from the bend stage 2 and the link 9 retreats to the standby position, the actuator mechanism 16 is released and the protruding rod 16a returns to the return spring 16b. Enters backwards. As a result, the product outlet door 1 is automatically closed by the return spring.

실시예 2Example 2

다음에 푸셔식 컵이송기구의 응용 실시예를 제7도에 도시한다. 이 기구에서는 제1링크(9)가 고정핀(17)으로 지지축(9b)에 결합되고 있어, 또 지지축(9b)은 축상에 클러치(18)를 장착하여 벤드스테이지(2)에 고정된 가이드슬리브(19)에서 상하 슬라이드가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여기에서 클러치(18)는 링크(9)가 컵송출 방향으로 요동할 때는 공전(空轉)하고, 반대 방향으로의 요동시에는 지지축(9a)과 결합하는 맞물림식 클러치이며, 클러치(18)의 상단면과 가이드슬리브(19)의 하단면이 경사캠면에서 서로 맞물리게 된다. 또 지지축(9b)의 상단 플랜지부와 가이드슬리브(19) 사이에는 지지축을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압축스프링(20)이 구비되어 있고, 이들 기구는 제2도와 동일하게, 푸셔(8)를 왕로 및 복로에서 상승 및 하강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또, 21은 지축(9b)의 축단을 싸는 방진(防塵)캡이다.Next, Fig. 7 show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pusher-type cup transfer mechanism. In this mechanism, the first link 9 is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9b with a fixing pin 17, and the support shaft 9b is fixed to the bend stage 2 by mounting a clutch 18 on the shaft. The guide sleeve 19 is supported to enable the vertical slide. Here, the clutch 18 is an interlocking clutch engaged with the support shaft 9a when the link 9 swings in the cup feeding direction and swings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 clutch 18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sleeve 19 are engaged with each other on the inclined cam surface. In addition, a compression spring 20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flange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9b and the guide sleeve 19 to push the support shaft upwards, and these mechanisms move the pusher 8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Perform the function of ascending and descending in the return path. In addition, 21 is a dust cap which encloses the shaft end of the support shaft 9b.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컵송출 공정(구동핀(11a)이 상승하고, 링크(10)를 개재하여 링크(9)가 대기위치에서 벤드스테이지의 전방을 향해서 요동한다)에서는 상기 클러치(18)가 공전하므로 압축스프링(20)의 작용에 의하여 링크(9)는 지지축(9b)과 함께 상승 위치를 유지한 채로 요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푸셔(8)는 벤드스테이지(2)의 스테이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스테이지 전방의 취출위치를 향해서 컵을 송출한다. 한편 컵송출후의 링크(9)의 복귀 공정(구동핀(11a)이 하강하여 링크(9)는 복귀스프링(12)의 탄력을 받아서 대기 위치로 요동 복귀한다)에서는 지지축(9b)과 클러치(18) 사이가 서로 맞물려서 결합되므로, 가이드슬리브(19)와의 사이의 경사캠면을 따라서 클러치(18) 및 링크(9)가 강제적으로 밀려 내려간다. 이것에 의하여 푸셔(8)는 벤드스테이지(2)의 안쪽에 들어가서 대기위치까지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링크(9)가 대기위치까지 되돌아가면 클러치(18)와 가이드슬리브(19) 사이의 경사캠면이 재차 합치하게 되므로 압축스프링(20)의 부세로 링크(9)가 상승한다. 이와 같은 복귀과정에서 푸셔(8)를 벤드스테이지의 내부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다음번 판매할 컵(4)이 벤드스테이지(2)위에 공급되고 있어도 푸셔(8)와 컵(4)이 서로 간섭되는 염려는 없고, 이것에 의하여 자동판매기의 연속판매를 지장없이 계속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lutch 18 is idle in the cup dispensing step (the driving pin 11a is raised and the link 9 swings toward the front of the bend stage in the standby position via the link 10). Therefore, by the action of the compression spring 20, the link 9 swings together with the support shaft 9b while maintaining the raised position. As a result, the pusher 8 protrudes from the stage surface of the bend stage 2 and delivers the cup toward the dispensing position in front of the stage. On the other hand, in the return process of the link 9 after the cup delivery (the driving pin 11a is lowered and the link 9 receives the elasticity of the return spring 12 and swings back to the standby position), the support shaft 9b and the clutch ( Since the 18 is engaged by being engaged with each other, the clutch 18 and the link 9 are forcibly pushed down along the inclined cam surface between the guide sleeve 19. As a result, the pusher 8 enters the inside of the bend stage 2 and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When the link 9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the inclined cam surface between the clutch 18 and the guide sleeve 19 is matched again, so that the link 9 rises due to the compression spring 20. In this return process, the pusher 8 enters the bend stage, so that the pusher 8 and the cup 4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even if the next cup 4 to be sold is supplied on the bend stage 2. By this, it is possible to continue the continuous sale of the vending machine without interruption.

실시예 3Example 3

제8도는 푸셔식 컵이송기구의 전방에 회전테이블을 조합한 응용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푸셔(8)가 벤드스테이지(2)내에 장착된 나사이송기구(22)에 의하여 컵이송경로를 따라 왕복 이동된다. 23은 나사이송기구(22)의 이송나사, 24는 이송나사(23)에 끼운 너트, 25는 구동모터, 26은 위치검출스위치이다.8 shows an application embodiment in which a rotary table is combined in front of a pusher-type cup transfer mechanism. In this embodiment, the pusher 8 is reciprocated along the cup feed path by the screw feed mechanism 22 mounted in the bend stage 2. 23 is a feed screw of the screw feed mechanism 22, 24 is a nut inserted in the feed screw 23, 25 is a drive motor, 26 is a position detection switch.

또 승강개폐식의 상품취출구 도어(1)를 사이에 끼고 벤드스테이지(2)의 전방에는 컵수취 카운터(27)를 구비하고, 그 컵수취 카운터(27)와 벤드스테이지(2)의 사이를 연계하는 회전테이블(28)을 구비한다. 이 회전테이블(28)은 벤드스테이지(2)로부터 전방으로 송출된 음료가 든 컵(4)을 받아서 상품취출구 도어(1)의 전방으로 내보내는 것이고, 29는 회전테이블(28)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이다.In addition, a cup receiving counter 27 is provided in front of the bend stage 2 with the lifting and closing type product outlet door 1 interposed therebetween, and connects the cup receiving counter 27 and the bend stage 2 to each other. The rotary table 28 is provided. The rotary table 28 receives the cup 4 containing the beverage discharged forward from the bend stage 2 and forwards it to the front of the product outlet door 1, 29 is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rotary table 28. to be.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컵의 취출동작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벤드스테이지(2)상에서 음료가 공급된 컵(4)은 우선 푸셔(8)에 의하여 벤드스테이지(2)의 전방으로 송출된 후, 벤드스테이지의 선단으로부터 회전 테이블(28)로 옮겨지게 된다. 또 이 송출동작에 맞추어서 상품취출구 도어(1)가 상승하여 개방된다. 다음에 회전테이블(28)이 180도 회전하여 벤드스테이지(2)에서 받은 음료가 든 컵(4)을 컵수취 카운터(27)측으로 내보낸다.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는 기기내에 손을 집어넣지 않고 회전테이블(28)로부터 컵(4)을 직접 받을 수 있다.The take-out operation of the cup which constitutes such a structure is performed as follows. The cup 4 supplied with the beverage on the bend stage 2 is first sent out by the pusher 8 to the front of the bend stage 2, and then transferred from the tip of the bend stage to the rotary table 28.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is dispensing operation, the product outlet port 1 is raised and opened. Next, the rotary table 28 is rotated 180 degrees, and the cup 4 containing the beverage received from the bend stage 2 is sent out to the cup receiving counter 27 side. This allows the user to receive the cup 4 directly from the rotary table 28 without having to put his or her hand in the apparatus.

실시예 4Example 4

다음에 컵이송기구로서 테이블식 컵이송기구를 채용한 실시예를 제9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employing a table-type cup transfer mechanism as the cup transfer mechanis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실시예는 벤드스테이지(2)의 상면중앙에 이송테이블(29)을 설치하여, 컵(4)을 이 이송테이블(29) 위에 얹어서 컵취출위치(쇄선표시)까지 송출하도록 한 것이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컵(4)을 반출 위치에서 지지하는 플랩식 컵지지기구인 좌우 1쌍의 플랩(3)에는 플랩개폐기구(3a)를 각각 설치하여 지령에 따라서 플랩(3)을 강제적으로 개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품취출구 도어(1)에는 도어개폐기구(1a)를 구비하며, 또한 컵취출위치에 대응해서 벤드스테이지(2)의 측방에, 예를들면 광전스위치 등을 채용한 컵유무 감지센서(30)를 구비한다.In this embodiment, the transfer table 29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end stage 2, and the cup 4 is placed on the transfer table 29 to be fed to the cup take-off position (dashed line). In this embodiment, the fla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s 3a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flaps 3 which are the flap type cup supporting mechanisms for supporting the cups 4 at the carrying out position to force the flaps 3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It is configured to open. On the other hand, the product outlet door 1 is provided with a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1a, and a cup presence sensor 30 employing a photoelectric switch or the like on the side of the bend stage 2, corresponding to the cup ejection position. It is provided.

다음에 이송테이블(29)의 구동기구를 제10도를 따라 설명한다.Next, the driving mechanism of the transfer table 29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즉 이송테이블(29)은 외팔보식의 지지아암(31)을 장착하여 컵이송경로와 평행으로 장착된 가이드축(32)에 상하요동이 가능하도록 축을 중심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지지아암(31)의 이면측에 형성한 장홈에는 구동링크(33)의 선단에 부착한 롤러(34)가 끼워져 있고, 또 구동링크(33)는 기어기구(35)를 장착하여 구동모터(36)에 의해 전동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또 지지아암(31)의 선단에 대향해서 그 상방에는 상기 가이드축(32)과 평행을 이루는 요동식의 테이블 승강 조작레버(37)가 설치되고, 또 그 레버(37)에는 레버조작용의 솔레노이드(38)가 위치한다. 31b는 지지아암(31)의 선단에 장착한 롤러이고, 37a는 레버(37)의 복귀스프링이다.In other words, the transfer table 29 is supported about the shaft to allow the up-and-down swing on the guide shaft 32 mounted in parallel with the cup transfer path by mounting the cantilever support arm 31. In the long groove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arm 31, a roller 34 attached to the tip of the drive link 33 is fitted, and the drive link 33 is equipped with a gear mechanism 35 so as to drive the motor. 36) are coupled to be electrically driven. In addition, a table swing operation lever 37 of a swinging type parallel to the guide shaft 32 is provided above the support arm 31, and the lever 37 has a solenoid of lever actuation. (38) is located. 31b is a roller attached to the tip of the support arm 31, and 37a is a return spring of the lever 37. As shown in FIG.

상기의 구성으로 이송테이블(29)은 실선위치에 대기하고 있고, 여기에서 구동모터(36)를 정상 운전시키면 구동링크(33)가 시계방향으로 요동되고, 이것에 따라 이송테이블(29)은 가이드축(32)을 따라서 제10(a)도의 실선위치에서 쇄선위치를 향해서 이동한다(왕로 경로). 또 이곳 위치로부터 구동모터(36)를 역전시키면 구동링크(33)가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므로 이것에 따라 이송테이블(29)이 쇄선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 복귀한다(복로 경로).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transfer table 29 is waiting at the solid line position. When the drive motor 36 is normally operated, the drive link 33 swings clockwise, and the transfer table 29 guides accordingly. It moves along the axis 32 toward the dashed-line position from the solid line position of FIG. 10 (a) (path path). If the drive motor 36 is reversed from this position, the drive link 33 swing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transfer table 29 moves back from the chain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return path).

한편, 상기의 왕로 경로에서 솔레노이드(38)를 비여자(非勵磁)로 하면 레버(37)는 복귀스프링(37a)의 스프링의 힘으로 제10(b)도와 같이 대략 수직형태가 되고 지지아암(31)의 선단을 하방으로 누른다. 따라서 가이드축(32)에 지지된 지지아암(31)은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송테이블(29)은 그 상면이 벤드스테이지(2)의 스테이지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승위치로 지지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의 복로에 맞추어서 솔레노이드(38)를 여자 구동하면 레버(27)가 제10(c)도와 같이 경사지게 되어 지지아암(31)의 구속을 해제한다. 이것으로 지지아암(31)이 가이드축(3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송테이블(4)은 벤드스테이지(2)의 안쪽으로 들어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olenoid 38 is made non-excited in the above-mentioned path, the lever 37 becomes substantially vertical as shown in Fig. 10 (b) by the force of the spring of the return spring 37a and the supporting arm Press the tip of (31) downward. Therefore, the support arm 31 supported by the guide shaft 32 swing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the transfer table 29 is supported in the raised position such that its upper surface protrudes from the stage surface of the bend stage 2. On the other hand, when the solenoid 38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return path, the lever 27 is inclined as shown in the tenth (c) to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support arm 31. As a result, the support arm 31 swings clockwise about the guide shaft 32, and the transfer table 4 enters the inside of the bend stage 2.

따라서 판매동작에 맞추어서 이송테이블(29)을 상기와 같이 조작하면 왕로경로에서는 이송테이블(29)이 벤드스테이지(2)로부터 돌출하고, 이송테이블 위에 얹은 컵(4)을 벤드스테이지 위의 컵이송경로를 따라서 컵취출위치까지 반송한다. 또 복로경로에서는 컵취출위치에서 이송테이블(29)이 벤드스테이지내로 들어가고 컵(4)을 벤드스테이지 위의 컵취출위치에 남겨 놓은 채로 이송테이블(29)이 대기위치로 복귀하는 동시에 이 위치에서 이송테이블(29)이 재차 벤드스테이지 위에 돌출해서 대기한다.Therefore, when the transfer table 29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in accordance with the selling operation, the transfer table 29 protrudes from the bend stage 2 and the cup 4 placed on the transfer table is transferred to the cup transfer path on the bend stage. It is conveyed to the cup take-out position along the following. In the return path, the transfer table 29 enters the bend stage at the cup take-out position and the transfer table 29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while leaving the cup 4 at the cup take-off position on the bend stage. The table 29 again protrudes on the bend stage and waits.

제11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음료 판매 동작의 플로우차트이고, 판매 지령에 의하여 단계 (1)에서는 벤드스테이지 위에 있는 컵이 반출되면 플랩으로 수용지지하고, 단계 (2)에서는 컵에 음료가 공급된다. 다음에 단계 (3)에서는 컵유무 검지센서(30)(제9도 참조)의 검지신호에 따라 전번에 판매한 컵이 벤드스테이지 위에 남아 있는 경우에는 판매 작업을 중단하고, 컵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다음 단계 (4)로 진행하여 플랩식 컵지지기구의 플랩을 열어서 컵의 구속을 해제하는 동시에 컵이송기구가 시동하여 단계 (5) 및 (6)에서 음료가 든 컵을 이송테이블에 얹어서 벤드스테이지상의 컵취출위치까지 반송한다. 그리고 음료가 든 컵이 컵취출위치에 도달하면 단계 (7)에서 테이블이 하강하고, 컵을 스테이지 위에 남겨 놓은채 단계(8) 및 (9)을 경유하여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음료가 든 컵이 컵취출위치에 송출되면 단계 (10)에서 상품취출구 도어가 도어개폐기구(1a)(제9도 참조)의 동작에 의하여 개방되고, 여기에서 사용자가 컵을 들어내면(단계 11), 소정시간 후에 상품취출구 도어가 닫혀서 판매대기상태로 복귀한다.11 is a flowchart of the beverage sel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n step (1), when the cup on the bend stage is taken out by the selling instruction, the cup is received and supported by the flap, and in step (2), the beverage is supplied to the cup. . Next, in step (3), if the cup sold previously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cup presence sensor 30 (see FIG. 9) remains on the bend stage, the sales operation is stopped, and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no cup Proceed to the next step (4), open the flap of the flap type cup support mechanism to release the cup restraint, and at the same time the cup transfer mechanism starts, put the cup containing the drink on the transfer table in the steps (5) and (6) and bend stage The cup is conveyed to the cup ejection position on the top. When the cup with the drink reaches the cup take-off position, the table descends in step (7), and returns to the standby position via steps (8) and (9) while leaving the cup on the stage. On the other hand, when the cup containing the beverage is sent out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the product outlet door is opened by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1a (see FIG. 9) in step 10, where the user lifts out the cup (step 11) After a predetermined time, the product outlet door is closed to return to the sales standby state.

실시예 5Example 5

다음에 공기식 컵이송기구를 채용한 실시예를 제12도에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벤드스테이지(2)에 반출된 컵(4)을 음료 공급후에 공기압을 이용하여 컵취출위치까지 송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벤드스테이지(2)는 중공 용기로 구성되고, 또 그 상면에는 다수의 공기분출구멍(2a)이 분산되어 있다. 그리고 벤드스테이지(2)의 용기로부터 인출한 송기관로(39)에는 공기개폐밸브(40)와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41)가 장착되며 공기펌프(42)가 접속되어 있다.Next, Fig. 12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neumatic cup feeding mechanism is adopted. In this embodiment, the cup 4 carried out to the bend stage 2 is fed to the cup take-off position by using air pressure after the beverage is supplied. Here, the bend stage 2 is comprised by a hollow container, and the many air blowing hole 2a is disperse | distributed in the upper surface. In addition, an air open / close valve 40 and an accumulator 41 are attached to the air supply line 39 drawn out from the container of the bend stage 2, and an air pump 42 is connected.

또, 43은 공기펌프(42)를 운전제어하는 압력스위치이다. 또 상기의 공기분출구멍(2a)은 컵(4)의 이송방향을 향해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43 is a pressure switch for driving control of the air pump 42. The air blowing holes 2a are inclined towar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up 4.

이와 같은 구성으로 판매대기 중에는 공기펌프(42)에 의해 주입된 일정 압력의 압축공기를 어큐뮬레이터(41)에 축적하여 판매시에 벤드스테이지(2) 위에 컵(4)을 반출하여 음료를 공급하고, 이어서 공기개폐밸브(40)가 개방되어 어큐뮬레이터(41)로부터 방출되는 압축공기를 벤드스테이지(2)의 공기분출구멍(2a)을 통하여 비스듬히 상방으로 분출한다. 이것으로 음료가 든 컵(4)에는 에어컨베이어(airconveyor)와 같은 원리로 전방으로의 추진력이 작용하여 벤드스테이지상을 미끄러지면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또 이 컵반송 동작에 맞추어서 상품취출구 도어(1)를 개방함으로서 컵(4)은 상품취출구를 통과하여 기기외측에 설치한 컵수취 카운터(27)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이것에 타이밍을 맞추어서 공기개폐밸브(39)를 닫음으로서 컵(4)이 소정의 취출위치에서 정지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during the sales wait, compressed air of a predetermined pressure injected by the air pump 42 is accumulated in the accumulator 41, and at the time of sale, the cup 4 is taken out on the bend stage 2 to supply a beverage. Subsequently, the air open / close valve 40 is opened to blow compressed air discharged from the accumulator 41 upwardly at an angle through the air ejection hole 2a of the bend stage 2. As a result, the cup 4 containing the beverage moves forward by pushing forward on the bend stage on the same principle as an airconveyor. In addition, by opening the product outlet door 1 in accordance with the cup conveying operation, the cup 4 passes through the product outlet and moves to the position of the cup receiving counter 27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By closing the valve 39, the cup 4 stops at a predetermined ejection position.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 판매시에 벤드스테이지상의 안쪽 깊숙히 반출된 컵이 음료 공급후에는 컵이송기구의 동작에 의하여 플랩으로부터 이탈하여 벤드스테이지상의 전단에 정한 컵취출위치까지 이송되므로 사용자는 음료의 비말로 더러워진 플랩이나 음료 공급용 노즐등에 손이 닿는 일없이 벤드스테이지의 앞쪽에 송출되는 음료가 든 컵을 용이하게 들어낼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which is carried out deeply on the bend stage at the time of selling the drink is transferred from the flap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determined at the front end of the bend stage by the operation of the cup feed mechanism after the drink is supplied. It is possible to easily lift a cup of beverage to be delivered to the front of the bend stage without touching the flap soiled by the beverage or the nozzle for feeding the beverage.

Claims (12)

기기내에서 제조한 음료를 컵에 공급하여 판매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품취출구 도어(1)의 배후에 설치한 벤드스테이지(2)와, 이 벤드스테이지(2)상의 후방에 반출된 컵(4)을 음료 공급위치에 지지하는 플랩식 컵지지기구와, 음료의 공급후에 컵(4)을 상기 음료 공급위치로부터 벤드스테이지(2)상의 전방에 정한 컵취출위치로 송출하는 컵이송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In the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which supplies and manufactures the drink manufactured in the apparatus to a cup, the bend stage 2 installed in the back of the goods outlet door 1, and the cup carried out on the back of this bend stage 2 are carried out. A flap type cup support mechanism for supporting (4) at the beverage supply position, and a cup conveying mechanism for discharging the cup (4) from the beverage supply position to the cup dispensing position set forward on the bend stage (2) after the beverage is supplied; Cup ejection apparatus of the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이송기구는 벤드스테이지(2)상의 컵이송경로를 따라서 컵(4)을 배후로부터 밀어보내는 푸셔식 컵이송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2. The cup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p conveying mechanism is a pusher cup conveying mechanism for pushing the cup (4) from the rear along the cup conveying path on the bend stage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이송기구는 벤드스테이지(2)상의 컵이송경로를 따라서 컵(4)을 이송테이블(29) 위에 얹어서 반송하는 테이블식 컵이송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The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p transfer mechanism is a table-type cup transfer mechanism for placing and conveying the cup 4 on the transfer table 29 along the cup transfer path on the bend stage 2. Cup eje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이송기구는 벤드스테이지(2)상의 컵이송경로를 따라서 컵(4)을 공기압에 의하여 반송하는 공기식 컵이송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The cup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p conveying mechanism is an air cup conveying mechanism for conveying the cup 4 by air pressure along a cup conveying path on the bend stage 2.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식 컵지지기구는 벤드스테이지(2) 위에 반출된 컵(4)을 양쪽으로부터 협지하는 좌우 1쌍의 플랩(3)과, 음료의 공급후에 플랩을 개방하여 컵의 지지상태를 해방시키는 플랩개폐기구(3a)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The flap type cup support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p type cup support mechanism has a pair of left and right flaps (3) which sandwich the cup (4) carried on the bend stage (2) from both sides, and the flap is opened after the drink is supplied. A cup dispensing device for a cup beverage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fla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3a) for releasing a support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취출구 도어(1)는 컵의 송출 동작에 따라 상기 도어(1)를 개방시키는 도어개폐수단(1a)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The cup ej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duct outlet door (1) has a door opening and closing means (1a) for opening the door (1) in accordance with a cup dispensing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취출구 도어(1)의 전방에 컵수취 카운터(27)를 설치하고, 그 컵수취 카운터와 상품취출구 도어(1)의 배후에 있는 벤드스테이지(2) 사이를 연결시키는 컵이송 회전테이블(2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2. A cup receiving counter (27) is provided in front of the product outlet door (1), and the cup receiving counter and the bend stage (2) behind the product outlet door (1) are connected. Cup takeout device of a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cup feed rotary table 28 is instal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벤드스테이지(2) 위의 컵취출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컵의 취출 여부를 판정하는 검지신호를 발생하여 다음 판매동작을 제어하는 컵유무 검지센서(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The cup presence sensor (3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up presence sensor (3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p ejection position on the bend stage (2),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up is to be taken out and controls the next selling operation. Cup ejection apparatus of the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식 컵이송기구는 컵송출용 푸셔(8)와, 그 푸셔를 컵이송경로를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는 링크기구(9,10)와, 이 링크기구의 구동부(11)와, 컵이송경로의 왕로에서는 푸셔(8)가 벤드스테이지(2) 위에 돌출되고 복로에서는 푸셔(8)를 벤드스테이지(2) 안으로 들어가게 하는 푸셔가이드기구(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3. The pusher-type cup transfer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pusher-type cup transfer mechanism includes a cup delivery pusher (8), a link mechanism (9, 10) for reciprocating the pusher along the cup transfer path, and the drive unit (11) of the link mechanism. And a pusher guide mechanism (13) for pushing the pusher (8) over the bend stage (2) in the back of the cup feed path and for pushing the pusher (8) into the bend stage (2) in the return path. Cup Dispenser of Drink Vending Mach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식 컵이송기구는 컵(4)이 탑재되는 이송테이블(29)과, 그 이송테이블을 컵이송경로를 따라서 왕복 이동시키는 링크기구(33)와, 그 링크기구의 구동부(35)와, 컵이송경로의 왕로에서는 이송테이블(29)을 벤드스테이지의 면상에 돌출하게 하고 복로에서는 이송테이블을 벤드스테이지내로 들어가게 하는 테이블 승강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4. The table type cup transfer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table type cup transfer mechanism includes a transfer table 29 on which the cup 4 is mounted, a link mechanism 33 for reciprocating the transfer table along the cup transfer path, Cup type vending machine comprising a drive unit 35 and a table elevating mechanism for causing the transfer table 29 to protrude on the surface of the bend stage in the return path of the cup conveying path and the transfer table into the bend stage in the return path. Cup ejection devi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테이블은 가이드축(32)을 중심으로 상하요동이 되도록 지지하기 위해 장착된 외팔보식 지지아암(31)과, 상기 지지아암(31)의 선단에 연결되어 솔레노이드(38)로 구동되는 테이블 승강 조작레버(3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The cantilever support arm (31) mounted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swings about the guide shaft (32) and the tip of the support arm (31) are connected to the solenoid (38). Cup ejection apparatus of the cup-type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able lifting operation lever (37) driven b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식 컵이송기구는 벤드스테이지를 중공 용기로 구성하고, 그 스테이지면 위에 분산해서 구멍을 형성하여 컵송출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공기분출공(2a)과, 벤드스테이지내에 압축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 펌프(42)와, 그 공기펌프 사이의 송기관로(39)에 접속된 공기개폐밸브(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식 음료 자동판매기의 컵취출장치.5. The pneumatic cup conveying mechanis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neumatic cup conveying mechanism comprises a bent stage in a hollow container, and is formed in the bend stage by air blowing holes (2a) arranged inclined in the cup dispensing direction by forming a hole by dispersing on the stage surface. An air pump (42)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and an air opening / closing valve (40) connected to an air supply pipe (39) between the air pumps.
KR1019920002868A 1991-07-05 1992-02-25 Cup taking apparatus for cup-type beverag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012186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476591 1991-07-05
JP91-164765 1991-07-05
JP22191391 1991-09-03
JP91-221913 1991-09-03
JP34574191A JP2998376B2 (en) 1991-07-05 1991-12-27 Takeout device of cup type drink automatic vending machine
JP91-345741 1991-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980A KR930002980A (en) 1993-02-23
KR0121866B1 true KR0121866B1 (en) 1997-12-05

Family

ID=26489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868A KR0121866B1 (en) 1991-07-05 1992-02-25 Cup taking apparatus for cup-type beverage automatic vending mach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98376B2 (en)
KR (1) KR01218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349A (en) * 1999-10-25 2001-05-15 배길성 The cup transfer apparatus of vend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968B1 (en) * 2001-03-08 2004-03-1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up transfer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8349A (en) * 1999-10-25 2001-05-15 배길성 The cup transfer apparatus of ven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98376B2 (en) 2000-01-11
JPH05120552A (en) 1993-05-18
KR930002980A (en)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44592A (en) Distributor
KR0121866B1 (en) Cup taking apparatus for cup-type beverage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1387707B1 (en) Icecream vending machine and operating method therof
JPH07195585A (en) Lock bottom type carbon automatic assembly device
JP3706919B2 (en) vending machine
KR0156820B1 (en) Automatically moving device of tray for drink automatic vending machine
JPH11213225A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JP2895925B2 (en) How to sell cup-type vending machines
JPH07101467B2 (en) Lifting and lowering type product carrier of vending machine
JPS6217907Y2 (en)
KR0114852Y1 (en) Article delivery device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JP3726466B2 (en) vending machine
JP2735410B2 (en) Vending machine cup dispensing device
JP4126867B2 (en) Vending machine product unloading device
JP2895921B2 (en) Cup type vending machine
JPH0637495Y2 (en) Shutter opening / closing mechanism of coin ejector
JP2699612B2 (en) Container feeder for cup-type vending machines
JP2735408B2 (en) Vending machine cup dispensing device
JPS62183287U (en)
JP2002074492A (en) Article disbursing device for vending machine
KR19980040446A (en) Vending machine of bad cup automatic disposal structure
JPH01284996A (en) Commodity carrying-out mechanism for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0285712B1 (en) Vending machine
JP2735414B2 (en) Vending machine cup dispensing device
JPH05135275A (en) Cup type automatic beverage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