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092Y1 - 탁상용 전등 - Google Patents

탁상용 전등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092Y1
KR0121092Y1 KR2019940018605U KR19940018605U KR0121092Y1 KR 0121092 Y1 KR0121092 Y1 KR 0121092Y1 KR 2019940018605 U KR2019940018605 U KR 2019940018605U KR 19940018605 U KR19940018605 U KR 19940018605U KR 0121092 Y1 KR0121092 Y1 KR 0121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lamp
support
spher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644U (ko
Inventor
곽병문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18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092Y1/ko
Publication of KR960005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0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탁상용 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등의 받침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점등부만을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탁상용 전등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탁상용 전등에는 받침대를 탁상에 고정시키거나, 받침대를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전등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지지대(12)의 상측단부에 양측에 절개부(28)(30)를 갖는 받침대(16)를 형성하고, 상기 받침대(16)의 결합부(14)에 결합되는 회전구(18)를 형성하며, 상기 회전구(18)의 측면에는 수평지지대(20)에 지지되는 전등부(24)를 형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탁상용 전등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전등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전등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전등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전등의 접점부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탁상용 전등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접점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지지대 14 : 결합부
16 : 받침대 18 : 회전구
20 : 수평지지대 22 : 전등갓
24 : 전구 26 : 상측단부
28 : 절개부 30 : 절개부
32 : 전원라인 34 : 전원라인
36 : 접점단자 38 : 접점단자
40 : 삽입부 42 : 전원라인
44 : 전원라인 46 : 터미널단자
48 : 터미널단자 50 : 돌출부
52 : 판스프링 54 : 스프링
56 : 볼
본 고안은 탁상용 전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등의 받침대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점등부만을 수평방향으로 360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탁상용 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천정에 전등을 설치하여 방이나 사무실 내를 밝히게 되는데, 특히 책상을 설치하여 책을 읽거나 기타업무를 할때에는 방이나 사무실의 조명에 의하여 책상을 효과적으로 밝히지 못하기 때문에 탁상용 전등을 설치하여 책상만을 별도로 밝히고 있다.
이와 같이 책상이나 기타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작업대등에 설치되어지는 탁상용 전등은 탁상(책상, 작업대등을 말하며 이하 탁상이라함)에 직접 접속되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라인이 연결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를 중심으로 서 있으면서 전등의 높이와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단부에 설치되어 탁상을 밝히는 전등부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전등의 전체적인 중심을 잡기 위하여 탁상과 접촉되는 면은 전등의 전체무게를 지탱하면서 기울어지지 않도록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는 상기 받침대의 일측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대의 상부에는 책상에 빛을 비추는 전등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탁상용 전등중 지지대는 전등부의 상하좌우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절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도 하고 지지대와 전등부가 상호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전등의 불빛을 직하방 뿐만 아니라 일정각도 기울어진 각도까지도 비출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탁상용 전등에는 받침대를 고정시키거나, 받침대를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전등부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즉 받침대를 고정한 상태에서는 지지대의 절첩 정도에 따라 탁상용 전등의 상하각도를 조절하고 지지대의 단부에 연결된 전등부를 회전시켜 좌우 조사각을 조절하나 지지대의 절곡과 전등부의 회전에 의한 전등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각을 조절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특히 탁상에 받침대를 고정시키는 형태의 탁상용 전등일때에는 탁상용 전등이 설치된 전면중 일부의 탁상은 지지대와 지지대에 연결된 전등부를 절곡/회전시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나 탁상용 전등이 설치된 후방이나 좌우측방은 빛이 조사되지 않기 때문에 빛을 조사하고자 할때에는 탁상에 고정된 받침대를 분리하여 새롭게 고정시킨 후 에 빛을 조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탁상용 전등의 전등부가 지지대의 상측단부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하도록 한 탁상용 전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 탁상용 전등은 받침대와 지지대 및 전등부를 포함하는 탁상용 전등에 있어서, 받침대의 상면에 설치된 지지대의 상측단부 양측에 절개부를 갖는 반구형 받침대를 형성하고, 상기 반구형 받침대의 결합부에 수평회전가능한 회전구를 결합하며, 상기 회전구에 수평지지대와 전등갓을 갖춘 전등부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미도시된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대(12)의 내측에 결합부(14)를 갖는 반구형 받침대(16)가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 받침대(16)의 결합부(14)에 결합되는 회전구(18)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18)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20)의 단부에 전등갓(22)과 전구(24)가 설치된 것이다.
여기서 받침대(16)의 양측에는 회전구(18)가 결합부(14)에 결합될때 상측단부(26)가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28)(30)가 형성되며 상측단부(26)는 완전한 구의 수평중심선 보다 높은 선에서 이루어져 회전구(18)가 결합부(14)에 결합시 받침대(16)의 내주면이 회전구(18)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회전구(18)가 받침대(16)의 결합부(14)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된다.
예시도면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회전구(18)의 저면에는 전구(24)의 전원라인(32)(34)과 연결된 접점단자(36)(38)를 갖는 삽입부(40)가 형성되고, 받침대(16)의 결합부(14) 저부에는 전원라인(42)(44)과 연결된 터미널단자(46)(48)를 갖는 돌출부(50)가 형성된다.
즉 접점단자(36)(38)와 터미널단자(46)(48)는 예시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지지대(12)에 연하여 형성된 돌출부(50)의 상면 중심부 및 동심원상의에 환형띠로 터미널단자(46)(48)가 형성되어 전원라인(42)(44)와 연결되고, 삽입부(40)의 상단에 접점으로 접점단자(36)(38)가 형성되어 전구(24)에 연결된 전원라인(32)(34)과 연결된다.
여기서 회전구(18)와 연동하여 터미널 단자(46)(48)에 접속되는 접점단자(36)(38)는 탄성을 가진 판스프링(52)이나 스프링(54)에 탄지된 볼(56)로 이루어져 회전구(18)가 받침대(16)의 결합부(14)로부터 유동이 있어도 접속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시도면 제4도는 스프링(54)에 볼(56)이 탄지되어 볼(56)이 접점(46)(48)에 항상 탄성을 갖고 접하도록 된 것을 나타내며, 예시도면 제5도는 판스프링(52)의 하단부가 접점(46)(48)에 탄성을 갖고 접하도록 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지대(12)의 상측단부에 구성된 받침대(16)의 상측단부(26)에 회전구(18)의 저부를 대고 압압하면, 회전구(18)에 가해진 압력이 받침대(16)에 내측면중 상측단부(26)에 가해져 절개부(28)(30)가 벌어진다.
즉 회전구(18)의 외경보다 작은 상측단부의 내경에 회전구(18)를 대고 상측에서 압압함에 따라 절개부(28)(30)가 벌어지면서 회전구(18)의 외경에 비해 상측단부(26)의 내경이 순간적으로 커지게 되어 결합부(14)에 회전구(18)가 강제 결합된다.
이때 회전구(18)의 저부에 형성된 삽입부(40)내에 지지대(12)의 중앙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50)가 삽입되기 때문에 돌출부(50)의 상면에 형성된 터미널단자(46)(48)에 삽입부(40)내측 상단에 형성된 접점단자(36)(38)가 접속된다. 즉, 예시도면 제4도의 경우는 볼(56)이 접속되고, 예시도면 제5도의 경우에는 판스프링(52)이 접속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전원라인(42)(44)에 전원을 인가하면 전원라인(42)(44)을 통하여 전원이 터미널단자(46)(48)에 공급되고 터미널단자(46)(48)에 공급된 전원은 터미널단자(46)(48)에 접속된 접점단자(36)(38)를 통하여 전원라인(30)(32)을 거쳐 전구(24)에 인가되어 점등된다.
전구(24)에서 발한 빛은 직접 탁상에 조사되기도 하고 일부는 전등갓(22)의 내측면에 반사되어 탁상에 조사된다.
탁상에 빛을 조사하던중에 전등부(24)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위치를 변경하기 위하여 수평지지대(20)를 시계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수평지지대(20)가 회전구(18)와 함께 수평상태로 시계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돌아간다.
이때 받침대(16)의 상측단부(26)가 회전구(18)의 중심선보다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회전구(18)가 결합부(14)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수평회전하게 되며, 결합부(14)에서 회전하는 회전구(18)의 회전은 결합부(14)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50)가 삽입부(40)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대(12)가 연장된 중심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구(18)의 삽입부(40)에 형성된 접점단자(36)(38)가 탄성을 가진 판스프링(52)이나 스프링(54)에 탄지된 볼(56)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접점단자(36)(38)가 돌출부(50)상면의 터미널단자(46)(48)와 접속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한다.
바람직하게는 수평 지지대(20)를 접철 가능하게 구성하면 받침대(16)의 결합부(14)로부터 회전구(16)를 회전시켜 전구(24)로 부터 조사되는 빛의 조사방향을 지지대(12)를 중심으로 수평으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대(12)와 수평지지대(20)를 접철시켜 전구(24)의 빛의 방향을 상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지대의 상측단부 양측에 절개부를 갖는 받침대를 형성하고 받침대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구에는 수평방향의 수평지지대에 전등부를 형성함으로써 전등부의 빛 조사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받침대의 일측에 설치된 지지대(12)의 상측단부 내측에 결합부(14)를 갖는 반구형 받침대(16)가 형성되고, 상기 반구형 받침대(16)의 결합부(14)에 결합되는 회전구(18)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18)의 일측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평지지대(20)의 단부에 통상의 전등갓(22)과 전구(2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등.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대(16)의 양측에는 회전구(18)가 결합부(14)에 결합될때 상측단부(26)가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부(28)(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등.
  3. 제1항에 있어서, 받침대(16)의 상측단부(26)가 결합부(16)에 결합된 회전구(18)를 압압할 수 있도록 구의 중심선보다 높은 지점에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등.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구(18)의 저면에는 전구(24)의 전원라인(30)(32)과 연결된 접점단자(36)(38)를 갖는 삽입부(40)가 형성되고, 받침대(16)의 결합부(14) 저부에는 전원라인(42)(44)과 연결된 터미널단자(46)(48)를 갖는 돌출부(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등.
  5. 제1항에 있어서, 접점단자(36)(38)가 탄성을 가진 판스프링(52)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등.
  6. 제1항에 있어서, 접점단자(36)(38)가 스프링(54)에 탄지된 볼(5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전등.
KR2019940018605U 1994-07-26 1994-07-26 탁상용 전등 KR0121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605U KR0121092Y1 (ko) 1994-07-26 1994-07-26 탁상용 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605U KR0121092Y1 (ko) 1994-07-26 1994-07-26 탁상용 전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644U KR960005644U (ko) 1996-02-17
KR0121092Y1 true KR0121092Y1 (ko) 1998-10-01

Family

ID=19389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605U KR0121092Y1 (ko) 1994-07-26 1994-07-26 탁상용 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09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80B1 (ko) * 2006-07-31 2007-02-08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물 천정의 방향조정 조명기구
KR100856733B1 (ko) * 2008-05-29 2008-09-04 (주)성현하이텍 조명방향 조절장치
KR100897780B1 (ko) * 2008-02-12 2009-05-15 (주)대륙아이티에스 등기구 설치장치
KR101527756B1 (ko) * 2014-10-29 2015-06-11 이엔이엘이디 주식회사 볼조인트 결합구조를 갖는 등기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942B1 (ko) * 2008-08-26 2009-09-07 (주)에스제이 테크 엘이디 시스템 개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280B1 (ko) * 2006-07-31 2007-02-08 (주)한국이에프티엔지니어링 건물 천정의 방향조정 조명기구
KR100897780B1 (ko) * 2008-02-12 2009-05-15 (주)대륙아이티에스 등기구 설치장치
KR100856733B1 (ko) * 2008-05-29 2008-09-04 (주)성현하이텍 조명방향 조절장치
KR101527756B1 (ko) * 2014-10-29 2015-06-11 이엔이엘이디 주식회사 볼조인트 결합구조를 갖는 등기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644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5105B1 (en) Relamping cartridge assembly
US5477443A (en) Halogen lamp
US4337506A (en) Adjustable lamp
JP4655952B2 (ja) 照明器具
KR0121092Y1 (ko) 탁상용 전등
KR200394755Y1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CN210372993U (zh) 可调整的照明灯具
JPS5822841B2 (ja) 照明器具
US5165787A (en) Lamp shade having rotatable light deflectors
US4638413A (en) Combination spotlight and table lamp
US5727875A (en) Dual-functional lamp
JP2655368B2 (ja) 照明器具
KR200325083Y1 (ko) 실내등 겸용 스탠드
JPH10223014A (ja) 照明器具
CN217928664U (zh) 一种台灯连接组件以及台灯
CN218001236U (zh) 一种灯头可翻转的落地灯
KR200405519Y1 (ko) 탁상용 전기 스탠드
KR200192698Y1 (ko) 조명기구의 조절장치
CN212430590U (zh) 明装灯具
US3746856A (en) Reflector for incandescent lamp
CA1155099A (en) Adjustable electric shade lamp
JPH0244414Y2 (ko)
JP2003249116A (ja) 作業用電灯
KR200248465Y1 (ko) 천정용 조명등
KR200221522Y1 (ko) 독서대용 조명등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