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9647Y1 - 캐소드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캐소드 지지 구조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9647Y1
KR0119647Y1 KR2019940032491U KR19940032491U KR0119647Y1 KR 0119647 Y1 KR0119647 Y1 KR 0119647Y1 KR 2019940032491 U KR2019940032491 U KR 2019940032491U KR 19940032491 U KR19940032491 U KR 19940032491U KR 0119647 Y1 KR0119647 Y1 KR 0119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support structure
holes
bent portions
cathode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2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8952U (ko
Inventor
김선곤
Original Assignee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길용,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엄길용
Priority to KR2019940032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9647Y1/ko
Publication of KR9600189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89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9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96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4Cathode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캐소드지지구조체의 비드글라스 융착이 용이하고, 브라운관의 선명도와 EM특성 내지는 초기특성을 상승시킨 캐소드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을 개시한다.
캐소드실린더지지부와 매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있어서, 연결부가 양단에 다수의 절곡부와 구멍을 구비하고 또한, 중앙에 캐소드실린더지지부의 연결부가 다수의 절곡부와 구멍을 구비하여, 캐소드지지구조체의 연결부에 다수의 절곡부와 구멍에 의해 EM특성 내지는 초기화 특성을 향상시키고, 화질선명도의 안정화를 추구하며, 그리드캐소드의 불량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캐소드 지지구조체
제1도는 종래의 캐소드지지구조체를 도시한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캐소드지지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캐소드지지구조체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캐소드실린더2:비드글라스
3:그리드
10,10a,10b:캐소드지지구조체
12,12a,12b:캐소드실린더지지부
14,14a,14b:연결부16,16a,16b:매립부
18,18a,18b:각부20,20a,20b:구멍
본 고안은 캐소드지지구조체의 비드글라스 융착이 용이하고, 브라운관의 선명도와 EM특성 내지는 초기특성을 상승시킨 캐소드지지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는 종래의 캐소드지지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캐소드실린더구조체(4,4a)는 중앙에 캐소드실린더지지부(5,5a)가 구비되고 양측으로 연결부(6,6a)와 매립부(7,7a)가 각각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캐소드실린더지지구조체(4,4a)는 그리드(3)에 고정되는 캐소드실린더(1)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캐소드지지구조체(4,4a)의 매립부(7,7a)가 양측의 비드글라스(2)에 융착 매립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캐소드지지구조체(4,4a)는 캐소드실린더지지부(5,5a)와 연결부(6,6a) 및 매립부(7,7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캐소드지지구조체(4,4a)의 매립부(7,7a)를 비드글라스(2)에 융착 매립시 매립부(7,7a) 및 연결부(6,6a)와 연결된 캐소드실린더지지부(5,5a)가 매립부(7,7a)로부터 전달되는 힘에 의해 양측에서 압축되는 힘을 받아 캐소드실린더지지부(5,5a)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캐소드실린더(1)가 양측으로 약간씩 밀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캐소드실린더(1)가 캐소드지지구조체(4,4a)로부터 받는 외부로 향하는 힘에 의해 각 캐소드실린더(1)의 피치의 변형이 오면, 그리드(3)에 영향을 주어 브라운관의 선명도가 떨어지고, 캐소드실린더의 올바른 위치 설정이 되지않아 EM특성 내지는 초기특성, 즉 캐소드실린더에서 방출되는 전자가 일정량이 안정적으로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요인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캐소드지지구조체의 비드글라스 융착이 용이하고, 브라운관의 선명도와 EM특성 내지는 초기특성을 상승시킨 캐소드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양측에 캐소드실린더지지부와 매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있어서, 연결부가 양단에 다수의 절곡부와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소드실린더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중앙에 상기 캐소드실린더지지부의 연결부가 다수의 절곡부와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소드실린더지지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양측의 캐소드지지구조체(10,10a)가 비드글라스(2)에 융착된 상태에서 그리드(3)에 삽입된 캐소드실린더(1)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제3도에서는 양측의 캐소드지지구조체(10,10a)를 나타낸 것으로서, 양측의 캐소드실린더(1,1a)를 지지하는 캐소드실린더지지부(12,12a)와 비드글라스(2)에 융착 매립되는 매립부(16,16a)를 연결하는 연결부(14,14a) 양단에 다수의 절곡부(18,18a)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4,14a)에는 구멍(20,20a)을 구비한다. 이 경우 연결부(14,14a)는 직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부(14,14a)의 구멍(20,20a)은 양측으로 길게 타원형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4도에서는 중앙의 캐소드지지구조체(10b)를 나타낸 것으로서, 중앙의 캐소드실린더(1b)를 지지하는 캐소드실린더지지부(12b,)와 비드글라스(2)에 융착 매립되는 매립부(16b,)를 연결하는 연결부(14b,) 양단에 다수의 절곡부(18b,)가 절곡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4b,)에는 구멍(20b,)을 구비한다. 이 경우 연결부(14b,)는 직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부(14b,)의 구멍(20b,)은 양측으로 길게 타원형의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캐소드실린더지지구조체(10,10a)가 매립부(16,16a)와 다수의 절곡부(10,10a)와 직선으로된 연결부(14,14a)로 구성되어 비드글라스(2)에 융착 매립시 캐소드실린더지지부(12,12a)의 피치가 변함없고, 또한 연결부(14,14a)에 구멍(20,20a)이 형성되어 외부응력을 분산시키고, 내부변형을 방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캐소드지지구조체(10,10a)를 비드글라스(2)에 매립시 캐소드실린더지지부(12,12a)의 변형을 막아주어 피치변화를 없게한 것이다.
또한, 중앙의 캐소드실린더(1b)를 지지하는 캐소드지지구조체(10b,)도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14b,)에 다수의 절곡부(18b,)와 구멍(20b,)이 구비되어 있어 캐소드실린더지지부(12b,)의 외부응력을 분산시켜주고 내부변형을 방지하여 비드글라스(2)에 융착 매립시 피치의 변화를 없게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캐소드지지구조체(10,10a,10b,)의 연결부(14,14a,14b,)에 다수의 절곡부(18,18a,18b,)와 구멍(20,20a,20b,)에 의해 EM특성 내지는 초기화특성을 향상시키고, 화질선명도의 안정화를 추구하며, 그리드캐소드의 불량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연결부의 절곡부와 구멍은 여러가지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캐소드 실린더지지부와 매립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에 있어서, 연결부가 양단에 다수의 절곡부와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소드실린더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중앙에 캐소드실린더지지부의 연결부가 다수의 절곡부와 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소드실린더지지구조체.
KR2019940032491U 1994-11-30 1994-11-30 캐소드 지지 구조체 KR0119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491U KR0119647Y1 (ko) 1994-11-30 1994-11-30 캐소드 지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2491U KR0119647Y1 (ko) 1994-11-30 1994-11-30 캐소드 지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952U KR960018952U (ko) 1996-06-19
KR0119647Y1 true KR0119647Y1 (ko) 1998-07-01

Family

ID=19400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2491U KR0119647Y1 (ko) 1994-11-30 1994-11-30 캐소드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964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8952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22640A (ko) 슬롯형 섀도우마스크 구성체를 사용한 컬러음극선관
KR100427530B1 (ko) 음극선관
KR0119647Y1 (ko) 캐소드 지지 구조체
KR100398049B1 (ko) 음극선관
US6140754A (en) Structure of shadow mask for flat cathode ray tube
KR100357948B1 (ko) 평면형 칼러 음극선관
KR100388902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18657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코너스프링
KR0166013B1 (ko) 비이드글래스 및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43256B1 (ko) 소켓과 이 소켓을 이용한 음극선관
KR0118656Y1 (ko) 음극선관의 콘택트 스프링
KR950000405Y1 (ko)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261886Y1 (ko) 칼러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0119186Y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 결합장치
KR200142032Y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과 홀더의 결합구조
KR200145994Y1 (ko) 음극선관의 인너 실드 구조
KR940000598Y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184925Y1 (ko) 전자총 조립체
KR200142031Y1 (ko) 음극선관용패널과 프레임 결합구조
KR970051765A (ko)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를 갖는 음극선관
KR200269154Y1 (ko) 음극선관용마스크프레임
KR910005185Y1 (ko) 칼라브라운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조립체
KR100385212B1 (ko) 평면형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100385210B1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KR200145256Y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