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011Y1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011Y1
KR200151011Y1 KR2019930003358U KR930003358U KR200151011Y1 KR 200151011 Y1 KR200151011 Y1 KR 200151011Y1 KR 2019930003358 U KR2019930003358 U KR 2019930003358U KR 930003358 U KR930003358 U KR 930003358U KR 200151011 Y1 KR200151011 Y1 KR 2001510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er
cathode
ray tube
electron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3515U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욱, 삼성전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욱
Priority to KR2019930003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011Y1/ko
Publication of KR9400235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35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0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0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4Eliminating deleterious effects due to thermal effects, electrical or magnetic fields; Preventing unwanted e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50Plurality of guns or beams
    • H01J2229/502Three beam guns, e.g. for colour CRT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극선관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이 패널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에 히이터를가지는 캐소오드를 구비한 전자총이 봉입되어 된 펀넬을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총의 캐소오드와 대향되는 네크부의 외주면에 캐소오드의 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열반사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는 전자총의 캐소오드로부터 복사에 의한 열 손실을 극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
제1도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형광막 22 : 패널
23 : 펀넬 24 : 전자총
30 : 열반사수단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자총이 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제1도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내면에 형광막(11)이 형성된 패널(12)과, 이 패널(12)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13a)에 전자총(14)이 봉입되고 그 내면에는 내부 도전막(13b)이 형성된 펀넬(13)과, 상기 펀넬(13)의 네크부(13a)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오크(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14)은 히이터가 설치된 슬리이브와, 이 슬리이브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자방사 물질이 도포된 베이스 메탈과, 상기 베이스 메탈의 전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전극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음극선관(10)은 상기 전자총(14)이 히이터와 각각의 전극에 소정의 전위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메탈에 도포된 전자방사 물질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어 각 전극에 의해 집속 및 가속되고 상기 편향요오크(15)에 의해 형광막(11)의 주사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사되어 형광막에 랜딩됨으로써 하나의 화소를 이루게 되고 이들 화소가 모여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음극선관(10)은 전자총 슬리이브의 내부에 위치되는 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열전자방출 물질을 가열함으로써 이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도록 하고, 이 열전자를 가속시켜 형광막에 주사시키게 되므로 히이터로부터 방출되어 전자방사물질에 전달되는 열량에 따라 전자방출량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많은 열을 상기 전자방사 물질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가능한 한 줄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총은 히이터로부터 발생된 열이 네크부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게 되는데, 이 방출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히이터로부터 방출된 열은 슬리이브, 전극, 및 스템 등을 통하여 열전도되어 손실되는 열량과, 히이터로부터 방출된 열이 복사되어 손실되는 열량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상기 열전도되어 손실되는 열량은 전자총이 원활히 열전자를 방출하기 위해서는 열적 평형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복사되어 손실되는 열량은 전자총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열의 손실은 상기 전자방사 물질을 충분히 가열할 수 없으므로 전자방출 효율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전자방출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히이터에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야 되므로 전자총의 내전압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손실을 극소화하여 전자총의 열전자 방출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자총이 캐소오드로부터 방출되는 열전자 방출효율을 향상시켜 형광체층에 랜딩되는 열전자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발광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이 패널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에 히이터를 가지는 캐소오드를 구비한 전자총이 봉입되어 된 펀넬을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의 캐소오드와 대향되는 네크부의 외주면에 캐소오드의 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열반사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이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내면에 형광막(21)이 형성된 패널(22)과, 이 패널(22)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23a)에 전자총(24)이 봉입되고 그 내면에는 내부 도전막(23b)이 형성된 펀넬(23)과, 상기 펀넬(23)에 설치되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오크(2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총(24)은 히이터가 설치된 슬리이브(24b)와 슬리이브(24b)의 상단에 설치되고 전자방사 물질이 도포된 베이스 메탈(24c)과, 상기 베이스 메탈(24c)의 전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전극(24d)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펀넬(23)의 네크부(23a)의 외주면에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전자총(24)의 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을 전자총(24)측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열반사수단(30)이 설치된다. 이 열반사수단(30)은 상기 네크부(23a)의 외주면과 대향되는 면에 반사막(31)이 형성된 테이프(32)를 설치하여 된 것이다. 상기 열반사수단(30)은 전자총(24)의 캐소오드와 대응되는 네크부(23a)의 외주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반사수단(30)은 펀넬(23)의 네크부(23a) 외주면에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증착막을 형성하고 그 외주면에 단열 테이프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은 전자총(24)의 히이터와 이를 구성하는 각 전극(24d)에 소정의 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히이터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베이스 메탈(24c)에 도포된 열전자 물질을 가열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열전자 방사물질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어 상기 전극(24d)에 의해 집속 및 가속되어 형광막(21)을 여기시킴으로써 하나의 화소를 이루게 되고 이들 화소가 모여 화면을 구성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히이터로부터 방출된 열은 슬리이브(24d)와 베이스 메탈(24c)로 열전달되어 전자방사물질을 가열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복사열에 의해 네크부(23a)의 외부로 전달되게 되는데, 상기 네크부(23a)의 외주면에는 열반사수단(3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로 손실되는 복사열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히이터의 발열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히이터와 이 히이터로부터 슬리이브가 가열됨으로써 발생되는 복사열은 상기 네크부(23a)의 외주면에 설치된 열반사수단(30)에 의해 전자총의 캐소오드를 재 가열하게 되므로 히이터로부터 손실되는 복사열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열량의 손실을 극소화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히이터의 발열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음극선관은 네크부에 봉입된 전자총의 캐소오드로부터 방출괴는 열 손실을 극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열전자 방사물질을 가열하고자 하는 열량의 부족으로 히이터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열전자 방사물질로부터 방출되는 열량을 증가시켜 형광막의 발광휘도를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3)

  1.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이 패널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에 히이터를 가지는 캐소오드를 구비한 전자총이 봉입되어 된 펀넬을 구비하여 된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24)의 상기 캐소오드와 대향되는 상기 네크부(23a)의 외주면에 상기 캐소오드의 히이터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열을 반사시키는 열반사수단(3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수단(30)이 반사막(31)이 형성된 테이프(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반사수단(30)이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중착하여 된 반사막과, 이 반사막을 감싸는 단열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2019930003358U 1993-03-08 1993-03-08 칼라 음극선관 KR2001510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358U KR200151011Y1 (ko) 1993-03-08 1993-03-08 칼라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358U KR200151011Y1 (ko) 1993-03-08 1993-03-08 칼라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515U KR940023515U (ko) 1994-10-22
KR200151011Y1 true KR200151011Y1 (ko) 1999-07-15

Family

ID=1935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358U KR200151011Y1 (ko) 1993-03-08 1993-03-08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01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4925B1 (ko) * 1996-02-28 2002-12-28 엘지전자주식회사 칼라브라운관의씨피엠유동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3515U (ko) 1994-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1011Y1 (ko) 칼라 음극선관
US3531674A (en) Cathode ray tube with cooling means for the fluorescent screen
KR100312690B1 (ko) 형광표시관
US2890377A (en) Color tube shield
JPH07153384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KR200142908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49214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29769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조립체
KR200162361Y1 (ko) 음극선관
KR940002605Y1 (ko) 칼라음극선관
KR0123813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1317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구조체
KR10029769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조립체
KR012456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KR10077771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드 구조체
KR100192256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41049Y1 (ko) 음극선관용 음극구조체
KR200193436Y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음극구조
KR0170427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 구조체
KR100312504B1 (ko) 전자총 음극
KR950003269Y1 (ko) 음극선관용 음극구조
KR200143743Y1 (ko) 음극선관용 음극구조
KR100254727B1 (ko) 음극선관용 음극
KR100249213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과 그 제조방법
KR100195170B1 (ko) 음극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