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391Y1 - 음극수상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음극수상관용 전자총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391Y1
KR0121391Y1 KR92020209U KR920020209U KR0121391Y1 KR 0121391 Y1 KR0121391 Y1 KR 0121391Y1 KR 92020209 U KR92020209 U KR 92020209U KR 920020209 U KR920020209 U KR 920020209U KR 0121391 Y1 KR0121391 Y1 KR 0121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electron gun
heater
heater cap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02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1083U (ko
Inventor
시석곤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920202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391Y1/ko
Publication of KR940011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0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의 제1그리드와 히이터캡이 열팽창 되도라도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서 열팽창에 의해 열전자가 많이 방출되어 휘도가 증가하여 화질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그리드의 열전자통과공 주위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인바 열전자가 방출되는양을 조절하므로서 안정된 화상을 얻도록 한다.

Description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
제1도는 종래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전자총의 주요 부분 상세도.
제3도는 종래 전자총의 시간에 대한 음극전류의 변화를 보인 도면.
제4도는 본 고안 전자총의 주요 부분 상세도.
제5도는 본 고안 제1그리드와 히이터캡의 변형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제1그리드 2a:돌출부
2b:곡면부 7:히이터
9:세라믹 스페이서 11:히이터캡
11a:곡면부 12:산화물 도포층
13:열전자 통과공
본 고안은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히이터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 단계에 히이터 캡이 팽창하면서 제1그리드와의 간격이 가까워지므로써 화상에 필요이상의 희도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의 구성을 제1도 내지 제3도에의해 설명한다.
서로 마주보면서 전자총의 외부를 형성한 비드 유리(1)(1')와, 상기 비드유리(1)(1')의 양측면 내부에 격자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전위를 조절 하므로서 전자의 흐름을 제어해주는 제1그리드(2), 제2그리드(3) 제3그리드(4), 제4그리드(5), 제5그리드(6)와, 상기 제1그리드(2)의 내부 형성되어 전원이 인가에 의해 열을 공급해 주는 히이터(7)와, 상기 히이터(7)의 주위를 둘러싸며 히이터(7)에 의해 가열되는 슬리브(10) 및 히이터캡(11)과, 상기 히이터캡(11)이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해 주는 세라믹 스페이서(9)와, 상기 히이터캡(11)의 상층면에 얄은 도포막을 형성하여 전자를 방출해주는 산화물 도포층(12)으로 구성 되었다.
미설명부호 13은 열전자가 지나가도록 제1그리드(2) 중심부에 형성된 열전자 통과공이다.
종래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의 작용을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히이터(7)에 전원을 인가하면 온도가 약 780℃정도로 올라가고, 히이터(7)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슬리브(10)와 히이터캡(11)이 가열됨에 따라 히이터캡(11)의 상층면에 도포한 산화물 도포층(12)이 열전자를 방사하게 된다.
이때 애노드 단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전자총의 각 그리드(2 내지 6)사이에는 소정의 가소 전압이 인가되면 방사된 열전자는 전자 비임(beam)의 형태로 음극 수상관(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내부를 통과하게 되고 편향요크(도면에 도시 되지 않음)에 의해 편향력을 받으면서 형광면에 부딪히게 된다.
그리고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제1그리드(2)와 산화물 도포층(12)은 약 100㎛의 간격(제2도에서 D)을 유지하며 제1그리드(2)의 중심부 사이에는 2-3㎜의 열전자 통과공(13)이 있다.
또한 히이터캡(11)의 길이(제2도에서 L)는 약 7㎜, 산화물 도포층(12)의 지름은 약 4㎜이다.
그리고 제3도는 시간의 변화에 의한 음극 전류의 변화 정도를 나타낸 것인데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에 급격히 증가 했다가 조금더 시간이 지나서야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종래의 음극수상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히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면 슬리브 및 히이터캡이 가열되면서 팽창하게 된다.
이때 히이터캡(11)의 길이 L은 약 7㎜정도 이므로 직경 4㎜보다 크기 때문에 주로 길이 방향, 즉 제1그리드(2)쪽으로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히이터캡(11)과 제1그리드 사이에는 더 강한 전기장이 인가되며 산화물 도포층(12)에서 방출되는 열전자가 증가하므로서 음극 수상관을 통과하는 전자빔 전류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로인해음극 수상관의 형광면에 형성되는 화상의 휘도가 증가하며 화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런 현상을 제3도에서 보듯이 히이터(7)에 전원이 인가되는 초기단계에 현저히 나타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것으로서, 히이터 캡의 열팽창에 의해 열전자가 많이 방출되므로써 휘도가 증가하여 화질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며, 제1그리드와 히이터캡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제1그리드 구멍 주위에 돌출부를 형성한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을 제공하여 화질이 좋은 화상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의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종래의 고안과 동일한 부분은 부호를 그대로 사용한다.
서로 마주보면서 전자총의 외부를 형성한 비드 유리(1)(1')와, 상기 비드유리(1)(1')의 양측면 내부에 격자상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어 전위차를 조절하므로서 전자의 흐름을 제어해주는 제1그리드(2) 내지 제5그리드(6)와, 상기 제1그리드(2)의 내부에 형성되어 전원의 인가에 의해 열을 공급해 주는 히이터(7)와, 상기 히이터(7)의 주위를 둘러싸며 히이터(7)에 의해 가열되는 슬리브(10) 및 히이터캡(11)과, 상기 히이터캡(11)이 유동되지 못하도록 고정해주는 세라믹 스페이서(9)와, 상기 히이터캡(11)의 상층면에 얇은 도포막을 형성하여 열전자를 방사해주는 산화물 도포층(12)과, 상기 산화물 도포층(12)에 의해서 방출된 열전자가 증가되어 화질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그리드의 열전자통과공(13)에 형성된 돌출부(2a)와, 상기 돌출부(2a)에 의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형성된 곡면부(2b)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13은 열전자가 지나가도록 제1그리드(2)중심부에 형성된 열전자 통과공이다.
본 고안에 의한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히이터(7)에 전원을 인가하면 히이터캡(11)이 가열되면서 산화물 도포층(12)이 열전자를 방출한다.
이때 길이가 약 7㎜인 히이터캡(11)은 제4도에서 보듯이 히이터캡의 지름 약 4㎜보다 크므로 주로 길이방향(제1그리드 구멍방향)으로 열팽창된다.
또한 제1그리드 열전자통과공(13)의 외주부를 돌출시켜 형성한 돌출부(2a) 및 곡면부(2b)에 의해 제1그리드는 주로 제4도 및 제5도에서 보듯이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하게 된다.
이와같이 열팽창된 제1그리드(2)와 히이터캡(11)을 제5도에서 살펴보면 실선은 열팽창이전, 점선은 열팽창이후로서 열을 받던 받지 않던 상관없이 언제나 제1그리드(2)의 곡면부(2b)와 히이터캡(11)의 곡면부(11a)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므로써 종래의 전자총의 제1그리드(2)와 히이터캡(11)사이의 간극이 좁아지므로써 야기되는 열전자 방출의 증가에 의한 휘도의 증가와 화상이 선명하지 못한 문제점이 해결된다.
특히 전원이 인가 초기에 현저히 증가하던 열전자 방출량을 감소시키므로써 제품의 품질에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의 제1그리드와 히이터캡이 열팽창 되더라도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므로서 열팽창에 의해 열전자가 많이 방출되어 휘도가 증가하여 화질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그리드의 열전자 통과공 주위에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돌출부는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곡면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음극 수상관용 전자총.
KR92020209U 1992-10-20 1992-10-20 음극수상관용 전자총 KR0121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209U KR0121391Y1 (ko) 1992-10-20 1992-10-20 음극수상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0209U KR0121391Y1 (ko) 1992-10-20 1992-10-20 음극수상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083U KR940011083U (ko) 1994-05-27
KR0121391Y1 true KR0121391Y1 (ko) 1998-07-15

Family

ID=1934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0209U KR0121391Y1 (ko) 1992-10-20 1992-10-20 음극수상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3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1083U (ko) 199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1391Y1 (ko) 음극수상관용 전자총
US5729084A (en) Thermionic cathode with continuous bimetallic wall
KR930004222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구조체
KR90000034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 구조체
KR100198580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전극의 비드 글래스 서포터구조
US5422536A (en) Thermionic cathode with continuous bimetallic wall having varying wall thickness and internal blackening
KR100342041B1 (ko)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음극선관
KR91000075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3840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2456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JP2646837B2 (ja) 陰極線管用電子銃構体
KR100195679B1 (ko) 개선된 내열성을 갖는 전자 건 어셈블리
KR0123813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45244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5649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구조체
KR200151011Y1 (ko) 칼라 음극선관
KR200162822Y1 (ko) 브라운관 전자총의 제1전극
KR0166012B1 (ko) 비이드글래스 및 음극선관용 전자총
JPS6035163Y2 (ja) 電子銃構体
KR970003288Y1 (ko) 음극선관용 음극슬리이브의 구조
KR0131936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0575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0427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 구조체
KR200187024Y1 (ko) 비스무스 코팅 전극을 갖는 칼라 브라운관용 전자총
KR970003297Y1 (ko)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의 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