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502Y1 -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502Y1
KR0121502Y1 KR2019940006029U KR19940006029U KR0121502Y1 KR 0121502 Y1 KR0121502 Y1 KR 0121502Y1 KR 2019940006029 U KR2019940006029 U KR 2019940006029U KR 19940006029 U KR19940006029 U KR 19940006029U KR 0121502 Y1 KR0121502 Y1 KR 0121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ower
alarm
predetermined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781U (ko
Inventor
김흥근
Original Assignee
김흥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흥근 filed Critical 김흥근
Priority to KR2019940006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502Y1/ko
Publication of KR9500287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7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5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6Arrangements for eliminating or reducing asymmetry in polyphas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노 퓨즈 브렉커(NFB)의 3상(R.S.T) 분기선로와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ACB)의 입력단 사이에 3상(R.S.T) 분기선로중 소정의 선로에서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이를 검출하여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노 퓨즈 브렉커(NFB)를 차단시켜 주는 결상경보기(10)를 설치하여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에서 파워퓨즈나 컷아웃 스위치의 접촉불량 또는 수전사고와 같은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결상경보기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키고 수전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주므로서 각종 공작기계의 손상 및 수전탑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원결상 경보장치가 특별고압 간이수전 설비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결선도.
제2도는 본 고안 전원결상 경보장치의 상세 회로도.
제3도는 노 퓨즈 브렉커(NFR) 트립 설치도.
제4도는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의 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류부 2 : 충전기
3 : T상결상 검출부 4 : S상결상 검출부
5 : R상결상 검출부 6 : 경보복귀부
10 : 결상경보기 1/T, 2/T : 제 1 및 제 2 타이머
BZ : 부져 NFR : 노 퓨즈 브렉커
ASS : 고장구간 개폐기 2/DR : 개방용 릴레이
본 고안은 계측기나 계전기가 설치되지 않은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에서 전원공급 파워퓨즈와 컷아웃 스위치의 접촉불량 또는 수전사고와 같은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이를 결상경보기를 통해 알림과 동시에 수전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는 계측기나 계전기가 없는 설비이고, 또 수전에는 상주 근무자가 없는 관계로 인하여 파워퓨즈(PF) 및 컷아웃 스위치(COS)의 개폐에 따른 이상유무를 확인 할 수 없다.
또, 간이수전설비 계폐기인 고장구간 계폐기(ASS)의 경우는, 각종 공작기계등과 같은 설비용량의 최대전류 설정치에 준하는 고정전류에 의하여 차단되는 것이므로 설정전류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고장구간 개폐기가 차단되지 않아 수전설비상에 파워퓨즈나 컷아웃 스위치의 접촉불량 또는 수전사고와 같은 결상이 발생되어 각종기기의 손상 및 수전탑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에서 전원공급 파워퓨즈나 컷아웃 스위치의 접촉불량 또는 수전사고와 같은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이를 결상경보기를 통해 알려줌과 동시에 수전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공작기계들이 주 동력원인 전동기 등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또 결상으로 인한 수전탑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원결상 경보장치가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에 설치된 전체 결선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스위치 개폐용 트립코일(T C)을 구비하고 특별고압 선로의 개폐기능을 수행하는 고장구간 개폐기(ASS)와; 최대 설정전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를시 선로를 폐쇄시켜 주는 파워퓨즈(PF)와; 낙뇌발생시 낙뇌전압을 접지시켜 주는 피뢰기(LA)와; 수용가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을 표시해주는 전력사용량 표시설비(MOF)와; 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주는 컷아웃 스위치(COS)와; 고전압(예; 22.9KV)을 저전압(예; 220V, 380V, 440V)으로 변환시켜 주는 변압기(TR)와; 상기변압기(TR)의 출력단과 기기사이에 설치된 3상선로(R.S.T)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는 노 퓨즈 브렉커(NFR)와; 상기 노 퓨즈 브렉커(NFR)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에 의해 제어를 받아 고장구간 개폐기(ASS)의 구동을 제어하는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ACB)로 이루어진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에 있어서, 상기 노 퓨즈 브렉커(NFR)의 3상(R.S.T) 분기선로와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ACB)의 입력단 사이에 3상(R.S.T) 분기선로중 소정의 선로에서 결상이 검출되면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노 퓨즈 브렉커(NFR)를 차단시켜 주는 결상경보기(1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제2도는 상기 결상경보기(10)의 상세 회로도로써, 트랜스(T1)와 브릿지 다이오드(BD1)로 구성되어 소정의 선로에서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충전기(2)및 각 구동부품에 인가시켜 주는 정류부(1)와; 상기 정류부(1)의 출력단 사이에 설치되어 정전시 각 구동부품에 구동전압을 인가시켜 주는 충전기(2)와; 오프 테스트 스위치(OTS1), 릴레이 복귀용스위치(SW1), 릴레이(1/R) 및 표시램프(L1)로 각각 구성되어 T상이 결상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T상결상 검출부(3)와; 오프 테스트 스위치( OTS2), 릴레이 복귀용 스위치(SW2), 릴레이(2/R) 및 표시램프(L2)로 구성되어 S상이 결상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S상결상 검출부(4)와; 오프 테스트 스위치(OTS3), 릴레이 복귀용 스위치(SW3), 릴레이(3/R) 및 표시램프(L3)로 구성되어 R상이 결상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R상결상 검출부(5)와; 릴레이 복귀용 스위치(SW4), 릴레이(1/DR) 및 표시램프(L4)로 구성되어 소정선로의 결상 검출에 의해 부져(BZ)가 구동될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부져의 출력을 차단시켜 주는 경보복귀부(6)와; 상기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내의 릴레이(1/R, 2/R, 3/R)중 어느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B접점)을 통하여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부져(BZ)를 소정시간동안 작동시켜 주는 제 1 타이머(1/T)와; 상기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중 소정의 검출부에서 출력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 1 타이머(1/T)의 제어를 받아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부져(BZ)와; 상기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내의 릴레이 (1/R, 2/R, 3/R)중 어느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B접점)을 통하여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개방용 릴레이(2/DR)를 소정 시간동안 작동시켜 주는 제 2 타이머(2/T)와; 상기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중 소정의 검출부에서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 2 타이머(2/T)의 제어를 받아 노 퓨즈 브렉커(NFB)와 고장구간 개폐기(ASS)를 개방시켜 주는 개방용 릴레이(2/DR)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또한, 제 3 도는 상기 노 퓨즈 브렉커(NFB) 트립의 설치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기존의 노 퓨즈 브렉커(NFB) 본체에 푸쉬 투트립(PT)을 설치하고, 상기 개방용 릴레이(2/DR)에는 상기 푸쉬 투 트립(PT)을 선택적으로 조작시켜 주는 트립 누름대(TL)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제 4 도는 정류부(71)와 충전기(72) 및 수동개폐 스위치(73)가 내장된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ACB)의 결선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수동개폐 스위치(73)의 양단에 개방용 릴레이(2/DR)의 상시 개방접점(A접점)을 직렬 연결시켜 소정선로에서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트립코일(T C)을 동작시켜 고장구간 개폐기(ASS)가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VS는 상절환 스위치, V는 메터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 1 도는 기존의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에 본 고안의 전원결상 경보장치인 결상경보기(10)를 설치한 전체 결선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트립코일(T C)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고장구간 개폐기(ASS)는 설비용량 최대치에 준한 고정전류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설정 전류치 이하인 경우 종래에는 고장구간 개폐기(ASS)가 차단되지 않았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수전설비상에 전원공급 파워퓨즈(PF), 컷아웃 스위치(COS)의 접촉불량 또는 수전사고 발생과 같은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결상경보기(10)에서 경보음을 발생시켜 줌과 동시에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ACB)를 통해 트립코일(T C)을 구동시켜 수전전압 제어용 고장구간 개폐기(ASS)를 개방시킴은 물론 주분전함의 노 퓨즈 블렉커(NFB)를 개방시켜 주므로서 각종 기기에 인가되는 전원전압이 자동 차단된다.
이때, 상기 결상경보기(10)는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부(1), 충전기(2),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 경보복귀부(6), 제 1 및 제 2 타이머(1/T, 2/T), 부져(BZ) 및 개방용 릴레이(2/DR)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정류부(1)는 소정의 선로에서 결상이 발생되면 교류전압(예 : 220V)을 일정전압(예 : 24V)의 직류전압으로 변환시켜 각부에 인가시켜 줌과 동시에 충전기 (2)를 충전시켜 준다.
또한, 상기 충전기(2)는 정전이 되었거나 결상등으로 인하여 입력전압이 차단되었을시 릴레이및 타이머등과 같은 각 구동부품에 구동전압을 인가시켜 준다.
또,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에서는 각각의 분기선로(T,S,R)에서 결상이 발생되는지를 검출하게 되는 데, 예를들어 R상이 결상되었을때는 R상 및 T상 릴레이(3/R, 1/R)가 개방되고, S상이 결상되었을때는 S상 및 T상 릴레이(2/R, 1/R)가 개방되며, T상이 결상되었을때는 T상 및 S상 릴레이(3/R, 1/R)가 개방된다.
즉, T상, S상, R상중 소정의 분기선로에서 결상이 발생되어 어느 릴레이(1/R, 2/R, 3/R)든 개방되면 그와 동시에 상기 정류부에서 소정의 직류전압이 출력되므로, 상기 릴레이(1/R, 2/R, 3/R)중 소정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B접점)을 통해 상기 정류부(1)의 출력전압이 분단위를 갖는 제 1 타이머(1/T)에 인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타이머(1/T)에 의해 제어를 받는 부져(BZ)에서 사용자가 결상상태를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시간동안 경보음이 발생되므로 사용자는 소정선로의 결상상태를 빠른 시간내에 정확히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부져(BZ)의 구동을 차단시키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경보복귀부(6)의 릴레이 복귀용 스위치(SW4)를 조작시켜 주므로서 릴레이(1/DR)의 구동이 차단되어 부져(BZ)에서의 경보음 발생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소정선로의 결상에 의해 정류부(1)에서 소정전압이 출력되면 초단위의 구동시간을 갖는 제 2 타이머(2/T)가 작동되므로 이에 제어를 받는 개방용 릴레이(2/DR)가 작동되어 노 퓨즈 브렉커(NFB)와 고장구간 개폐기(ASS)가 동시에 개방 된다.
따라서, 소정선로의 결상으로 인한 기기의 손상 및 수전탑에 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에 설치된 오프 테스트 스위치(OTS1,OTS2,OTS3)는 각 릴레이(1/R, 2/R, 3/R)의 동작상태와 경보음 발생의 이상유무를 점검하고자할시 사용되는 것으로, 각부에 설치된 스위치를 '오프'시키면 가각의 릴레이가 개폐되면서 부져(BZ)와 릴레이(1/DR, 2/DR)가 구동되므로 장치의 이상유무를 손쉽게 진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제 3 도는 기존의 노 퓨즈 브렉커(NFB) 본체에 푸쉬 투 트립(PT)을 설치하고, 상기 개방용 릴레이(2/DR)에는 상기 푸쉬 투트립(PT)을 선택적으로 조작시켜 주는 트립 누름대(TL)를 설치한 것으로서, 결상발생시 작동되는 상기 개방용 릴레이(2/DR)의 트립 누름대(TL)가 푸쉬 투 트립(PT)을 조작하게 되어 노 퓨즈 브렉커(NFB)가 개방된다.
따라서, 수전탑에 공급되는 전원이 결상검지와 동시에 순간적으로 차단되므로 수전탑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공작기계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4 도는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ACB)내에 설치된 수동개폐 스위치(73)양단에 상기 개방용 릴레이(2/DR)의 상시 개방접점(A접점)을 직렬 연결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소정선로에서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트립코일(T C)을 동작시켜 고장구간 개폐기(ASS)가 개방된다.
즉, 종래 고정구간 개폐기(ASS)의 콘트를 박스(ACB)는 설비용량 기준 최대전류에 설정되어 있으므로 설정이하인 결상이 발생하는 사고를 감지할 수없어 본 고안에서는 개방용 릴레이(2/DR)를 부가시켜 준 것이다.
따라서, 결상으로 인해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ACB)내에 설치된 충전기(72)에서 소정의 직류전압이 출력되면, 이 전압이 수동개폐 스위치(73)의 가동단자⇒개방용 릴레이(2/DR)의 접점스위치⇒수동개폐 스위치(73)의 고정단자를 통해 고장구간 개폐기(ASS)의 트립코일(T C)에 인가되므로 상기 고장구간 개폐기(ASS)가 신속히 개방되어 결상으로 인한 대형사고의 발생을 극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에서 파워퓨즈나 컷아웃 스위치의 접촉불량 또는 수전사고와 같은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이를 검출하여 결상경보기를 통해 알려줌과 동시에 수전전원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주므로서 각종 공작기계의 손상 및 수전탑에서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고장구간 개폐기(ASS), 파워퓨즈(PF), 피뢰기(LA), 전력사용량 표시설비(MOF), 컷아웃 스위치(COS), 변압기(TR), 노 퓨즈 브렉커(NFB),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ACB) 및 상기 노 퓨즈 브렉커(NFB)의 3상(R.S.T) 분기선로와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ACB)의 입력단 사이에 3상(R.S.T) 분기선로중 소정의 선로에서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이를 검출하여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줌과 동시에 상기 노 퓨즈 브렉커(NFB)를 차단시켜 주는 결상경보기(10)가 설치된 특별고압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결상경보기(10)는 소정의 선로에서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충전기(2)및 각 구동부품에 인가시켜 주는 정류부(1)와; 상기 정류부(1)의 출력단 사이에 설치되어 정전시 각 구동부품에 구동전압을 인가시켜 주는 충전기(2)와; T상이 결상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T상결상 검출부(3)와; S상이 결상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S상결상 검출부(4)와; R상이 결상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R상결상 검출부(5)와; 소정 선로의 결상 검출에 의해 부져(BZ)가 구동될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부져의 출력을 차단시켜 주는 경보복귀부(6)와; 상기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내의 릴레이(1/R, 2/R, 3/R)중 어느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B접점) 을 통하여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부져(BZ)를 소정시간동안 작동시켜 주는 제 1 타이머(1/T)와; 상기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중 소정의 검출부에서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 1 타이머 (1/T)의 제어를 받아 경보음을 발생시켜 주는 부져(BZ)와; 상기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내의 릴레이(1/R, 2/R, 3/R)중 어느 릴레이의 상시 폐쇄접점(B접점)을 통하여 전원전압이 인가되면 개방용 릴레이(2/DR)를 소정시간동안 작동시켜 주는 제 2 타이머(2/T)와; 상기 T상, S상, R상결상 검출부(3-5)중 소정의 검출부에서 출력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제 2타이머(2/T)의 제어를 받아 노 퓨즈 브렉커(NFB)와 고장구간 개폐기(ASS)를 개방시켜 주는 개방용 릴레이(2/DR)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 퓨즈 브렉커(NFB)에는 푸쉬 투 트립(PT)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용 릴레이(2/DR)에는 상기 푸쉬 투 트립(PT)을 선택적으로 조작시켜 주는 트립 누름대(TL)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구간 개폐기 콘트롤 박스(ACB)내의 수동개폐 스위치(73) 양단에는 개방용 릴레이(2/DR)의 상시 개방접점(A접점)을 직렬 연결시켜 소정선로에서 결상이 발생되었을시 고장구간 개폐기(ASS)의 트립코일(T C)에 소정의 전원전압이 인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KR2019940006029U 1994-03-24 1994-03-24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KR0121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029U KR0121502Y1 (ko) 1994-03-24 1994-03-24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029U KR0121502Y1 (ko) 1994-03-24 1994-03-24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781U KR950028781U (ko) 1995-10-20
KR0121502Y1 true KR0121502Y1 (ko) 1998-10-01

Family

ID=1937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029U KR0121502Y1 (ko) 1994-03-24 1994-03-24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5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516A (ko) * 2016-05-24 2017-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류 제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2157B (zh) * 2018-11-30 2024-04-05 武汉精能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交流输入缺相掉相切换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2516A (ko) * 2016-05-24 2017-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류 제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781U (ko)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5361B2 (en) Digitally controlled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automatic selection of sampling interval for 50 hz and 60 hz power systems
US5966280A (en) Modular, distributed equipment leakage circuit interrupter
US4540922A (en) Motor winding leakage monitor
CN105765393B (zh) 电子式电路断路器
US4814641A (en) Electric safety supply apparatus and connector device combination
EA030501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истанционной проверки угольной шахты на утечку
JPH06197477A (ja) 特に高電圧回路遮断器のような多極電気機器のための制御及び自己監視システム
CN101926069B (zh) 控制设备和剩余电流保护开关
CA2340397C (en) A monitor circuit for a current limiting device
KR0121502Y1 (ko) 특별고압 간이수전설비의 전원결상 경보장치
KR101487426B1 (ko) 분전반의 전기화재를 실시간으로 감시하는 유비쿼터스형 분전반
KR102137978B1 (ko) 모터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전동기 제어반
ATE511233T1 (de) Schutzsystem für einen dreiphasenverteiltransformator mit einer durch ein dielektrisches fluidum unterstützten isolierung mit einem mikroschalter
CN2222979Y (zh) 备用电源自投控制装置
KR20120018943A (ko) 큐비클 형태의 수변전장치
KR19990083046A (ko) 스폿네트워크 수전설비의 모선보호 시스템
CN217278800U (zh) 一种断路器的防跳与传动功能检验装置
JP3812423B2 (ja) 負荷開閉器駆動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H0227272A (ja) 送配電線の地絡検出装置
RU201730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мерения токов утечки на троллейбусе и защитного отключения троллейбуса от питающей сети при превышении заданных значений токов утечки
US20100067157A1 (en) Test Plug With Overvoltage Protection
JP2948106B2 (ja) 高圧負荷開閉器投入警報装置
CN216929577U (zh) 带有信号识别的智能变电站保护压板顺序投入系统
KR0159459B1 (ko) 가스 절연방식 부하개폐기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597899B2 (ja) 変電所の事故点判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